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437B1 -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437B1
KR830001437B1 KR1019790004577A KR790004577A KR830001437B1 KR 830001437 B1 KR830001437 B1 KR 830001437B1 KR 1019790004577 A KR1019790004577 A KR 1019790004577A KR 790004577 A KR790004577 A KR 790004577A KR 830001437 B1 KR830001437 B1 KR 83000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yarn
needle
fastener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865A (ko
Inventor
히로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오,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to KR101979000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437B1/ko
Publication of KR83000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40Connection of separate, or one-piece, interlocking members to stringer tapes; Reinforcing such connections, e.g. by stitching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한가지 실시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 2 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각각 제 1 도의 II-II선, III-III선 및 IV-IV선 단면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슬라이더를 끼워넣는 작용 설명도.
제 7 도는 종래의 파스너에 굽힘응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8 도 및 제 9 도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제 2 도에 대응한 단면도.
제10도는 니이들사(
Figure kpo00001
)의 단면형상의 몇가지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코일형, 지그재그형 등의 연속 파스너 엘레멘트를, 엘레멘트쪽에 배치된 루우퍼사(looper yarn)와 테이프즉에 배치된 니이들사(needle yarn)로 이루어지는 2 중환봉(環縫)에 의해 테이프에 봉착시킨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스너 엘레멘트를 2중환봉에 의해 테이프에 봉착한 구성에서 사용하는 봉착사로서는 미싱에 고속운전, 충분한 실조임력, 미싱의 안정된 운전, 안정된 실조임력 등의 관점에서 일반 봉제업계가 사용하는 재봉사와 동일한 실, 즉 스펀사, 멀티필라멘트사가 쓰이고 있다. 또, 이들 실에는 상기한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잘 늘어나지 않고 부드러운 실을 사용한다.
한편, 파스너로 사용되는 테이프 재질은 면에서 화학섬유로, 스펀사로 부터 필라멘트사로, 또 직기는 리본직기로 부터 니이들직기로, 니이들직기로 부터 경편 니이들직기로, 보다 높은 생산성과 파스너가 요구하는 강도를 만족시키면서 테이프의 경량화가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것은 재봉사와 테이프의 고착성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테이프의 재질은 보다 마찰저항이 낮은 것으로, 직물로서도 재봉사와의 마찰저항이 낮은 조직으로, 그리고 테이프의 두께가 얇아져서 재봉사와 테이프의 접촉부가 보다 작은
본 발명의 제 1 의 목적은 니이들사로서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이것을 열고정시킴으로써 테이프의 절단단부에서의 풀어짐을 유효하게 방지하고, 따라서 슬라이더가 후단 개구부로 부터 파스너 체인에 쉽게 끼워질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모노필라멘트사는 딱딱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을 니이들사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바늘이 흔들리거나 파손되기 쉬워서 니이들사에 충분한 장력이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모노필라멘트사가 열수축성이 낮은 실인 경우에는 열고정시킨 후에도 실의 조임력이 충분하지 않아서 테이프와 엘레멘트의 일체성이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엘레멘트가 안쪽으로 되고 테이프가 바깥쪽으로 되도록 파스너 체인을 꺾었을 때, 재봉사가 엘레멘트의 연결반전부쪽으로 밀려나가서 체인이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은 테이프와 접하는 쪽의 엘레멘트 하각부에 미끄럼 방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파스너 체인이 꺾어질 때에 재봉사와 테이프가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니이들사에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더라도 체인이 갈라지지 않고, 꺾임강도가 큰 실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2중환봉을 채용한 다른 슬라이드 파스너로서는, 루우퍼사를 테이프쪽에, 니이들사를 엘레멘트쪽에 각각 배치하고, 이 니이들사에만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한 구성의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모노필라멘트사는 딱딱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봉착시에 장력이 걸리면 바늘이 흔들리거나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니이들사에 충분한 장력을 걸어줄 수 없고, 따라서 실을 충분하게 조일 수가 없다. 더구나, 이런 구성은 루우퍼사, 즉 밑실(下
Figure kpo00002
)이 테이프쪽에 있기 때문에 테이프를 아래쪽으로 배치하고 엘레멘트를 윗쪽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봉착하여야 하며, 이 때문에 미싱내에서 테이프와 엘레멘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특수한 것을 써야하고, 미싱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동시에 미싱의 구성상으로 볼 때 니이들사가 잘 조여지지 않아서, 양호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기 어렵다.
