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854B1 - Manufacturing method of vinyl dispersion resin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vinyl dispersion res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854B1
KR830000854B1 KR1019790003692A KR790003692A KR830000854B1 KR 830000854 B1 KR830000854 B1 KR 830000854B1 KR 1019790003692 A KR1019790003692 A KR 1019790003692A KR 790003692 A KR790003692 A KR 790003692A KR 830000854 B1 KR830000854 B1 KR 830000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vinyl
monomer
reaction zo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칼만 미코팔비 벨라
윌슨 터너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버데인 더블유. 벤슨
더 비. 에프. 굿드리치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데인 더블유. 벤슨, 더 비. 에프. 굿드리치 캄파니 filed Critical 버데인 더블유. 벤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발명의 명칭][Name of invention]

비닐분산수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vinyl dispersion resin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유화중합에서 전해액을 사용하는 비닐분산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dispersion resin using an electrolytic solution in emulsion polymerization.

비닐수지를 고온에서 디옥틸프탈케이트와 같은 가소제를 첨가해서 단단하고 각질형이며 경화된 상태로부터 부드럽고 플라스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상태로 가소 또는 변화시키는 것은 공지이다. 이들 비닐 중합체 또는 수지를 분산수지 또는 페이스트수지라고 하며, 이것은 통상으로 유화액중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현탁중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유화중합법이 적합하다.It is known to plasticize or change vinyl resins from hard, keratinous and cured to soft and plasticlable conditions by adding plasticizers such as dioctylphthalate at high temperatures. These vinyl polymers or resins are called dispersion resins or paste resins, and are usually produc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In some cases, suspension polymerization may be used, but emulsion polymerization is suitable.

비닐분산수지를 가소제와 혼합시킬 경우, 이것을 플라스티졸(plastisol)이라고 칭한다. 플라스티졸의 유동성에 의해서, 이것은 여러가지의 유용한 제품으로 성형할 수 있다. 예를들면, 플라스티졸은 성형품, 필름, 도포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비닐 분산수지는 가소제와 용이하게 그리고 균일하게 혼합시켜 안정하고, 균일하고 적당한 사이즈의 입도를 가지며 투명성이 양호한 필름등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저점도의 플라스티졸을 제조할 수 있다.When the vinyl dispersion resin is mixed with a plasticizer, this is called plastisol. Due to the fluidity of the plastisols, it can be molded into a variety of useful products. For example, plastisols can be used to make shaped articles, films, and coatings. Thus, the vinyl dispersion resin can be easily and uniformly mixed with a plasticizer to produce a low viscosity plastisol capable of producing a product such as a film having a stable, uniform and appropriate size particle size and good transparency.

종래의 유화중합법을 사용하여 적당한 격자를 얻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 격자가 통상으로 다른 크기의 입자들을 가져서 너무 미세하거나 또는 너무 크기 때문이다. 종래 이러한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제안들이 있었으나, 궁극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예를들면, 여러가지 상이한 유화제와 촉매의 사용이 제안되었었다. 또한 중합 조건을 변화시키는 방법도 제안되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생성되는 라텍스는 응고제가 너무 많거나 또는 침전되는 응고입자들이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심하게 응고됨으로써 수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격자들의 수명은 긴 것이 요망된다. 이 격자들은 저장중 점도가 극히 작게 변하고 양호한 내열성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suitable lattice using conventional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s, since this lattice is usually too fine or too large with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Various proposals have been made to solve these drawbacks in the past, but ultimately failed. For example, the use of various different emulsifiers and catalysts has been proposed. There has also been proposed a method of changing the polymerization conditions. However, in most cases, the latex produced is too much coagulant, or the coagulant particles are partially present, and the coagulation is severely solidified, thereby lowering the yield. It is also desired that the lifetime of these gratings be long. These gratings are suitably changed in viscosity during storage and have good heat resistance.

1978.2.28일자 미국특허 제4,076,920호에 비닐분산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었으며, 이 특허에는 최종 용도로 독특한 성상을 갖는 종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도 기타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종합체입자의 집합에서 생기는 라텍스 또는 중합체 유액을 건조분무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들을 플라스티졸에 사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분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중합체를 플라스티졸에 사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분쇄시키고 분쇄물의 크기와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조된 플라스티졸은 그의 고형성분에 비해서 고점도를 갖게된다. 또한 과잉분쇄를 필요로 하므로 과열을 발생시켜 중합체를 용융시키게 된다. “작은알맹이(pearl)” 또는 현탁중합과 반대로 중합체입자가 여과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큰 경우에 비닐분산수지는 여과에 의해 유화액으로부터 회수될 수 없으며, 트레이에서 건조시키는데, 그 이유는이입자들이 휠터를 통과하고 작은 입자들이 트레이 건조도중 케이크를 형성하면서 견고하게 채워져 분쇄후에도 대부분 공업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부드러운 플라스티졸로 제제하기가 어렵다. 플라스티졸에 사용하는 중합체의 입자들은 가능한 작은 입자표면을 갖도록 구형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구형입자들의 분산물은 성형품, 도포물등으로 처리하기 위해 최저유동점도를 갖는다(1965.4.20일자 미국특허 제3,179,646호참조).U.S. Patent No. 4,076,920 dated February 8, 1978, describes a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dispersion resin, which describ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having a unique property for end use. However, this patent also needs to dry-spray the latex or polymer emulsion resulting from the aggregation of aggregated particles, as in other conventional methods, and it is necessary to grind them to a size that can be used for plastisols. By pulverizing the polymer to a size usable for the plastisols and chang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mill, the prepared plastisols have a higher viscosity than their solid components. In addition, excessive grinding is required, causing overheating to melt the polymer. In contrast to “pearl”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if the polymer particles are large enough to filter, the vinyl dispersion cannot be recovered from the emulsion by filtration and is dried in a tray, because the particles are filtered out of the filter.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into soft plastisols that pass through and form small cakes during tray drying, forming solid cakes that can be processed most industrially even after grinding. The particles of the polymer used in the plastisols are suitably spherical in order to have the smallest particle surface possible. In addition, the dispersion of spherical particles has a minimum flow viscosity for treatment with shaped articles, coatings, and the like (see US Pat. No. 3,179,646, dated 20 May 196).

