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44Y1 - 푸쉬버턴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턴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44Y1
KR830001944Y1 KR2019800001857U KR800001857U KR830001944Y1 KR 830001944 Y1 KR830001944 Y1 KR 830001944Y1 KR 2019800001857 U KR2019800001857 U KR 2019800001857U KR 800001857 U KR800001857 U KR 800001857U KR 830001944 Y1 KR830001944 Y1 KR 830001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operation
push button
spring
pressing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1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559U (ko
Inventor
유호 이시가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1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44Y1/ko
Publication of KR830000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쉬버턴 조작장치
제1도는 종래의 푸쉬버턴 조작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푸쉬버턴 조작장치의 다른 종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또 다른 종래 실시예의 푸쉬버턴 조작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버턴 캡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의 푸쉬버턴 조작장치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선(VI-VI)에 의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VII-VII)에 의한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의 중간부재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IX-IX)에 의한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3실시예의 푸쉬버턴의 손잡이 부분 사시도.
제11도는 푸쉬버턴의 손잡이가 한쌍의 탄성편에 의해서 압압 조작부에 장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4실시예의 탄성부재를 원통형태로 탄성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13도는 탄성부재가 손잡이 부분의 수납부에 삽입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XIV-XIV)에 의한 단면도.
제1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5실시예를 도시한 푸쉬버턴 조작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푸쉬버턴 조작장치에 관계되며, 특히 푸쉬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는 각종 전기기계 및 기구에 사용함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통상 푸쉬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는 전기기기에 있어서는, 이 푸쉬스위치가 정확히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되고, 따라서 조작감각이 매우 좋아야 한다는 점이 필요하다. 그러나, 푸쉬스위치는 통상 프린트 기판을 통해서 샤시에 장치되어, 그 압압조작부에 장치된 꼭지는 판넬 개구부에 장치된 지지대에 의해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샤시 및 프린트 기판 등의 성형정밀도, 가공정밀도, 조립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꼭지와 압압조작부 등에는 반드시 얼마간의 편심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서, 꼭지가 지지대에 마찰이 발생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꼭지으로의 압압력이 제거되어도 꼭지가 제자로 복귀되지 않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푸쉬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1)의 지지대(2)에 의해서 안내되는 꼭지(3)의 내측일단부에 폭이 벌어진 원판부(4)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하고, 스프링(5)에 의해서 힘이 부가된 압압조작부(6)의 한끝을 압압하도록 한 푸쉬스위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푸쉬스위치는 분해수리시에 판넬(1)을 분해할 경우, 꼭지(3)가 지지대(2) 안에서 돌발적으로 튀어나갈 우려가 있다. 상기한 꼭지(3)가 돌발적으로 튀어나가면 프린트기판 등의 활건부에 접촉하는 전기회로가 단락되어서 기계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분해수리에 당면해서 세심한 주의를 쏟아야 하며, 또 수리 및 설치 등의 취급이 어렵고 복잡하다. 더구나 꼭지(3)가 흔들거리기 쉽고 조작감각이 좋지 못한 결점이 있다.
또 일본 실공소 53-33159호로써,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8)에 설치된 안내부재(9) 내에 꼭지(10)를 압압조작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꼭지(10)의 측부(11)의 선단에 고착된 압압부재(12)와 상기한 안내부재(9)와의 사이에 제1스프링(13)을 설치하고, 장치판(14)에 고착된 스위치(15)내에 설비된 제2스프링(16)의 스프링력에 의해 스위치(15)의 조작축(17)이 상기 압압부재(12)를 제1스프링(13)력이 대항해서 압압하도록 구성한 버턴스위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버턴스위치로서는 제1스프링(13) 및 제2스프링(13)의 각 스프링력을 잘못 설정하면 스위칭 동작이 불확실하게 되기도 하고 스프링의 진동음(즉 반발에서 발생하는 음)이 발생되어 조작 감각이 좋지 못한 결점이 있다. 또 조립공정에 있어서, 꼭지(10), 압압주재(12) 및 제1스프링(13)등의 조립과, 스위치(15) 및 제2스프링(16) 등의 조립을 각각 판넬측과 샤시측 등에 개별적으로 실시하여 그린 후에 판넬내에 샤사를 조립해서 압압부재(12)에 조작측(17)의 선단부를 연결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매우 번거롭다.