그리고, 루우퍼사와 엘레멘트쪽에 배치하는 구성에 있엇서, 루우퍼사에만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것, 또는 루우퍼사와 니이들사 모두에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것도 재안되었지만, 루우프를 형성하는 루우퍼사가 딱딱한 모노필라멘트이므로 파스너로서의 유연성을 잃는 결점이 있어서, 이것도 실용상 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미싱구조를 바꾸어줌이 없이 고생산성을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으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서, 부호(1)은 테이프, 부호(2)는 코일형 파스너 엘레멘트, 부호(3)은 파스너 엘레멘트(2)의 연결반전부(2a)의 내측에 배치된 심끈이다. 부호(4)는 파스너 엘레멘트(2)의 상각부(2b)의 표면측에 배치된 루우퍼사, 부호(5)는 테이프(1) 이면측에 배치된 니이들로서, 이 루우퍼사(4)와 니이들사(5)로 이루어진 재봉사에 의하여 2중환봉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루우퍼사에는 폴리에스텔 등으로 된 멀티필라멘트사, 또는 스펀사가 사용되며, 니이들사에는 나일론 등과 같이 열수축성이 큰 모노필라멘트
또, 상기 테이프(1)는 직성 테이프, 편성 테이프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직성 테이프의 경우에는,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이들사(5)가 웨일(w1)(w2)사이의 홈에 비치된다.
루우퍼사(4) 및 니이들사(5)로 엘레멘트를 봉착한 다음에, 염색공정 또는 건열고정 등에 의해 엘레멘트와 테이프가 열고정된다. 열수축성의 모노필라멘트사로 된 니이들사(5)는 열고정에 의하여 크게 열수축하고, 루우퍼사(4)와 테이프(1)을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조인다. 루우퍼사(4)는 유연한 멀티필라멘트사 또는 스펀사로 되어 있으므로, 니이들사(5)를 조이면 그 마디 부분(7)이 엘레멘트(2)의 핏치사이의 간격부로 충분히 끌려 들어간다. 이에 의하여 루우퍼사(4)는 엘레멘트 상각부(2b)의 표면에서 만곡되어 파형(波形)을 이룬다. 상각부(2b)의 표면과 루우퍼사(4)의 접촉면이 커지고, 엘레멘트 상각부는 루우퍼사(4)에 의하여 각 핏치마다에서 단단히 포착된다. 니이들사(5)를 조이면 테이프(1)가 엘레멘트 하각부(2c)에 압접되고, 이에 의하여 테이프는 엘레멘트 하각부(2c)의 면을 따라서 만곡됨으로써 하각부(2c)가 핏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규제하는 동시에, 테이프와 니이들사(5)가 폭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규제한다. 또, 엘레멘트(2)의 하각부(2c)에 미끄럼 방지수단(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수단(6)에 의해 테이프와 니이들
상기 니이들사(5)는 열고정에 의해 열수축됨과 동시에 그대로의 형상으로 강직하게 고정화된다. 이것은 파스너의 절단단부에서 재봉사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절단단부에서 엘레멘트와 테이프의 일체성을 유지시키는데 매우 유효하다. 즉, 예를 들어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의 절단단부(8)에서 니이들사(5)의 절단부(5')가 테이프쪽으로 연속하고 있을 때에는, 테이프 이면에서 굴곡되어 그대로의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는 굴곡부(9)에 의해서 니이들사(5) 의 풀림이 방지되고, 절단단부(8)의 제 1
또, 제 4 도에서와 같이 니이들사(5)의 절단부(5')가 마디부분(7)에 연속하고 있을 때에는, 그 마디부분(7)에서 형상 고정된 니이들사(5)의 굴곡부(10)에 의하여 루우퍼사(4)의 끝을 유지하고, 또 심끈(3)에도 계지되어 있으므로 풀어짐을 저지하며, 따라서 제 1 엘레멘트(2')와 이 엘레멘트(2')에 연속된 부근의 다른 엘레멘트가 확실하게 테이프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어떤 위치에서 절단하더라도 니이들사(5)의 형상고정화에 의하여 파스너 절단부가 포착되어서 풀림이 방지되는 동시에, 절단단부의 제 1 엘레멘트(2')와 이 엘레멘트(2')에 연속된 부근의 다른 엘레멘트가 단단히 유지된다.
