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18B1 -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18B1
KR830000318B1 KR1019790001596A KR790001596A KR830000318B1 KR 830000318 B1 KR830000318 B1 KR 830000318B1 KR 1019790001596 A KR1019790001596 A KR 1019790001596A KR 790001596 A KR790001596 A KR 790001596A KR 830000318 B1 KR830000318 B1 KR 83000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ape
pin
guide rail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이틀러 후랜쯔
마리츠카 거하드
쉬우스터 헤인리치
Original Assignee
미스터. 디 · 제이 · 싹커스
엔 · 브이 ·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스터. 디 · 제이 · 싹커스, 엔 · 브이 ·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filed Critical 미스터. 디 · 제이 · 싹커스
Priority to KR101979000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 2 도는 제1도의 ⅡㅡⅡ선을 따라 정취한 테이프 안내소자중의 하나 및 관련 안내레일에 대한 단면도.
제 3 도는 제2도에 대응하는 부분의 측면도.
제 4 도는 제2도의 ⅣㅡⅣ선을 따라 절취한 다른 테이프안내소자 및 관련안내 레일에 대한 단면도.
제 5 도는 제4도에 대응하고, 또한 제1도에서 화살표 Ⅴ로 도시한 부분의 측면도.
제 6 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Ⅵ로 표시한 위치에서 도시한 제4 및 5도의 안내레일에 대한 측면도.
본 발명은 카셋트내의 2개의 회전 스푸울(spool)상에서 이송되는 자기 테이프상의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테크판과; 케셋트에서의 2개의 스푸울중 한쪽 스푸울을 구동하여 그 스푸울상에 자기테이푸를 감고 다른쪽 스푸울에서는 자기테이프를 풀기 위한 최소한 한개의 구동스핀들과;텍크판상의 카셋트를 적절한 위치에 지지하여 구등해야할 스푸울을 구동스핀들과 동축관계가 되게하는 장치와 ;텍크판에대애 상대적인 회전을 하기위해 지지되는 회전자기기록 재생헤드와; 상기 회전자기 헤드의 회전축과 동축관계로 텍크판에 지지되는 자기테이프용 안내드럼; 그리고 테이프 안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테이프안내장치가 양 스푸울사이에서 카셋트로부터 자기테이푸의 일부를 잡아당겨 이것을 상기 안내드럼의 원통표면상에 배치하고, 이어서 상기 안내드럼의 원통표면의 일부의 둘레에 있는 나선통로에 따라 자기테이프를 안내하여, 상기 회전자기헤드에 의해 그 자기테이프의 세로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신장하는 트랙내에 있는 자기테이프상의 신호를 기록 재생할수 있는 그러항 유형의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면세서에 있어서의 용어“안내드럼”은 별개의 복수 동축부품으로 구성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것으로한다.미합중국 특허 제3660614호의 명세서에 기재돈 이러한 유형의 공지된 장치에서는 기판에 안내구를 혈성하여 자기테이프의 일부를 카셋트로부터 잡아당겨 안내드럼의 표면상에 배치하기 위해 장치되는 테이프안내소자를 위한안내통로를 규정하도록 하고 있다. 테이프 안내소자가 자기테이프를 토로에 따라 적절히 안내하고 또 또 테이프가 카셋트로부터 잡아당겨져 안내드럼의 표면상에 배치될 경우, 테이프 안내소자가 테이프에 불규칙한 힘을 가하는 일이 없고 특히 연부에서 일어나기 쉬운 테이프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것이 특히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테이프 안내소자의 불안정한 운동도 방지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요구는 기판에 형성한 안내구로서는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부적당한 형태로 밖에 대처할수 없었다.
