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62Y1 - Fluid-acting frontal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Fluid-acting frontal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62Y1
KR830000262Y1 KR2019820009724U KR820009724U KR830000262Y1 KR 830000262 Y1 KR830000262 Y1 KR 830000262Y1 KR 2019820009724 U KR2019820009724 U KR 2019820009724U KR 820009724 U KR820009724 U KR 820009724U KR 830000262 Y1 KR830000262 Y1 KR 830000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al
housing
motor
wa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7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더어윈 티이그 쥬니어 윌터
티이 셈플라이너 아아서어
Original Assignee
더어윈 티이그 쥬니어 윌터
티이 셈플라이너 아아서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어윈 티이그 쥬니어 윌터, 티이 셈플라이너 아아서어 filed Critical 더어윈 티이그 쥬니어 윌터
Priority to KR2019820009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62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4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oscill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유체 작동식 전두 운동 기구Fluid-acting frontal exercise equipment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력식 전두 운동 기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aulic frontal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 기구의 전두 파우어헤드의 부분 확대정면도.2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of the frontal power head of the FIG. 1 instrument.

제3도는 제2도의 파우어헤드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owder head of FIG.

제4도는 제3도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along line 4-4 of FIG.

제5도-제7도는 제2도의 파우어헤드의 여러 개조예들을 나타내는 제4도와 유사한 단면도.5-7 are cross-sectional views similar to FIG. 4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owerhead of FIG.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라 만들어진 궤도형 습식 샌더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bital wet sander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제8도의 습식 샌더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t sander of FIG.

본 고안은 유체 작동식 전두(轉頭) 운동(nutating action)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fluid operated nutating action mechanism.

수력식 작동 기구들은 원리면에서 이미 알려져 있고, 종래 기술은 그러한 장치의 많은 예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수력식 기구는 수력식 모우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세척솔(scrubbing brush) 등을 가지고 있다. 적극 베기 터어빈형 모우터가 제안되었고, 또한 작업기구의 작동을 보조하기 위해 그 기구를 통과하여 배출수의 약간 또는 전부를 배출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수력구동식 기구를 위한 수많은 종래 기술의 제안에도 불구하고, 그들 어느것도 작은 휴대식 가정용 기구를 위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몇몇 경우에, 작은 수력식 모우터는 작업에 부적당하다. 다른 예에서, 모우터는 심히 복잡하고 값이 비싸며 크기나 중량이 부적당하게 크다.Hydraulic actuation mechanisms are already known in principle, and the prior art includes many examples of such devices. Such hydraulic instruments have scrubbing brushes or the like, which are rotationally driven by hydraulic motors. An aggressive weaving turbine type motor has been proposed, and it has also been proposed to discharge some or all of the effluent through the tool to assist in the operation of the tool. Despite the numerous prior art proposals for hydraulically driven appliances, none of them have been satisfactory for small portable household appliances. In some cases, small hydraulic motors are inadequate for the job. In another example, the motor is extremely complex, expensive, and inappropriately large in size or weight.

따라서, 본 고안의 근본적인 목적은, 매우 경제적인 구조로 되어 있고 작고 가벼우며 휴대 사용에 적당하고, 허용가능한 수준의 동력소비와 허용 가능한 효율로 작동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수력식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 fundament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and improved hydraulic apparatus which is of very economical structure, is small and light, suitable for portable use, and operates at an acceptable level of power consumption and acceptable efficiency.

본 고안의 특징들 중 하나에 따라, 신규하고 독특한 방식으로 건두운동 모우터를 이용하고 기구 하우징내 내장되어 가정의 수원으로 부터의 물과 같은 유체의 흐름에 의해 구동되는 유체구동식 작동기구가 제공된다. 전두 모우터 그 자체는 본 기술에 잘 알려져 있고, 예를들어 수량제 구동시 그러한 목적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그러한 모우터에 대한 대표적인 몇몇 특허된 기술은 다음과 같다. 즉, "바셋트"의 미합중국 특허 제2,174,306호, "프로브스트"의 제2,253,306호, "바셋트"의 제2,294,825호, "트래프" 등이 제2,921,468호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의 전두운동 모우터는 수량계와 같은 비교적 낮은 동력 장치에 사용된다. 그러나, "벨"의 미합중국특허 제686,686호가 비교적 강력한 장치에 이용되는 그러한 모우터의 일례이다.In accordance with 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id-driven implement that uses a head movement motor in a novel and unique manner and is built into the instrument housing and driven by the flow of a fluid, such as water from a domestic water source. do. The frontal motor itself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is widely used for that purpose, for example when driving a water meter. Some representative patented technologies for such motors are as follows. That is, US Pat. Nos. 2,174,306 to "Bassett", 2,253,306 to "Probst", 2,294,825 to "Basset", "Trap", and the like, are 2,921,468. Most commonly, prior art frontal motion motors are used in relatively low power devices such as water meters. However, US patent 686,686 to "Bell" is an example of such a motor used in relatively powerful devices.

이제까지 알려진 구조에 따라, 전두 운동 모우터 장치는 물 인입 및 배출 설비를 가지고 있고, 구체(球體)상에 장착된 요동판 또는 디스크를 내장하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그 구체는 어떤 각(角) 한계 내에서 하우징에 대해 자유자재하게 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그 구체로부터 축 또는 봉이 요동판의 중앙을 지나 연장하는 축을 따라 그에 직각으로 연장하여 있다. 그 요동판은 일측부상에 슬로트를 가지고 있고 하우징을 분할하는 분리판에 걸쳐 있으며 그 하우징내에 요동판이 내장되어 있다. 그 전두장치의 정규 작동에서, 물은 분할판의 일측부의 하우징에 들어가 하우징 주위 원형통로에서 주행하고 분할판의 반대측부상의 출구를 통해 나온다.According to a structure so far known, the frontal motion motor device has a water inlet and outlet facility and includes a housing containing a rocking plate or disk mounted on a sphere. The sphere is mounted so as to be able to move freely with respect to the housing within a certain angle limit and extends perpendicularly from the sphere along an axis extending beyond the center of the rocking plate. The swinging plate has a slot on one side and spans the separating plate dividing the housing, and the swinging plate is embedded in the housing. In normal operation of the frontal device, water enters the housing of one side of the divider and travels in a circular passage around the housing and exits through an outle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vider.

요동판은 그의 축에 계합하여 있는 회전축 부재에 의해 경사진 위치에 보지되어 있다. 그리하여, 믈이 하우징내로 들어가고 하우징 주위를 지나 배출구에 도달할 때, 물은 경사진 요동판에 압박된다. 요등판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계속된 물의 흐름의 결과로 경사각이 점차 변한다. 회전 출력은 경사진 축을 적당한 크랭크를 통해 회전축에 연결함에 의해 얻어진다. 그리하여, 요동판의 축이 자체 회전하지 않을 지라도 요동판의 경사각의 점진적인 변경으로 축이 궤도운동을 수행케하며, 이것은,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고정축상에 축지된 축으로 부터 회전 출력을얻는데 이용된다.The swinging plate is held at a position inclined by the rotating shaft member engaged with its axis. Thus, when the melt enters the housing and passes around the housing to reach the outlet, water is pressed against the inclined rocking plate. Since the ramp is unable to rotate, the angle of inclination gradually changes as a result of the continued flow of water. Rotational output is obtained by connecting the inclined axis to the rotational axis via a suitable crank. Thus, even if the axis of the oscillating plate does not rotate itself, the axis undergoes orbital motion with a gradual change of the tilt angle of the oscillating plate, which is used to obtain rotational output from an axis axially fixed on the fixed axis in the prior art device .