비닐분산수지제조에 있어서 기타 문제는 반응기의 내면에 불필요한 종합체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 반응기표면상에서 중합체의 침적 또는 보강은 열전도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또한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점도에서 생성되는 역효과보다도 미세한 입자들을 생성함으로써 종합체품질에 역효과를 미친다. 이 중합체보강은 제거해야 된다. 첫째로 중합체보강을 예방 또는 제거하는 것이 적합하다.Another problem in the production of vinyl dispersion resins is the formation of unnecessary aggregat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ctor. The deposition or reinforcement of the polymer on this reactor surface not only hinders thermal conduction but also lowers productivity and adversely affects the overall body quality by producing finer particles than the adverse effects produced in viscosity. This polymer reinforcement must be removed. Firstly it is suitable to prevent or eliminate polymer reinforcement.

본 발명자등은 비닐분산수지의 유화중합을 전해질, 예를들면 건조중 증발하는 “푸지티브(fugitive)”탄산암모늄(NH4)2CO3)존재하에 행할 경우에, 생성되는 중합체유화액은 트레이에서 건조시켜 간단하게 비벼주거나 또는 분쇄시킴으로써 개개의 구형중합체입자로 분리시킬수 있는 중합체입자의 구형집합체로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전해액 외에 트레이건조를 행할 경우에, 비닐모노머의 중합반응은 48℃이하의 온도에서 8~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고급지 방산의 암모늄염과 14~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장직쇄 알코올 존재하에 중합개시제를 생성하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알칼리 수용액중에서 행하며, 여기에서 알코올대 유화제의 비는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1.0이상으로 하고, 반응성분들은 완전히 혼합, 적합하기로는 중합하기 전에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 반응기증에서 중합체 보강은 감소되며, 다단식중합을 반응기를 개방시키지 않고 반응기중에서 행하여 미반응모노머의 양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The inventors have conducted 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dispersion resins in the presence of an electrolyte, such as “fugitive” ammonium carbonate (NH 4 ) 2 CO 3 ), which evaporates during drying. It can be dried into a spherical aggregate of polymer particles that can be separated into individual spherical polymer particles by simply rubbing or pulverizing. In the case of tray drying in addition to the electrolytic solution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ization of the vinyl monomer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48 ° C. or lower, and the presence of a long-chain alcohol having 14 to 24 carbon atoms and an ammonium salt of a high-quality fatty acid having 8 to 20 carbon atoms. It is carried out in an aqueous alkali solution using a free group to produce a polymerization initiator under the above, wherein the ratio of alcohol to emulsifier is the same or equal to or greater than 1.0, and the reactive components are mixed thoroughly and suitably mixed prior to polymerization. . When using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reinforcement in the reactor reactor is reduced and multistage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in the reactor without opening the reactor to substantially reduce the amount of unreacted monomer.

본 발명에 있어서, 비닐분산수지는비닐과 비닐리덴 할로겐화물, 예를들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등과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nyl dispersion resin means a polymer and a copolymer of vinyl and vinylidene halides such as vinyl chloride, vinylidene chloride and the like.

비닐할로겐화물과 비닐리덴 할로겐화물은 1 이상의 말단 CH2=C기를 갖는 1이상의 비닐리덴 모노머로 공중합시켜도 좋다. 이와같은 비닐리덴모노머의 예로서 α,β-올레핀불포화카르복실산, 예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α-시아노아크릴산등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예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등,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예로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등, 니트릴류,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류, 예로 메틸아크릴아미드, N-메틸론 아크릴아미드, N-부톡실 메타크릴아미드등, 비닐에테르류, 예로 에틸비닐에테르 클로로에틸비닐, 에테르등, 비닐케톤류, 스티렌 및 스티렌유도체, 예로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클로로스티렌등, 비닐나프탈렌, 알릴 및 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피리딘, 메틸비닐케톤 및 기타 이 기술계통에 숙련가들에게 알려진 형태의 비닐리덴모노머를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염화비닐 또는 염화비닐 리덴 단독 또는 모노머 혼합물의 중량에 기초해서 약 80%중량양으로 공중합할수 있는 1 이상의 비닐리덴모노머와 중합하여 제조한 비닐분산수지 또는 페이스트의 제조에 특히 사용된다. 가장 적합한 비닐분산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이며, 간략하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것을 간략하게 기술하며 이것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기술한 것이며 제한적인 의미로 기재한 것이 아니다.The vinyl halide and vinylidene halide may be copolymerized with one or more vinylidene monomers having one or more terminal CH 2 = C groups. Examples of such vinylidene monomers include esters of acrylic acid such as α, β-olefin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α-cyanoacrylic acid, such a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octyl acryl. Ester of methacrylic acid, such as the rate and cyanoethyl acrylate, such as methyl methacrylate and butyl methacrylate, nitrile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acrylamide, for example methyl acrylamide, N- Methyl ether acrylamide, N-butoxyl methacrylamide and the like, vinyl ethers such as ethyl vinyl ether chloroethyl vinyl, ether and the like, vinyl ketones, styrene and styrene derivatives such as α-methyl styrene, vinyl toluene, chloro styrene, Vinylnaphthalene, allyl and vinyl chloroacetate, vinylacetate, vinylpyridine, methylvinylketone and others skilled in the art There can be a vinylidene monomers of the types known.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d in the production of vinyl dispersion resins or pastes prepared by polymerizing one or more vinylidene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about 8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alone or monomer mixtures. The most suitable vinyl dispersion resin is polyvinyl chloride (PVC),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it briefly, which is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not in a limiting sense.