절단단부 부근의 엘레멘트가 단단히 유지되면, 다음과 같이 슬라이더(11)에 파스너 체인을 끼워넣기가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슬라이더(11)에 파스너 체인(F)을 끼워넣는 방법으로서는, 엘레멘트를 개리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더(11)의 상부 개구(16)로 부터 끼워넣는 방법과, 엘레멘트를 교합시킨 상태에서 상부 개구(16)와는 반대측의 후단 개구(12)로 부터 끼워넣는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후자의 방법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 체인(F)의 테이프 단부를 손가락으로 집어서 이 파스너 체인(F)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슬라이더(11)의 후단개구(12)에 삽입하고, 슬라이더(11)의 연결주(13)가 닿기 직전의 위치에서 테이프(1)(1)를 화살표(14)(14)의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제 6 도와 같이 선단부의 몇 개 엘레멘트(2)를 개리시키고, 이 상태에서 화살표(15)(15)의 방향으로 테이프 (1)(1)를 잡아당겨서 슬라이더를 끼워넣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를 끼워넣음에 있어서, 테이프를 화살표(14)(14)방향으로 잡아당겨서 몇개의 엘레멘트를 개리시키려면 엘레멘트, 특히 절단단부의 제 1 엘레멘트(2')가 테이프(1)에 확실하게 포착되어 있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화살표(14)(14)방향의 힘을 테이프에 가했을 경우, 이 힘은 재봉사, 정확히 말하면 루우퍼사(4)로 고정된 니이들사(5)를 거쳐서 테이프로 부터 단부 엘레멘트에 절단되고, 이에 의하여 엘레멘트의 교합이 체인의 단부로 부터 순차적으로 개리되기 때문에, 화살표(14)(14)의 방향으로 테이프를 당겼을 경우에 단부 엘레멘트의 포착이 확실하지 않으면, 제 1 엘레멘트(2')가 교화되
또, 엘레멘트(2)의 하각부(2c)에 미끄럼 방지수단(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미끄럼 방지수단(6)에 의하여 엘레멘트가 테이프에 강하게 계지되기 때문에, 엘레멘트와 테이프의 일체성이 한층 좋아지고, 상기 슬라이더 끼워넣기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파스너에 있어서, 엘레멘트(2)의 하각부(2c)에 미끄럼 방지수단(6)을 형성했을 경우에는, 파스너 체인을 굽히는데 대한 저항력도 아울러 갖게 된다. 파스너 체인을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이면으로 부터 표면방향[제 3 도의 화살표(17)(17)방향]으로 강하게 꺾으면, 테이프(1)와 니이들사(5)에는 그 길이 방향, 즉 제 3 도의 화살표(18)(18)방향으로 장력이 방생된다. 테이프와 니이들사는 보통 종방향으로 늘어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있고 엘레멘트는 일반적으로 연결반전부쪽이
상기 니이들사(5)로서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사의 단면형상은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된 것 이외에, 제10(b)도-제10(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 아닌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0(b)도에서는 타원형, 제10(c)도는 삼각형, 제10(d)도는 정방형, 제10(e)도는 장방형의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그 이외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이와같이 비원형의 단면을 갖는 모노필라멘트사를 니이들사(5)로 사용하면, 니이들사(5)와 테이프(1)간의 마찰저항 및 니이들사(5)와 루우퍼사(4)간의 마디부분(7)에서의 마찰저항이 커져서 계지효과가 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풀림방지 효과와 미끄럼방지 효과를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니이들사로서 나이론 등의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적당한 가열수단으로 열수축 및 형상고정을 시키고 있기 때문에, 테이프 절단단부에서의 재봉사의 풀어짐이 유효하게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절단단부의 제 1 엘레멘트를 포함한 단부 엘레멘트가 테이프와 일체로 확실하게 포착되므로 파스너 체인의 절단단부에서의 엘레멘트와 테이프의 일체성이 매우 좋게된다. 따라서, 교합 상태의 파스너 체인을 개리시키는 외력이 테이프에서 엘레멘트를 향해 손실없이 전달되어서 교합상태의 엘레멘트를 확실하게 개리시키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후단개구로 부터 체인을 끼워넣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는 니이들사의 열수축에 의하여 루우퍼사와 엘레멘트가 테이프에 세게 조여져서 실의 조임이 양호하게 되는 동시에 유연한 루우퍼사가 엘레멘트 표면에 만곡형태로 강하게 압접하고, 또 테이프도 니이들사의 조임에 의해 만곡상태로 엘레멘트 하각부에 강하게 강하게 압접되기 때문에, 엘레멘트의 포착성이 매우 양호하고 부착안정성이 뛰어난 슬라이드 파스너가 얻어진다. 