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37B1 - Fm 검파기 - Google Patents

Fm 검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137B1
KR830000137B1 KR1019750000821A KR750000821A KR830000137B1 KR 830000137 B1 KR830000137 B1 KR 830000137B1 KR 1019750000821 A KR1019750000821 A KR 1019750000821A KR 750000821 A KR750000821 A KR 750000821A KR 830000137 B1 KR830000137 B1 KR 83000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ignal
input
frequenc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5000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일 윌리암
죤 막파다이엔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이렉 트릭 캄파니
안톤 제이. 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이렉 트릭 캄파니, 안톤 제이. 윌리 filed Critical 제너럴 이렉 트릭 캄파니
Priority to KR101975000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137B1/ko

Links

Im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FM 검파기
제l도는 본 발명에 따른 AM-FM 검파기와 상호 작용하는 수우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무선 수신기의 AM 검파부분의 등가회로도.
제3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수신기의 FM 검파부분의 등가회로도.
제4도는 FM 검파에서 사용된 위상전이회로망(이상기)의 주파수 함수로서 진폭응답과 위상응답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검파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파수 변조신호를 복조하고, AM 신호도 복조하는 검파회로망에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검파기는 정적회로 구성용으로 적합한 검파회로망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FM 복조기는 한쌍의 직각위상 관계신호 성분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동조회로를 이용하므로서 그리고 이들 위상성분들을 합성함에 의하여 유출되는 합성 신호를 정류하도록 한쌍의 다이오드를 사용하므로서 변조정보를 가지는 소정성분을 얻었다.
이러한 공지된 FM 복조기에서는 하나의 신호성분이 기준위상이 되며, 다른 신호성분은 공진시 긱각위상이 되는 주파수편이의 선형함수인 위상을 갖게 된다.
이들 두 가지 성분들은 합성되어서, 상기 한쌍의 다이오드들중 하나의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제1합성신호를 형성하며, 그리고 다른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제2 합성신호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쌍의 합성벡터들 사이의 불균형은 주파수편이를 나타내게 된다. 다이오드들에 의한 정류후에 합성 벡터들에서 직류성분들이 제거되어 변조정보를 모사한 출력성분이 얻어진다.
또 다른 공지의 FM 복조기는 두 가지의 직각위상을 갖는 (이하 "2상"이라 칭함) 파를 이용하여, 차후적분되는 펄스폭이 가변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게이트된다.
이러한 복조기에서는, 제각기 도전을 차단할 수 있는 한쌍의 제어 그리드를 갖는 게이트 비임관(beamtube)에 의하여 게이트 작용이 수행된다.
동상(in Phase)신호는 제1의 제어그리드에 인가되어서, 직각신호파 제2의 제어그리드에서 발생되며, 이 직각성분은 보조 공진회로에서 자체 발생된다.
그러므로 입력신호가 보조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 이상 또는 이하인가의 여부에 따라서, 두 신호들의 위상관계가 변화되므로, 두 개의 그리드들이 도통되는 주기(周期)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공진시 도전각도가 90도라고 가정하면, 도전주기는 주파수가 공진주파수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되고 공진주파수 이하로 감소됨에 따라서 증가된다. 따라서 신호의 주파수편이에 비례하는 폭을 갖는 일련의 가변폭펄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펄스들이 가청주파수 비율로서 적분된다면, 변조정보가 재생된다. 원리적으로는 인정되는 반면에, 이러한 진공관식 복조기는 비경제적이고 또한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최근에, 집적회로형태의 FM 복조기들은 2개의 직각위상(2상) 및 4개의 직각위상(4상) 승산기(multi-plier)회로들을 활용하고 있으며, 여기에서의 직각위상 성분들은 승산기단들의 상하 랭크(rank)에 제각기 인가된다. 승산기의 상하 탱크들에 인가된 신호들 사이의 피할수 없는 기생용량(표유-용량성결합)에 기인하여, 이들 승산기들은 종종 위상변이를 나타낸다.