본 고안에 따라, 전두 운동 모우터를 이용하고 작업기구를 전두판 또는 디스크의축에 직접 구동적으로 연결하여 작업 기구자체가 전두궤도 운동으로 작동케하여 독특한 잇점이 얻어진다. 솔(brush)과 같은 작업기구를 그 축에 직접 연결함에 의해, 기구로 부터 부품의수를 줄여 제조 및 조립가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작동이 보다 신뢰성이 있고 유지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advantage is obtained by using the frontal motion motor and directly connecting the work tool to the axis of the frontal plate or disc so that the work tool itself operates in the frontal orbital motion. By directly connecting a work tool such as a brush to its ax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from the tool, reducing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costs, as well as mak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more reliable and easier to maintain. .

본 고안의 일 특징으로서, 솔, 샌더(sander), 버퍼(buffer) 등과 같은 작업기구는 전두 디스크의 고정부분을 형성하는 축상에 직접 장착된다. 따라서, 본 기구의 작동에서, 작업기구는 일정하게 변하는 경사각으로 궤도운동을 한다. 그러나, 그 작업 기구는 그의 장착축의 축 주위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이것은, 본 기구의 보지 및 사용을 용이하게하는 매우 바람직한 형태의 동작을 제공한다.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ork tools such as soles, sanders, buffers, and the like are mounted directly on an axis that forms a fixed portion of the frontal disk. Therefore, in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mechanism, the work mechanism makes orbital movement at a constantly varying inclination angle. However, the work mechanism does not rotate around the axis of its mounting shaft. This provides a highly desirable form of operation that facilitates holding and use of the device.

본 고안의 다른 주요 특징에 따라, 작업기구(샌터, 브러시 또는 새정기구)는 횡축으로 구부러지기 쉬운 지지 수단에 의해 모우터 하우징에 대해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지지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지지수단이 판과 작업기구를 상호 연결하는 고무 장화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장화구조는 정규작동 압력시 모우터 장착판에 대한 작업기구의 접힘을 방지하도록 압박에 충분히 강직하고 또한, 작업기구의 평면상에서의 그 작업기구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횡방향으로 충분히 탄력적이다. 물론, 예를들면 고무 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다른 지지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축은 장화구조물내에서 모우터 하우징으로 부터 연장하고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에 의해 작업기구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요동판(wobble plate)의 전두 운동으로 축이 유니버설 조인트 수단에 의해 작업기구에 전달되는 궤도 운동 방식으로 운동하게 한다. 횡으로 구부러지기쉬운 지지수단은 작업기구가 궤도 운동하도록 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tool (sitter, brush or purge tool) is supported apart at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motor housing by a support means that is easy to bend in the transverse axis. In a preferr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ans has a rubber boot structure that interconnects the plate and the work tool. The boot structure is sufficiently rigid to press to prevent folding of the work tool against the motor mounting plate under normal operating pressure and is sufficiently resilient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allow movement of the work tool on the plane of the work tool. Of course, other supporting means such as, for example, rubber or coil springs may be used. The shaft extends from the motor housing in the boot structure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ork tool by universal joint means. The frontal motion of the wobble plate causes the axis to move in an orbital manner transmitted to the work tool by means of universal joint mean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means that are easily bent laterally bend so that the work tool moves in orbit.

가장 단순한 형태에서, 본 고안의 전두운동기구는 작업기구가 직접 장착된 전두 디스크인 단일의 운동부분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In its simplest form, the frontal locomotiv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a single moving part, a frontal disk with a work tool mounted directly.

본 고안의 몇몇형태에서, 물의 일부분을 전환시키고 작업 기구를 통해 연속적 또는 간헐적 방식으로 배출하여 작업 기구의 작동을 증진시키도록하는 설비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하여, 작업 기구가 세척솔 일때, 그의 세척작용을 돕기위해 솔을 통해 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배출하는 것이 유익할 수도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 솔을 통해 물을 배출시키는 구상은 잘알려져 있고, 그의 많은 예들이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라, 물의 배출을 달성하기 위한 독특하고 간단한 설비가 제공된다. 그 설비는 중앙 구체를 통해 연장하는 중공(中空)축을 가진 전두 부재의 설치를 포함한다.In som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sion may be made for diverting a portion of the water and discharging it in a continuous or intermittent manner through the work tool to enhance operation of the work tool. Thus, when the work tool is a cleaning brush, it may be beneficial to drain some or all of the water through the brush to assist with its cleaning action. Of course, in general, the idea of draining water through a brush is well known, and many examples thereof are known in the art.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nique and simple facility for achieving the discharge of water is provided. The installation includes the installation of a frontal member having a hollow shaft extending through the central sphere.

그 중공 축의 개방 단부는 소망의 흐름을 제공하도록 물공급관의 일측과 연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몇몇 개조예에서, 그 중공축은 플리넘 체임버(plenum chamber)와 연통하여 배치되고 그리하여 물의 흐름이 일정하게 한다. 다른 형태에서, 물은 제한된 회전 주기 부분에서 중공 축과 연통하여 배출구에서 간헐적인 배출을 행하게 한다.The open end of the hollow shaft is arranged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to provide the desired flow. In some variations of the invention, the hollow shaft is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lenum chamber and thus the water flow is constant. In another form, the water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shaft in a limited rotational cycle portion to effect intermittent discharge at the outlet.

본 고안의 다른 기본 목적에 따라, 판매량이 높은 가정용 기구로 상품화하는데 적당하도록 저렴하고 대량생산에 적당한 전두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그 기구는 가볍고 내구적이므로 만들어진다. 이 목적을 위해 그 기구는 비용이 많이 드는 기계가공이나 다른 가공공정을 요하지 않고 생(生) 성형(as-mold)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 정밀하게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 대개 만들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bas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ontal exercise device that is inexpensive and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so as to be suitable for commercialization into a high sales household appliance. It is also made because it is light and durable. For this purpose, the apparatus is usually made of precisely molded plastic parts that can be used as-mold without the need for costly machining or other machining processes.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 및 특징, 잇점들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 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제4도에서, 번호(10), (11)은 모우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부분을 나타낸다. 그 하우징부분은 성형된 플라스틱구조로 되는 것이 유익하고 중앙선(12)를 따라 접합되어 밀폐 체임버(13)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체임버(13)은 활모양의 측벽(14)를 가진 회전체이며, 그 궁형의 곡면 중심은 회전축을 따라 중앙점(15)이 있다. 체임버의 상하부 벽(16), (17)은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대향하는 상하부 체임버 벽(16), (17)이 회전축에 수직인 중심점(15)를 지나는 면에 대칭으로 예를들어 40도의 사잇각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1 to 4, numerals 10 and 11 denot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tor housing. The housing portion advantageously has a molded plastic construction and is joined along the center line 12 to form a hermetically sealed chamber 13. In general, the chamber 13 is a rotating body having a bow-shaped side wall 14, the arcuate curved center of which has a central point 15 along the axis of rotation. The upper and lower walls 16 and 17 of the chamber are conical, with the opposite upper and lower chamber walls 16 and 17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15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for example, a 40 degree angle. It is arranged to form.

