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51B1 -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51B1
KR830001251B1 KR1019790000823A KR790000823A KR830001251B1 KR 830001251 B1 KR830001251 B1 KR 830001251B1 KR 1019790000823 A KR1019790000823 A KR 1019790000823A KR 790000823 A KR790000823 A KR 790000823A KR 830001251 B1 KR830001251 B1 KR 83000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winding
transfer tail
threa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630A (ko
Inventor
쓰도무 미야자끼
다께시 시미즈
게이지 오노우에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오쇽끼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요시도시,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오쇽끼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to KR101979000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51B1/ko
Publication of KR830000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34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Landscapes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오픈엔드 정방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그 주요부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보빈(bobbin)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X부를 확대한 부분단면도.
제5도는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시에 있어서의 보빈과 실안내부재의 좌우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제6도는 실안내부재의 정면도.
제7도는 트랜스퍼테일 감기형성시에 있어서의 보빈과 실안내부재의 상하 위치 관계를 도시한 개략측면도.
제8도는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
본 발명은 오픈엔드 정방기의 트랜스퍼테일 감기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 방출장치에 송출되는 실온 평행보빈(parallel bobbin)에 치즈(cheese)형상으로 권취(卷取)되거나 혹은 테이퍼 보빈에 원추형 치즈형상으로 권취되어, 이 치즈형상의 정규 권취위치의 한 단부에 다음 공정의 작업 능률을 향상하기 위하여 소정량의 권사부분(卷
Figure kpo00001
部分) 즉 트랜스퍼테일 감기가 형성된다.
예를들면, 이 치즈형상을 직접 편기(編機) 혹은 직기(織機)에 공급하는 경우, 편기 혹은 직기의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하여 기대(機臺)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가능한한 긴실을 공급하는 것이 요구되어, 편기 혹은 직기상의 치즈형상의 마지막 실끝과 다음에 새롭게 장착하는 치즈형상의 맨앞쪽 실끝과를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트랜스퍼테일 감기를 형성하여 둘 필요가 있다.
오래전부터 여러 가지의 트랜프서테일 감기 형성장치가 생각되어왔으나, 트랜스퍼테일 감기 부분의 실끝이 다른 권사(卷
Figure kpo00002
)에 의해 확실하게 물려들지않으며, 치즈형상을 형성하는 중에 트랜스퍼테일 감기 부분의 실끝이 풀려서 끝내는 트랜스퍼테일 감기 부분 전체가 사라져 없어지기도 하고, 혹은 트랜스퍼테일 감기부분 전체가 치즈 형상을 형성하는 중에 가로로 이동하여, 통상 권사내에 감겨들기도 하고 보빈 단부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있으며 트랜스퍼테일 감기의 확실성에 결함이 생길 우려가 뒤따랐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결함을 해소하고, 트랜스퍼테일 감기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형성 장치를 제공함에 있고, 요약하면 보빈 형상 및 트랜스퍼테일 감기용의 실안내부재의 부착 상태를 합리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테이퍼 보빈에 트랜스퍼테일 감기를 형성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중 1은 전추(錘)공통의 회전축(2)에 각 추마다 부착된 권취 드럼이며 화살표 P방향으로 적극회전되도록 되어있다. 권취드럼(1)의 위쪽에는 보빈홀더(3) 및 동 홀더(3)의 손잡이(4)등으로 된 크래들(cradle)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5는 센터링 디스크(centering desk, 6)를 끼워서 보빈 홀더(3)에 의해 착탈 및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테이퍼 보빈, 7은 센터링 디스크(6)의 안쪽에 즉 트랜스퍼테일 감기형성축(테이퍼 보빈의 경우, 보빈의 최대 직경측)에 있는 그것의 외주연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절결부(切缺部)이며, 방출실(S)을 끌어당겨서 후방으로 인장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보빈(5)은 권취상태에서는 권취드럼(1)에 접촉하는 쪽으로 힘이 기울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권취드럼(1)에 접촉하는 쪽으로 힘이 기울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권취드럼(1)의 화살표 P방향으로 회전에 따라서 반대의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된다.
