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496Y1 -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 - Google Patents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496Y1
KR830000496Y1 KR2019790003653U KR790003653U KR830000496Y1 KR 830000496 Y1 KR830000496 Y1 KR 830000496Y1 KR 2019790003653 U KR2019790003653 U KR 2019790003653U KR 790003653 U KR790003653 U KR 790003653U KR 830000496 Y1 KR830000496 Y1 KR 830000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rame
position fixing
interstice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790003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또리 겐지 핫
Original Assignee
또리 겐지 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또리 겐지 핫 filed Critical 또리 겐지 핫
Priority to KR2019790003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
첨부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긴체결박구의 전개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방향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긴체결박구의 전개평면도.
제5(a)도, 제5(b)도, 제5(c)도, 제5(d)도는 착설용 네임플레이트의 예시정면도.
제6도는 제4도 III-III선 방향의 단면도.
본 고안은 하물(荷物) 또는 서적 등을 포장시, 테이프형줄을 사용하여 직선상으로 또 강하게 긴체결박 하기 위한 결박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긴체결박구로는 여러가지 종류의 것이 종래에 공지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소 43-23915호(이를 아래에서는 "선행고안"이라 기재함)의 그것과 같이, 4변형틀체부에 연속되는 두군데의 구부릴 수 있는 연결부와 두개의 협지간을 동일체로 형성한 것이 있다.
상술한 선행고안의 긴체결박구의 결박상태를 그 도면에 따라 요약하면, 테이프형줄(6)의 일측단부를 구부려서 그 구부림부를 4변형틀체(1)의 내측에 아래로 부터 위로 삽입하여 그 말단부(6')가 4변형틀체의 일측변부(b)의 내측을 위로 부터 아래로 관통후 그 일측변부(b)의 밖으로 굴곡노출되게 하고서, 그 구부림부 내로 일측의 협지간(3)을 연결부(4)에서 구부려서 삽입한 다음 테이프형줄(6)의 말단부(6')를 잡아 당겨서 일측의 협지간(3)의 돌출단부(5)가 대향변부(a)위에 눕혀져서 밀착되게한 다음, 나머지의 테이프형줄(6)로 물품을 감고서테이프형줄(6)의 타측단부도 전술할과 같은 수법에 의하여 다른하나의 협지간(3)이 같은 대향변부(a)위에 병열상태로 밀착되게 하여 물품을 결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선행고안의 결박구로 결박한 것은, 그 결박구의 양측부에 테이프형줄(6)의 양측 말단부(6')(6')가 각기 반대방향으로 노출되며, 결박을 더 강하게 하려는 경우에는, 일측의 말단부(6')를 더 강하게 잡아당긴 상태로 긴체하여 결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결박구(1)를 사용시, 더 큰 인장력을 작용시켜서 결박하는 경우, 이 선행고안의 결박구에서는 협지간(3)이 우그러들면서 4변형틀체(1)로부터 탈출되는 점이 치명적결점이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테이프형줄(6)을 강하게 인장시는, 협지간(3)이 그 인장력에 의하여 중앙부를 향하고 뒤틀어지는 결점도 있었다. 또 협지간(3)이 이동 또는 요동하여 테이프형줄(6)의 긴장이 해이되는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테이프형줄을 강하게 인장결박 하여도, 그 테이프형줄이 이완되거나 꼬여지거나, 협지간이 탈출되거나 하는 등의 우려가 전혀없는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를 얻음에 두는 것이다.
첨부의 예시도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실시예를 표시한 제1도에서 틀체부(1)는, 평면형을 정방형의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이 틀체부(1)의 중앙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고정부(2)를 배설한다. 이 위치고정부(2)는 그 단면이 대략 위 +자형으로 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이 위치고정부(2)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에는, 이 위치고정부(2)에 대한 직교방향의 돌출부(3)(3),(4)(4)를 돌설한다. 그리고 이 위치고정부(2)에는 공간부(5)와 (6)에로 돌출하는 돌출편평부(2')(2')를 돌설하고, 위치고정부(2)와 틀체부(1)와의 중간부에는 공간부(5)(6)를 형성한다. 틀체부(1)의 일측변부에는, 구부리고 펼 수 있는 연결부(7)(8)를 경유하여 두개의 협지간(9)(10) 각기를 연결부(7)(8)에서 구부려 눕힘이 가능하게 형성하였다. 협지간(9)(10)이 양측단부 각기에는 스톱퍼부(11)(11),(12)(12)를 배설한다. 그리고 이 스톱퍼부(11)(11) 및 (12)(12) 각기의 대향측에는 스톱퍼홈(13)(13) 및 (14)(14)을 오목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제1도의 틀체부(1)의 양측변부에는 보조편(16)(17)에는 두개식의 돌출편(16a)(16b), (17a)(17b)을 배설한다. 이들의 보조편 (16)(17)은 테이프형줄(18)(제3도 참조)의 선단부(19)(19)를 더 안전하고도 그 선단부(19)가 탄발됨을 방지하는 걸고리로 유용히 사용한다.