모우터 하우징의 중심 지역에서, 각 하우징 부분들에는 구상(球狀)의 베어링 시이트(seat)(18) (19)가 형성되어 있고, 그 시이트들은 구체 베어링(20)이 자유자재한 운동 가능하게 착좌(着座)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20)은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도 좋다. 하우징 부분(10), (11)과 구체 베어링(20)은, 베어링이 시이트(18), (19)에 지지되고 하우징 부분들이 조립된 위치에 고정될 때 구체 베어링(20)이 그의 시이트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정밀한 플라스틱 주조물이다. 동시에, 구체베어링과 그의 시이트(18), (19)사이가 충분히 밀접하게 부착되어 하우징주위를 지나 유체(일반적으로 물)의 누출을 실제 최소로 감소시키도록 한다. 그 최소의 누출은 기대되고 허용되는 것이며 어느 정도 베어링 윤활제로 작용한다.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otor housing, each hou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pherical bearing seat 18, 19, which allows the spherical bearing 20 to move freely. 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seating is possible. The bearing 20 may be made of molded plastic. The housing parts 10, 11 and the spherical bearing 20 are free of the spherical bearing 20 from its sheet when the bearing is supported on the sheets 18, 19 and fixed in the assembled position of the housing parts. Precise plastic castings for transport. At the same time, the spherical bearing and its sheets 18, 19 are sufficiently tightly attached to reduce the leakage of fluid (generally water) to the actual minimum past the housing. The minimum leak is expected and acceptable and acts to some degree as a bearing lubricant.

전두 모우터의 공지의 구조에 따라, 구체 베어링(20)은 그의 위에, 반구체 평면상에 정렬되어 중심점(15)를 통과하는 환상(環狀)디스크 또는 평판(21)이 장착되어 있다. 기구의 작용에 필요한 것은 아니나, 환상 디스크(21)은 구체 베어링(20)과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가장 유익하다. 디스크(21)과 베어링(20)은 요동판 또는 디스크 또는 전두 모우터를 형성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 하우징 벽(16), (17)의 형상은, 디스크가 하우징 벽(16), (17)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범위로 경사질때 디스크의 상부 표면이 반경을 따라 상부 하우징 벽(16)에 접선적으로 접촉하고 디스크의 하부 표면이 하부 하우징 벽(17)과 반경을 따라 접선적으로 접촉하도록 환상 디스크(21)의 두께와 관계가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known structure of the frontal motor, the spherical bearing 20 is mounted thereon with an annular disk or flat plate 21 which is aligned on the hemispherical plane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point 15. Although not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echanism, it is most advantageous that the annular disk 21 is made of plastic molded integrally with the spherical bearing 20. The disc 21 and the bearing 20 form a rocking plate or disc or frontal motor. As shown in FIG. 4, the shape of the conical housing walls 16, 17 is such that the top surface of the disk has a radius when the disk is inclined to the maximum range allowed by the housing walls 16, 17. It is thus related to the thickness of the annular disk 21 so that it tangentially contacts the upper housing wall 16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is in tangential contact with the lower housing wall 17 along the radius.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21)은 환상 디스크(21)의 연부(23), (24)에 의해 형성된 환상 슬로트(22)를 일측부에 구비하고 있다. 그 슬로트(22)는 하우징 체임버(13)의 상부로 부터 저부로 연장하여 하우징의 일측부에서 그 체임버를 완전히 분할하는 수직 분할하는 수직 분할판(25)에 걸쳐 있다. 슬로트(22)의 크기와 형상은 요동판(20), (21)의 완전경사를 허용하면서 그 판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몇몇 경우에, 요동판의 각도 배향은 슬로트(22)에 직접 대향하는 디스크(21)에 의해 지탱된 핀(26)에 의해 밀접히 형성되어도 좋다. 그 핀(26)은 디스크의 연부의 약간 뒤로 돌출하고, 하우징 부분(10), (11)에 형성된 수직 홈(27)내에 수용되어 있다. 다른 몇몇 경우에 있어서, 디스크 슬로트(22)는 요동판(20), (21)의 완전한 전두운동을 허용하고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분할 판(25)와 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자의 경우, 핀(26)과 홈(27)은 사용될 필요가 없다. 배출봉(28)은 요동판(21)에 장착되어 있고, 제1도-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필요하다면 그 판과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봉(28)은 구체 베어링(20)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그의 상단부(29)가 상부 하우징 부재(10)의 부분을 구성하는 캡(cap) (31)에 형성된 각을 가지고 배치된 환상 홈(30)내로 돌출한다. 환상 홈(30)은, 요동판의 어떤 위치에서 하우징의 회전축(제4도에서 수직인)으로부터 배출봉이 경사져 유지되도록 배출봉의 상단부(29)에 작용하는 원추형 중심 가이드(32)를 둘러싸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출봉의 상단부는 또한, 홈(30)의 외벽에 의해 헐겁게 둘러싸여 있다. 그러나, 그러한 외측 폐쇄 부재는, 요동판의 경사각이 환상 디스크(21)과 하우징의 상하부 표면(16), (17)사이의 접선적 접촉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요구되지 않는다. 배출봉(28)의 하단부(33)은 하부 하우징(11)의 원추계구(34)를 통해 밖으로 돌출한다. 개구부(34)는 원추 외벽(35)는 배출봉(28)의 궤도를 둘러싸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isk 21 has an annular slot 22 formed by edges 23 and 24 of the annular disk 21 on one side. The slot 22 extends from the top of the housing chamber 13 to the bottom and spans the vertical dividing plate 25 which vertically divides the chamber completely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slot 22 is adapt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plate while permitting complete tilt of the rocking plates 20 and 21. In some cases, the angular orientation of the rocking plate may be closely formed by the pins 26 supported by the disks 21 directly opposite the slots 22. The pin 26 projects slightly back of the edge of the disc and is accommodated in a vertical groove 27 formed in the housing portions 10, 11. In some other cases, the disk slot 22 is configured to cooperate with the splitter plate 25 to allow full frontal movement of the rocking plates 20, 21 and prevent rotation. In the latter case, pin 26 and groove 27 need not be used. The discharge rod 28 is attached to the oscillation plate 21,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if necessary in the embodiments of FIGS. As shown in FIG. 4, the discharge rod 28 extends through the spherical bearing 20 and has a cap 31 whose upper end 29 constitutes a part of the upper housing member 10. It protrudes into an annular groove 30 arranged with an angle formed. The annular groove 30 surrounds a conical center guide 32 which acts on the upper end 29 of the discharge rod so that the discharge rod is kept inclined from the rotation axis (vertical in FIG. 4) of the housing at a certain position of the rocking plate. In the embodiment show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rod is also loosely surrounded by the outer wall of the groove 30. However, such an outer closure member is not required becaus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cking plate is limited by the tangential contact between the annular disk 21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16 and 17 of the housing. The lower end 33 of the discharge rod 28 protrudes out through the conical gauge 34 of the lower housing 11. The opening 34 has a conical outer wall 35 surrounding the trajectory of the discharge rod 28.