이들 위상변이들은 신호레벨의 함수로서 변화한다. 그러므로 장치가 정상 신호레벨에 대하여 적당하다면 낮은 신호에서의 수행은 보잘것 없게 된다. 특히 2상 승산기의 단점은 직류 오프셋(off set)에 있으며, 이러한 직류 오프셋은 복조된 신호에 가산되며, 결과적으로 집적회로들의 상호교환성을 방해하게 된다. 이 2상 승산기에 있어서, 입력접합부의 직류 전압 오프셋직류 이득만큼 체배되어서, 직류 출력레벨에서 크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FM 검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FM 또는 AM 수신용의 새로운 개량된 검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상과 직각위상 신호성분들 사이에 최소의 위상지연이 있는 FM 검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적회로 구성에 적합한 적합한 AM-FM 검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게이트 비임관 변별기의 경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FM 검파기는 제1 및 제2주파수변조입력신호열(train)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유형의 검파기이고, 이 두가지의 신호열들은 동일한 공칭중심주파수를 가지며, 제2의 입력신호열은 90°의 기수체배의 양측중 한쪽에 걸친 주파수함수로서 선형의 위상전이가된 제1입력신호열의 위상전이변형이다.
또한 게이트 비임관 별별기에서 유사한 점을 찾는다면, 본 발명의 검파기는 연속가변폭신호를 포함하는 파형을 갖는 출력신호열을 발생토록 입력신호열을 합성하는 수단과 후자의 가변 폭들을 갖는 신호들을 적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는 것이며, 여기에서 폭변화들은 입력신호들의 상대위상변위에 따르게 된다.
게이트 비임관 변별기에 비하여, 본 발명의 FM 검파기는 차후에서는 설정의 간결화를 위하여 선택회로로서 참조되는, "통과최우수(우선) 입력신호" 선택회로인 합성수단으로서 활용된다.
선택회로의 기능은 제3도를 우선 참조하므로서 쉽게 이해된다. 선택회로(합성수단)는 트랜지스터들(Q1,Q2)과 연관회로들로써 구성된다. 트랜지스터(Q2)는 90도 위상변이신호열(32)을 입력신호열로서 수신한다. 트랜지스터(Q1)은 "정상위상(0°)" 신호열(31)을 입력신호열로서 수신한다.
시간 t1까지 신호열(31)은 신호열(32)보다 더욱 정극성이며, 이것을 여기에서는 "최우선"또는 "최우수"이라고 해석하며, 이러한 정극성 정도에 따라서 선택회로는 신호열(31)을 통과한다. 시간 tl에서 파형들(31 및 32)은 교차, 즉 크로스 오우버(cross over)되므로서, 시간 t1에 연속하여, 신호열(32)이 최우선(정극성)치 되어서 선택회로는 신호열(32)를 통과시킨다.
시간 t2에서 교차점에 도달할 때까지 신호열(92)가 계속 선택되어진다. 시간 t2에서는 신호열들(31 및32)이 부극성이나, 이때까지는 신호열(32)이 신호열(31)보다 더욱 정극성(즉 작은 부극성)이였으므로, 이러한 논리에서는 최우선이 되므로 선택회로는 신호열(32)을 연속 통과시키계 된다. 시간 t2에서 시작할 때에는 신호열(31)은 신호열( 32)에 대하여 더욱 정극성(최우선)이 되므로, 선택회로에서 통과되게 된다.
이런한 작동은 시간 t3의 교차점까지 연속되며, 시간 t1에서 시간 t3까지를 주기로 한 반복이 있게 된다."최우선 입력신호통과" 선택회로의 한가지 헝태만이 이후에 설명되나, 다른 선택회로들이 OR 게이트 또는 AND게이트와 같은 논리회로에 유추하여 직접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회로는 (1) 입력들중 어떤 하나가 정극성일 때마다, 최우선(더욱 정극성)인 신호가 통과되는 정극성 출력과 (2) 입력들이 부극성일때 상대정극성의 신호가 통과된 부극성 출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선택회로-FM 검파기는 상기 다른 유형의 FM 검파기에 비하여 상당한 장점을 갖는다.
게이트 비임관 변별기는 AM 검파와 양용할 수가 없으며 그리고 적어도 이러한 이유 하나만으로도 제외되어야만 할 것이다. 직각위상 승산기들은 AM 검파의 경우에 전파(全波) 피이크 검파기로 용이하게 변환되므로, AM 검파용으로 양용할 수 있으며, 이는 물론 본 발명의 선택회로에 해당한다. 승산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선택회로는, 입력에서부터 출력까지의 시간지연이 두가지 입력신호열들에 대하여 확실히같고, 또한 입력신호레벨에는 관계 없음을 의미하는 매우 낮은 "차동시간지연"을 갖는다.