8은 권취드럼(1)의 앞쪽하방에 설치한 취부축(取付軸), 9는 상기 취부축(8)에 고정한 각 추마다의 가로 안내부재이다. 그리하여 횡단 캠(traverse cam, 도시안됨)에 의해 취부축(8)을 왕복이동시켜 상기 가로 안내부재(9)에 의하여 방출실(S)을 이리저리 흔들게하도록 되어있다.
10은 상기 가로 안내부재(9)의 취부축(8) 전방 약간 아래쪽 위치에 설치된 전추 공통의 공기흡입관(air sucker)이며, 그 윗면에 부착한 실 안내판(yarn guide plate, 11)상의 상기 보빈(5)의 최대 직경측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소정량의 실이 감긴 보빈을 교환할 때 있어서 실끝을 잡아주기 위한 흡인공(吸引孔, 12)을 설치하였다.
또한, 13은 조임 로울러(take-up-roller), 14는 상기 조임 로울러(13)와 접촉하는 상부 로울러(top roller), 15는 상기 상부로울러(14)를 홀더(16)에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봉(support rod)이다. 또 17은 방출장치, 18은 스라이버캔(sliver can)이다.
따라서, 상기 스라이버캔(18)내의 스라이버(19)는 방출장치(17)로 방출되어 방출사(S)로 되고, 조임로울러(13)와 상부 로울러(14) 사이를 경유하여 윗쪽으로 송출되어 상기 보빈(5)상에 감겨진다.
이상은 통상의 오픈 엔드 정방기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어 작용하는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요부가되는 보빈의 트랜스퍼테일 감기부분의 형상 및 트랜스퍼테일 감기용의 실 안내부재에 관해서 설명한다.
보빈(5)의 트랜스퍼테일 감기부분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성되어 있다. 즉, 특히 제4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5)은 방출실이 정규권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단부 주위에 노치(notch, 5c)를 형성하고, 이 노치(5c)는 실의 통상 권취부로의 이행을 방지하는 규제부(5a)와 이 규제부(5a)에 가까운 면일수록 축심에 접근하게 상기 보빈(5)의 축심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경사부(5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퍼테일 감기용 실 안내부재는 제2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단면 L형상의 취부 브라케트(20)가 보빈(5)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축에 대응하여 상기한 실 안내판(11)상에 나사(21)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그 브라케트(20)의 수직부분에는 코일 스프링(22)이 감겨있는 핀(23)이 부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2)의 한 단부(22a)는 브라케트(20)에 형성된 타원형상의 구멍(24a)을 통하여 브라케트(20)의 이면에서 핀(23)과 서로같이 체결되는 판(24)의 구멍(24a)에 결합하고, 다른 단부는 실 안내를 겸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하여 선단부(22b)를 약간 윗쪽으로 구부려서 실 규제부(22c)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 규제부(22c)는, 좌우방향에 있어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빈(5)상의 트랜스퍼테일 감기위치 특히 경사부(5b)와 대응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빈(5)의 상부면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더우기, 25는 스토퍼(stopper)로서, 실 안내에 바로 인접하고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부터 실 규제부(22c)가 경사부(5b)에 대응하는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판(24)을 회전시켜서 구멍(24a)의 위치를 변경함으로 해서 코일 스프링(22)의 부세력(付勢力)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가 있다. 부가해서, 26은 상기한 흡인공(12)의 덮개부재이며 나사(2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랜스퍼테일 감기형성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의 오픈 엔드 정방기에 있어서 트랜스퍼테일 감기를 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정량의 실이감긴 보빈을 교환할 때에 보빈(5)에 감겨지고 있는 방출실(S)을 적당한 위치에서 절단하고, 그 실끝은 공기 흡입관(10)의 흡입공(12)에 삽입하여, 그 안으로 끌려들어가도록 잡혀서 지지된다. 다음에 보빈홀더(3)를 위로 움직여서 이 보빈홀더(3)로부터 관에 가득찬 실을 떼어내고, 상기 홀더(3)에는 새로이 빈보빈(5)을 장착한다. 이 경우 상기 빈보빈(5)의 외주에서는,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흡입관(10)에 의해서 빨려들어가 잡혀지게 되어 있는 방출실(S)을 하방으로부터 후주면(後周面)을 경유하여 상방으로 향하도록 원주회전시킨다. 