본 고안의 도시된 형태에서, 모우터 하우징(10), (11)은 분할된 흐름도관(36)과 연통하는 수직 분할판(25)와 동일 축부에 개구를 가지고 있다. 그 흐름 도관(36)은 최소한 일부분이 강직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되고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크기로 되는 것이 유익하다. 그 도관(36)은 작동 유체를 위한 평행한 인입 및 배출통로(38), (39)를 형성하는 중앙수직분할체(37)을 가지고 있다.In the illustrat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housings 10, 11 have openings on the same shaft as the vertical divider 25 in communication with the divided flow chart tube 36. The flow conduit 36 is advantageously formed of at least a portion of a rigid plastic material and sized to be easily gripped by hand. The conduit 36 has a central vertical divider 37 which forms parallel inlet and outlet passages 38 and 39 for the working fluid.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를 형성하는 도관(36)은 가요성의 쌍 호스(hose) (40)에 연결되어 있고, 그 호스는 편리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유체 인입 및 배출 설비까지 달하여 있다. 일반적으로 예기되는 장치에서, 통상의 가정 수도 꼭지(43)에 부착구(42)에 의해 제거가능하게 취부될 수 있는 전환기(41)에 제공되어 있다. 전환밸브(41)는 휴대용 접시 세척기, 휴대용 세척기 등과 관련하여 통상사용되는 것과 같은 통상의 구조로 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전환기는 그 전환기를 수도꼭지(43)에 신속히 취부 및 제거될 수 있게하는 신속 분리 커플링(coupling) (42)를 가지고 있다. 그 전환기는, 내부에, 호스(44)들 중 하나를 지나 압력하에 물을 통과시키고 다른 호스(45)를 통해 배수(排水)를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 배수는 전환기에 설치된 출구(46)으로 부터 수조내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duit 36, which forms the handle, is connected to a flexible pair of hoses 40, the hoses being of convenient length and extending to the fluid inlet and outlet facility. . In a generally anticipated device, a diverter 41 is provided which can be removably mounted by means of an attachment 42 to a conventional household faucet 43. The switching valve 41 may have a conventional structure such as that commonly used in connection with a portable dish washer, portable washer, and the like. In general, such diverters have quick disconnect couplings 42 that allow them to be quickly mounted and removed from the faucet 43. The diverter has a means therein for passing water under pressure past one of the hoses 44 and returning drainage through the other hose 45. The drainage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tank from the outlet 46 installed in the converter.

도시된 기구에서, 압력하의 물은 도관 통로(38)를 통해 하우징에 들어가 하우징의 일측부로 흐른다. 모우터 하우징의 분할판(25)는 물이 모우터 하우징(10) (11)에 의해 형성된환상 통로를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제3도에서와 같이)흐르도록 도관 분할기(37)과 견고히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을 지나 흐를때 물은 디스크(21)를 점진적으로 변위시킨다. 예를들어, 제4도에 도시된 형태에서, 유입수는 처음에 디스크의 저부에 접촉하고, 체임버(13)을 지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디스크를 점진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각 단위의 물은 모우터 하우징 체임버(13)의 전체 주위를 통해 흐르고 손잡이 형성 도관(36)내 통로(39)를 통해 배출된다. 전두 모우터의 작용에 따라 통로(36)을 지나는 계속적인 유입수와 통로(39)를 지나는 배출수는 디스크(21)의 연속적이고 점진적인 회전 경사 운동을 형성한다. 또한 이것은 배출봉(28)의 단부들이 회전 운동없이 궤도통로를 따라 운동하게 한다. 그리하여, 배출봉(28)의 단부위 또는 그 단부에 인접한 특정지점이 그 봉자체가 회전하지 않드라도 원을 그린다. 상부 모우터 하우징의 캡(31)에 설치된 원추 중심 가이드(32)에 의해, 배출봉(28)은, 디스크(21)의 요동 운동 주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회전축에 대해 정해진 각도에 항상 보유되어 있다.In the device shown, the water under pressure enters the housing through the conduit passage 38 and flows to one side of the housing. The divider plate 25 of the motor housing is rigidly connected with the conduit divider 37 such that water flows counterclockwise (as in FIG. 3) through the annular passage formed by the motor housing 10, 11. It is. As it flows past the housing, the water gradually displaces the disk 21. For example, in the form shown in FIG. 4, the influent first touches the bottom of the disk and gradually moves the disk upwards as it moves counterclockwise past the chamber 13. Water in each unit flows through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otor housing chamber 13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passage 39 in the handle forming conduit 36. Under the action of the frontal motor, the continuous inflow through passage 36 and the discharge through passage 39 form a continuous, progressive rotational tilting motion of disk 21. This also allows the ends of the discharge rod 28 to move along the track path without rotational movement. Thus, a specific point on or near the end of the discharge rod 28 is drawn even if the rod does not rotate. With the cone center guide 32 provided in the cap 31 of the upper motor housing, the discharge rod 28 continuously moves through the swinging movement cycle of the disc 21, so that the discharge rod 28 is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housing. I always have it.

본 고안의 주 목적에 따라, 배출봉(28)의 궤도운동의 직접 이용은 솔, 연마 패드(pad), 마사지 헤드등과 같은 작업기구(47)을 그 봉에 직접 설치함에 의해 달성된다. 독특한 잇점은 작업기구가 궤도운동을 일정하게 경사 및 변경시킴에 의해 회전없이 이동되기 때문에 배출봉(28)상에 작업기구를 직접 설치함에 의해 얻어진다. 그리하여 독특하고 효과적인 작용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 use of the orbital motion of the discharge rod 28 is achieved by installing work tools 47 such as brushes, polishing pads, massage heads, etc. directly on the rods. A unique advantage is obtained by installing the work tool directly on the discharge rod 28 because the work tool is moved without rotation by constantly tilting and changing the orbital motion. Thus a unique and effective action is achieved.

도면들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작업기구(47)과 피작업물(도시안됨)간의 접촉간은 각 운동 주기를 통해 모우터가 계속 운동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변한다. 기구와 피작업물이 고정 보지되는 것을 가정할때, 하나의 극대 위치로 부터 다른 위치로의 작업 기구와 피작업물간의 각도 변화는 모우터 하우징내 사잇각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략 40도이다. 따라서, 작업기구는 전체 작업주기를 통해 각적인 배향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비교적 활모양의 외측표면(48)을 가지는 것이 유익하다.As is evident in the figures, the contact between the work tool 47 and the workpiece (not shown) changes constantly as the motor continues to move through each movement cycle. Assuming that the instrument and the workpiece are fixedly held, the change in angle between the work tool and the workpiece from one maximal position to another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angle of angle in the motor housing o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40 degrees. Thus, it is advantageous for the work tool to have a relatively bowed outer surface 48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angular orientation throughout the entire work cycle.

배출봉(28)에 작업기구를 직접 설치함에 의해, 독특하고 매우 효과적인 작용이 달성될 뿐만 아니라 전두 작동기구가 매우 간단하게 되고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된다. 공지된 전두 기구에서 유용한 출력은 궤도 전두 운동을 순전히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부가적인 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얻어지며, 그 기구는 비용이 많이들고 복잡하며 사용하는데 바람직하지 못하다.By installing the work tool directly on the discharge rod 28, not only a unique and very effective action is achieved but also the frontal implement is very simple and very economically manufactured. Useful power in known frontal instruments is obtained by providing additional mechanisms for converting orbital frontal movements into purely rotary motions, which are expensive, complex and undesirable for use.

제1도-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몇몇 목적을 위한 기구의 전체 유용도는, 하부 모우터 하우징의 원추 개구(34)에 상응하는 상부 모우터 하우징(10)의 개구를 설치함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 그러한 개구가 설치될때, 배출봉(28)의 상단부(29)는 접촉형의 제2작업기구(49)를 설치하도록 상향 연장 될 수 있다. 대향하는 작업기구(48), (49)는 비교적 부드럽고 강직한 브러시로 구성되고, 작업기구들중 하나 또는 하나가 본 장치를 단지 뒤집어서 사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4, the overall utility of the instrument for some purposes is the opening of the upper motor housing 10 corresponding to the conical opening 34 of the lower motor housing. It can be promoted by installing. When such an opening is installed, the upper end 29 of the discharge rod 28 can be extended upward to install a second work tool 49 of contact type. The opposing work tools 48, 49 consist of a relatively soft and rigid brush, and one or one of the work tools can be used only by turning the device upside down.

물론, 하우징의 상단부가 제2작업기구를 수용하도록 개방될때 원추 중앙 가이드(32)외의 수단이 조망의 각도 방향으로 배출징(28)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제6 및 제7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회전 베어링 삽입체(50)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Of course, means other than the conical center guide 32 are used to hold the discharge bin 28 in the viewing angle direction whe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is opened to receive the second work tool.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use means such as the rotary bearing insert 50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of FIGS. 6 and 7.