승산기에 종종 존재하는 높은 차동시간지연이 존재하게 되며, 일그러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의 선택회로는 수백마이크로암페어 정도의 전류를 활용한다. 대조적으로 이러한 작은 차동시간지연에 대한 직각위상 승산기들은 수밀리암페어 정도의 전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선택회로에서의 출력신호는 진폭변동을 나타내며 이것은 제3도의 다음 설명에서 더욱 쉽게이해되어진다. 그러므로, 대칭제한기(제3도의 트랜지스터들(Q8 ,Q9) 및 연관회로)를 통하여 적분장치(제3도의 트랜지스터(Q10) 및 연관회로)로 선택회로 출력신호열을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평균레벨에 대하여 대칭적인 두가지 정극성 및 부극성 신호잡음들을 모두 클립(clip)한다는 의미에서 상기 제한기는 대칭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대칭 제한기는 비교적 매우 낮은 입력신호잡음일지라도 제한기능을 수행하는 유형의 제한기이며, 또한 이러한 이유때문에 "영교차"검파기라고 이후 찹조된다. 즉 0볼트가 될 필요는 없으나 여기에서는 0볼트인 어떤 고정기준레벨을 통하여 입수신호열내의 신호들이 통과함을 이러한 장치 즉 영교차검파기가 실제로 고정기준레벨은 입력신호 그 자체가 기준레벨에서 떨어져서 0볼트를 통과하는 순간에 대응하는 레렐이다.
또한 대칭제한기 또는 영교차검파기의 설명에 덧붙이자면, 이 장치들은 직류접속되며 직류응답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대칭제한기 또는 영교차검파기는 히스테리시스 (hysteresis)가 없는 재생형이다. 히스테리시스는 기준레벨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불명확한 것이다. 기준레벨은 바로앞의 입력신호가 정극성 또는 부극성인가의 여부에 따라서 여러가지 가능 값들중의 하나라고 가정된다.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실시한 무선 수신기가 제1도에서 블록선도와 전기 회로도를 동시 할용하여 도시되었다 제1도의 무선 수신기는 AM-FM작동용의 수퍼헤 테로다인 수신기이다. 이 수신기는 AM-FM변환기(블록 11)와 두가지의 중간 주파수에서 작용하는 IF증폭기를 가지며, 이 IF증폭기의 일단을 제외한 모든 증폭기는블록 (12)에 포함된다. IF증폭의 종단은 제1도의 회로도내에 포함되었으며, 또한 제1도에는 AM-FM검파기용 입력여파기, AM-FM검파기 및 초기 오디오전치 증폭기를 포함찬다. 이 수신기는 출력오디오 증폭기(블록 13)와 용량결합된 라우드 스퍼커(14)로써 완성된다. 특히 여기에서 주관심점은 AM-FM검파기이다.
무선 수신기는 기존의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신호는 AM-FM 변환기(11)내에서 한쌍의 중간주파수중 하나의 주파수로 변환된다. 변환기의 FM부에는 휩(whip)안테나 또는 다른 종류의 적당한 FM안테나용의 외부접속부가 보통 제공되어 있다. 변환기의 AM부는 동조유니트내의 페라이트 소자가 보통 최적의 신호수신을 할 수 있도록 작용하므로, 신호수신용 외부장치가 필요치 않다. FM부는 고정 중간 주파수 예를들어 10.7 MHZ에서 출력을 제공하는 반면에, AM부는 고정 중간 주파수 예를들어 통상 455KHZ에서 출력을 제공한다. 모우드(mode) 선택(AM 모우드 또는 FM모우드의 선택은 모우드선택스위치(26)의 스위치 아암(arm)에 의하여 이루어짐)에 따라서, AM 또는 FM신호는 IF증폭기에 인가되어 신호가 분리되고 증폭된다. 제1도의 회로도에 도시한 IF증폭기의 종단은 증폭된 신호를 검출기 출력에서 AM(19) 및 FM(18)여파기에 인가한다. 제1도의 나머지 전기회로 부분은 검파기능용이며, AM신호에 대한 자등 이득제어전압의 설비, FM신호에 대한 자동 주파수제어전압의 설비 그리고 오디오전치 증폭의 기능을 갖는다.전치증폭 이후에, 검파된 신호들은 오디오증폭기(13)과 라우드스피커(14)에 인가된다.