또, 루퍼우사가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스너의 유연성이 조금도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루우퍼사를 엘레멘트쪽에 배치하고 니이들사를 테이프쪽에 배치하여 봉착하므로 미싱의 구조를 전혀 변경시킴이 없이도 재봉이 가능하며, 따라서 고생산성을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엘레멘트 하각부에 요철부, 요부, 톱니면, 거친 면등으로 되어있는 테이프의 미끄럼 방지수단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 수단에 의해 엘레멘트와 테이프가 계지되어서 일체성이 더욱 좋아짐과 동시에, 파스너를 테이프쪽으로 부터 엘레멘트쪽으로 꺾었을 경우, 니이들사가 늘어나지 않는 모노필라멘트사일지라도 테이프에 횡방향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체인을 끼워넣는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체인의 갈라짐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Claims (1)

  1. 파스너 엘레멘트(2)를 2중환봉에 의해 그 2중환봉의 루우퍼사(4)를 엘레멘트 표면쪽에 배치하고 니이들사(5)를 테이프쪽에 배치하여 봉착함과 동시에, 상기 루우퍼사(4)로서는 멀티필라멘트사 또는 스펀사를 사용하고 니이들사(5)로서는 열수축성이 있는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엘레멘트를 봉착한 직후에 열고정에 의하여 모노필라멘트사를 열수축 및 형상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KR1019790004577A 1979-12-20 1979-12-20 슬라이드 파스너 KR83000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577A KR830001437B1 (ko) 1979-12-20 1979-12-20 슬라이드 파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577A KR830001437B1 (ko) 1979-12-20 1979-12-20 슬라이드 파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65A KR830000865A (ko) 1983-04-28
KR830001437B1 true KR830001437B1 (ko) 1983-07-29

Family

ID=1921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577A KR830001437B1 (ko) 1979-12-20 1979-12-20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4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65A (ko) 198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0337A (en) Wraparound closure device
KR100299416B1 (ko) 편직슬라이드파스너
CN100551291C (zh) 针织、机织的隐形拉链
KR100446420B1 (ko) 니트인 슬라이드 파스너
JPS5932123B2 (ja) スライドフアスナ−
KR840001279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테이프
KR100446419B1 (ko) 니트인 슬라이드 파스너
JPS6130493Y2 (ko)
CA1137738A (en) Stringer tape for slide fasteners
US6401763B2 (en) Woven slide fastener stringer
KR830001437B1 (ko) 슬라이드 파스너
US3487510A (en) Slide-fasten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067208A (en) Warp-knit slide-fastener support tap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487511A (en) Slide fastener with woven support tape
JP2000245509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テープ
JPS5946162B2 (ja) 織り込みスライドフアスナ−
KR830001436B1 (ko) 슬라이드 파스너
JPS5951809B2 (ja) 開離嵌插具付きスライドフアスナ−
US3494008A (en) Slide fastener
KR830002132B1 (ko) 슬라이드 파스너
US4142276A (en) Warp-knit slide-fastener stringer half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82007A (en) Slide fastener stringer
JPS5933366B2 (ja) スライドフアスナ−
EP0216383A1 (en) Slide fastener stringer
KR820000265Y1 (ko) 슬라이드 파스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