또 다른 예로서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의 변환자(19)에 장치되는 버턴부재(20)에 수평아암(21)을 설치하여, 버턴캡(22)의 하면에 굴곡한 지지부(23)를 설비해서 그 선단과 상기 버턴캡(22)과의 사이에 개구부(24)를 형성하여, 이 개구부(24)로부터 상기 버턴부재(20)의 수평아암(21)을 그 지지부(23)내에 수용하도록 한 푸쉬버턴 취부장치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공소 53-163570호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푸쉬버턴 취부장치는 부품수가 많으며, 조립작업이 어려운 불편 등이 있다.
더구나, 버턴캡(22)이 판넬(25) 구멍내에서 끼기 쉽고, 이러한 현상에 의해서 버턴캡(22)이 구멍에 닿아서 짝짝하는 높은 음의 자극음이 발생되어서 조작감각이 불량한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극복하도록 고안된 것으로써, 푸쉬스위치의 압압조작부와, 상기 압압조작부에 마주 접촉하는 동시에 판넬의 관통공에서의 이동이 자유자재롭도록 배치된 꼭지와, 상기 압압조작부와 상기 꼭지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꼭지가 상기 압압조작부에 그 압압 조작방향에는 변위를 전하지만 그 압압조작방향과 교차하는 전체의 방향에는 자유롭도록 상기 압압 조작부와 상기 꼭지를 서로 결합시킨 탄성부재 등으로 구성되는 압압조작장치에 관계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하므로 해서, 꼭지와 걸림이 없이 경쾌하게 정확히 동작하게 되고 양호한 조작감각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을 적용한 푸쉬버턴 조작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제5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의 실시예를 제5도 내지 제7도에 관해 설명한다. 프린트 기판(도시치 않음)상에 설치한 푸쉬스위치(28)의 하우징(30)의 일단면(30a)에 개구(32)가 형성되어, 직사각형의 압압조작부(34)의 한쪽단이 이 개구(32)를 관통해서 하우징(30)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또 압압조작부(34)의 다른쪽에 프린지부(36)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 프랜지부(36)와 하우징(30)의 일단면(30a) 사이에 스프링(38)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압압조작부(34)는 스프링(38)력에 의해서 제5도의 화살표(A) 방향에 항상 밀려져 있다.
더우기, 하우징(30)에 삽입된 압압조작부(34)에는 접촉자(도시치 않음)가 장치되어 있고, 압압조작부(34)의 압압조작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이 접촉자가 하우징(30)에 돌출되어 설치된 접속단자(40)에 접속되어 소망의 변환조작이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압압조작부(34)의 일단부(34a)에는 중간부재(42)를 통해서 꼭지(44)가 장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합성수지 등으로서 일체적으로 성향된 중간부재(42)는 외부 각통부(46)와 내부각통부(48)를 각각 갖고 있으며, 각 각통부(46, 48)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탄성부재(50)에 의해서 서로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내부 각통부(48)는 한쌍의 탄성부재(50)에 의하야 외부 각통부(46)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이 내부각통부(48)에 압압조작부(34)의 일단부(34a)가 감합된다. 