본 발명의 중요한 면은 비닐분산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서 중합체라텍스 또는 중합체유화액을 형성한 후에, 이것을 간단히 트레이로 건조시키므로서 중합체 입자를 구형으로 파쇠성 집합체로 건조시킬수 있다. 이것은 흔히 중합체물질을 저하시키는 번거로운 분무건조 및 분쇄과정을 제거시키기 위한 것이다. 중합체유액을 트레이건조시키는 본 발명의 개념은 중합법에서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해액은 탄산암모늄((NH4)2CO3), 염화칼슘(CaCl2), 탄산칼륨(CaCO3) 인산암모늄, 중탄산염,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및 인산나트륨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해액의 양은 중합시키는 모노머의 중량에 기초해서 약 0.05~6.0%이며, 0.1~2.0%중량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An importa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dispersion resin, in which a polymer latex or polymer emulsion can be formed, and then the polymer particles can be spherically dried into spherical aggregates by simply drying on a tray. . This is to eliminate cumbersome spray drying and grinding processes that often degrade the polymer material.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y drying a polymer emulsion is to use an electrolyte in a polymerization method. As the electrolyte solution which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mmonium carbonate ((NH 4 ) 2 CO 3 ), calcium chloride (CaCl 2 ), potassium carbonate (CaCO 3 ) ammonium phosphate, bicarbonate, sodium carbonate, sodium bicarbonate, sodium phosphate,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0.05 to 6.0% based on the weight of the monomer to be polymerized, and it is suitable to use an amount of 0.1 to 2.0% by weight.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생성되는 파쇠성집합체는 플라스틱졸에서 사용하기 위해 물로부터 비닐분산물 또는 페이스트수지를 회수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 예를들면 분무건조시킨 다음에 분쇄시키는 방법보다 명백히 유리하고 개량된 방법이다. 본 방법의 파쇠성집합체는 중합체 또는 수지를 회수하는 후중합단계에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파쇠성 집합체는 용이하게 형성되며, 페이스트수지에 필요한 입도로 비닐분산수지의 각 구형입자를 이 집합체를 분쇄하거나 또는 간단히 문질러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통상으로, 중합체의 각 구형입자는 0.1-약 10.0미크론 사이의 입도 또는 입경을 갖게될 것이다. 플라스티졸의 현재 공업용으로 중합체 입자는 0.2~2.0미크론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The breakable aggregates produced in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are clearly advantageous and improved over conventional methods for recovering vinyl dispersions or paste resins from water for use in plastic sol, for example spray drying followed by grinding. Way. The breakable aggregates of the present process can be easily treated in the postpolymerization step of recovering the polymer or resin. The breakable aggregate is easily formed, and each spherical particle of the vinyl dispersion resin can be easily formed by pulverizing or simply rubbing the aggregate to the particle size required for the paste resin. Typically, each spherical particle of the polymer will have a particle size or particle diameter between 0.1 and about 10.0 microns. For the present industrial use of plastisols it is suitable that the polymer particles have 0.2 to 2.0 microns.

유화중합법에 있어서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트레이건조를 사용하여 제품의 품질를 개량시킬수 있는 것외에 기타 이점을 발견했다.I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the use of electrolyte solution has found other advantages besides being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by using tray drying.

예를들면, 중합법에서 전해액을 사용할 경우 모노머가 중합체로 전환되는 비율은 증가할수록 중합을 완성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이것은 차례로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켜 이 방법을 사용할 때에 비닐분산수지 제조단가를 줄이게 된다.For example, the use of electrolytes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shortens the time to complete the polymerization as the ratio of monomers to polymers increases, which in turn increases production per unit time,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vinyl dispersion resins when using this method. do.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반응기의 내면에 중합체 침적량을 줄일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침적량의 감소가 일어나는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것은 부분적으로 이 방법에서 전해액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또한 반응속도와 저반응온도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이유는 장기간 동안 고온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중합체침적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에는 중합체 침적문제는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크게 개량시킬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비닐분산수지 및 플라스티졸 성상, 예를들면 열안정성, 내수성, 유동성등은 역효과를 받지 않으며, 이들 성상들은 실제로 개량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polymer deposi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ctor. On the other hand, it is not known exactly why such a decrease in deposition occurs, but it is thought to be due in part to the use of the electrolyte in this method and also due to the reaction rate and the low reaction temperature, because the polymer deposition amount is allowed to react at high temperatures for a long time. Because it increases. In some cases, polymer deposition problems can be greatly improved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by using this method, vinyl dispersion resins and plastisol properties such as thermal stability, water resistance, fluidity, etc. are not adversely affected, and these properties are actually improved.

유화분산법을 사용하여 비닐분산수지를 제조할 경우에 적당한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여러가지의 지방산유도체 및 그의 염류를 C12-C20알킬 또는 아릴탄화수소 또는 그의 여러가지의 혼합물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비닐분산수지의 플라스티졸로부터 만든 필름에 있어서 적합한 내수성과 열안정성을 얻기위해 유화제로서 장쇄포화지방산의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포화지방산으로서는 천연 또는 합성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8~20개의 탄소원자를 가져야 한다. 이와같은 산의예로서 라우르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마르간산, 스테아린산, 우지, 야자유를 사용할 수 있다. 암모늄염화제는 중합시킬 모노머의 양에 기초해서 약 0.5~4.0%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유화제로서 지방산의 암모늄염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It is necessary to use a suitable emulsifier when producing a vinyl dispersion resin using the emulsion dispersion method. For example, various fatty acid derivatives and salts thereof can be used as well as C 12 -C 20 alkyl or aryl hydrocarbons or various mixtures thereof.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to use an ammonium salt of long-chain saturated fatty acid as an emulsifier in order to obtain suitable water resistance and thermal stability in a film made from a plastisol of a vinyl dispersion resin. Saturated fatty acids may be natural or synthetic fatty acids, which must have from 8 to 20 carbon atoms. As examples of such acids,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marganic acid, stearic acid, tallow, palm oil can be used. Ammonium chloride is used in an amount of about 0.5 to 4.0% based on the amount of monomer to be polymeriz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mmonium salt mixtures of fatty acids as emulsifiers.