본 고안의 전두 운동 기구의 많은 유용한 적용예에서, 작업 기구자체를 통행 물의 배출을 달성하는 것이 유익하다. 그리하여, 작업기구가 예를들어 접시를 닦는데 사용되거나 목욕에 사용하기 위한 세척솔 일때, 그 세척솔의 머리부를 통해 물을 일정하거나 주기적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5-7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개조에는 작업기구를 통해 물을 계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독특하고 간단한 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제5도의 예에서, 배추부재(51)은 중공관(中空管)의 형태로 되어 있고, 그 관은 구체 베어링(20)을 지나 연장하여 그의 양단부로 부터 돌출하는 부분들을 가지고 있다. 관(51)의 하단부에, 다수의 강모(剛毛) (53)과 그 강모가 취부되는 원형 장착헤드(54)를 가진 세척솔 형태인 접촉형 작업 기구(52)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헤드(54)는 관형 배출 부재(5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취부되고, 관형 배출부재(51)의 개방단부와 연통하고 강모(53)의 지역내로 연장하는 다수의 통로(55)를 가지고 있다.In many useful applications of the frontal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eneficial to achieve discharge of water through the work tool itself. Thus, when the work tool is, for example, a cleaning brush for use in cleaning dishes or for bathing, it may be required to have a constant or periodic flow of water through the head of the cleaning brush. The retrof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5-7 for this purpose is equipped with a unique and simple facility for discharging water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through a work tool. In the example of FIG. 5, the cabbage member 51 is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which has portions extending beyond the spherical bearing 20 and protruding from both ends thereof. At the lower end of the tube 51, a contact type work tool 52 in the form of a cleaning brush having a plurality of bristles 53 and a circular mounting head 54 to which the bristles are mounted is mounted. The mounting head 54 is fixedly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discharging member 51 and has a plurality of passages 55 communicating with the open end of the tubular discharging member 51 and extending into the area of the bristle 53. .

관형 배출 부재(51)의 상단부에 대향하여 하우징 캡(31)에는, 배출 부재(51)을 안내하는 환상 요홈부(30)을 약간 넓히거나 깊게하여 형성된 환상 플리넘 형성 요홈부(56)이 설치되어 있다.The housing cap 31 is provided with an annular plenum forming recess 56 formed by slightly widening or deepening the annular recess 30 for guiding the ejecting member 51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discharge member 51. It is.

제5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형태에서, 전환기 튜브(57)은 일단부(58)에서 통로 형성 도관(36)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서 환상 플리넘(56)에 연결되어 있다. 특정 설계 요구 사항에 따라, 전환기 튜브(57)의 상류 단부(58)은 분할된 도관(36)의 인입측 또는 배출측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도 좋다. 다소 높은 압력은 도관의 인입측에 전환기 튜브(57)을 연결함에 의해 약간의 효율손실을 가지고 달성될 수 있다. 저압이 만족스러운 것일때는 전환기 튜브(57)을 도관의 배출측과 연통시켜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 전환기 튜브(57)의 적절한 작동 압력을 확실히하기 위해 배출관에서 최소한 약간의 제한을 제공하는 것이 몇몇 예에서 필요할 수 있다.In the form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5, the diverter tube 57 is connected to the passage forming conduit 36 at one end 58 and to the annular plenum 56 at the other end. Depending on the specific design requirements, the upstream end 58 of the diverter tube 57 may be connected to either the inlet or outlet side of the segmented conduit 36. Somewhat higher pressure can be achieved with some efficiency loss by connecting the diverter tube 57 to the inlet side of the conduit. When the low pressure is satisfactory, the diverter tube 57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side of the conduit. In the latter case, it may be necessary in some instances to provide at least some restrictions in the discharge line to ensure proper working pressure of the diverter tube 57.

제5도의 설비에서, 전환기 튜브(57)에 들어가는 물은 항상 플리넘(56)내로 흘러 전체 환상홈(30)을 채운다. 배출 부재(51)의 어떤 회전 위치에서, 그의 상단부는 플리넘 지역(56)과 개방 연통하여, 배출부재의 위치에 관계없이 그 부재(51)의 상단부 내로 물이 계속 흐르게 한다. 그리하여, 기구의 정규 작동중 항상 작업 헤드(52)를 통해 물이 계속 흘러나온다. 작업 기구가 접시를 닦기위한 세척솔일때, 그 솔을 통한 물의 계속적인 흐름이 세정 작용을 크게 증진시킨다.In the installation of FIG. 5, the water entering the diverter tube 57 always flows into the plenum 56 to fill the entire annular groove 30. At some rotational position of the discharge member 51, its upper end is in open communication with the plenum region 56, allowing water to continue to flow into the upper end of the member 5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member. Thus, water continues to flow through the work head 52 at all times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instrument. When the work tool is a cleaning brush for cleaning dishes, the continuous flow of water through the brush greatly enhances the cleaning action.

제6도의 개조예에서, 상부 모우터 하우징 부재(10)의 상단부 캡(31)에는 베어링 삽입체(50)을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원통형 요홈부(60)이 형성되어 있다. 그 베어링 삽입체(50)에는, 구체 베어링(20)에 계합하여 지지하는 구형 시이드(61)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삽입체에 형성된 환상 통로(62)는 관형 작동부재(51)의 돌출상단부를 수용한다. 따라서, 전두 운동 주기동안, 베어링 삽입체(50)은 상부 모우터 하우징의 요홈부(60)내에서 회전하여 회전축에 대해 소망의 각도 방향에 관형 배출부재(51)을 항상 유지하도록 작용한다.In the retrofit of FIG. 6, the upper end cap 31 of the upper motor housing member 10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recess 60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bearing insert 50. The bearing insert 50 is provided with a spherical sheath 61 engaged with and supported by the spherical bearing 20. The annular passage 62 formed in the bearing insert accommodates the protruding upper end of the tubular actuating member 51. Thus, during the frontal movement period, the bearing insert 50 rotates in the recess 60 of the upper motor housing to act to always maintain the tubular discharge member 51 in the desired angul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베어링 삽입체(50)의 상단부 바로 위에 개방된 플리넘 체임버(6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체임버는 전환기 튜브(57)의 하류 배출부와 연통한다. 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된 도관(36)의 인입 또는 배출측부중 어느 한 측부로 부터 전환기 튜브(57)로 들어가 플리넘 체임버(63)을 완전히 채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임버(63)의 직경은 베어링 삽입체의 통로(62)의 상단부와 그리고 관형 작동 부재(51)의 내부와 계속적인 연통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배출부재(51)의 어느 회전 위치에서도, 전환기 튜브(57)에 공급되는 물이 일정하게 흐른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제5도의 실시예와 같이, 정규 작동시 작업기구(52)를 지나 물이 일정하게 흐른다.An open plenum chamber 63 is provided just above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insert 5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downstream outlet of the diverter tube 57. Water enters the diverter tube 57 from either side of the inlet or outlet side of the segmented conduit 36 as described above and completely fills the plenum chamber 63. As shown in FIG. 6, the diameter of the chamber 63 is adapted to provide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passage 62 of the bearing insert and with the interior of the tubular actuating member 51. Thus, at any rotational position of the discharge member 51, the water supplied to the diverter tube 57 flows constantly. In the embodiment of FIG. 6, as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water flows uniformly through the work tool 52 during normal operation.

