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00B1 - 광파이버의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광파이버의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00B1
KR830001300B1 KR1019800001090A KR800001090A KR830001300B1 KR 830001300 B1 KR830001300 B1 KR 830001300B1 KR 1019800001090 A KR1019800001090 A KR 1019800001090A KR 800001090 A KR800001090 A KR 800001090A KR 830001300 B1 KR830001300 B1 KR 83000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utting
fiber
fibers
cutt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827A (ko
Inventor
기요시 나와다
이찌 도다유우
Original Assignee
닛본 덴신 덴와 고오샤
아끼구사 도꾸지
스미도모 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부찌 노보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신 덴와 고오샤, 아끼구사 도꾸지, 스미도모 덴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다부찌 노보루 filed Critical 닛본 덴신 덴와 고오샤
Priority to KR101980000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00B1/ko
Publication of KR83000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10Non-chemical treatment
    • C03B37/16Cutting or se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파이버의 절단방법
제1도는 종래의 절단을 할 경우의 절단기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절단 방법으로 피복제거 끝의 수 mm의 위치에서 절단할 경우의 절단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피복제거 끝에서 수 mm의 위치에서 절단하는 경우의 절단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광파이버를 경면(鏡面=매끈하고 평평한 면)으로 절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파이버를 경면으로 절단하는 방법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리 표면에 미세한 금을 낸 광파이버에 일정한 견인(牽引) 및 굽힘을 주어서 절단했었다. 즉 1은 폴리에틸렌이나 나일론으로 만들어진 2차 피복이고, 2는 실리콘 수지 등으로 만든 1차피복, 3은 광파이버, 이상 1,2,3일체의 것을 광파이버 심선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4는 광파이버 심선의 고정부, 5는 광파이버의 고정부, 6은 칼날, 7은 칼날의 누르는 힘을 조절하는 용수철, 8은 용수철의 힘을 조절하는 나사, 9는 판 용수철, 10은 판용수철 받침, 11은 올리는 손잡이다.
이것을 조작하는 데에는 광파이버 심선의 2차 및 1차 피복을 제거한 광파이버를 도면과 같이 정돈하여 도면에 없는 손잡이를 누르면 판용수철 9 및 동 받침 10이 동시에 위로 올라가서 파이버는 4,5로서 양단이 고정된다. 다시 손잡이를 누르면 4,5의 용수철이 수축하여 판 용수철 9 및 동 받침 10은 더욱 올라가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A점에 칼날이 닿아 파이버 표면에 미세한 금이 난다.
다시 손잡이를 누르면 칼날은 도면에는 없는 링크 기구에 의해 위쪽으로 빠져 나가고, 다음에 판 용수철 9가 들어올리는 손잡이 11에 의해 위쪽으로 굽혀진다. 이때 파이버는 판용수철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파이버는 제1식에서 표시하는 견인의 힘이 가해진다.
T= μF
여기에서 μ는 파이버 심선 1과 파이버 심선 고정부 4의 마찰계수이고, F는 파이버 심선 고정부 4의 파이버 심선을 누르는 힘이다. 다시 판용수철 9가 굽어지기 때문에 파이버 3의 내부 응력 δ(γ)는 다음의 제2식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δ(γ)=T+δb(γ)
여기에서 δb 는 파이버의 굽힘에 의한 굽힘 응력이고, 재료 역학에서 잘 알려져 있듯이 파이버의 중심선을 원점으로 하고, 경방향의 좌표를 γ로 했을 때, γ 방향에 원점을 영으로 하여 직선적으로 분포된다. δ(γ)가 적절히 설정되어 있으면 금이 있는 점 A에서 발생한 균열은 파이버에 수직으로 전파하여 경면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금을 낸 파이버에 견인 및 굽힘을 가하는 방법 외에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맨드릴에 파이버를 대서 굽히고, 다시 장력을 가해서, 다음에 파이버 표면에 금을 내어 절단하는 것도 공지의 방법이다. 어느 경우에도 좋은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절단기를 사용하는 절단에서는 2차 및 1차 피복제거 끝에서 5~10m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절단을 할때에는 문제가 없으나, 제지 끝에서 수 mm의 장소에서 절단할때는 좋은 절단면을 얻기가 힘든다.
이 이유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차 및 1차 피복 끝으로 부터 수 mm의 장소에서는 파이버가 들떠서 좋은 굽힘을 얻기가 힘들고, 한편 파이버가 뜨는 것을 방지하려고 파이버 심선 1에 장력을 가하면 제1식에서 표시한 파이버의 최적 응력조건인 T를 넘어서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파이버 심선의 2차 피복 제거 끝으로 부터 수 mm의 위치에서 좋은 절단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절단에 있어서 파이버의 2차 피복 1만을 제거한 것을 제2도와 같은 기구로 정리하면, 상황은 제3도와 같이 되어 들뜸은 거의 없어진다. 이것은 제2도에 있어서는 2차 및 1차 피복을 가지는 부분과 광파이버 부의 단면형상이 제거끝을 경계로 하여 극단적으로 변하여, 이 굽힘강성의 급변으로 인해 들뜸이 생기는 데 반하여, 제3도에서는 2차 피복부와 1차 피복부만의 형상 변화이기 때문에 굽힘강성의 변화가 적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방법인 제2도의 방법으로서는 20개를 절단해도 1개의 좋은 경면을 얻을 수 없었던 것에 반하여, 제3도의 실시예로서는 모두 다 좋은 경면을 얻을 수가 있었다. 더우기, 절단 후는 1차 피복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접석 작업을 해도 좋고, 또 절단후 1차 피복을 제거하여 접속이나 코넥터 부착을 해도 된다. 보통 1차 피복은 실리콘,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쉽게 제거할 수가 있다.