지방산의 암모늄염은 지방산과 수산화암모늄을 혼합시키고, 염을 분리시킨 다음에 이것을 통상의 방법으로 중합매질 또는 중합예비혼합물에 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암모늄염을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데, 즉 지방산과 수소화암모늄을 중합혼합물 또는중합매질에 분리해서 가하고, 여기에서 반응시켜 염을 제조한다. 지방산과 반응시키기에 필요한 이상의 양으로 과량의 수산화암모늄을 사용해서 반응액을 알칼리성으로 유지시켜야 한다.Ammonium salts of fatty acids can be prepared by mixing fatty acids with ammonium hydroxide, separating the salts, and then adding them to a polymerization medium or a preliminary polymerization mixture in a conventional manner. However, it is suitable to prepare ammonium salts, that is, fatty acids and ammonium hydride are added separately to the polymerization mixture or polymerization medium and reacted here to prepare the salts. The reaction solution should be kept alkaline using excess ammonium hydroxide in an amount greater than necessary to react with the fatty acid.

장쇄지방산유화제의 암모늄 외에, 장직쇄포화 알코올을 혼합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 알코올은 14~2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알코올의 예로 테트라데칸올, 펜타데칸올, 헥사데칸올, 헵타데칸올, 옥타데칸올, 노나데칸올, 에이코산올, 헤네이코산올, 트리코산올 및 테트라코산올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알코올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알코올 혼합물, 예를들면 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 및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탄소함량이 적은 알코올은 장쇄알코올과 혼합해서 예를들면 도데칸올 및 옥타데칸올과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을 사용할 때에, 알코올대 지방산의 암모늄염의 비는 1.0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비율은 1.0이상으로 사용할 경우 최적 결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to the ammonium of long-chain fatty acid emulsifiers, it is suitable to use a mixed long-chain saturated alcohol, which contains 14 to 24 carbon atoms. As examples of such alcohols, it is suitable to use tetradecanol, pentadecanol, hexadecanol, heptadecanol, octadecanol, nonadecanol, eicosanol, heneicosanol, tricosanol and tetracosanol. Mixtures of alcohols can also be used, and in most cases it is suitable to use alcohol mixtures, for example alcohols having 14 carbon atoms and alcohols having 18 carbon atoms. In addition, alcohols with a low carbon content can be mixed with long chain alcohols and used, for example, as a mixture with dodecanol and octadecanol. When using alcohol, the ratio of alcohol to ammonium salt of fatty acid can be used as 1.0. However, when this ratio is used above 1.0, optimal results are obtained.

상기한 바와 같이, 반응매질은 알칼리성, 적합하기로는 고 pH로 유지시켜야 한다. 이 방법은 약 7.0내지 약 12.0 사이의 pH에서 행할수 있다. 그러나, 약 8.0 내지 약 10.5 사이의 pH에서 반응을 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만약 pH가 너무 높은 경우 수산화암모늄을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며, pH가 너무 낮을 경우 예를들면 7.0이하일 경우에 반응기중에서 중합체침적은 증가하게 되며, 응집량은 증가하게 된다. pH를 적당하게 조절시키는데 필요한 NH4OH의 양은 부분적으로 반응혼합물중에 사용하는 특정 유화제에 좌우될 것이다. 물론 반응혼합물의 pH를 조정하기 위해 NaOH, KOH 등의 알칼리 약품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알칼리성 약품의 선택은 반응액중의 성분에 따라 좌우된다.As mentioned above, the reaction medium should be maintained at an alkaline, suitably high pH. This method can be performed at a pH between about 7.0 and about 12.0. However, it is suitable to carry out the reaction at a pH between about 8.0 and about 10.5. If the pH is too high, too much ammonium hydroxide is used. If the pH is too low, for example, below 7.0, the polymer deposition in the reactor increases and the amount of aggreg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NH 4 OH needed to properly adjust the pH will depend in part on the particular emulsifier used in the reaction mixture. Of course, to adjust the pH of the reaction mixture, alkali chemicals such as NaOH and KOH can be used. The choice of specific alkaline chemicals depends on the components in the reaction solution.