중간주파수증폭의 종단은 안정 에미터 전류원을 갖는 차동트랜지스터쌍(Q11,Q 12)을 포함한다. 블록(12)내에 포함된 IF증폭기단들로 부터 취출되는 신호는 트랜지스터(Q11과 Q1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증폭된 출력은 패드(Pl)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Q12)의 콜렉터에서 유출된다.
패드(Pl)는 검파기여파기들(18,19)로의 입력 접속점이다.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는 6볼트 B+버스(15)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들(Q11; Q12 )의 에미터들은 공통접속되어 일정 에미터 접지 전류가 흐른다.
트랜지스터를(Q11 및 Q12)용의 전류원은 트랜지스터들(Q13,14), 다이오드들 (Dl,D2,D3)과 다수의 저항소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에미터 정전류는 트랜지스터(Q13)에서 공급되며, 트랜지스터(Q13)의 에미터는 100옴 저항(20)을 통하여 접지되었고,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미터 전압(Vbe)은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에 의하여 결정된다. 트랜지스터(Q13)용의 기준전압은, 트랜지스터(Ql4)를 포함하는 제2전류원에 의하여 결정되며, 트랜지스터(Q14)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동시에 다이오드(Dl)와 저항(17)의 직렬접속을 통하여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14)의 에미터는 전류 안정화 저항(21 : 2.6K)을 통하여 B+바이어스 전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14)의 베이스전위는, 다이오드들을 접지시키는 저항(16)에 의하여 설정된 다이오드 전류레벨에서 B+모선전압 이하인 두개 다이오드들의 전압강하 (D2+D3)가 된다. 따라서 다이오드들(D2,D3)과 저항(16)은 전압(Vbe)제어에 의하여트랜지스터(Q14)의 콜렉터전류를 설정하며, 또한 직렬연결된 다이오드(Dl)와 저항(17)에서의 전류를 결정한다. 이후에 다이오드(Dl)와 저항(17)에서의 전류는, 트랜지스터들(Q11,Q12)에 에미터 정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Q13)에서 (Vbe제어에 의하여) 복제된다. 이러한 전류는 대략 200마이크로암페어(μA)에서 통상적으로 설정된다.
IF증폭기에 의하여 공급된 신호는, 트랜지스터쌍(Q1,Q2)을 포함하는 AM-FM검파기에 인가되기 전에 AM과 FM여파기(19,18)에 인가된다. 또한 이러한 여파기들은 검파과정에 필수적인 채널 분리와 위상변이 기능을 갖는다. 차동트랜지스터쌍(Q1,Q2)은 AM-FM검파 모두에 사용된다. 특히 여파기들(19,18)은 두 가지의 다른 위상으로 여파된 IF신호를 차동트랜지스터쌍(Q1,Q2)의 베이스들에 인가한다. 패드들(P1및P2)은 AM과 FM여파기들의 입력 및 출력 접속점들에 제각기 연결되며, B+버스(15)는 패드(P5)를 통하여 "공통"여파기 접속점들에 연결된다. 또한, 공통 접속은 IF증폭기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서 B+의 전류통로를 형성한다.
FM여파기는 콘덴서(34)에 의하여 용량결합된 입력측에서의 병렬공진 탱크회로와 출력에서의 병렬공진탱크회로를 포함하는 18로서 도시된 2중동조회로이고, 여기에서 공진시에 90°위상변이가 발생된다.
콘덴서(34)는 왜곡을 감소시키도록 임계치를 약간 넘어서는 과결합이 되도록 보통 선택되어진다. FM여파기는 10.7MHZ에서 공진되며, 입력탱크 인덕터상의 중간 탭에 입력접속이 형성되어 있다. AM여파기(19)는 입력으로 중간 탭이 제공된 1차동조권선과 위상반전 출력 접속이 제공된 2차비동조 권선을 갖는 변압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FM과 AM입력권선들의 중간 탭들은 괘드(Pl)과 B+버스사이에서 직렬 접속되었으며 그리고 FM과 AM여파기의 출력권선들은 패드(P2)와 B+버스사이에서 직렬 연결된다.