본 발명의 기록 재생장치는 상기 테이프 안내장치가 자기테이프와 계합하는 테이프 안내소자를 구비하는데, 이 테이프 안내소자가 상기 테이프 안내장치의 작동시에 카셋트에서 자기테이프의 일부를 잡아당겨 상기 안내드럼의 원통표면상에 배치하기위해,최소한 부분적으로 만곡되고 또한 텍크판상에 설치한 안내 레일로써 규정되는 안내통로에 따라 이등하며, 상기 테이프안내소자를 상기 안내레일에 따라 이동되는 지지부재상에 배치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 스핀들의 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부터의 상기 안내통로의 거리를 그 안내 통로길이의 최소한 일부에 걸쳐 적절히 변화시켜 이 일부에 있어서 안내통로가 텍크판에 대해 비스듬히 신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테이프 안내소자의 상기 지지부재가 U자형 단면의 중행대를 구비하며, 그 주행대가 중앙부분에서 연합하고 또한 상기 안내레일의 양측에 배치하는 2개의 측부를 가지게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행대의 2개의 측부를 한쪽내에서 돌출시킨 2개의 핀을 상기 안내레일의 인접측부에 있어서의 안내홈에 미끄러질 수 있게 계합하고 상기 안내홈을 상기 안내레일의 세로방향으로 신장하게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행대의 상기 2개의 측부의 한쪽 내측에서 돌출시킨 2개의 핀을 상기 안내레일의 인접측부에 있어서의 한 개의 안내홈에 미끄러질 수 있게 계합하고 상기 안내홈을 상기 안내레일의 인접측부에 세로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상기 2개의 핀을 상기 안내레일에 따른 상기 주행대의 이동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띄우며, 상기 주형대의 다른쪽 측부의 내측으로부터 돌출시킨 단일핀을 상기 안내레일의 인접측부에 있어서의 안내홈에 미끄러질 수 있게 계합하고 그 안내홈도 그 안내홈도 상기 안내레일의 세로방향으로 신장하며 또한 상기 단일핀을 상기 2개의 핀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에 배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행대의 상기 2개의 측부의 한쪽 내측으로부터 돌출시킨 2개의 핀을 상기 안내레일의 인접측부에 있어서의 2개의 평행안내홈에 미끄러질수 있게 계합하고, 상기 안내홈을 상기 안내레일의 세로방향으로 신장하며 또한 상기 2개의 핀을 상기 안내레일에 따른 상기 주행대의 이동방향에서 서로 간격을 띄우며, 상기 주행대의 다른쪽 측부의 내측으로 부터 돌출시킨 단일핀을 상기 안내 레일의 인접측부에 있어서의 안내홈에 미끄러질수 있게 게합하고, 그 안내홈도 상기 안내레일의 세로 방향으로 신장하며, 또한 상기 단일핀을 상기 2개의 핀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에 배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내홈과 게합하는 각 핀의 게합단을 구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내홈과 게합하는 각 핀의 게합단을 구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핀을 나사부착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주형대의 대응측부에 적절히 연결하여 핀이 대응측부에서 돌출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의 한 예로서 비데오 래코디를 도시하며, 텍크판(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위에는 평행한 축(4a) 및(5a)의 둘레에서 제각기 회전할 수 있는 2개의 스푸울(4) 및 (5)상에 권취한 자기테이프(3)을 포함한 카셋트(2)를 배치한다. 이들 스푸울(4,5)에는 플랜지를 형성하든가 또한 형성하지 않도록 할수가 있다. 작등중에 테이프(2)은 한쪽 스푸울에서 공급되어 다른쪽 스푸울로 권취된다. 카셋트(2)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카셋트(2)내에 있는 2개의 알내로울러(6) 및 (7)사이에서 연장되는 테이프(3)의 부분은 제1도에 있어서 접선(3a)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셋트하우징내의 개구(8)을 횡한다.테이프(3)의 이 부분은 카셋트 2로부터 잡아당겨서 텍크판(1)위에 부착한 안내드럼(9)의 원통표면상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작동시에는 이원통표면에서의 안내드럼(9)과 동축관계이며, 또한 덱크판(1)에 대한 회전을 위해서 지지한 회전자가 해드(도시치 않음)는 테이프(2)과 상호 동작한다. 테이프(3)를 카셋트(2)로부터 잡아당겨 안내드럼(9)의 표면상에 배치하기 위해 핀(10)및 (11)형태의 2개의 테이프안내소자를 장치하며, 이들 테이프 안내핀(10)및 (11)은 제각기 정치위치로부터 관련 안내통로를 따라 작동위치로 이동할 수가 있는데, 이 정지위치에서 핀(10)및(11)은 카셋트 하우징내의 개구(8)의 장소에 있어서 테이프(3)의 뒤에서 연장한다. 제1도에서는 이를 2개의 테이프 안내핀(10)및 (11)은 작동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ㅅㄹ선으로 도시하고 정지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파선으로 도시한다. 카셋트(2)로부터 뽑아내서 안내드럼(9)의 표면상에 배치한 테이프(3)의 부분도 실선으로 도시한다. 테이프 안내핀(10)및 (11) 이 작동위치에 있을 경우 테이프(3)은 카셋트(2)의 안내로울러(6)로부터 테이프 안내핀(10)을 주회하고 소거헤드(12)를 통과하며 안내드럼(9)및 회전 자기헤드의 둘레을 통과하고,테이프 구동캡스턴(13)및 재생헤드(14)를 통과하며 테이프 안내핀(11)을 주회하고, 안내핀(15)를 경유하여 카셋트(2)의 안내로울러로(7)에 싱장한다.테이프(3)을 구동하기 위해 가압로울러(16)는 테이프(3)을 캡스턴(13)에 가압한다. 그위에서 테이프(3)을 권취해야할 스푸울을 구동하기 우해 구동스핀들(도시치 않음)을 장치한다. 텍크판(1)상에서 이 스푸울이 구동스핀들과 도축상태로 되는 위치에 카셋트 (2)를 지지하기 위해 도시치 않은 장치르르 설치한다.