제7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개조예에서, 작업기구(52)를 통해 물을 주기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제7도에 개조예에서, 원통형 베어링 삽입체(50)은 하우징 캡(31)의 원통형 요홈부(60)에 회전자재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러나, 제6도의 실시예와 달리, 제7도 기구는 베어링 삽입체(50)위에 큰 플리넘체임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전환기 튜브(57)은 작은 체임버(70)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 체임버(70)은 작은 직경의 요홈 형태이어도 좋고 또는 최종 용도의 특정 요구사항에 따라 약간 활모양으로 길게 되어도 좋다. 어떤 경우에, 그 요홈부는 베어링 삽입체(50)의 완전 회전의 정해진 부분에서만 베어링 통로(62)의 상단부와 연통하여 있다. 그리하여, 최소한 일부회전 주기, 바람직하게는 그 주기의 대부분에서, 베어링 수용 홈(60)의 저부 표면(71)이 체임버(70)으로 부터 관형 배출부재(51)의 상단부내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로 작용한다. 그러나, 선택된 회전 부분동안, 통로(62)는 체임버(70)과 정렬되고 물이 관형 배출 부재(51)을 통해 잠시 흐르게 한다. 이러한 배치는 주기적운동으로 작업기구(52)를 통해 물이 간헐적으로 배출되게 한다.In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a facility is provided for periodically discharging water through the work tool 52. In the modification of FIG. 7, the cylindrical bearing insert 50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cylindrical recess 60 of the housing cap 31. However,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6, the FIG. 7 mechanism is not provided with a large plenum chamber on the bearing insert 50. FIG. The diverter tube 57 is inserted in the small chamber 70. The chamber 70 may be in the form of a small diameter groove or may be slightly bowed in length depending on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end use. In some cases, the recess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passage 62 only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ull rotation of the bearing insert 50. Thus, at least in some rotational cycles, preferably at most of the cycles, the bottom surface 71 of the bearing receiving groove 60 prevents water from flowing from the chamber 70 into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discharge member 51. It acts as a valve. However, during the selected rotational portion, the passage 62 is aligned with the chamber 70 and allows the water to flow briefly through the tubular discharge member 51. This arrangement causes the water to be intermittently discharged through the work tool 52 in a periodic motion.

본 고안의 여러 형태들중 한 형태에서, 유체 구동식 전두 모우터의 공지 작동이, 요동판의 배출부재에 접촉형 작업기구를 직접 설치함에 의해 독특하고 매우 유익한 방식으로 이용된다. 이런 수단에 의해, 배출부재의 비회전적인 궤도운동이 접촉형 작업기구에 직접 전달된다. 다양한 접촉형작업 기구가 본기구에 사용될 수 있고, 물론, 단일의 기구가 한가지 타입의 작업기구 보다는 많은 상호 교환성의 장착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의 일반적인 예는, 연마패드, 세척솔, 마사지기구 등이다.In one of the various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wn operation of the fluid-driven frontal motor is used in a unique and very advantageous manner by directly installing a contact work tool on the discharge member of the rocking plate. By this means, the non-rotating orbital motion of the discharge member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contact work implement. Various contact type work tools may be used in the present device, and of course, a single device may have more interchangeable mounting members than one type of work tool. General examples thereof include a polishing pad, a cleaning brush, a massage device, and the like.

궤도운동의 직접적인 이용으로 작업기구자체의 독특하고 유익한 운동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요동판이 전두 운동의 완전주기 동안 그의 각도 방향을 점진적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요동판의 추축점으로 부터 간격을 가지고 장착된 작업기구는 병진(竝進)운동을 행하고 각도 방향을 변경한다.Direct use of the orbital motion provides a unique and beneficial exercise of the work tool itself. Thus, since the rocking plate gradually changes its angular direction during the full period of the frontal motion, the work tool mounted at intervals from the pivot point of the rocking plate performs translational movement and changes the angular direction.

제8도에, 본 고안에 따라 만들어진 습식 샌더(sandar)기구(110)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그 샌더(110)은 사용자의 손에 맞도록 형성된 강직한 플라스틱제 반구체 하우징(111)을 가지고 있다. 그 반구체 하우징(111)의 기부는 샌더의 유체 작동식 전두 모우터(113)(제9도)을 위한 장착 부재로 작용하는 판(112)에 고착되어 있다. 가요성 호스(114)가 반구체 하우징(111)의 기부에 인접한 개구(115)를 지나 전두 모우터(113)을 수도꼭지(116)에 연결한다.In FIG. 8, a wet sander mechanism 110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the sander 110 having a rigid plastic hemispherical housing 111 formed to fit a user's hand. Have. The base of the hemispherical housing 111 is fixed to a plate 112 which acts as a mounting member for the sander's fluid actuated frontal motor 113 (FIG. 9). A flexible hose 114 connects the frontal motor 113 to the faucet 116 through an opening 115 adjacent the base of the hemisphere housing 111.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112)의 중앙부는 모우터 하우징의 상부(117)을 형성한다. 하부(118)은 접착제에 의해서 판(112)에 고착되고 상부(117)과 함께 체임버(119)를 형성한다. 체임버(119)는, 궁형 측벽(120)을 가지며 그 궁형의 곡면 중심이 회전축을 따라 중앙점(121)에 있는 회전체이다. 체임버(119)의 상하부 벽(122), (123)은 대개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대향하여 있는 구체형상의 베어링시이트(124), (125)까지 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112 forms the top 117 of the motor housing. The bottom 118 is secured to the plate 112 by an adhesive and together with the top 117 forms a chamber 119. The chamber 119 is a rotating body which has the arched side wall 120 and whose arch-shaped center is at the center point 121 along the rotation axis. The upper and lower walls 122 and 123 of the chamber 119 are usually truncated conical, and are formed to reach up to the opposite spherical bearing sheets 124 and 125.

제1도-제7도 실시예의 전두 모우터 구조와 유사하게, 구체 베어링(126)이 베어링 시이트(124), (125)사이에 자유자재한 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구체 베어링(126)에는, 중심점(121)을 통과하는 반구체 평면상에 정렬되어 있는 환상 디스크 또는 판(127)이 장착되어 있다. 구체(126) 및 디스크(127)은 전두모우터(113)을 위한 요동판을 형성한다. 요동판은 디스크(127)의 상부표면이 상부 하우징 벽(122)와 접선적으로 접하고 하부 표면이 하부 하우징벽(123)과 접선적으로 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봉(128)형태의 배출부재가 디스크(127)의 반구체 평면에 수직으로 구체 베어링(126)을 지나 연장한다. 하우징 부분(117) 및 (118)의 각각은 봉(128)이 전두 모우터 하우징밖으로 연장하도록 베어링 시이트(124), (125)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고 있다. 구체 베어링(126)과 그의 시이트(124), (125)사이가 충분히 밀접히 부착되어 베어링으로 부터 작동수가 누출하는 것을 최소로 감소시킨다.Similar to the frontal motor structure of the FIGS. 1-7 embodiment, the spherical bearing 126 is freely mounted between the bearing sheets 124, 125. The spherical bearing 126 is mounted with an annular disk or plate 127 which is aligned on a hemispher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121. The sphere 126 and the disk 127 form a rocking plate for the frontal motor 113. The rocking plate is inclin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 127 tangentially contacts the upper housing wall 122 and the lower surface tangentially contacts the lower housing wall 123. A discharge member in the form of a rod 128 extends beyond the spherical bearing 126 perpendicular to the hemispherical plane of the disk 127. Each of the housing portions 117 and 118 has openings formed in the bearing sheets 124, 125 so that the rod 128 extends out of the frontal motor housing.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spherical bearing 126 and its sheets 124, 125 minimizes the leakage of operator water from the bearing.

