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005Y1 -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 - Google Patents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005Y1
KR830002005Y1 KR2019800008442U KR800008442U KR830002005Y1 KR 830002005 Y1 KR830002005 Y1 KR 830002005Y1 KR 2019800008442 U KR2019800008442 U KR 2019800008442U KR 800008442 U KR800008442 U KR 800008442U KR 830002005 Y1 KR830002005 Y1 KR 830002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eed
belt
seeding
rice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8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611U (ko
Inventor
윤성식
Original Assignee
윤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식 filed Critical 윤성식
Priority to KR2019800008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005Y1/ko
Publication of KR830000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18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of seed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2001/048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균파벨트 부위의 단면 확대도.
제4(a)도는 본 고안의 균파벨트의 사시도.
제4(b)도는 동 단면도.
제4(c)도는 일부 단면 확대도.
본 고안은 볍씨를 육묘 상자에 균일한 분포로 파종할 수 있게하는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종기는 볍씨가 홉퍼에서 육묘 상자에 직접 낙하 하거나 홉퍼의 유출구에 파종 벨트를 유도하여 로울러로 잉여종자의 유출을 제어하면서 파종 벨트에 실린종자를 육묘상자에 파종하는 것이 있으나, 홉퍼에서 파종벨트에 낙하할 때 튕기고 볍씨 껍질이 벗겨지는 폐단과 파종벨트에서 육묘상자의 토양에 불규칙하게 떨어져서 볍씨의 파종밀도가 고르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고 벼를 균일한 분포로 파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요홈을 병렬로 형성하여서 된 균파 벨트를 홉퍼 유출구 외측에 3개의 로울러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권설하여 일측방향으로 회동케 하고 일측 경사면에 홉퍼로부터 유출되는 볍씨를 균파 벨트의 요홈에 가득 채운 다음 남는 것은 잉여 볍씨 수집통에 수집되게 하며 볍씨는 벨트에 담긴채 경사면을 거슬러서 올라 상단부를 넘어 종단부로 이송한 다음 안내막의 유도로 사뿐히 육묘 상자에 떨어져 균일한 분포로 육묘상자에 파종되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의 상부측 홉퍼(2)의 유출구(2')에 볍씨 공급로울러(3)를 출설하여 풀리(4)(4')와 벨트(4")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게하고, 볍씨 안내판(2") 하방에는 균파벨트(5)를 구동로울러(5a)와 보조로울러(5b)(5c)에 의한여 삼각형으로 권설하여 종단 파종부에는 안내막(8)의 상단부를 조정봉(10)으로 고정하고 안내막(8)의 하단부는 연결간(11)과 스프링(11')으로 탄설하며 균파벨트(5)의 일측방에는 스크류(9)가 축설된 잉여 볍씨 수집통(9')을 장설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콘베이어 벨트, 7은 육묘상자, 7'는 토양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반송벨트(6)상에 육묘상자(7)를 적당한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동력 또는 인력으로 볍씨 공급로울러(3)를 회동시키면, 홉퍼(2)에 담긴 볍씨(R)은 유출구(2')에서 공급로울러(3)에 의하여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유출되며, 안내판(2")에 의해서 볍씨의 간헐적인 흐름이 연속적인 흐름으로 바뀌면서 균파벨트 뒤쪽 경사면에 알맞는 위치와 알맞는 각도를 유지하면서 낙하되고, 낙하된 볍씨는 균파벨트(5)의 요홈(5')을 하나가득 채우고, 남는 것은 수집통(9')으로 떨어져서 스크류 콘베이어(9)에 의해서 외부로 유출되며, 균파벨트(5)의 요홈(5')에 담긴 볍씨는 균파벨트(5)의 뒤쪽 경사면을 거슬러 올라가서 상단 로울러(5B)를 넘어 다시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서 보조로울러(5c)가 형성하는 원통형 곡면에 이르게 되면, 안내막(8)이 균파벨트의 요홈(5')에 담겨있는 볍씨(R)를 감싸고 돌면서 안내막(8)의 하부후미(8')를 거쳐서 볍씨를 육묘상자(7)의 토양(7')위에 사뿐히 파종하게 된다. 이때 안내막(8)은 안내막 초정봉(10)과 안내막 인장구(11)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으며, 안내막 후미(8')의 위치는 안내막 조정봉(10)을 안내막 조정판(10')의 어느홈에 끼우느냐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으며 안내막 인장구(11)는 인장스프링(11')이 일정한 장력으로 끌어 당기고 있으므로 안내막(8)이 요홈(5')에 담겨진 볍씨를 적당한 압력으로 감싸줄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안내막 후미(8')가 도면에 표시된 위치보다 약간 앞쪽으로 위치되게 하면, 볍씨(R)는 요홈(5')한줄분씩 떨어져서 육묘상자(7)의 토양(7')위에서 줄을 형성하게 되며, 안내막 후미(8')를 적당한 위치에 오도록 조정해주면 볍씨의 줄이 알맞게 분산되어 완전 산파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균파벨트장치에 의하여 파종된 볍씨의 파종 분포에 대한 시험결과를 컴퓨터로 분석한 데이터를 종래의 파종기와 비교해 보면 표 1, 표 2와 같으며 이것을 정리해 보면 표 3과 같다.