또한, 이 탄성부재(50)는 탄성에 풍부하도록 두께가 엷고 더구나 폭이 좁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제5도에 있어서 외부 각통부(46)의 내측 좌우의 가장자리부에 그리하여 다른 끝이 내부 각통부(48)의 외측 우측의 가장자리부에 일체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편(50)은 매우 가요성이 높고, 외부 각통부(46)와 내부 각통부(48)와는 서로가 압압조작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법으로 이동에 가능하고, 특히 내부 각통부(48)를 중심으로 하여 비틀린 방향에도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또 합성수지 등으로 일체로 성형한 꼭지(44)에는 각통부(5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각통부(54)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에는 개구(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부재(42)의 외부 각통부(46)의 서로 마주 보는 측벽부에는 경사면(51)을 갖는 한쌍의 돌기(52)가 설비되어 있고, 이 돌기(52)와 상기 개구(56)등에 의해서 중간부재(42)와 각통부(54) 등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중간부재(42)를 각통부(54)에 결합할 경우에는, 중간부재(42)를 제5도에 있어서 화살표(B) 방향으로 평행이동해서 그 일부를 각통부에 삽입시키고, 그 중간부재(42)를 다시 (B)방향으로 압압 이동하므로 하여 돌기(52)의 경사면(51)에 의해 각통부(54)의 계합부(58)를 탄성변형시킨다. 그리하여 압압이동을 다시 계속한 즉 이 경사면(51)이 통과했을때 계합부(58)가 탄성복귀해서 돌기(52)와 맞물리게 되어, 중간부재(42)가 각통부(54)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재(42)가 각통부(54)에 맞물린 경우, 이는 서로 한쪽으로 기우는 일없이 밀착상태로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각통부(54)는 중간부재(42)를 통해서 압압 조작부(34)의 일단부(34a)에 장치되어, 이 중간 부재(42)의 개재에 의해서 각통부(54) 및 이와 일체로 성형된 꼭지(44)와 압압조작부(34)와는 압압 조작방향을 제외한 전체 방향으로 서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하여 조립된 푸쉬버턴 조작장치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44)가 판넬(60)에 설비된 지지대(62)내를 관통한 상태로서 장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푸쉬버턴 조작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면, 꼭지(44)를 압압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꼭지(44)의 각통부(54)가 스프링(38)력에 의해서 지지대(62)에 맞닿아 있다. 한편, 지지대(28)의 교환조작을 실시할 목적으로 꼭지(44)를 압압하면, 꼭지(44)와 더불어 중간부재(42) 및 압압조작부(34)가 스프링(38)력에 대항하여 압압조작방향으로 소정 거리 만큼 이동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압압 조작부(34)에 설비된 접촉자(도시치 않음)가 접촉단자(4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소망의 변환동작이 실시된다. 그런 연후에, 꼭지(44)에 부가되어 있는 압압력이 제거되면, 압압조작부(34) 및 꼭지(44) 등은 스프링(38)력에 의해서 제6도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한다.
이 경우, 꼭지(44)가 지지대(62)내에 있어서 한쪽으로 기우는 것이 있어, 더구나 샤시 및 프린트기판의 두께 차이 및 비틀어짐 등이 있기 때문에 압압조작부(34)와 지지대(62) 등이 서로 편심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서 꼭지(44)와 압압조작부(34)등이 서로 편심이 이루어지더라도, 이러한 편심현상은 중간부재(42)에 설비된 엷고 폭이 좁은 한쌍의 판상탄성부재(50)에 의해서 완전하게 흡수되게 된다.
다시, 지지대(62) 내에서의 꼭지(44)의 기울기는 이것들의 한쌍의 탄성부재(50)에 의해서 완충되어, 꼭지(44)는 압압 조작방향으로 매우 경쾌하게 왕복 이동한다.