안내드럼(9),캡스턴(13),재생대드(14),테이프 안내핀(11)및 안내핀(15)를 덱크판(1)에 헤해 적절히 경사상태로 배치하여, 테이프(3)이 안내드럼(9)의 원통표면의 일부분의 둘레의 나선통로를 따라 주행하며, 이어서 카셋트 (2)내로 복귀하도록 한다. 테이프 안내핀(10)에 대한 안내통로는 덱크판(1)에 평행으로 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테이프(3)을 카셋트(2)로 부터 덱크판(1)에 평행한 방향에서 안내드럼(9)로 주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테이프안내핀은 정지위치에서덱크판(1)에 대해 경사진 통로에 따라 작동위치로 안내할 필요가 있는데,그 이유는 테이프(3)이 덱크판(1)에 대해 경사진 방향에서 안내드럼(9)로 주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테이프 안내핀은 정지위치에서 덱크판(1)에 대해 경사진 통로에 따라 작동위치로 안내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테이프(3)이 덱크판(1)에 대해 경사진 방향에서 안내드럼(9)를 이탈하여 테이프 안내핀(11)의 둘래를 통과한 후 카셋트(2)의 방향으로 점차 상승 이동하기 때문이다.또한 테이프 안내핀(11)에 대한 안내통로는 그 세로축 주위에서 적절히 비틀어져 테이프 안내핀(11)이 안내통로에 따라 이동할때 한쪽으로 경사지게 한다. 제1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테이프안내핀(10)및 (11)을 위한 안내통로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만곡되고 또한 부분적으로 안내드럼(9)의 둘레에서 연장하도록 한다.
안내핀(10)및 (11)을 위한 안내통로는 나사(17A)및(18A)로써 덱크판(1)에 고정한 안내레일(17)및(18)에 의해 규정한다. 테이프 안내핀(10)및(11)은 레일(17)및(18)에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주형대(19)및(20)으로 구성한 지지부재에 의해 이송된다. 주형테(19)는 피봇아암(21)에 의하여 이동되며,이피봇 이암 (21)은 덱크판(1)의 아래에 배치하고 또한 주행대 (19)로부터 하방향으로 신장하는 핀(23)과 게합하는 구(22)를 가지며, 이 핀(23)은 안내레일(17)에 인접한 덱크판(1)내에 형성된 구(24)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주형대(20)은 피봇아암(25)에 의하여 이동되며, 이 피봇아암(25)는 주행대(20)으로부터 하발향으로 신장하는 핀(27)과 게합하는 구 (26)을 가지며, 이 핀(27)은 안내레일 (18)에 인접한 덱크판(11)내에 형성된 구 (28)내에서 이등될 수 있다.
주형대(19)및(20)은 피봇아암(21)및(25)를 회전시키므로써 각각 안내레일 (19)및(18)을 따라 이등된다. 이와는 달리 이들 주행대는 도시한 것과는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케이블에 의해서 이등시킬 수도 있다.
제2 및 3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테이프 안내핀(10)의 주형대(19)는 U자형 단면을 가지며, 또한 중앙부에서 연합하여 안내레일(17)의 양쪽에서 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부(29)및 (30)을 구비하며, 안내레일(17)은 장방형 단면을 가진다. 안내레일 (17)은 그 양쪽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31)및(32)를 가지며 주형대(19)는 측부(29)및 (30)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핀이 이들 안내홈(31) 및 (32)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계합하도록 한다. 본 예에서는 2개의 핀(33) 및 (34)가 측부(29)로부터 안내홈(31)내로 신장하는 한편, 한개의 핀(35)가 측부(30)로부터 안내홈(32) 내로 신장한다.
