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909Y1 - 간이 개구식 용기 - Google Patents

간이 개구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909Y1
KR830000909Y1 KR2019820007520U KR820007520U KR830000909Y1 KR 830000909 Y1 KR830000909 Y1 KR 830000909Y1 KR 2019820007520 U KR2019820007520 U KR 2019820007520U KR 820007520 U KR820007520 U KR 820007520U KR 830000909 Y1 KR830000909 Y1 KR 830000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opening
plate portion
hand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460U (ko
Inventor
케이. 하세가와 게어리
Original Assignee
더 콘티넨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에드거 오 바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11,730 external-priority patent/US4205760A/en
Application filed by 더 콘티넨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에드거 오 바틀러 filed Critical 더 콘티넨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19820007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09Y1/ko
Publication of KR830000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6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4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9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beneath tab hand grip to facilitate initial l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이 개구식 용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개선 구조와 개구용 손잡이를 통합하고 있는 깡통 단부 유니트가 통상의 깡통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단부 유니트의 단부판의 일부 확대 평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라서 단부판내에 형성된 절개선의 상세한 구조를 보여주는 것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에 따른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개구 동작 초기에 개구용 손잡이의 본체가 제2돌출부를 움직이는 일이 없이 선회될 수 있도록한 제2 돌출부와 상기 본체 사이의 힌지식 연결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것임.
제4도는 개구용 손잡이가 단부판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경사진 후에 단부 유니트를 통해 본 일부 확대단면도로서, 배기공의 형성 상태를 보여주는 것임.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완전히 개구된 위치로 경사진 개구용 손잡이를 보여주는 것임.
제6도는 제1도와 유사한 사시도로서, 제품을 분배할 수 있도록 개구된 단부 유니트와 실질적으로 그 최초 위치로 다시 복귀되어 있는 개구용 손잡이를 보여주는 것임.
제7도는 제6도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확대단면도로서, 용기가 완전히 개구된 후에 개구용 손잡이의 돌출부 중의 하나가 그 보유 위치에 쇄정되어 있고 개구용 손잡이는 최초 위치로 다시 복귀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임.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간이 개구식 용기에 있어서의 신규하고 유용한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신규한 개구용 손잡이와 절개선 구조를 가진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음료와 같은 제품이 가압 포장되어 있을 때에, 용기의 개구 초기에 급속한 배기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그 결과 제품의 분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분배공을 형성하는 판 부분이 용기 내부로 압입되고 개구용 손잡이가 용기의 개구후에 용기에 부착된 상태로 보유되도록 구성된 종류의 간이 개구식 용기에 있어서의 배기공 구조와 관련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용기판 내의 단일한 절개선(통상, "새김선"이라고 함) 구조로서, 이 단일한 절개선에 의해 배기공 형성 판 부분과 분배공 형성 판 부분이 모두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배기공 형성 판 부분은 분배공 형성 판 부분내로 돌출되고, 개구용 손잡이를 처음에 들어올릴 때에 용기판의 전체 평면 밖으로 우선 이동되고 조절된 조건하에서 최소의 분무 현상을 일으키면서 용기 내부를 배기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배치된다.
본 고안의 절개선 구조에 있어서, 배기공이 형성된 후에 개구용 손잡이를 더욱 이동시킴으로써 분배공이 형성되는데, 분배공이 최종적으로 형성되면 배기공도 분배공의 일부가 된다.