AM검파에 관련된 회로는 제2도에서 간략하게 도시되었다. 이 회로는 AM여파기(19), 검파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쌍(Q1,Q2), 오디오 전치증폭 트랜지스터들( Q3,Q5), 정전류원(25) 및 다수의 저항 및 콘덴서들을 포함한다. AM탱크회로(19)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된 입력탭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2차 권선의 위상반전 출력접속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AM동가회로에서 FM권선들의 생략은 455KHZ용의 변압기에서 10.7MHZ의 임피이던스는 무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트랜지스터들(Q1 및 Q2)의 콜렉터들은 상호접속되며, AM여파기(19)의 1차 및 2차 권선들의 "공통"RF 접속인 B+버스(15)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들(Q1, Q2)의 에미터들도 상호 접속되었다.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회로 구성에서는 피이크검파모우드로서 작용하는 트랜지스터들(Q1, Q2)의 에미터들에서 AM신호의 전파정류된 신호가 제공된다.
검파된 출력은 다음 2개의 오디오 증폭단에서 증폭된다. 제1단은 높은 입력임피이던스 에미터 플로워구성으로 연결된 트랜지스터(Q9)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Q1,Q2)의 에미터들에 접속되며, 콜렉터는 정극성바이어스 공급원(15 :버스)에 직결되며 에미터는 정전류원트(25)(랜지스터Q4 포함)을 통하여 접지된다. 에미터 플로워트랜지스터(Q3)에서 유출된 출력은 제2증폭단의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는 입력단자이고, 에미터는 바이어스 저항 (22)를 통하여 B+버스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저항(23)을 통하여 접지되며 트랜지스터 (Q5)에미터 플로워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증폭된 출력신호는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서 나타난다.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저항(29)과 콘덴서(24)로 이루어진 RC회로 망은 중간 주파수 또는 고조파의 잔여성분을 여파한다.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서 나타나는 증폭된 AM 신호는 최종적인 오디오증폭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더이상 여파된 후에는 IF증폭기용 AGC전압으로 사용된다. 상술된 전류원 (25)는 AM-FM 모드선택에서 활용된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원(25)는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콜렉터와 저항(32)를 통하여 접지된 애미터를 갖는 트랜지스터(Q4)를 포함한다.
패드(P3)에 접속된 모드셋트 스위치(26)은 AM 위치에서 트랜지스터(Q4)에 정극성 1.2볼트 베이스바이어스를 제공하며, FM 위치에서는 0볼트 베이스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모드셋트 스위치(26)은 AM 작동동안 전류를 트랜지스터(Q3)에 트랜지스터(Q4)가 공급하도록 하며, FM 작동동안에는 트랜지스터(Q3)에 공급되는 전류가 0이 되도록 한다.
AM검파는 피이크검파 모우드에서 전파정류가 된다. 정류처리를 나타내는 파형들은 제2도에서 27,28,29및 30으로 도시되었다. 중간 주파수의 제1사인파형(27)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중간 주파수의 제2사인파형(28)은 파형(27)의 반대위상이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러한 반대위상관계는 전술된 바와 같이 여파기(19)내의 변압기 출력반대 접속에 의하여 제공된다. 트랜지스터들(Q1 및 Q2)의 에미터 전류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서 전류를 취출하므로, 대단히 작은 값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낮은 전류레벨은, 약 2마이크로 암페어의 베이스전류에 대응하는 약 170마이크로암페어를 에미터플로워 트랜지스터(Q3)내의 에미터전류로 하므로써 이루어진다(트랜지스터(Q3)의 정류이득에 기인함). 신호가 차동트랜지스터쌍(Q1, Q2)중의 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상에서 부극성이 되면, 이러한 트랜지스터(Q3)는 차단된다. 신호가 정극성이 되면, 트랜지스터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서의 전류레벨에서도 전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정극성인 기간 동안, 전류는 공통에미터 통로에서 흐르며, 또한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가 정극성인 기간동안, 전류는 공통 에미터통로에서 흐른다. 그러브로, 낮은 임피던스 저항성 부하를 가정하면, 트랜지스터들(Q1,Q2)의 베이스에 인가된 두개신호 전압들중 보다 큰 것을 반영한 전파 정류된 전류가 실선파형(29)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공통 에미터통로에서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피이크 검파모우드에서 검파는 높은 임피이던스의 검파기 출력희로를 구성하고, 다소의 표유용량을 허용하브로서 수행된다. 표유용량은 주로 트런지스터(Q3)의 콜렉터-베이스 용랑이며 보통 3피코페러드(PF) 정도이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표유용량을 인가입력 전압의 피이크치까지 충전하는체 소요되는 도전기간들은 짧으며, 사인파형 입력전압의 피이크 가까이에서 대부분 한정된다. 이러한 이 짧은 충전파형은 길고 점차적인 방전파형으로써 순간순간 나타난다.
