KR830002182Y1 - 톱(top) 로울러 - Google Patents

톱(top) 로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182Y1
KR830002182Y1 KR2019800007572U KR800007572U KR830002182Y1 KR 830002182 Y1 KR830002182 Y1 KR 830002182Y1 KR 2019800007572 U KR2019800007572 U KR 2019800007572U KR 800007572 U KR800007572 U KR 800007572U KR 830002182 Y1 KR830002182 Y1 KR 830002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
ring
arbor
needle bearing
top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7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712U (ko
Inventor
다게시 스즈기
Original Assignee
다게시 스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게시 스즈기 filed Critical 다게시 스즈기
Publication of KR830000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1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70Constructional features of drafting elements
    • D01H5/74Rollers or roller bearings
    • D01H5/76Loose-boss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02Roller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톱(top) 로울러
제1도는 종래의 톱 로울러의 일부 단면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례의 일부 단면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쓰러스트(Thrust) 방향에 흔들림이 없는 톱로울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구조가 간단하고 흔들림이 적은 톱로울러로서 제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톱 로울러를 제공하였다.
제1도에 있어, (1)은 파지부(1a)로서 되는 아아버(arblur), (2)는 회전 셀(She l)(3),은 회전 셀(2)의 외주에 고착한 고무콧트, (4)는 회전 셀(2)과 아아버(1)의 회전부(1b)의 사이에 설치된 니이들 베어링(needle bearing)이고, 이 니이들 베어링(4)은 회전 셀(2)의 내측의 돌부(2')를 협지하는쓰러스트 링(5), (6)의 사이에 보지되어 있다.
(7)은 아아버(1)의 회저부(1b)의 선단측에 고착된 스톱링(8)으로 축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는 쓰러스트링(9)과 쓰러스트링(5)과의 사이에 보지된 쓰러스트 베아링, (10)은 아아버(1)의 파지부(1a)와 회전부(1b)사이의 단턱부(1c)에 접촉하는 쓰러스트링(6)과의 사이에 설치된 쓰러스트 베아링, (12)는 캡, (13)은 플랜지(flange)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톱 로울러에서는 회전 셀(2)은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쓰러스트 베어링(7), (10)과 접촉하는 쓰러스프링(5), (6), (9), (11)으로 보지하지 아니하면 아니되어,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부품 점수가 많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니이들 베어링(4)은 아아버(1)의 회전부(1b)및 회전 셀(2)에 선접촉(線接觸)하고 있는 것이여서, 이 니이들 베어링은 보유(保油)}용량이 적고 급유 간격이 짧어, 이 톱로울러에서는 쓰러스트 베어링(7)의 방향에서 구리스등의 기계유를 급유하여도 쓰러스트 베어링(7)의 볼의 간격을 통하여 니이들 베어링(4)에 들어가는 기계유의 양은적고, 급유가 곤란한 관계로, 이 종래례의 톱 로울러에서는 아아버(1)의 회전부(1 b)의 단부(端部)의 중심에서 니이들 베어링(4)의 부분에 급유공(14)을 설치하여야 하고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공정이 많아 제조 원가가 높게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례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회전 셀에 고정한 쓰러스트 베어링을 협지하여 2개의 쓰러스트 베어링을 장착하고, 니이들 베어링을 아아버의 회전부의 선단측에 장착하여 쓰러스트 베어링을 장착하기에 필요한 부품의 점수를 적게하고, 니이들 베어링의 급유를 용이하게 하여, 아아버의 회전부에 급유공을 설치치할 필요가 없는 톱 로울러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례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례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와 동일 부호의 부분을 동일한 것으로 표시한 것이나 이 실시례 에서는 회전 셀(2)에 설치한 홈에 스톱링(15) (16)을 끼워 맞춤으로서 쓰러스트링(17) 회전 셀(2)에 고정되어, 쓰러스트 베어링(1 0)은 쓰러스트링(11)과 쓰러스트링(17)으로 협지되어 쓰러스트 베어링(7)은 스톱링( 18)으로 축방향의 이동이 억제된 쓰러스트링(19)과 쓰러스트링(17)에 협되고, 또한 니이들 베어링(4)은 회전부(1b)의 홈(1e), (1f)에 고정된 스톱링(18), (20)의 사이에 보지되어 있다.
그리고, 캡(12)에 급유공(21)이 설치되고, 또한 아아버(1)의 회전부(1b)의 선단(1d)에 각을 지게 함으로서 스톱링(18)(2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례에서는 회전 셀(2)에 고정한 쓰러스트링(17)을 협지하여 2개의 쓰러스트 베어링(7), (10)을 장착한 것이어서 회전 셀(2)의 축방향의 이동을 3매의 쓰러스트링(11), (17), (19)으로 받칠 수 있게되어, 부품점수가 적게 됨과 동시에 비교적 급유를 필요로하지 아니하는 쓰러스트 베어링(7), (10)을 캡(12)에서 멀게 장착하고 급유 횟수가 많은 니이들 베어링(4)을 캡(12)의 급유공(21)에서 구리스 등의 기계유를 주입하면, 기계유는 스톱링(20)과 회전 셀(2)의 간격을 통하여 니이들 베어링(4)의 부분에 간단하게 주입된다.
또한, 쓰러스트링(17)은 스톱링(15), (16)을 회전 셀(2)의 내주의 홈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나, 회전 셀(2)의 내측의 소저의 위치에 홈을 설치하여, 쓰러스트링(17)을 홈에 압입 하여도 좋은 것이다.
그리고 니이들베어링(4)의 리테이너(retainer)(4')및 쓰러스트 베어링(7), (1 0)의 리테이너(7')(10')는 일반적으로 황동으로 제작되는 것이나, 나이론 등의 합성수지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스톱링(18), (20)은 철판 또는나이론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나 니이들 베어링(4)의 리테이너(4')및 스톱링(18), (20)을 합성수지로 제작한 경우에는 마찰과 마모가 심한 것이서, 니이들 베어링(4)과 스톱링(18), (20)과의 사이에 철판을 개재하면, 이 마찰과 마모를 감소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례의 톱로울러를 조립 하려면, 우선 플랜지링(13)을 아아버(1)에 압입 고정하고 아아버(1)의 단턱부(1c)와 접촉하게끔 하여 쓰러스트링(11)을 넣고, 다음에 쓰러스트 베어링(10)을 장착하고, 쓰러스트링(17)이 고정된 회전 셀(2)을 아아버(1)의 회전부에 씌운다.
다음에, 쓰러스트 베어링(7)을 장착하고, 쓰러스트링(19)을 넣고, 스톱링(18)을 회전부(1b)의 홈(1e)에 고정한다.
다음에 니이들 베어링(4)을 장착하는 것이나, 스톱링(18)의 합성수지로 되고, 니이들 베어링(4)의 리테이너(4')가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철제의 링을 그 사이에 개재하게 된다.
다음에, 회전부(1b)의 홈(1f)에 스톱링(20)을 고정하는 것이나, 이 스톱링(20 ) 및 니이들 베어링(4)의 리테이너(4')가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철제링을 개재하게 한다. 다음에 회전 셀(2)에 캡(12)을 감합하여 톱 로울러가 완선된다. 그리고 그림에서는 쓰러스트 베어링으로서 볼 베어링을 사용 하엿으나 니이들 베어링을 사용하여도 좋은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 셀에 고정한 1장의 쓰러스트링을 협지하여 쓰러스트 베어링을 고착한 것이므로 부품점수가 적게됨과 동시에 아아버에 급유공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가 간단하가 값이싸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중간에 파지부(1a)가 있고 양단에 회전부(1b)가 있는 아아버(1)와 이 아아버(1)에 간격을 두어 고정된 두개의 스톱링(18), (20)과 이 스톱링의 사이에 장착한 니이들 베어링(4)과 이 니이들 베어링(4)을 개재하여 장착한 회전 셀(2)과 이 회전 셀(2)에 고정된 스톱링(15)(16)과 이 스톱링(15), (16)을 협지하여서 설치한 2개의 쓰러스트 베어링(7), (10)으로서 되는 톱 로울러.
KR2019800007572U 1980-09-26 1980-11-25 톱(top) 로울러 KR83000218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35887 1980-09-26
JP1980135887U JPS5759879U (ko) 1980-09-26 1980-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12U KR830000712U (ko) 1983-08-03
KR830002182Y1 true KR830002182Y1 (ko) 1983-10-17