반응혼합물에서 전해액을 사용하고 생성물을 트레이건조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을 중합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 존재하에 행한다. 올레핀 불포화 모노머를 중합시키는데 통상으로 사용하는 유리기생성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유용한 개시제나 촉매로서 예를들면 여러가지 과산화화합물, 예로 과산화라우릴, 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아부네이트, 과산화벤조일,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비발레이트,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부틸디퍼프탈레이트,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부틸디퍼프탈레이트, 펠라르고닐퍼옥사이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하이드로퍼옥사이드등, 아조화합물, 예로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디메틸아조디이소부티레이트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용한 개시제로서 수용성 과산화수소 화합물, 예로 고산화수소, 과황산염, 예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중합시키는 모노머의 중량에 기초해서 약 0.01~0.5%중량 사이이며, 약 0.02~0.1%중량가 적합하다.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electrolyte solution in a reaction mixture and tray drying the product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compound capable of initiat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It is suitable to use free radical generators commonly used to polymerize olefin unsaturated monomers. Useful initiators or catalysts include, for example, various peroxide compounds such as lauryl peroxide, isopropyl peroxydicarabutate, benzoyl peroxide, t-butylhydroperoxide, t-butylperoxybivalate, cumene hydroperoxide, t- Butyl diperphthalate, cumene hydroperoxide, t-butyl diperphthalate, pelargonil peroxide, 1-hydroxycyclohexyl hydroperoxide, etc. Can be. In addition, water-soluble hydrogen peroxide compounds such as hydrogen peroxide, persulfates such as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useful initiators. The amount of the initiator generally used is about 0.01 to 0.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monomer to be polymerized, and about 0.02 to 0.1% by weight is suitable.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개시제는 중합개시에 완전히 충전시키거나 또는 이것을 중합반응중 반응기에 점진적으로 가한다. 그러나, 개시제를 반응혼합물의 기타 성분과 혼합한 모노머예비혼합물에 중합개시에 충전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은 상기 예비혼합물을 반응기에 도입하기전에 균질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개시체를 모노머예비혼합물에 가한 다음에 고속교반으로 완전히 교반시키거나 또는 예비혼합물을 균질화할 때에, 예를들면 반응혼합물중에 알코올을 사용할 경우에, 온도를 사용하는 특정 개시제의 반응최소온도 이하에서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특정 개시제의 반응최소온도는 이 기술계통의 숙련자들이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 개시제는 중합개시제 또는 촉매 제조업자에 의해 흔하게 공급된다. 모노머예비혼합물을 반응기에 도입하기 전에 온도를 반응을 일으키는 온도로 조정한다.In the process of the invention, the initiator is completely charged at the start of the polymerization or is gradually added to the reactor during the polymerization. However, it is suitable to charge the initiator premixed with the initiator mixed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reaction mixture at the start of the polymerization. This is advantageous to homogenize the premix prior to introduction into the reactor. When the initiator is added to the monomer premix and then stirred thoroughly by high-speed stirring, or when homogenizing the premix, for example when alcohol is used in the reaction mixture.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keep it below the reaction minimum temperature of the specific initiator using the temperature. The minimum reaction temperature of a particular initiator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initiator is commonly supplied by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or catalyst manufacturer. The temperature is adjusted to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eaction occurs before the monomer premix i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본 발명의 유화중합법에서 반응온도는 중요한데, 그 이유는 생성되는 비닐분산수지의 고유점도(Ⅳ)가 반응온도에 직접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것은 고유점도(Ⅳ)가 낮으면 높은 온도가 된다는 뜻이다. 그리하여 생성되는 비닐분산수지의 최종용도는 반응온도를 정해준다. 예를들면, 코우팅 또는 주조유연성필름 중에서 사용하는 비닐분산지를 제조할 때에, 여러가지 코우팅 또는 필름-성형법에 바람직한 고급 Ⅳ를 얻기위해 저급온도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닐분산수지를 특히 사용하는 경우에, 약 30°~70℃사이의 중합온도가 적합하다. 그러나, 약 30℃~55℃사이의 온도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I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is important because the intrinsic viscosity (IV) of the resulting vinyl dispersion resin directly affects the reaction temperature. This means that the lower the intrinsic viscosity (IV),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end use of the vinyl dispersion resin thus formed determines the reaction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producing vinyl dispersions for use in coatings or cast flexible films, lower temperatures may be applied to obtain high grade IV desirable for various coatings or film-forming methods. When the vinyl dispersion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d, a polymerization temperature between about 30 ° and 70 ° C. is suitable. However, it is suitable to use a temperature between about 30 ° C and 55 ° C.

반응의 온도에 관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기타 입자는 반응기 중에서 중합체 침적이다. 일반적으로,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반응기중의 중합체침적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중합체침적은 피각질형이 아니고 물로 헹구거나 저부로부터 급수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반응기에 적당한 분무노즐을 설치했을 경우에 반응기를 개방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이 중합체의 침적량은 반응액중 전해질 존재에 의해 조절해서 감소시킬 수 있다. 전해질과 혼합함으로써, 반응기의 벽은 중합반응 중 특히 대부분의 침적량이 형성되는 반응의 초기단계중 냉각상태로 유지시킨다. 반응온도의 조정은 통상의 수단, 예를들면 쟈켓중에서 냉수 또는 기타액체를 순환시키는 쟈켓반응기를 사용하여 성취할 수 있다. 상승효과는 반응사이클의 초기단계에서 전해질과 냉각반응매질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데, 그 이유는 중합체침적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충전 또는 순환사이에 반응기의 표면을 세정시키지 않고 공정효율을 증대시키며 광위의 용도를 갖는 비닐분산수지제조단가를 절감시키기 위해 반복사이클을 사용한다.Other particles that must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are polymer deposits in the reactor. In general, as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 amount of polymer deposited in the reactor increases. However, the polymer deposit is not crusty and can be removed by rinsing with water or by watering from the bottom, and it is necessary to open the reactor when a suitable spray nozzle is installed in the reactor. On the other hand, the deposition amount of this polymer can be controlled and reduced by the presence of electrolyte in the reaction solution. By mixing with the electrolyte, the walls of the reactor are kept cool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the reaction, in particular where most of the deposits are formed. The adjustment of the reaction temperature can be accomplished using conventional means, for example a jacketed reactor which circulates cold water or other liquids in the jacket. The synergistic effect is obtained by using the electrolyte and the cooling reaction medium in the early stages of the reaction cycle, because the amount of polymer deposition is reduced. Repetitive cycles are used to increase the process efficiency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vinyl dispersion resins for light levels without cleaning the surface of the reactor between charges or cycles.