피이크 검파전압은 제2도에서 점선파형(30)으로 도시되었다. 이 파형은 오디오 변조신호를 함유한다. 이후에 RC 여파기(23,24)는 고주파수의 고조파와 오디오신호로 부터 나오는 중간 주파수 반송파의 소인선을 제거한다.
FM 검파에 관련된 회로는 제3도에 약식으로 도시 되었다. 이 회로는 FM 여파기(18), 트랜지스터쌍(Q1,Q2), 비반전 변형된 차동증폭기 구성의 트랜지스터쌍(Q 8,Q9)과 베이스 입력되는 에미터공통 출력증폭기(10)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는 FM 신호를 가변폭 펄스들로 변환하며 펄스들의 폭들이 신호의 순서 주파수편이에 비례하며, 이 펄스들은 적분한 후에 정상적인 진폭구성으로 오디오신호를 포함한다. 적당한 디엠파시스(deem-phasis)로서, FM 신호의 원래 오디오 변조가 얻어진다.
FM 여파기(18)는 신호를 트랜지스터쌍(Q1), (Q2)에 인가한다. 여파기의 입력 공진회로의 입력탭(tap)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직결된다. 입력구동에 대하여 90도 위상변이된 (공진시) 여파기 출력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직결된다.
FM 등가회로로 부터 AM의 권선을 생략한 것은 10.7메가헤르츠에서는, 455킬로헤르츠용 AM 변압기의 임피이던스가 매우 낮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제2도와 같이 트랜지스터(Q1,Q2)들의 콜렉터들은 상호접속되며, FM 여파기의 입력 및 출력탱크회로에 대하여 공통 RF 접속부가되는 B+버스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1,Q2)의 에미터들은 상호 접속되며, FM 모우드에서는 전류원(33)(트랜지스터 (Q6))의 콜렉터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트랜지스터들(Q1,Q2)의 에미터들에서는 가변폭 부극성행 부분들을 포함하는 파형(36)이 발생된다. 이러한 부극성행 부분들은 순시주파수편이에 비례하는 폭을 갖는 가변폭 구형(矩形)펄스로 연속변환 된다.
파형(36)은 다음 방법으로 트랜지스터들(Q1,Q2)에서 발생된다. FM 여파기(17)는 파형을 0주파수변차에 대하여 90도 위상분리를 하는 트랜지스터들(Q1,Q2)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파형(31)(제3도)은 입력공진회로로부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입력파형이며, 파형(32)은 출력공진회로로 부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출력파형이다. 트랜지스터들(Q1, Q2)내의 전류레벨은 트랜지스터들 전류를 유출하는 정전류원(33)에 의하여 대략 130마이크로암페어에서 셋트된다. 또한 이들은 제각기 베이스에 인가된 입력신호에 대하여 선형으로 작동하도록 장치된다(즉, 표유용랑에 의한 정류없음).
정극성정류(검파) 작용에 의하여, 에미터 롤로워의 전압출력은 두 가지 입력전압중 최우선하는 (더높은)쪽을 따른다. "최우선" 전압출력 특성은 부호(36)으로 도시되었으며 입력의 선형 특성을 나타내고 이것은 비교적 높고 넓은 이중 피이크의 적극성행 부분과, 비교적 낮고 좁은 부극성행 부분을 갖는다. 주파수편차가 0이라 가정하면, 부극성행 부분은 부극성 1/4 듀리사이클 및 정극성 3/4 듀리사이클에 대응하는 0교차점에서 대략 90°의 폭이된다.