즉, 공지의 파종기를 사용하여 파종한 경우에는 1㎠당 벼알수 0립인 구간이 2.1%나 발생하므로 이대로 육묘를 해서 농촌진흥청에서 권장하는 포기당 모수의 최적치인 평균 3개씩으로 이앙하게 되면 최소한 2.1%이상의 결주가 발생하게 되므로 농민들은 이러한 결과를 피하기 위하여 파종밀도를 높이거나 이앙시식부장치를 조종하여 포기당 모의 수를 많이 잡아서 결주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표 5를 보면 공지의 파종기를 사용하면 1㎠당 6립 이상인 구간이 6.0%나 되자데 이렇게 과밀한 구간은 모가 연약하게 자라고 이앙시에도 포기가 너무 굵어져서 과번무 도장 현상을 일으켜서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고 생육후기에 성장 결실이 갑자기 저하되는 이른바 추락 현상을 일으켜서 결실이 불량해 진다.
결주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밀 파종을 하게되면 모는 더욱 연약해지고 이앙시 포기당 모의 수는 더욱 증가하게되며 농업 연구기관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포기당 평균 7.2개에 이르고 있으며, 이로인한 수확량 감소효과는 매우 크다고 한다.
본 고안에서는 표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1㎠당 벼알수 0립인 구간을 극소화시킴으로써 포기당 최적치인 3개씩을 심어도 육묘에 기인한 결주가 거의 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1㎠당 6개 이상의 구간을 극소화시킴으로써 종래의 파종기에 비해서 결주율을 줄이면서도 과밀 식재를 방지하여 식량 증산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표 1]
(본 고안의 균파벨트장치를 사용한 파종기의 파종 성적의 1예)
[표 2]
(공지된 종래의 파종기로 파종한 성적의 1예)
[표 3]
(파종밀도 대비표)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체(1)의 홉퍼(2)의 유출구(2')에 볍씨 공급로울러(3)를 축설한 것에 있어서, 홉퍼유출구(2') 하측방에 요홈이 굴삭된 무단벨트(5)를 통상의 로울러(5a)(5b)(5c)에 의하여 삼각형으로 권설하고 그 종단부에 안내막(8)을 스프링(11)으로 탄설하며 균파벨트(5)의 일측방에는 스크류(9)가 축설된 잉여 볍씨의 수집통(9')을 장착하여서 된 볍씨의 균파장치.
KR2019800008442U 1980-12-26 1980-12-26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 KR830002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442U KR830002005Y1 (ko) 1980-12-26 1980-12-26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8442U KR830002005Y1 (ko) 1980-12-26 1980-12-26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11U KR830000611U (ko) 1983-08-03
KR830002005Y1 true KR830002005Y1 (ko) 1983-10-06

Family

ID=1921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8442U KR830002005Y1 (ko) 1980-12-26 1980-12-26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0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11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490B2 (en) Singulating seed
US6173664B1 (en) Equidistant planting system
US9392740B1 (en) Planter for rhizomes and the like
Ahmadi et al. Development of a precision seed drill for oilseed rape
KR830002005Y1 (ko) 볍씨 파종기의 균파장치
JPS585103A (ja) 種もみ播種機における均播ベルト装置
CN107721645B (zh) 一种种、药、肥一体化包衣设备
RU22934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почвенного локального внесения 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US44921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on-rhizoming grasses
CN217509399U (zh) 一种复合式山药旋耕播种机
CN209218598U (zh) 一种可调节小麦行长的条播器
RU2038716C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для рыхления почвы и внесения в нее удобрений
KR20190135638A (ko) 반자동 감자 파종기
JPS63313506A (ja) 播種装置
US20240114823A1 (en) Planting device with adjustable planting depth
CN217183828U (zh) 一种山药播种机排种装置
SU286859A1 (ru) Машина для мульчирования и заделки семян
CN207589484U (zh) 一种新型农业用播种机
CN114766153A (zh) 一种复合式山药旋耕播种机
JPS63267206A (ja) 育苗施設の播種プラントにおける播種装置
JPS62201508A (ja) 育苗箱用条播装置
JPH0372804A (ja) 播種装置
SU1027852A1 (ru) Се лка
JPS62282508A (ja) 施肥播種機
JPH014297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