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70A -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 Google Patents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70A
KR830000270A KR1019780001185A KR780001185A KR830000270A KR 830000270 A KR830000270 A KR 830000270A KR 1019780001185 A KR1019780001185 A KR 1019780001185A KR 780001185 A KR780001185 A KR 780001185A KR 830000270 A KR830000270 A KR 830000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rewing method
ratio
paragraph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8000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696B1 (ko
Inventor
마사히사 다게다
Original Assignee
오사베 분지로오
오오제기 슈우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베 분지로오, 오오제기 슈우조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사베 분지로오
Priority to KR101978000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696B1/ko
Publication of KR83000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696B1/ko

Links

Landscapes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1)

  1. (1) 현미 및 또는 정미 비율 70% 이상의 정미에 의하여 생기는 미강성분을 필수성분으로 하는 전분질 원료를 증숙하고, 당화효소계 효소제로 당화하여 효모에 의하여 알코올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2) 당해 전분질 원료가 현미 및 또는 정미비율 90% 이상의 정미에 의하여 생기는 미강을 필수성분으로 하는 전기한 제(1)항의 양조법.
    (3) 당해 전분질 원료로서 현미를 사용하는 전기한 제(2)항의 양조법.
    (4) 당해 전분질 원료로서 현미와 정미비율 70% 이상의 정미에 의하여 생기는 미강을 사용하는 제(2)항의 양조법.
    (5) 당해 전분질 원료로서 현미와 정미비율 90% 이상의 조정백미를 사용하는 전기한 제(2)항의 양조법.
    (6) 당해 전분질 원료로서 현미와 정미비율 90% 이하의 정백미를 사용하는 전기한 제(2)항의 양조법.
    (7) 당해 전분질 원료로서 현미, 정미비율 90% 이하의 정백미 및 정미비율 70% 이상의 정미에 의하여 생기는 미강을 사용하는 전기한 제(2)항의 양조법.
    (8) 당해 전분질 원료로서 정미비율 90% 이상의 정미에 의하여 생기는 미강과 정미비율 90% 이상의 조정백미를 사용하는 전기한 제(2)항의 양조법.
    (9) 당해 전분질 원료로서 정미비율 90%이상의 정미에 의하여 생기는 미강과 정미비율 90% 이하의 정백미를 사용하는 전기한 제(2)항의 양조법.
    (10) 당해 전분질 원료로서 정미비율 90% 이상의 정미에 의하여 생기는 미강과 정미비율 80~70%의 정미에 의하여 생기는 미강을 사용하는 전기한 제(2)항의 양조법.
    (11) 유기산을 첨가하여 알코올 발효를 얻게 하는 전기한 제(1)항~제(10)항의 어느 것이든지의 양조법.
    (12) 당해 유기산이 젖산인 전기한 제(11)항의 양조법.
    (13) 효소제가 리조푸스속(Rhizopus), 아스페르길루스속(Aspergillus), 엔도미세스속(Endomyces) 및 바칠루스·쓰프틸리스(Bacillus subtilis)에서 선정되는 미생물이 생성하는 당화효소를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프로테아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제인 전기한 제(1)항~제(12)항의 어느 것이든지의 양조법.
    (14) 50~65℃로 8~24시간 당화를 행하여 단행형의 발효를 시키는 전기한 제(1)항~제(13)항의 어느 것이든지의 양조법.
    (15) 전분질 원료와 효소제를 수차에 분할하여 사입하는데, 1차 사입분을 50~65℃로 8~24시간 당화한 후 순차로 다음의 사입분을 가하여 병행형의 발효를 시키는 전기한 제(1)항~제(13)항의 어느 것이든지의 양조법.
    (16) 곡미를 병용하는 전기한 제(1)항~제(15)항의 어느 것이든지의 양조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780001185A 1978-04-21 1978-04-21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KR83000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185A KR830002696B1 (ko) 1978-04-21 1978-04-21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1185A KR830002696B1 (ko) 1978-04-21 1978-04-21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70A true KR830000270A (ko) 1983-03-30
KR830002696B1 KR830002696B1 (ko) 1983-12-08

Family

ID=7293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1185A KR830002696B1 (ko) 1978-04-21 1978-04-21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6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696B1 (ko) 198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a et al. Cellulase production by solid state fermentation on lignocellulosic waste from the xylose industry
US5231017A (en) Process for producing ethanol
US4514496A (en) Process for producing alcohol by fermentation without cooking
Kłosowski et al. Characterisation of fermentation of high-gravity maize mashes with the application of pullulanase, proteolytic enzymes and enzymes degrading non-starch polysaccharides
US8697425B2 (en) Composite yeast suitable for high concentration alcohol fermentation
US1085867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pagating microorganisms on stillage compositions
JPS6239994B2 (ko)
GB2077291B (en) Coimmobilisates from fermentable yeasts with coupled enzymes as well as their production and use
EP0788551A1 (en) A method for improved raw material utilization in fermentation processes
KR101834112B1 (ko) 기능성 맥주의 제조방법
KR100699431B1 (ko) 말토제닉 아밀라아제를 이용한 주류 제조방법
KR830000270A (ko) 알코올성 음료의 양조법
Adegunloye et al. Effect of fermentation on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peels of cocoyam using Aspergillus niger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AP2000001891A0 (en) Application of lipase in brewing.
KR20110027021A (ko) 맥주발효 폐 상등액의 동시당화 발효공정에 의한 바이오 에탄올의 생산방법
US2289808A (en) Production of alcohol
Ogden et al. A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which grows efficiently on starch
CA1108077A (en) High potency glucamylase and alapha amylase enzyme system by cultivation of aspergillus niger
Boruff et al. The fermentation industry during world war II
KR850007197A (ko) 저칼로리 알콜음료의 제조방법
WO1987004465A1 (en) Process for the fermentation of starch containing materials
Lee Evaluation of saccharifying methods for alcoholic fermentation of starchy substrates
Shamala et al. Use of wheat bran as a nutritive supplement for the production of ethanol by Zymomonas mobilis
JPS5729284A (en) Alkaline alcoholic drink of adlay and its preparation
Kotarska et al. Characterization of technological features of dry yeast (strain I-7-43) preparation, product of electrofusion between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accharomyces diastaticus, in industrial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