편차가 0이 아닌경우, 출력파형은 FM 동조회로의 위상대 주파수 특성의 함수로서 90도보다 크거나 작은 부극성행 부분을 갖게된다. 콘덴서(34)가 두 가지의 공진탱크회로 사이에서 임계(또는 약간 임계를 넘어선 결합을 한다고 가정하면 진폭파형은 부호 (50또는 51)로 도시된 바와 같이되며, 위상은, 제4도의 곡선(38 또는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부극성의 주파수편이에 대하여서는 대략 65도 내지 70도에서 부터 최대정극성 주파수편차에 대하여서는 110-115도까지 변화한다.
트랜지스터들(Q1,Q2)의 베이스들에 인가된 두 가지 신호가 부극성인 기간동안, 파형(36)의 형태 또는"피이크" 부극성행 부분은 트랜지스터(Q1과 Q2)의 에미터들에서 발생된다. 0교차첨에서의 부극성행 부분의 폭은 두 가지 인가된 파형의 상호 위상편차에 의하여 결정된다.
파형들(31,32)이 최소의 상호편차(65도-70도)에 있을때, 피이크 부극성행 부분은 가장 넓게 되며 (110도-115도), 그리고 파형들(31,32)이 최대상호편차(11C-115도)에 있을때는 피이크 부극성행 부분은 좁게된다(65도-70도). 오디오 변조로써 주파수 편차는 최대의 오디오 강도에 대하여 +75KHZ 사이에서 변화하며, 파형(36)의 피이크의 부극성행 부분을 평균 90°의 위아래로 20° 내지 25° 변화화하는 각도 폭을 갖는 중간 주파수비에서 발생될 것이다. 보다 큰 위상변화는, 보다 큰 왜곡(1%이상)이 허용되면 가능하다.
주파수편차의 기능으로서 가변폭을 가지는 이외에도, 파형의 피이크 부극성행 부분은 진폭에서 변화한다. 상한(즉 180도 위상변이)에서, 전파정류와 유사한 파형이 발생되며, 여기서 부극성행 부분의 진폭은0이다. 하한(즉 0도 위상변이)에서 부극성행 부분의 진폭은 전체 진폭이 90도 위상 분리시, 진폭은 전체진폭의 71%이며, ±22.5도의 변화가 전체 진폭의 38%-92%범위의 진폭을 형성한다. 따라서 바람직하지못한 진폭변화에 기인한 제2차 고조파를 없게한 응용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Q2)의 출력은 진폭변화를 제거하는 0교차 검파기에 의하여 처리된다.
차동증폭기(Q8,Q9)는 정상 신호레벨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되는 제한 작용으로서 작은 신호레벨에 대하여 높은 이득을 제공하므로서 이상적인 0교차검파를 한다. 적분 효과를 무시한 트랜지스터들(Q8,Q9)의 이상적인 출력파형은 부호(37)로 도시되었다.
차동증폭기는 재생 및 감발생 궤환루프를 사용하므로서 제어된 높은 이득을 얻는다. 트랜지스터들(Q8,Q9)의 에미터들은 상호접속되고, 전류원(35)[트랜지스터(Q7)]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다. 순방향이득통로내의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4)를 통하여 B+버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 9)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5)와 직결된 저항(27)을 통하여 B+버스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 접속은 트랜지스터(Q9)에서 트랜지스터(Q9)로신호를 전이하고, 트랜지스터(Q8)에서 트랜지스터(Q9)로의 공통 에미터 접속은 양단의 주위의 재생 궤환을 형성한다. 부궤환통로는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에서 베이스로의 통로이다. 이 부궤환통로는 트랜지스터(D5)의 콜렉터 부하에 연결된 다이오드(D5)의 캐소드(cathcde)에서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28)을 통하여 구성되며 이는 단지 2차단에서만 형성된다. 이러한 부궤환은 증폭기의 이득을 안정시킨다. 차동증폭기의 신호출력은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에서 취출된다. 이러한 장치는 작은 신호출력에 대하여 최대 약 10배의 이득을 제공하며, 또한 이득은 정극성 및 부극성신호잡음에 대하여 제한이 발생될 때 급속히 감소된다.