단일한 절개선의 또 다른 특징은 배기공 형성 판 부분과 분배공 형성 판 부분 모두가 각각 하나의 횡선을 따라서 인접한 용기판 부분에 힌지(hinge)식으로 연결되는 것인 바, 이들 횡선은 종방향으로 정렬되어 서로 연속됨으로써 전체 유니트에 대하여 단일한 힌지 라인(hinge line)만 있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신규한 개구용 손잡이 구조인 바, 이 손잡이는 본체에 의해 보유된 돌출부를 포함하는데, 이 돌출부는 다시금 제1 및 제2 돌출부로 구성된다. 제1 돌출부는 본체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배기공 형성용으로 초기에 이용된다. 제2돌출부는 손잡이 본체가 제2 돌출부에 관하여 제한된 피봇트 운동을 하도록 손잡이 본체에 힌지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돌출부를 작용시켜서 배기공을 형성시킨 후에, 용기판에 관하여 개구용 손잡이를 더욱 경사시키면, 제2돌출부가 손잡이 본체와 함께 견고하게 되어 분배공을 형성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제1 돌출부를 제2 돌출부내로 돌출되게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돌출부가 없에 유사한 개구용 손잡이의 통상적인 성형은 필요한 것 이상의 어떠한 추가적인 금속재료를 필요로 하는 일이 없이 제1 돌출부를 성형시킬 수 있다.
제2 돌출부는 본체에 의해 힌지식으로 보유되어 있는 것 외에도, 본체가 제2 돌출부에 관하여 제한적으로 피봇트된 후에는 본체상의 접촉 표면과 제2 돌출부 상의 접촉 표면이 서로 접촉하여 본체와 제2 돌출부 사이에 손잡이의 개구 운동방향으로 견고한 연결상태가 이루어지도록 본체와 연동된다.
개구용 손잡이의 또 다른 특징은 손잡이가 용기의 완전한 개구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제2 돌출부가 용기판 아래에 쇄정되고 한 옆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개구용 손잡이가 용기판 상에서 피봇트되어 용기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 그 처음 위치로 다시 복귀될 때에 개구용 손잡이와 함께 되돌아 가지 않도록 된 구조로 제2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본 고안에 의해 성형된 간이 개구식 단부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 유니트는 부호(10)으로 표시되어 있으머, 이는 통상의 이중 이음매(14)에 의하여 통상의 깡통 본체(12)에 부착된다. 단부 유니트(10)의 구조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과 용기 본체에 대한 그의 연결은 본 고안의 일부가 아니므로, 단부판(16)을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부 유니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단부판(16)에는 단부판(16)의 전체 평면으로부터 이동됨으로써, 배기공과 분배공을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는 판 부분을 형성시키는 단일한 절개선(18)이 마련된다. 절개선은 새김선 형태로 되는 것이 적합하다. 절개선(18)은 일반적으로 소망의 분배공 구조와 일치되는 구조로 되고 1조의 단부(20), (22)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단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절개선(18)은 절개선 단부(20), (22) 사이에서 연장하는 힌지 라인(26)을 따라서 단부판(16)에 대하여 만곡되었을 때에 분배공을 형성하는 판 부분(24)의 운곽선을 형성시킨다.
절개선(18)은 단부(22)에 인접하여 부호(28)로 표시한 부분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U자형 운곽선 구조로 된다. 이 U자형 윤곽선 부분(28)은 일반적으로 절개선 구조의 내부로 절곡되어 이동 가능한 판 부분(30)을 형성시킴으로써, 이 판부분(30)이 사실상 판 부분(24)내로 돌출되게 한다. 판 부분(30)은 흰지라인(32)를 중심으로 단부판(16)에 대하여 분리되어 이동 가능한데, 이 힌지라인(32)는 전술한 힌지 라인(26)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사실상 그에 연속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압력이 우선 U자형 절개선(28)로 둘러싸인 판 부분(30)에 가해짐으로써, 이 판 부분(30)을 파열시키고 깡통 내부로 이동시켜서 배기공을 형성시킨다는 사실을 주목하여야 한다. 깡통이 우선 배기된 후에, 압력이 판 부분(24)에 가해져서 절개선(18)을 따라서 단부판을 완전히 파열시키게 되는데, 판 부분(24)는 깡통의 내부로 압입될 때에 힌지라인(26)을 중심으로 하여 피봇트된다. 판 부분(30)이 판 부분(24)보다 더 큰 원주거리를 통하여 이동되지만,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 부분(30)의 내향 이동에 의해 형성된 배기공은 실제로 판 부분(24)가 완전히 개구된 상태로 될 때까지 깡통내부로 이동될 때에 형성되는 분배공의 일부가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배기공은 부호(34)로 표시되어 있는데, 제4도에 가장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부호(36)으로 표시된 분배공은 제6도에 가장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배기공(34)와 분배공(36)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형성시킨 특수한 개구용 손잡이가 마련되는데, 이 개구용 손잡이는 부호(40)으로 표시되어 있다. 