Family

ID=1516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7572U KR830002182Y1 (ko) 1980-09-26 1980-11-25 톱(top) 로울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759879U (ko)
KR (1) KR8300021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520Y2 (ja) * 1990-08-04 1997-10-22 株式会社日本紡績用品研究所 トップ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59879U (ko) 1982-04-08
KR830000712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0108A (en) Bearing
US4005913A (en) Linear motion bearing block
CA1182506A (en) Relubricatable double row bearing
US4472006A (en) Roller bearing with an improved cage
GB1415553A (en) Self-aligning bearing assembly
US5501533A (en) Roller bearing assembly having improved axial retention and angular clocking
US4244630A (en) Journal mounting for the shaft of a water pump or the like
JPH01169118A (ja) クロスローラ軸受のスペーサ
KR20000005022A (ko) 레이디얼 롤링 베어링
US4955732A (en) Unitary, axially self-locating needle bearing
SE8406258L (sv) Smorjanordning for lager
US4080018A (en) Fixed retainer rolling contact bearing
US2962770A (en) Top roll for drafting mechanism
US4553796A (en) Mechanism including a bearing assembly for members adapted for longitudinal movement relative to one another
KR830002182Y1 (ko) 톱(top) 로울러
US3850485A (en) Bearing assembly
US4577911A (en) Oscillating bearing
JPS60231015A (ja) 自動調心ころがり軸受のシール装置
JPS5911043B2 (ja) 二方向性スラスト兼ラジアルボ−ルベアリング
US4438985A (en) Ball bushing of simplified construction
US3345722A (en) Twin pressure rollers for 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US4448550A (en) Bearing
CN88201554U (zh) 向心推力双层复合滚针轴承
US4149760A (en) Snap cage of synthetic material
JPH0310419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