Claims (1)

  1. 광파이버에 미세한 금을 낸 다음, 장력 및 굽힘을 주어서 광파이버를 경면(鏡面 )으로 절단하는 기구, 또는 장력 및 굽힘을 준 다음 미세한 금을 내어서 파이버를 경면으로 절단하는 기구를 가지는 광 파이버 절단기로, 1차 및 2차 피복이 있는 광파이버를 절단할 때, 최소한 파단점 근방에는 1차 피복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방법.
KR1019800001090A 1980-03-15 1980-03-15 광파이버의 절단방법 KR83000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090A KR830001300B1 (ko) 1980-03-15 1980-03-15 광파이버의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090A KR830001300B1 (ko) 1980-03-15 1980-03-15 광파이버의 절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27A KR830001827A (ko) 1983-05-19
KR830001300B1 true KR830001300B1 (ko) 1983-07-06

Family

ID=1921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090A KR830001300B1 (ko) 1980-03-15 1980-03-15 광파이버의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27A (ko) 198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7013A (en) Multiple fiber end preparation
US42024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optical fibers
US3934773A (en) Method for breaking brittle rods or fibers
US8069691B2 (en) Cleaving apparatus
US8196793B2 (en) Optical fiber cutting apparatus and optical fiber cutting method
US7398599B2 (en) Device for removing coating on optical fiber
US4473942A (en) Precision cleaving of optical fibers
US4503744A (en) Cleaving device for optical fibers
US4463886A (en) Cleaving tool for optical fibers
CA1321375C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reaking an optical fiber
US45522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ving optical fibers
US4027814A (en) Apparatus for breaking brittle rods or fibers
US6643448B1 (en) Optical fiber stripping tool
KR830001300B1 (ko) 광파이버의 절단방법
US4502620A (en) Method and means for severing an optical fiber
US6295404B1 (en) Optical fiber array
US10605990B2 (en) Tensioning device having a flexure mechanism for applying axial tension to cleave an optical fiber and method
EP0682274A1 (en) Device for stripping a polymer coating from optical fiber
US6681600B1 (en) System for removing a uniform length of coating from a fiber optic cable
US4456159A (en) Cleaving tool for optical fibers
JPH1172641A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部品
EP1061387A2 (en) System comprising plastic optical fiber
JP4762678B2 (ja) 光ファイバ切断刃、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WO2007034205A2 (en) Cleaving apparatus
CA1169401A (en) Tool for cutting optical fi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