개구용 손잡이는 얇은 금속 또는 유사한 재료로 만드는 것이 적합하다. 개구용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U자형 윤곽의 붕긋한 형태로 된 본체(42)를 가지며 일단부에는 견인용 파지부(44)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42)의 U자형 윤곽은 파지부(44)로부터 반대쪽의 타단부에 있는 가로 바(46)에서 종지된다. 가로바(46)에는 장착편(48)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U자형 본체 구조에 의하여 형성된 만입지역(50)내로 신장된다. 장착편(48)은 횡방향 힌지 라인(52)를 따라서 가로 바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장착편은 단부판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리벳(54)에 의하여 단부판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개구용 손잡이(40)은 또한 본체(42)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돌출부는 가로 바(46)과 일체로 되고 그 결과 본체(42)와도 일체로 된 제1돌출부(56)을 포함한다. 돌출부는 또 일반적으로 U자형 윤곽으로 되고 그 안으로 제1돌출부(56)이 돌출되는 제2 돌출부(58)를 포함한다. 제 2 돌출부(58)은 제1 돌출부(56)에 의해 분리된 2개의 힌지 라인(60)을 따라서 본체(42)의 가로바(46)에 연결된다.
제3도에 가장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힌지 라인(60)은 최하부의 연결부(62)에 의해 제2 돌출부(58)을 본체(42)에 연결시키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62)상에서, 본체(42)는 제2 돌출부(58)상의 접촉면(66)에 대향하여 격설된 접촉면(64)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62)의 강도는 개구 동작시에 손잡이 본체(42)를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부판(16)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시킬 때에, 제2 돌출부(58)을 판 부분(24)와 접촉시키지만, 힌지 라인(60)에 따른 개구용 손잡이(40)의 만곡에 저항하기에는 충분한 강도를 갖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56)은 판 부분(30)에 개구력을 가하여 절개선 부분(28)을 파열시키고 힌지 라인(32)를 따라서 판 부분(30)을 만곡시켜서,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공(34)를 형성시키도록 피봇트될 수 있게 된다.
개구용 손잡이(40)이 단부판(16)에 관하여 제4도에 도시된 위치로 경사지게 되면, 접촉면(61), (66)이 서로 접촉하게 되고 제2 돌출부(58)이 손잡이 본체(42)와 함께 강고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 본체가 단부판으로 부터 더욱 경사지게 들어올려지면, 제2 돌출부(58)이 손잡이 본체와 함께 선회되어 판부분(24)에 개구 압력을 가함으로써, 절개선(18)의 나머지 부분을 따라서 판 부분(24)가 단부판으로부터 파열되게 한 다음에 판 부분(24)를 내향으로 이동시켜서, 제5도에 가장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배공(36)을 형성시키게 된다.
다시 제2도를 보면, 판 부분(24)는 단부판(16)에 원래 연결된 부분에서 감소된 폭으로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2 돌출부(58)은 판 부분(24)가 힌지식으로 연결된 단부판(16) 부분에 바로 인접하여 분배공(36)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돌출부(58)이 힌지라인(60)에 인접한 부분의 구조는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은 노치(notch)(68)을 포함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들 노치는 제2 돌출부(58)이 수직 위치로 이동될 때에, 분배공(36) 양측면의 단부판(16) 아래에 돌출부(58)을 쇄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돌출부(58)은 단부판(16)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깡통 내부로 압입될 때에 단부판과 쇄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판 부분(58)이 단부판과 결합됨으로써, 개구용 손잡이(40)이 그 최초 위치로 다시금 복귀되게 경사질 때에, 제2 돌출부(58)은 정지한 상태로 유지되고 손잡이 본체(40)은 힌지라인(60)을 따라서 제2 돌출부(58)에 관하여 피봇트 된다. 따라서,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의 완전 개구 상태에서, 비교적 짧은 제1 돌출부(56)만 분배공(36)내로 돌출하게 되므로, 분배시에 개구용 손잡이의 방해가 극소화된다.