방출실(S)을 원주회전시켜서 보빈홀더(3)에 보빈(5)을 장착하게되면, 이번에는 이 보빈홀더(3)를 아래로 움직이면서 방출실(S)중의 보빈(5)을 원주회전하기전의 부분(A)을 실 규제부(22c)로 당겨 걸쳐지게하여, 이 상태로 빈 보빈(5)을 권취드럼(1)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빈 보빈(5)은 센터링 디스크(6)와 같이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되면, 다음에 방출실(S)의 보빈(5)을 원주회전한 후의 부분(B)을 작업자가 손 또는 실수집 안내부(도시안됨)에 의해 상기 센터링 디스크(6)측으로 변위시킨다. 이렇게 됨으로서, 방출실(S)이 센터링 디스크(6)의 외주연상에 접촉하므로 방출실(S)의 보빈(5)을 원주회전한후의 부분(B)은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하는 센터링 디스크(6)의 절결부(7)들중 하나에 걸쳐지게 된다. 이로인해, 보빈(5)을 원주회전한 후의 부분(B)은 공기 흡입관(10)에 의해서 단부를 잡고있는 그대로 보빈(5)의 회전방향으로 인장하여 절단되고 동시에 방출시(S)의 보빈(5)을 원주회전한 후의 부분(B)은 상기 경사부(5b)가 상기 규제부(5a)에 가까운 면일수록 축심에 근접하게 경사지는 것과 동시에 이 규제부(5a)에서 정상 권취부로의 이행을 규제하기 위하여 이 규제부(5a)측에서 센터링 디스크(6)측으로 비스듬하게 이동하게 되고, 방출실(S)의 보빈(5)을 원주회전하기전의 부분(A)은 노치(5c)의 경사부(5b)에서 규제부(5a)측으로 힘이 치우침과 동시에 실 규제부(22c)가 경사부(5b)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실 규제부(22c)에 의해서 경사부(5b)측으로 규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방출실(S)의 보빈(5)을 원주회전한 후의 부분(B)은 방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새로운 방출실에 의해 확실하게 물려짐과 동시에 새로운 방출실에 의해 형성되는 테일(tail)감김 부분은 확실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권취를 할 때, 트랜스퍼테일 감기 위치는 테이퍼 보빈(5)의 최대 직경측 단부에 있기 때문에 방출장치의 방출속도보다 권취량쪽이 많아져서 권취가 진행됨에 따라 방출실(S)에는 서서히 커다란 장력이 걸리게 되고 방출실(S)에 걸린 장력이 크레되면 상기 방출실(S)을 당겨서 거는 실 규제부(22c)에는 하방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22)의 실 규제부(22c)는 제7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아래로 이동되고, 이 아래로의 이동에 의해 방출실(S)에 걸리는 장력의 증가는 흡수되어서 실의 절단이 방지된다. 그리고, 방출실(S)에 걸리는 장력의 증가는 흡수되어서 실의 절단이 방지된다. 그리고 방출실(S)에 걸리는 장력증가에 의해서 실 규제부(22c)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끝내는 방출실(S)이 상기 실 규제부(22c)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방출실(S)에 걸리는 장력의 증가율이 일정하다면 이 방출실(S)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길이는 항상 일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트랜스퍼테일 감기길이는 실 규제부(22c)의 기울어지는 속도에 의해서 증감하게 된다. 즉, 기울어지는 속도가 빠르면 방출실(S)은 짧은 시간내에 실 규제부(22c)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트랜스퍼테일 감기길이는 짧게되고, 속도가 느리면 역으로 길게 되어 진다. 이로인해, 상기 판(24)을 회전하여 코일 스프링(22)의 부세력을 임의로 변화시키면 트랜스퍼테일 감기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또 방출실(S)에 걸리는 장력은 실의 총수 혹은 권취 장력(winding tension)에 의해서 변화하므로, 코일 스프링(22)의 부세력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량의 트랜스퍼테일 감기가 형성되면, 방출실(S)은 가로 안내부재(9)에 의해서 이리저리 흔들리면서 보빈(5)상에 감겨진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보빈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위치에, 규제부(5a)와 경사부(5b)로부터 구성되는 노치(5c)를 형성함과 동시에 트랜스퍼테일 감기용 실 안내부재의 실 규제부(22c)를 상기 보빈(5)의 경사부측에 대응하여 위치시켰기 때문에 트랜스퍼테일 감기부분의 실끝이 확실하게 물려들어가게 됨은 물론, 트랜스퍼테일 감기부분 전체가 가로로 이동하는 일이 없이 사라져 없어지기도 하고 통상 권사내에 감겨든다는 종래 장치의 결점이 해소되어, 확실하게 트랜스퍼테일 감기가 형성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력 변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실 안내부재를 구성한다면, 트랜스퍼테일 감기시의 실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정량의 트랜스퍼테일 감기를 자동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은 평행 보빈에도 적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실 안내부재로서 고정된 것을 사용하여 소정량의 트랜스퍼테일 감기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작업자가 방출실을 실 안내부재로부터 해체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1)