측부(29)로부터 신장하는 핀(33) 및 (34)의 안내레일(17)을 따른 주행대(19)의 이동방향에서 서로 간격이 생기며 측부(30)에 연결하는 핀(35)는 2개의 핀(33) 및 (34)의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에 배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행대(19)에 대한 3점 안내구조가 얻어지며, 이에 의해 주행대(19)는 안내레일에 따라 완전히 안내되어진다. 핀(33),(34) 및 (35)는 나사 부착연결부재에 의하여 주행대(19)는 안내레일에 따라 완전히 안내되어진다. 핀(33),(34) 및 (35)는 나사 부착연결부재에 의하여 주행대 (19)의 측부(29) 및 (30)에 적절히 연결하여 각핀의 자유단으로부터 각 측부(29) 또는 (30)까지의 거리 따라서 각 핀의 각 안내홈(31) 또는 (32)으로의 관통깊이를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핀(33), (34) 및 (35)의 자유단이 각 안내홈의 바닥과 접촉할 경우에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더우기, 주행대(19)의 측부(29) 및 (30)과 안내레일(17)과의 사이, 그리고 핀(33),(34),(35)와 안내홈(31) 및 (32)의 벽부와의 사이의 틈새를 안내레일(17)의 곡률에 적절히 적합시켜 주행대(19)를 안내레일(17)의 곡률에 적절히 적합시켜 주행대(19)를 안내레일(17)에 따라 우너만하고 균일한 형태로 이동되도록 한다. 필요하다면, 주행대(19)의 측부(29) 및 (30)의 형상도 안내레일 (17)의 곡률에 적합시킬 수 있다.
측부(29) 및 (30)은 주행대(19)의 전체길이에 연장할 필요는 없으며 측부 (30)은 이것에 핀(35)를 연결하는데 충분한 폭을 가지는 좁은 부분으로 구성할 수가 있고, 측부(29)는 2개의 그러한 좁은 부분에 분할해서 핀(33) 및 (34)를 각기 연결할 수 있도록 할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테이프 안내핀(11)의 주행대(20)은 정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적절히 이동하며, 구동 스핀들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과 안내통로간의 거리가 변화하도록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테이프 안내핀(11)이 작동위치로 도달했을 경우 이 핀 (11)이 안내드럼(9)에서 멀어져가는 방향으로 적절히 경사되어 핀(11)이 테이프(3)을 안내하기 위해 텍크판(1)에 대해 경사진 교정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상 주행대(20)은 안내레일(18)에 따라 주행할 때 경사운동을 행하도록할 필요가 있다.
이 경사운동은 안내레일(18)내의 안내구에 의해 규정되는 안내통로의 형태를 통하여 달성되는데, 아래에서 이것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4,5 및 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U자형 단면을 가지는 안내레일(18)의 덱크판 (1)에 대한 높이는 제1도에서 화살표 Ⅵ로 도시한 곳으로부터 제4도에 단면으로 도시한 곳으로 감소한다. 주행대(20)은 U자형 단면을 가지며, 또한 안내레일(18)의 양쪽에 한개씩 배치하는 측부(36) 및 (37)을 구비한다.
측부(36)의 내측에서 핀(39)를 돌출시켜 이 핀(39)가 안내레일(18)의 인접측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신장하는 안내홈(38)에 미끄러질 수 있게 계합하도록 한다. 측부 (37)의 내측 2개의 핀(42) 및 (43)을 돌출시켜 또한 안내레일(18)의 인접측부에서 각각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신장하는 2개의 안내홈(40) 및 (41)에 제각기 미끄러질 수 있게 계합시킨다. 2개의 핀(42) 및 (43)을 안내레일(18)을 따른 주행대(20)의 이동방향에서 서로 간격이 생기게 하며, 또한 안내레일(18)에 대해 2개의 안내홈(40) 및 (41)의 사디의 간격에 적합한 다른 높이로 배치한다. 핀(39)는 핀(42) 및 (43)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에 배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행대(20)에 대해 특히 고신뢰성의 3점 안내구조가 얻어지며 또한 이 구조에 있어서도 주행대(20)을 한쪽에 경사시킬 수가 있다. 안내레일(18)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카셋트(2)에서 본 안내홈(40)(41) 및 (38)도 덱크판(1)에 대해 하강경사를 가지므로 주행대(20)이 테이프 안내핀(11)의 작동위치로 이동할 때에 요구되는 서서히 행해지는 하강, 즉 완만한 하강이 달성된다. 그러나 안내홈(38)은 안내홈(40) 및 (41)과 비교하여 작은 하강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제6도 및 제4도에서 명백하며, 제6도에서는 안내홈(38)이 안내홈(41)의 높이에 가까운 높이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4도에서는 안내홈(38)이 안내홈(40) 및 (41)의 거의 중간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주행대(20)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안내레일(18)의 세로방향으로 신장하는 축 주위에서 기울어지며, 따라서 테이프안내핀 (11)은 정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전할 때 안내드럽(9)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운동을 하며 이 경사운동이 적절히 행해지므로 테이프(3)이 카셋트(2)로부터 뽑아내져 안내드럽상에 극히 조용하게 배치되며, 변형되는 일이 없다. 테이프 안내핀(11)에 대한 안내통로를 규정하는 안내레일(18)의 안내홈은 테이프 안내핀(11)에 대해 임의의 소정의 운동을 행하게 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가 있다.