중합반응 종료후에, 비닐분산수지는 분말형, 즉 분리된 구형종합체 입자형으로 분리시킬수 있다. 이것은 중합체의 파쇠성 집합체를 회수하기 위해 중합반응기로부터 라텍스를 여과시키고, 여과시킨 라텍스를 약 230°~100℃사이의 온도에서 트레이 건조시킨다. 상압하에서 반응도중 전해액이 유출된다. 건조온도는 상기 온도한계보다 낮거나 또는 높은 온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온도는 건조단계를 진공하에 또는 정압하에서 행하는지 여부에 의해 좌우된다. 트레이건조시간은 건조시키는 특정 중합체에 따라 좌우된다. 그러나 트레이건조는 중합체중 중합체 함량이 약 0.1% 중량 이하가 될때까지 계속한다. 물론, 이 시간은 사용하는 온도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중요한 거은 고온에서 중합체를 장기 가열시키지 않는 것인데, 그 이유는 장기가열시키면 중합체의 품질에 역효과, 예를들면 변색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트레이건조 후 중합체입자들의 파쇠성 집합체를 간단히 분쇄시키거나 또는 문질러서 각개의 구형입자들을 분쇄시켜 건조중합체 또는 수지를 분말형태로 회수한다. 이어서, 분말형 수지를 플라스티졸로 만든다. 기타 건조 형태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회전건조기, 공기분사식 건조기, 유동상 건조기를 분무건조를 사용하지 않는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이건조가 적합하다.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vinyl dispersion resin can be separated into powder form, that is, separated spherical aggregate particles. This filters the latex from the polymerization reactor to recover the breakable aggregate of polymer and trays the filtered latex at a temperature between about 230 ° C. and 100 ° C. Under normal pressure, the electrolyte flows out during the reaction. The drying temperature may use a temperature lower or higher than the above temperature limit, which temperature depends on whether the drying step is carried out under vacuum or under constant pressure. Tray drying time depends on the particular polymer being dried. However, tray drying continues until the polymer content in the polymer is below about 0.1% by weight. Of course, this time will depend on the temperature used.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polymer is not heated for a long time at high temperatures because long-term heating adversely affects the quality of the polymer, for example discoloration. After tray drying, the spherical aggregate of polymer particles is simply crushed or rubbed to crush each spherical particle to recover the dry polymer or resin in powder form. The powdered resin is then made into plastisol. Other drying forms or methods may be used, for example rotary dryers, air jet dryers, fluidized bed dryers, unless spray drying is used. However, tray drying is suitable.

플라스티졸은 종래의 가열교반법을 사용하여 분리된 구형중합체입자형으로 비닐분사수지 100중량부와 약 30~100중량부의 1 이상의 가소제를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비닐분산수지로 만들 수 있다. 유용한 가소제로 디카르복실산의 알킬 및 알콜시알킬에스테르 또는 다가수소알코올 및 일염기산의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의 예로서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세바 케이트, 디노닐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라우릴프탈레이트, 디메틸 테트라클로로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릴부틸글라콜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가소제는 4~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알코올의 액상 디에스테르와 6~1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염기성 카르복시실산이다.The plastisol is a spherical polymer particle type separated using a conventional heating stirring method and can be made into the vinyl dispersion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niformly mixing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injection resin and about 30 to 10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plasticizers. . Useful plasticizers include alkyl and alcoholcyalkyl esters of dicarboxylic acids or 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and monobasic acids. Examples of plasticizers include dibutyl phthalate, dioctyl phthalate, dibutyl sebacate, dinonyl phthalate, di (2-ethylhexyl) phthalate, di (2-ethylhexyl) adipate, dilauryl phthalate, dimethyl tetrachlorophthalate, di Butyl phthalyl butyl glycolate, glyceryl stearate, etc. can be used. Suitable plasticizers are liquid diesters of aliphatic alcohols having 4-20 carbon atoms and basic carboxylic acids having 6-14 carbon atoms.

본 발명의 비닐분산수지로부터 제조한 플라스티졸은 목적하는 일드를 가지며, 팽창성이 적거나 거의 없다. 일드는 유동성에 대한 내성을 의미하며, 통상으로 공지의 표준법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해서 숫자적으로 측정한다. 통상으로 이와같은 수치는 ASTM법 D1824-61T에 의해 부루크피일드모델 RVF점도계를 사용하여 점도측정으로부터 계산하여 얻는다. 일드는 초기 제조단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숙성해서 가변 r.p.m에서 플라스티졸의 점도를 측정하여 얻는다. 점도는 23℃에서 센티포이즈(CPS)단위로 측정한다. 특정실시예에서, 점도측정은 2rpm 및 20rpm에서 행하며, 각각 V2및 V20으로 표시한다.The plastisols prepared from the vinyl dispersion resi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desired yields and have little or no expansion. Yield refers to resistance to flowability and is usually measured numerically by measuring viscosity using a standard method known in the art. Normally such a value is obtained by calculation from a viscosity measurement using a Brookfield model RVF viscometer by ASTM method D1824-61T. Yield is obtained by aging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itial stage of preparation to measure the viscosity of the plastisol at variable rpm. Viscosity is measured in centipoise (CPS) at 23 ° C. In a particular example, the viscosity measurement is performed at 2 rpm and 20 rpm, indicated by V 2 and V 20 ,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 실시예에서 모든 부와 백분율은 달리 지적하지 않는한 중량에 의한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in which all parts and percentages are by weight unless otherwise indicated.

[실시예 1]Example 1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여러가지 면을 알기위해 일련의 시험을 행했다. 사용하는 방법과 반응조건은 이하의 표에 기재한다.In this example, a series of test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and reaction conditions to be used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이 표에서, 모든 숫자는 전체조성의 중량에 기초한 중량부이다.In this table, all numbers are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표 1]TABLE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상기 시험예 2 및 3에서,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 모노머 예비혼합물탱크 또는 용기를 비워야 한다. 예비혼합물탱크에 처음에 물을 채운 다음에 교반하에 전해액을 가하고, 이어서 유화제 및 알코올 혼합물을 가한다. 다음에 촉매를 가하고, 끝으로 염화비닐을 가한다. 예비혼합물 탱크중에서 온도는 냉각쟈켈에 의해 약 25℃에서 제어했다. 이 혼합물을 약 15분동안 교반했다. 그 후에, 혼합물 또는 모노머예비 혼합물을 25℃에서 만틴 간린(mantin Ganlin) 2단계분쇄기를 통과시켜 미리 비워둔 중합반응기에 통과시킨다. 분쇄기의 제 1 단계에서 압력은 600psig이며, 제 2 단계에서는 700psig이다. 반응기의 내용물을 45℃의 반응온도까지 가열시킨 다음에 목적하는 전환율이 얻어질 때까지 전체 반응에서 이 온도를 유지했다. 이어서, 이반응기를 냉각시키고, 통풍시키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라텍스 또는 슬러리를 제거하여 건조시켰다 적절한 데이타를 이하의 표 Ⅱ에 나타냈다.In Test Examples 2 and 3 above, when alcohol is used, the monomer premix tank or vessel should be emptied. The premix tank is initially filled with water and then the electrolyte is added under stirring followed by the emulsifier and alcohol mixture. Next, a catalyst is added and finally, vinyl chloride is added. The temperature in the premix tank was controlled at about 25 ° C. by cooling jackel. The mixture was stirred for about 15 minutes. Thereafter, the mixture or the preliminary monomer mixture is passed through a mantin Ganlin two-stage crusher at 25 ° C. and passed through a polymerization reactor previously emptied. The pressure is 600 psig in the first stage of the mill and 700 psig in the second stage. The contents of the reactor were heated to a reaction temperature of 45 ° C. and then maintained at this temperature for the entire reaction until the desired conversion was obtained. The reactor was then cooled, ventilated and dried by removing polyvinylchloride (PVC) latex or slurry. The appropriate data is shown in Table II below.