요동판의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 구부러질 수 있는 바이러스(bias)설비가 설치된다.In order to mainta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oscillating plate, a bendable virus facility, which is constructed as follows, is installed.

원통형 슬리이브(129)가 중공 원통형 스페이서(130)에 의해 반구체 하우징(111)내에 판(112)와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장착된다. 그 슬라이브(129)의 개구는 중심점(121)을 통과하는 회전축과 정렬된다. 베어링(131)이 그 슬라이브(129)내에 수용되어, 스페이서(130)의 내부로 연장하는, 축(132)를 회전 자재하게 지지한다. 스페이서(130)내의 축(132)의 부분은, 경사진 디스크(127)에 의해 점유된 면과 평행이 연장하는 종방향 연장 요홈부를 가진 각을 가지고 배향된 블록(block)형 구조물(133)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 봉(134)는 그 블록 요홈부내에 수용되고 그이 하단부에서 연결 베어링(135)에 의해 배출봉(128)에 연결된다. 스프링(136)은 연결 베어링(135)와 블록형 구조물(133)사이에서 작용하며, 따라서 연장 봉(134)는 소망의 경사각으로 요동판을 보지한다. 요동판에 과부하가 걸릴때는 배출봉(128)이 스프링(136)에 대해 이동되어 디스크의 이동없이 체임버(119)를 지나 작동 유체가 직접 흐르게 한다. 이것은, 강직한 연결이 배출봉(128)과 각도 부여기구사이에 존재할때 일어나는 전두 모우터에의 잠재적인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성능의 회생없이 즉, 사실 성능의 향상으로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모우터를 제조할 수 있게 한다.The cylindrical sleeve 129 is mounted away from the plate 112 in the hemispherical housing 111 by the hollow cylindrical spacer 130. The opening of the slave 129 is aligned with the axis of rota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121. The bearing 131 is accommodated in the slave 129 to rotatably support the shaft 132, which extends into the spacer 130. The portion of the shaft 132 in the spacer 130 is a block-like structure 133 oriented at an angle with longitudinally extending recesses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ace occupied by the inclined disk 127. Formed. The extension rod 134 is received in the block recess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rod 128 by a connecting bearing 135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spring 136 acts between the connecting bearing 135 and the block-like structure 133, so that the extension rod 134 holds the rocking plate at a desired angle of inclination. When the oscillating plate is overloaded, the discharge rod 128 is moved relative to the spring 136 so that the working fluid flows directly through the chamber 119 without moving the disk. This not only prevents potential damage to the frontal motor that occurs when a rigid connection is present between the discharge rod 128 and the angle giving mechanism, but also results in very low cost without regeneration of the performance, i. Make it possible to manufacture

다시, 제9도를 보면, 판(112)의 연부는 리브(rib) (137)을 갖도록 형성된다. 고무 장화형 부재(138)은 그의 상단부에 내부 요홈부(139)가 형성되어 있고, 판(112)상에 장화형 부재(138)을 지지하도록 리브(137)위에 수용된다. 장화형 부재(138)의 반대측단부에는 내측으로 접힌 플렌지(140)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업기구는 L형 단면의 플렌지(142)를 가진 연마 패드(141)로 구성된 습식 샌디이다. 슬로트(154)가 플렌지(142)와 연마 패드(141)사이에 형성되고 모우터 장작 판(112)에 평행히 간격을 가지고 패드(141)을 지지하도록 장화형 부재(138)의 플렌지(140)을 수용한다. 장화형 부재(138)은 정규 작동 상태하에 연마 패드(141)과 판(112)사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압축되어 충분히 강직한 고무형 물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그 장화형 부재(138)은 횡방향으로 충분히 탄력적이어서 연마 패드(141)이 그의 평면내에서 궤도적으로 이동되게 한다.Again, in FIG. 9, the edges of the plate 112 are formed to have ribs 137. The rubber bootable member 138 has an inner recess 139 formed at its upper end and is received over the rib 137 to support the bootable member 138 on the plate 112. The flange 140 folded inward is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bootable member 138.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ork tool is a wet sandy consisting of a polishing pad 141 with a flange 142 of an L-shaped cross section. A slot 154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142 and the polishing pad 141 and the flange 140 of the bootable member 138 to support the pad 141 at intervals parallel to the motor firewood plate 112. Accept. Bootable member 138 is formed of a sufficiently rigid rubbery material that is compressed to maintain a gap between polishing pad 141 and plate 112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However, the bootable member 138 is sufficiently elastic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allow the polishing pad 141 to move orbitally in its plane.

본 고안의 도시된 형태에서, 판(112)에 대향하는 연마 패드(141)의 표면은 그의 중앙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원형 블록(142)를 가지고 있다. 그 원형 블록(142)는 구체형상의 베어링 시이트(144)까지 달하여 있다. 전두 모우터(113)의 배출봉(128)은, 전두 모우터(113)과 연마 패드(141)사이의 직접 구동 커플링을 제공하도록 베어링 시이트(144)내에 착좌되어 있는 볼(ball) (145)를 가지고 있다.In the illustrat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41 opposite the plate 112 has a circular block 142 protruding inward at its center. The circular block 142 reaches the spherical bearing sheet 144. The discharge rod 128 of the frontal motor 113 is a ball 145 seated in the bearing sheet 144 to provide a direct drive coupling between the frontal motor 113 and the polishing pad 141. Has)

연마패드(141)에 형성된 나사구멍(148)내 수용된 나비 나사(147)에 의해 패드(141)에 보지된 고정부재(146)이 연마패드(141)의 각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패드(141)의 연부는 둥근 표면(149)을 갖도록 가공된다. 샌드 페이퍼(150)이 연마 패드(141)의 외측 표면위에 배치되고 그의 양단부는 둥근 표면(149)주위에서 말려있고 나비 나사(147)에 의해 고정부재(146) 아래 고정되어 있다.The fixing member 146 held by the pad 141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end of the polishing pad 141 by the thumbscrew 147 accommodated in the screw hole 148 formed in the polishing pad 141. The edge of the pad 141 is machined to have a rounded surface 149. Sand paper 15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lishing pad 141 and both ends thereof are rolled around the rounded surface 149 and fixed below the fixing member 146 by the thumbscrew 147.

제1도-제7도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도 및 제9도의 실시예의 디스크(127)은 그의 일측부에 각이진 슬로트를 가지고 있고, 그 슬로트는 체임버(119)의 정부(頂部)로 부터 저부로 연장하여 체임버(119)를 완전히 분할하는 분할판위에 걸쳐 있다. 그 슬로트의 크기 및 형상은 요동판이 회전을 방지하면서 넓은 범위의 경사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장치의 작동에서 압력하의 물 또는 다른 유체가 분할판 일측부의 인입관(114)를 통해 체임버(119)로 들어간다. 그 물은 디스크(127)을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고, 전두 모우터의 작용에 따라 물의 연속적인 흐름으로 디스크(127)을 연속적이고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한다. 다음, 이것은 배출봉(128)이 어떤 회전 동작의 발생없이 궤도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배출봉(128)의 양단부의 특정지점은 배출봉(128)이 전두 모우터에 의해 작동될때 원을 그린다. 이 궤도운동은 유니버설 조인트 연결에 의해 연마 패드(141)에 직접전달된다.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S. 1-7, the disk 127 of the embodiment of FIGS. 8 and 9 has an angled slot on one side thereof, the slot of which is the government of the chamber 119. It extends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and spans the partition plate for completely dividing the chamber 119. The size and shape of the slot is such that the swinging plate is tilted in a wide range while preventing rotation. In operation of the device, water or other fluid under pressure enters the chamber 119 through the inlet pipe 114 on one side of the divider. The water gradually moves the disk 127 and causes the disk 127 to be continuously and gradually inclined with a continuous flow of water as the frontal motor acts. This then causes the discharge rod 128 to perform orbital motion without the occurrence of any rotational motion. Thus, specific points at both ends of the discharge rod 128 draw a circle when the discharge rod 128 is operated by the frontal motor. This orbital motion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polishing pad 141 by universal joint connection.