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핀 (39), (42) 및 (43)도 나사부착 연결부재에 의해 측부(36) 및 (37)에 고정되어 이들 핀이 대응 안내홈으로 관통한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한다. 첫번째 예에서는 각 안내핀의 자유단을 구형태로 하여 주행대(20)의 경사운동에도 불구하고 주행대(20)가 안내레일(18)에 따라 균일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주행대(19)의 핀(33), (34) 및 (35)의 자유단도 구형태로 할수가 있다. 주행대 (20)의 측부(36) 및 (37)과 안내레일(18)과의 사이, 그리고 핀(39), (42) 및 (43)과 안내홈(38), (40) 및 (41) 사이의 틈새를 안내레일(18)의 곡률에 알맞게하여 주행대 (20)을 안내레일(18)에 따라 원만하고 균일한 형태로 이동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안내홈의 깊이를 변경하여 모든 경우에 신뢰성있는 3점안내 구조를 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안내레일(18)내의 안내홈은 비교적 복잡한 형태를 가지므로, 안내레일(18)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하여 원하는 형상의 안내홈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도록 할수 있다. 또한 안내홈의 단면형상을 관련요건에 적합시킬 수도 있고 예를들어 안내홈을 대형 (사다리꼴) 단면형상으로 할수가 있다.
부착나사(17A) 및 (18A)에 의해 안내레일(17) 및 (18)을 덱크판(1)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는 형태로 조절하든가,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안내레일로 교환할 수도 있다.

Claims (1)

  1. 덱크판과, 텍크판상의 안내드럽과, 카셋트로 부더 테이프를 인출하여 테이프를 안내드럽의 원주면상의 통로를 따라 안내하는 테이프 안내핀을 구비한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만곡되어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안내레일(17, 18)을 덱크판상에 설치하고, 중앙부에 안내핀이 고착된 두 축부를 가진 U자형 단면의 주행대(19,20)를 안내통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하며, 주행대의 축부와 안내레일의 축부간에서 상호 계합하여 안내레일에 대한 주행에의 위치 설정을 행하는 핀(33,34,35,99,42,43)을 주행대의 축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KR1019790001596A 1979-05-17 1979-05-17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KR83000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596A KR830000318B1 (ko) 1979-05-17 1979-05-17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596A KR830000318B1 (ko) 1979-05-17 1979-05-17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18B1 true KR830000318B1 (ko) 1983-03-02

Family

ID=1921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596A KR830000318B1 (ko) 1979-05-17 1979-05-17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1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325B1 (ko) 테이프 로딩장치
JPS5922306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348094B2 (ko)
JPH0142837Y2 (ko)
AU568131B2 (en) Magnetic tape loading device
KR860000638A (ko)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
US3669455A (en) Tape recording device
RU95115539A (ru) Лентопротяжный механизм устройства магнитной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KR830000318B1 (ko) 기록재생장치용의 테이프 안내장치
US4841392A (en) Tape loading apparatus having a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guide roller holder arm
KR860007652A (ko) 자기 기록 재생장치
US495116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860000856B1 (ko) 테이프 로우딩장치
KR960042607A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데크 메카니즘
US4964002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pair of skew guide blocks
JPH0210502B2 (ko)
EP0326369A3 (en)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437320Y2 (ko)
JPH0725881Y2 (ja) テ−プロ−ディング装置
KR100708099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장력 조절장치
JPH0356897Y2 (ko)
JPH042438Y2 (ko)
KR940004537Y1 (ko) Vcr의 테이프 주행 안내장치
KR870000599Y1 (ko) Vtr의 텐션암 구동장치
KR890003493B1 (ko)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