본 고안은 제3도에 표시함과 같이, 일측의 협지간(10)을, 연결부(8)에서 구부려 눕혀서 틀체부(1)에로 놓이게 하면서, 테이프형줄(18)의 선단부(19)를, 보조편(17)의 돌출편(17b)에서 그 하측으로 부터 보조편(17a)의 상측으로 삽통하고, 다시 틀체부(1)의 하측으로 삽통하여 공간부(6)의 하측으로 부터 상측으로 통과시킨 다음에는 협지간(10)의 상측을 감싸고서 틀체부(1)의 하측에로 삽통한 다음, 재차 돌출편(17a)의 상측으로 부터 돌출편(17b)의 하측에로 삽통하여 앞에서 말한 테이프형줄(18)의 위에로 테이프형줄(18)의 선단부(19)를 합치시키면서 또 협지간(10)을 틀체부(1)의 위에로 눕혀 놓으면서 테이프형줄(18)을 인장상태로 한다. 이리하는 경우에는, 스톱퍼부(12)(12)에 오목하게 형성된 스톱퍼홈(14)(14)과 돌출부(3)(3)가 서로 끼워들고서 합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끼워짐에 의하여, 협지간(10)은 틀체부(1)의 위에서 정확하고도 견고한 위치를 잡게되며, 또 스톱퍼부(12)(12)와 돌출부(3)(3)과의 끼워짐으로 테이프형줄(18)은 정확히 위치잡은 상태로 되는 것이다. 대향측의 협지간(9)도 상술함과 같이하여, 테이프형줄(18)로 결박할 물품을 연장결박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4도에 표시한 실시예를 제1도의 실시예와 상이하는 부분에 관하여서만 설명한다. 제4도의 실시예는, 위치고정부(2)의 길이방향 양측단부를 약간 협소하게 돌출시켜서 돌출부(3)(3) 및 (4)(4)의 각기를 돌설한다. 이들의 돌출부 (3)(3) 및 (4)(4)에는 협지간(9)(10)의 양측단부에 형성한 스톱퍼부(11)(11), (12)(12)의 지지연부(11a)(11a), (12a)(12a)가 합치하고서 끼워진다. 이와 같이, 협지간(9)(10)의 스톱퍼부부(11)(11), (12)(12)의 지지연부(11a)(11a), (12a)(12a)는, 돌출부(3)(3), (4)(4)에 앞에서 말한 제1도의 실시예와 같이 협지간(9)(10)의 위치고정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것이다. 제4도에서 선단부를 내향만곡시킨 네임플레이트착설부(22)는 협지간(9)(10)의 대향측변부에 배설한 것이다 이 네임플레이트착설부(22)에 착설하는 네임플레이트(23)는 제5(a)도, 제5(b)도, 제5(c)도, 제5(d)도에 표시됨과 같이 플레이트판(24)은 여러가지의 형상이며, 플레이트판(24)의 하측부에, 삽착홈(25)(25)을 오목하게 형성한 착설부(26)를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착설부(26)의 돌출부(27)(27)가 네임플레이트착설부(22)의 내향함입부(22a)(22a)에 삽입되어서 삽지되게한 것이다. 제4도의 실시예에 표시된 기타의 구조부는 제1도의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같은 구조부에는 같은 부호로 표시하기로 하고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그 작용에 관하여도, 제1도의 실시예로 부터 추정할이 용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함과 같이 중간부에 위치고정부(2)를 동일체로 하고서 배설한 틀체부(1)이므로, 테이프형줄(18)을 권착한 협지간(9)(10)에 강한 인장력이 작용할지라도. 틀체부(1)의 변형이 유발됨을 배제하면서도 틀체부(1)에 대하여는 보강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위치고정부(2)의 양측단부에는 위치고정부(2)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3)(3), (4)(4)배설하였으므로, 테이프형줄(18)이 감겨진 협지간(9)(10)을 틀체부(1) 위로 눕히는 경우에는, 협지간(9)(1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스톱퍼부(11)(12)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스톱퍼홈(11a)(11a), (12a)(12a)이 돌출부(3)(3) (4)(4)에 견고히 끼워지므로, 협지간(9)(10)이 틀체부(1)의 중심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못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틀체부(1)의 위로 위치된 협지간(9)(10)은 강대한 결박압력에서도 불규칙한 요동이 없고 정확한 위치를 잡게되는 것이다. 또 협지간(9)(10)도 위치고정부(2)에 끼워진 다음에는 위치고정부(2)에 의하여 보강되므로, 테이프형줄(18)을 선행고안의 그것보다 강하게 결박하여도, 협지간(9)(10)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져서 틀체부(1)로 부터 아래로 탈출되는 폐단이 배제된다.