작동 유체가 체임버(119)주위를 지나 분할판의 반대측으로 완전히 이동할때 그 유체는 배출관(151)을 통해 체임버 밖으로 흐른다. 그 배출관(151)은 체임버(119)와 연통하고 인입관(114)내에서 반구체하우징(111)의 기부에 장착된 원형판(152)로 연장한다. 본 고안에 따라, 한쌍의 배출관(153)이 원형관(152)와 연통하여 제공되어 물이 연마될 표면상으로 흐르게 한다. 이것은 습식 연마 및 세척을 위한 매우 바람직한 연삭작용을 제공한다.When the working fluid moves completely around the chamber 119 an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vider, the fluid flows out of the chamb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1. The discharge pipe 151 communicates with the chamber 119 and extends into the circular plate 152 mounted on the base of the hemispherical housing 111 in the inlet pipe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discharge pipes 153 ar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lar pipe 152 to allow the water to flow onto the surface to be polished. This provides a very desirable grinding action for wet polishing and cleaning.

습식으로 사용될 때 전동식 샌더에서의 위험한 충격의 가능성은 효과적인 습식연마 작동을 크게 저해하였다. 수동 연마작동은 습식 연마가 요구될때 실시되어야 했다. 수력식 모우터에 의한 본 고안은 전기적인 위험도 없고 물을 쉽게 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습식 샌더는 선박 등의 수중 연마에 사용될 수도 있다.The potential for dangerous shocks in electric sanders when used in wet has greatly hampered effective wet polishing operation. Manual grinding operations had to be performed when wet grinding was required. This invention by hydraulic motor has no electrical risk and water can be easily obtained. Moreover, the wet sa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underwater polishing of ships and the like.

배출봉(128)과 연마 패드(141)사이의 유익한 직접 연결은 장화형부재(138)이 횡방향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모우터의 궤도 운동을 연마 패드(141)에 직접 전달한다. 이것은 궤도연마 동작이 가장 쉽게 사용 및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한 연마 동작을 제공한다. 더욱이, 전두 모우터와 샌더사이의 직접 연결로 모우터 자제가 단순 간단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An advantageous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discharge rod 128 and the polishing pad 141 transfers the orbital motion of the motor directly to the polishing pad 141 because the bootable member 138 is b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is provides a very desirable polishing operation because the orbital polishing operation can be most easily used and controlled. Moreover,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frontal motor and the sander can make the motor control simple.

각종 형태의 어느 한 형태에서, 본 고안의 전두 운동기구는 정밀한 플라스틱 주조기술의 사용에 의해 극히 간단하고 저렴하며 대량생산된다. 그리하여, 상하부 모우터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기술에 의해 쉽게 성형될 수 있다. 유사하게, 디스크와 중앙 구체로 구성되는 요동판 역시 필요한 정밀도로 쉽게 사출성형될 수 있다.In any of its various forms, the frontal exerci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emely simple, inexpensive and mass produced by the use of precise plastic casting technology. Thus, the upper and lower motor housings can be easily mold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Similarly, a rocking plate consisting of a disk and a central sphere can also be easily injection molded to the required precision.

궤도 전두 운동의 직접 이용에 의해, 모우터 자체는 극히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단일의 이동 부품만이 요구된다. 또한, 그 모우터는 비교적 느린 속도와 높은 회전 운동의 매우 바람지한 형태로 만들어져 가정에서의 다양한 용도에 적당하다.By the direct use of orbital frontal movement, the motor itself can be made extremely simple. In some instances, only a single moving part is required. In addition, the motor is made in a very unfavorable form of relatively slow speed and high rotational motion, suitable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the home.

Claims (1)

모우터 하우징(10, 11, 111)과, 정해진 한계내에서 자유자재로 경사운동 가능하게 상기 모우터 하우징내 장착된 요동판(20, 21, 126, 127)과, 상기 요동판을 구동시키기 위해 유체의 출입을 제공하는, 상기 하우징과 연통하여 있는 수단(36, 114)과, 상기 요동판과 연합되어 있는 배출축 부재(28, 128)로 구성된 유체 작동식 전두 운동기구에 있어서, 접촉형 작업기구(47, 141)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축부재의 최소한 일부분이 상기 모우터 하우징의 밖으로 돌출하며, 배출축부재의 상기 돌출부분이 상기 작업기구와 작동적으로 직접 연결하여 있고, 상기 접촉형 작업기구가 상기 배출축 부재에 의해 회전없이 궤도를 지나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작동식 전두 운동기구.To drive the motor housings 10, 11, 111, swing plates 20, 21, 126, 127 mounted in the motor housing freely inclined within a predetermined limit, and the swing plate; A fluid operated frontal locomotive consisting of means (36, 114) in communication with said housing and discharge shaft members (28, 128) associated with said oscillating plate for providing access of fluid, wherein the contact type operation Having a mechanism (47, 141),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shaft member protrudes out of the motor hous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discharge shaft member is operatively directly connected to the work mechanism, and the contact type A fluid actuated frontal exerci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work tool is movable through the track without rotation by the discharge shaft member.
KR2019820009724U 1979-10-25 1982-12-04 Fluid-acting frontal exercise equipment KR8300002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724U KR830000262Y1 (en) 1979-10-25 1982-12-04 Fluid-acting frontal exercis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709 1979-10-25
KR2019820009724U KR830000262Y1 (en) 1979-10-25 1982-12-04 Fluid-acting frontal exercise equip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709 Division 1979-10-25 1979-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62Y1 true KR830000262Y1 (en) 1983-03-02

Family

ID=2662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724U KR830000262Y1 (en) 1979-10-25 1982-12-04 Fluid-acting frontal exercis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6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5299A (en) Power toothbrush or the like with orbital brush action
US4336622A (en) Power toothbrush or the like with orbital brush action
US5187827A (en)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US6846230B2 (en) Manual machine tool
CN111551682B (en) Self-cleaning detection probe of sewage quality detection device
US4276672A (en) Power toothbrush or the like with orbital brush action
KR101613088B1 (en) Floor and vaccume cleaner capable of collecting wasted liquid
CN201179038Y (en) Oscillatory cleaning machine
KR830000262Y1 (en) Fluid-acting frontal exercise equipment
US4175359A (en) Fluid powered orbital wet sander and the like
KR20120093055A (en) Various porposes clenser
CN209317159U (en) A kind of vibration-type scrapes fore filter
EP0025072A1 (en) Nutating action appliance
CN114939806A (en) Building ground burnishing device
KR20110115213A (en) Shower device with cleaning function
US4179765A (en) Nutating device with provision for utilization of motive fluid
CN109731816B (en) Portable hydrodynamic cleaner
GB2387773A (en) Water flow-driven rotary and vibrational cleaning brush
RU2022671C1 (en) Apparatus for surfaces cleansing
WO2008007876A1 (en) A method and a multipurpose electic brush with a built-in cleanser or wax tube
KR830001274B1 (en) Powered toothbrush
WO2000061057A2 (en) Water powered massager
CN211684093U (en) Printing self-cleaning rubber head device
EP0025073A1 (en) Power toothbrush or the like with orbital brush action
EP4316420A2 (en) Oral car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