필요할 경우에는, 판 부분(24)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적당한 강화 비이드(bead)(70)이 단부판(16)에 마련될 수 있다. 판 부분(24)에도 적당한 강화 리브(rib)(7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구용 손잡이(40)을 그 견인용 단부에서 처음에 들어 올리기 쉽게 하기 위해, 단부판(16)을 (74)의 부분에서 내향으로 만입되게 형성함으로써, 견인용 파지부(44) 아래로 손가락을 쉽게 집어 넣은 후에 단부판(16)에 관하여 개구용 손잡이(40)을 경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선 구조와 개구용 손잡이의 적합한 예만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절개선 구조와 개구용 손잡이 구조를 모두 약간씩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용기판(16), 이 용기판 내의 단일한 절개선(18) 및 개구용 손잡이(40)을 가진 간이 개구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단일한 절개선(18)이 배기공 형성 판 부분(30) 및 별도의 분배공 형성 판 부분(24)의 윤곽선을 형성하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개구용 손잡이(40)의 상기 용기판(16)에 관하여 경사질때에 상기 배기공 형성 판 부분(30)을 우선 이동시킨 후에 상기 분배공 형성 판 부분(24)를 이동시키도록 된 압력 인가수단(56, 58)을 갖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개구식 용기.
KR2019820007520U 1979-02-12 1982-09-23 간이 개구식 용기 KR830000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7520U KR830000909Y1 (ko) 1979-02-12 1982-09-23 간이 개구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11,730 US4205760A (en) 1979-02-12 1979-02-12 Non-detach beverage end
KR1019800000525 1980-02-11
KR2019820007520U KR830000909Y1 (ko) 1979-02-12 1982-09-23 간이 개구식 용기
US11730 2004-12-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525 Division 1979-02-12 1980-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09Y1 true KR830000909Y1 (ko) 1983-06-15
KR830000460U KR830000460U (ko) 1983-06-17

Family

ID=7251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520U KR830000909Y1 (ko) 1979-02-12 1982-09-23 간이 개구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43B1 (ko) * 2001-06-22 2004-12-03 지용호 목재 가공용 엔진톱 탑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43B1 (ko) * 2001-06-22 2004-12-03 지용호 목재 가공용 엔진톱 탑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60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5760A (en) Non-detach beverage end
US4674649A (en) Metal can end with plastics closure
US6763963B1 (en) Removable case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a pressurized can provided with a frangible obturator
US5711448A (en) Non-detachable tab can end with large oval opening
US4266688A (en) Easy access tab for vacuum packed products
US4150765A (en) Tab construction for easy opening container
US5307947A (en) Container end member
US3967752A (en) Easy-open wall
EP0542517A1 (en) Beverage container opening top
US3237978A (en) Fastening device
US4150481A (en) Finger-toe nail clipper having shifting receptacle
US4148409A (en) Permanently attaching end opening means
US3738526A (en) Container with permanently attached tear strip and tab
KR830000909Y1 (ko) 간이 개구식 용기
JPH02148932U (ko)
US5404618A (en) Vehicle door hinge with interlock
US2873057A (en) Container with cover lock
US5816429A (en) Container opening device
US5086954A (en) Spray can actuation device with improved can retention
US4130219A (en) Bead supported tab for non-detachable ends
US4767020A (en) Metal tear-open lid for cans
IE904503A1 (en) Easily openable cover of sheet, especially sheet metal.
US4099647A (en) Hinge mounting means
JPH10509408A (ja) 厚紙の連結装置
EP0215788A1 (en) BRACKETS FOR HAMBURGERS AND THE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