뿐만아니라 협지간(9)(10)은 본 고안의 틀체부(1)에 의하여, 그 틀체부(1)위에서 정확한 위치를 보유하므로, 테이트형줄(18)의 변형이 유발될 우려도 없게 된다.
또, 틀체부(1)의 상하부에는 보조핀(16)(17)을 배설하여, 이 보조핀(16)(17)에 테이프형줄(18)의 선단부(19)(19)를 감아 넣어서 테이프형줄(18)의 선단부(19)(19)가 불규칙하게 탄발함을 방지하고 또 테이프형줄(18)이 틀체부(1)에 밀접되는 정도를 향상하며, 테이프형줄(18)의 이완이 없게 하고, 또 태이프형줄의 선단부(19)(19)가 탄발하여 손에 상처를 유발시키는 등의 위험도 방지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착설함이 경편한 네임플레이트(23)를 이용하여 자기회사의 제품선전 또는 슬로오간 등을 임의로히 선정광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틀체의 일측변부에 형성된 구부릴수 있는 연결부(7)(8)를 경유하여 협지간을 연장배설하고 이 연결부(7)(8)에서 구부려서 협지간을 틀체 위에서 눕히는 방식의 하물포장용 결박구에 있어서, 협지간(9)(10)을 끼우고서 고정하는 위치고정부(2)를중간부에 배설한 틀체부(1)를 형성하여, 위치고정부(2)가 협지간(9)(10)을 끼우고서 협지간의 눕혀진 위치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물포장용 결박구.
KR2019790003653U 1979-06-23 1979-06-23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 KR830000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3653U KR830000496Y1 (ko) 1979-06-23 1979-06-23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790003653U KR830000496Y1 (ko) 1979-06-23 1979-06-23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96Y1 true KR830000496Y1 (ko) 1983-04-08

Family

ID=1921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790003653U KR830000496Y1 (ko) 1979-06-23 1979-06-23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4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5404A (en) Cable strap
EP0971845B1 (en) Cable tie
US4272870A (en) Synthetic plastics tie member
EP0329689B1 (en) Fastening means
JPH08712U (ja) クランプ
KR830000496Y1 (ko) 하물포장용 긴체결박구
ES465713A1 (es) Metodo de tensar y fijar un bucle de fleje alrededor de un paquete.
WO1996018554A1 (en) Bundle tie
US4190969A (en) Tension element for a ski boot fastener
JP3184991U (ja) 結束用バンド
JP2982401B2 (ja) 荷物緊帯用ストッパー
JPS5821305Y2 (ja) 帯状ケ−ブルの折曲げ保持具
US3924302A (en) Strap connector buckle
CN214777917U (zh) 一种扎带组件
KR200497464Y1 (ko) 케이블 타이
US3623190A (en) Buckle
JPS643380Y2 (ko)
JP2638453B2 (ja) ケーブル結束材
CN216735613U (zh) 一种锁定可靠的尼龙扎带
CN217010169U (zh) 一种建筑用桥架线缆敷设装置
CN209683608U (zh) 一种防滑扎带
JP3216490U (ja) 埋め込み式導索器用のガード
KR820001444Y1 (ko) 포장용 철대의 결착구
JP2000118554A (ja) 結束具
SU595217A1 (ru) Ленточный по с дл обв зки сжим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