위와 같이 구성한 푸쉬버턴 조작장치에 의하면, 중간부재(42)에 설비된 한쌍의 탄성부재(50)에 의해 압압조작부(34)와 꼭지(44)와의 편심을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상기 부재가 서로 편심이 일어난 상태에서 꼭지(44)를 압압조작방향에 따라서 기울지 않고 스므스하게 더구나 확실하게 왕복 이동시킬 수가 있다. 그 위에 꼭지(44)는 중간부재(42)를 통해서 압압 조작부(34)에(제2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연동 스위치에 적용했을 경우에도 스프링의 진동음(즉 반발하는 음)이 발생치 않으며, 조작감각이 좋다. 또 장치의 부분수가 적으며, 그 조립도 매우 용이하다. 다시, 압압조작부에 직접 꼭지를 장치한 종래 구조의 장치로서는, 꼭지와 지지대의 구멍과의 사이의 간격을 반드시 크게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 간격을 적게 하여도 꼭지는 확실한 왕복이동을 하기 때문에, 꼭지가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제8도 및 제9도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6도에 있어서 중간부재(42) 대신에 다른 중간부재(63)를 사용한 것이다. 즉, 중간부재(63)는 합성수지 등으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원통외주부(65)와, 압압조작부(34)의 일단부(34a)가 감합되는 단면 사각형의 관통공(66a)을 갖는 원통부(66) 등을 각각 구비하고, 이것들은 엷으며 특히나 폭이 좁은 한쌍의 판형태 탄성부재(67)를 통해서 서로 일체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탄성부재(67)는 전체적으로 거의 S자형태로 되고, 원통부(66)가 한쌍의 탄성부재(67)에 의해서 통상은 원통외주부(65)의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함을 생략했지만, 중간부재(63)가 결합되는 꼭지의 결합부재(제6도에 있어서 각통부(54)에 상당)가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한 장소와 같은 꼴로 상기한 원통결합부재에 설치된 한쌍의 기구내에, 원통외주부(65)의 외주면에 설치된 한쌍의 돌기(69)를 감합시키므로 해서 중간부재(63)와 꼭지 등이 서로 결합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간부재(63)를 사용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실시예와 같은 상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과 동시에, 특히 중간부재(63)의 탄성부재(67)는 회전방향의 비틀림에 의한 압압조작부에 대한 편심의 흡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간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엷고 폭이 좁은 한쌍의 판상 탄성부재(81)가 일체로 성형된 꼭지(83)가 사용되고 있다. 즉, 꼭지(38)에는 그 한측에 절개부(85)가 설치되어, 이 꼭지(83)에 한 몸체로 형성된 한쌍의 탄성부재(81)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85)의 양쪽벽부(85a), (85b)의 모서리로부터 경사지면서 그 길이 방향에 안쪽으로 향해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또 상기한 것의 한쌍의 탄성부재(81)의 선단부가 내측에 각각 굴곡되어, 이것들의 굴곡부(86)가 서로 마주보고 있다. 그리하여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벌의 굴곡부(86)가 압압조작부(34)의 일단부(34a)에 설치된 홈(34b)에 힌지됨에 따라 압압조작부(34)의 선단이 절개부(85)의 면(85c)에 맞닿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미 설정한 경우와 같이, 한쌍의 탄성부재(81)의 탄성에 의해서 압압조작방법을 제외한 전체의 방향(비틀어지는 방향도 포함)의 꼭지(83)와 압압조작부(34)와의 편심이 완전하게 흡수됨과 동시에, 특히 제11도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꼭지(83)가 흔들거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 제12도 내지 제14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본 실시예는 꼭지(87)내에 탄성부재(89)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꼭지(87)에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한편측에 4개의 판상부재(91a 내지 91d)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판상부재(91b, 91d)의 선단부의 내측에 돌기(9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것들의 판상부재(91a 내지 91d)에 의해서 구성된 탄성부재 수납부(95)내에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상으로 탄성변형된 탄성부재(89)가 압압되어서 수납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89)는 판상부재(91b, 91d)의 돌기(93)에 의해서 이 수납부(95)내에 힌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압압조작부(34)의 일단부(34a)가 탄성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중공부(97) 내에 압입되어서 수납부(95)의 면(95a)에 당접되어 있고, 또한 압압조작부(34)의 홈(34b)내에 탄성부재가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탄성부재(89)의 탄성에 의해서 압압 조작측(34)에 대한 꼭지(87)의 편심이 균일하게 하여 더구나 완전하게 흡수되게 된다. 특히, 꼭지(87)의 어떠한 방향으로의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큰 효과가 있다.