시험예 1,4 및 5에서 성분들을 중합반응기에 넣고 혼합시켰다. 또한, 유화제는 반응중 반응기에 공급했다. 시험예 1 및 4에서, 시이드를 반응기에 넣고, 여기에 염화비닐을 예비중합시켜 보다 큰 입도를 얻었다 시험예 5의 경우에, 반응혼합물의 온도를 약 50~60%전환율이 얻어질때까지 40℃에서 유지시킨 다음에 온도를 35℃로 낮추고, 반응이 종료될때까지 이 온도에서 유지했다. 그 후에, 매 경우마다 반응기를 냉각시켜 통기시키고, PVC라텍스 또는 슬러리를 제거하여 건조시켰다.In Test Examples 1, 4 and 5, the components were placed in a polymerization reactor and mixed. The emulsifier was also fed to the reactor during the reaction. In Test Examples 1 and 4, the seed was placed in a reactor, and vinyl chloride was prepolymerized thereto to obtain a larger particle size. In Test Example 5,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mixture was increased until 40 to 60% conversion was obtained. After holding at 占 폚, the temperature was lowered to 35 占 폚 and held at this temperature until the reaction was complete. Thereafter, in each case the reactor was cooled and vented and the PVC latex or slurry was removed and dried.

브루크피일드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 플라스티졸을 다음과 같은 성분을 사용하여 수지 또는 PVC로 만들었다.In order to measure the Brookfeed viscosity, the plastisol was made of resin or PVC using the following ingredients.

PVC 100부 디옥틸프탈레이트 40부100 parts of PVC dioctyl phthalate 40 parts

디옥틸아디페이트 30부 에폭시화 대두유 3부Dioctyl adipate 30 parts Epoxidized soybean oil 3 parts

바륨-카드뮴-아연인산염 2부Barium-cadmium-zinc phosphate part 2

점도에 관한 데이타를 다음 표 Ⅱ에 나타냈다.Data on viscosity are shown in Table II below.

[표 2]TABLE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전해액을 사용하면 트레이 건조법을 사요아여 양호한 건조케이크 분해성과 우수한 플라스티졸성상을 갖는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the use of an electrolyte solution uses a tray drying method to have a good dry cake degradability and an excellent plastisol phase.

[실시예 Ⅱ]Example II

이 실시예에서, 전해액의 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일련의 시험을 행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중합법을 사용하였으나, 예외로 균일화는 사용하지 아니했다. 플라스티졸은 또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만들었다. 이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냈다.In this example, a series of tests were conducted to change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The same polymerization method as in Example 1 was used, except that homogenization was not used. Plastisols were also made as in Example 1.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표 Ⅲ]TABLE III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상기표에서 슬러리점도하에서 “거품을 일으키는 크림”이 슬러리 또는 라텍스에 대해 이상적인 조건이다. 표 Ⅲ에서 건조케이크에 파쇠성은 우수하거나 또는 극히 양호한 것임을 알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해액을 사용한 다음에 트레이건조를 사용하면 유리한 것이 명백하다. 그리하여 상기 실시예로부터 중합매질에서 전해액을 사용하면 유화 중합라티스를 여과하여 트레이 건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조되는 비닐분산지의 성상을 개량시키게 된다. 더욱 중요한 것은 중합체품질에 역효과를 미치는 분무건조 및 거친 분쇄단계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으로 단위 시간당 더욱 많은 양의 분산수지를 얻을수 있으며, 이 수지는 성상이 개량되었으며 중합반응기의 내면에 중합체침적량을 감소시킨다. 이들 입자는 모두 비닐분산수지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하는데 기인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수의 이점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In the table above, “bubble cream” under slurry viscosity is the ideal condition for slurry or latex. It can be seen from Table III that the dry cake has good or extremely good fracture properties. As a result, it is evident to use tray drying followed by electrolytic solution. Thus, w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used in the polymerization medium from the above embodiment, the emulsion polymerization lattice can be filtered and dried on the tray, thereby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e produced vinyl dispersion paper. More importantly, the spray drying and coarse grinding steps, which adversely affect the polymer quality, can be remov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is method yields a larger amount of dispersion resin per unit time, and the resin has improved properties and reduces the amount of polymer deposi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All of these particles are due to the production of vinyl dispersion resins at low cost. Many other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