  1. 보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보빈 홀더와 계속 방출되는 실끝을 흡인하는 공기 흡입관 및 트랜스퍼테일 감기용의 실 안내부재를 각각 구비한 오픈 엔드 정방기에 있어서, 보빈(5)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위치에 상기 보빈(5)단측에 면하여 실의 통상 권취부로의 이행을 방해하는 규제부(5a)와 이 규제부(5a)에 접하고 또 보빈(5)단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b)에 의하여 구성되는 노치(5c)를 형성하고, 상기 트랜스퍼테일 감기용 안내부재의 실 규제부(22c)를 보빈(5)의 경사부(5b)측에 대응하여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형성장치.
KR1019790000823A 1979-03-19 1979-03-19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장치 KR83000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823A KR830001251B1 (ko) 1979-03-19 1979-03-19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823A KR830001251B1 (ko) 1979-03-19 1979-03-19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30A KR830000630A (ko) 1983-04-16
KR830001251B1 true KR830001251B1 (ko) 1983-06-30

Family

ID=1921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823A KR830001251B1 (ko) 1979-03-19 1979-03-19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30A (ko) 198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4176A (en) Device for waxing a yarn
US4736898A (en) Means for positioning the end of yarn on a cross-wound bobbin
US4138866A (en) Yarn delivery apparatus, especially for knitting machines
US3921921A (en) Winding mechanism for making yarn packages of a cylindrical form in a textile machine
JPS6036628Y2 (ja) 編物機械の正送り装置
JPS5841266B2 (ja) オ−プンエンド精紡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アテ−ル巻形成装置
KR830001251B1 (ko) 오픈엔드 정방기에 있어서의 트랜스퍼테일 감기 형성장치
US36283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veler threading
JPS6411543B2 (ko)
US2252037A (en) Swing bracket for twister and winder spindles
US2249384A (en) Winding machine
US3782094A (en) Apparatus for removing wraps of yarn remaining on textile spindles
US2311175A (en) Bobbin brake
US2932150A (en) Twister spindle
US1996366A (en) Spooling machine
US2946176A (en) Yarn control device for uptwisters
JPS61252330A (ja) 繊維機械に弾性糸を強制的に供給する装置
US2395464A (en) Yarn winding machine
JPH0712885B2 (ja) 巻取り方法、装置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製品
US3141286A (en) Rotary spindle tip device
JPH054453B2 (ko)
JPS607729B2 (ja) 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アテール巻き形成装置
JPH0133655Y2 (ko)
JPS61113832A (ja) 紡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アテ−ル巻形成装置
SU98116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креплени материала на сердечнике мотальной машин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