또 제15도는 본 고안의 제5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간부재 대신에 한 끝이 거의 나팔형태로 개방된 스프링(99)이 사용되고 있다. 즉, 꼭지(101)에는 거의 나팔형태로 개방된 스프링(99) 부분의 직경보다도 조금 적은 직경을 구비한 원통형태 용수철 수납부(103)가 설비되어, 이 수납부(103)의 측면(103)에 링형태의 돌기(105)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돌기(105)와 수납부(103) 의 내주면(103)과의 사이에는 거의 나팔형태로 개방한 쪽에 있는 스프링(99)의 한끝을 내측으로 축소한 상태로서 삽입되어 있다. 한편, 이 용수철(99)의 다른 끝은 압압조작부(34)의 프랜지부(36)에 맞닿아 있다. 더우기, 스프링(99)의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38)의 스프링 상수보다는 적게 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스프링(99)을 구비한 어떤 방향의 탄성에 의해서 꼭지(101)와 압압조작부(34)와의 편심이 확실하게 흡수되게 되어 있다. 특히 압압조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꼭지(101)가 흔들거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완충되게 되다.
이상 본 고안을 제1 내지 제5도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꼭지와 압압조작부와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제하므로 하여 꼭지가 압압조작부로 이 압압조작부의 압압조작방향에는 그 변위를 전하지만, 이 압압조작방향과 교차하는 전방향에는 자유롭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꼭지와 압압조작부와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킨 구조이면서, 이것들의 상하, 좌우, 비틀림 등의 모든 방향의 편심(위치 어긋남)에 대처됨과 동시에 꼭지와 압압조작부와의 사이에서 흔들거림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때문에, 조작감각을 한층 더 개선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탄성부재를 통해서 꼭지를 압압조작부에 직접 장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부품수가 적어서 조립이 용이하다.

Claims (1)

  1. 푸쉬스위치의 압압조작부와 판넬의 관통공에 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꼭지로 구성된 푸쉬버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압조작부(28)와 상기 꼭지(44, 83, 87) 사이에 게재되고 상기 꼭지로부터 압압조작방향으로의 변위가 그 방향과 교차하는 모든 방향에서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압압조작부와 꼭지를 서로 연결시키는 탄성부째(42, 63, 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보턴 장치.
KR2019800001857U 1980-03-24 1980-03-24 푸쉬버턴 조작장치 KR830001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857U KR830001944Y1 (ko) 1980-03-24 1980-03-24 푸쉬버턴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857U KR830001944Y1 (ko) 1980-03-24 1980-03-24 푸쉬버턴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59U KR830000559U (ko) 1983-06-17
KR830001944Y1 true KR830001944Y1 (ko) 1983-09-27

Family

ID=1921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1857U KR830001944Y1 (ko) 1980-03-24 1980-03-24 푸쉬버턴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59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339B1 (ko) 푸시스위치부착회전형전기부품
US5693920A (en) Two-stage movement seesaw switch apparatus
KR900006479Y1 (ko) 키보드
KR940025398A (ko) 플렉시블기판용 전기 커넥터
US5418530A (en) Key with silent return movement
KR0147699B1 (ko) 다방향 입력스위치
US5516996A (en) Keyboard apparatus
US5015811A (en) Snap-action pushbutton switch with click sound
US5399822A (en) Keyswitch device
KR830001944Y1 (ko) 푸쉬버턴 조작장치
WO1982002112A1 (en) Keyboard and method of making keyboard
JPH11126542A (ja) 電子機器のシーソーボタン装置
KR200162410Y1 (ko) 2축형 키이보오드 스위치
JPH0526789Y2 (ko)
US4882461A (en) Subminiature push-button switch
JPS5829867Y2 (ja) スイツチ装置
CN212136323U (zh) 一种小型连体微动开关
CN220121716U (zh) 一种低摩擦异响的旋钮按键构造
CN213752461U (zh) 耐用型轻触开关及开关装置
JPH031866Y2 (ko)
CN213815911U (zh) 操控流畅的轻触开关及开关控制装置
JPH078926U (ja) キーボード
US4658421A (en) Telephone set stand
CN108022784B (zh) 一种薄膜型静音微动开关
KR0126454Y1 (ko) 시소노브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