중합시킬 모노머들 또는 모노머, 반응수용액, 중합시킬 모노머들 또는 모노머의 100중량부당 유리기 생성촉매 약 0.01~0.5 중량%, 모노머들 또는 모노머 중량에 기초해서 전해액 약 0.05~6.0 중량%, 중합용 유화제, 14~2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1 이상의 장직쇄포화 알코올(여기에서 알코올대 유화제의 비는 1.0이상임)을 함유하는 모노머예비혼합물을 제조하고, 이 예비혼합물을 사용하는 촉매의 반응성 이하의 온도에서 균질화시키고, 이 예비혼합물을 반응대역으로 통과시키고, 약 30℃~70℃의 온도에서 반응 대역중에서 상기 균질화예비 혼합물을 유화중합시켜 구형 중합체입자의 개별적인 구형의 파쇄성 집합체를 형성하고 반응대역중에서 pH를 반응이 종료될 때까지 7.0 내지 약 12.0의 범위로 유지시키고, 반응대역으로부터 중합체유액을 분리하고, 여과시켜서 중합체의 파쇄성 집합체를 회수하고, 중합체 및 중합체의 파쇄성 집합체를 트레이 건조시키는 한편, 여기서는 전해액을 제거하고, 이 파쇄성 집합체를 간단히 분쇄시켜 각계의 중합체 구형입자를 형성시키고, 반응대역중에서 중합체 침적양을 감소시켜 적어도 하나의 말단 CH2=C<기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닐리덴 모노머를 단독으로 또는 함께 갖는 비닐 및 비닐리덴 할로겐화물의 중합체 및 그것의 공중합체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분산 수지의 제조방법.About 0.01 to 0.5% by weight of free radical formation catalyst per 100 parts by weight of monomers or monomers to be polymerized, reaction aqueous solution, monomers to be polymerized or monomer, about 0.05 to 6.0% by weight electrolyte based on monomer or monomer weight, emulsifier for polymerization, A monomer premix is prepared containing at least one long chain saturated alcohol having 14 to 24 carbon atoms, wherein the ratio of alcohol to emulsifier is at least 1.0, and homogenizing at temperatures below the reactivity of the catalyst using the premix. The premix is passed through a reaction zone, and emulsion homopolymerized in the reaction zone at a temperature of about 30 ° C. to 70 ° C. to form individual spherical crushable aggregates of spherical polymer particles and react the pH in the reaction zone. Until the end is maintained in the range of 7.0 to about 12.0, the polymer fluid is separated from the reaction zone and filtered Recovering the crushable aggregates of the polymer, tray drying the polymers and the crushable aggregates of the polymer, while removing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simply crushing the crushable aggregates to form polymer spherical particles of various types, depositing the polymer in the reaction zone. Vinyl disper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is reduced to produce polymers and copolymers thereof of vinyl and vinylidene halides having, alone or together, one or more vinylidene monomers in at least one terminal CH 2 = C <group Method for producing a resin.
KR1019790003692A 1978-10-30 1979-10-24 Manufacturing method of vinyl dispersion resin KR8300008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581778A 1978-10-30 1978-10-30
US955,817 1978-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54B1 true KR830000854B1 (en) 1983-04-21

Family

ID=2549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692A KR830000854B1 (en) 1978-10-30 1979-10-24 Manufacturing method of vinyl dispersion resin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020521A4 (en)
JP (1) JPS55500869A (en)
KR (1) KR830000854B1 (en)
AU (1) AU528510B2 (en)
BE (1) BE879728A (en)
CA (1) CA1138150A (en)
IN (1) IN150093B (en)
NO (1) NO793472L (en)
WO (1) WO1980000967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9646A (en) * 1959-09-28 1965-04-20 Dow Chemical Co Polymerization to produce friable aggregates of individual spheres of polyvinyl chloride
US3226350A (en) * 1962-07-23 1965-12-28 Goodyear Tire & Rubber Preparation of high solids vinyl chloride polymer latex
US4098978A (en) * 1975-11-12 1978-07-04 The B. F. Goodrich Company Process for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idene halides and product thereof
US4076920A (en) * 1976-11-02 1978-02-28 The B. F. Goodrich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homo- or copolymerization of vinyl or vinylidene halides having reduced polymer build-up in the reactor
US4071675A (en) * 1977-03-03 1978-01-31 Stauffer Chemical Company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using mixed emulsifier system in a single step in the absence of seed formation
US4150210A (en) * 1978-06-19 1979-04-17 Stauffer Chemical Company Emulsion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polymers using mixed emulsifi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793472L (en) 1980-05-02
JPS55500869A (en) 1980-10-30
AU5170879A (en) 1980-05-08
AU528510B2 (en) 1983-05-05
IN150093B (en) 1982-07-17
BE879728A (en) 1980-02-15
WO1980000967A1 (en) 1980-05-15
CA1138150A (en) 1982-12-21
EP0020521A1 (en) 1981-01-07
EP0020521A4 (en) 198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8900A (en) Process for preparing vinyl chloride polymer of quality
EP0042001B1 (en)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vinyl dispersion resins
US4076920A (en) Process for producing homo- or copolymerization of vinyl or vinylidene halides having reduced polymer build-up in the reactor
US3882195A (en) Pre-emulsification-delayed initiation suspension pearl polymerization process
US4286081A (en) Electrolyte in the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vinyl dispersion resins
KR840000374B1 (en)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making vinyl resins for use in plastisol
US4186259A (en) Process for producing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or vinylidene halides by emulsion polymerization
US4155899A (en) Post bulk polymerization process for polyvinyl halide and composition thereof
KR83000085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vinyl dispersion resin
CA1218798A (en) Process for making dispersion copolymers through monomer metering
AU557128B2 (en) Process for making low fusion dispersion resins
US4137216A (en) Post bulk polymerization process for polyvinyl halide and composition thereof
CA1157199A (en) Process for producing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or vinylidene monomers by emulsion polymerization
KR100854014B1 (en) Method for preparing latex
DE2323191C3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mer from vinyl halide by a two-stage bulk polymerization process
US3810958A (en) Method of obtaining small particle size polymers and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by bulk polymerization
JP2004143328A (en) Method for producing vinyl chloride-based polymer for paste processing
CA1102046A (en) Post bulk polymerization process for polyvinyl halide and composition thereof
JPH0370703A (en) Production of vinyl chloride-based polymer
JPH0718007A (en) Production of vinyl chloride polymer
KR100360948B1 (en) A process of proparation for pastte poly(vinyl chliride) with pseudoplasticity and high flowability
JPH05178916A (en) Production of self-crosslinkable polymer emulsion
JPS6042408A (en) Manufacture of vinyl chloride poly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