트랜지스터들(Q8,Q9)에서의 제한작용은, 고정된 정극성 및 부극성 출력상태를 거의 0신호출력 상태로 셋팅함에 의하여 또한 적당히 큰 입력신호를 제공하고 이들 상태들을 보통 신호잡음에 있도록 출력의 적당한 이득을 제공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전류원(35)는 트랜지스터(Q8,Q9)용의 약 300마이크로암페어 전류를 공급하고, 동시에 전류원(33)은 트랜지스터(Q1,Q2)에 대하여 약 130마이크로암페어 전류를 공급한다. 0신호상태에서, 그리고 IF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트랜지스터들(Q1 및 Q2)은 동일한 전류를 도전하고(제각기 65마이크로암페어), 트랜지스터(Q8)는 전류원(35)에서의 전류 약 3/4(225마이크로암페어)을 도전하며 동시에 트랜지스터(Q9)는 전류원(35)에서의 전류 약 1/4 (75마이크로암페어)을 도전한다. 트랜지스터(Q8, Q9)의 에미터들이 상호 연결되었으므로 이러한 전류분할은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보다 큰 전압(약 35밀리볼트)을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인가시키므로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인가된 전압은 정상전류 설정(65마이크로암페어)에서 트랜지스터(Q2)가입력접합내의 B+이하의 전압강화와 일치한다.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인가된 다소 낮은 전압(70%)은, B+버스(15)와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D4)에 의한 전류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강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트랜지스터(Q1) 또는 (Q2)의 베이스에서 나타나는 정극성의 신호에대한 전압에서의 대응증가가 공통 에미터에 나타난다.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증가전압은 트랜지스터(G8)를 강하게 도통시키고, 다이오드(D4)에서의 전압강하를 증가시키며, 트랜지스터(Q7)에 인가되는 전압을 강하시킨다. 트랜지스터(Q9)에 낮추어진 베이스 전압이인가되면 콜렉터 전류가 감소됨과 동시에 콜렉터 전압이 증가된다. 제한 상태에서 트랜지스터(Q8)는 완전히 도통상태가 되며 트랜지스터(Q9)는 비도통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 증가전압은 트랜지스터(Q10)가 차단되도록 전류를 감소시킨다.
부극성인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들에 인가되는 두 가지 신호들로서 상기 상태의 반전이 일어나며,트랜지스터 (Q10)는 도통한다.
억압된 트랜지스터(Q1,Q2)의 공통 에미터로서, 트랜지스터(Q8)는 약하게 도통되며 트랜지스터(Q9)는 더욱 강하게 도통되어,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에서 전압강하를 유발한다. 제한상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8)는 비도통 상태가 되며, 트랜지스터 (Q10)에서의 전류는 증가한다.
상기의 두 가지 경우에 있어서, 입력신호가 50 또는 60밀리볼트를 초과했을 때 매우 확실한 제한이 발생된다. 통상적으로 2/1볼트 피이크-피이크인 본 도면의 전압에 비하여 인가되는 신호가 더 클때, 트랜지스터의(Q9)의 출력상태는 제3도에서 부호(37)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일정한 진폭을 가진다. 그러므로 차등증폭기(Q8,Q9)는 검파기출력의 정극성 및 부극성상태에서의 진폭변화를 제거하고, 그리고 정극성 및부극성 상태 사이에서의 전이(transition)를 빠르게 한다.
기생 용량에 의한 전분이 없다고 가정하면,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에 나타나는 출력펄스들은 부호(3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주파수 비율에서 발생하는 거의 구형파에 가까운 펄스와, 연속 일정 한 진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음의 증폭기 트랜지스터(Q10)의 입력임피이던스의 결과로서, 차동증폭기의 부하회로 내에서 나타나는 용량에 의한 어떤 적분이 있게된다. 이러한 용량성 효과는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에 나타나는 개별적인 펄스의 선명도를 방지하기에는 불충분하다. 트랜지스터(09)의 콜렉터에서의 감발생 궤환루우프에서 궤환신호의 대역폭을 단순히 감소시킨다. 대역폭의 감소는 적으며, 감발생 궤환루우프가 단지 약간 감소된 속도의 기능을 갖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재생 루우프는 용량성 부하와는 무관하며 어느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스위칭을 빠르게 할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9)의 실제 출력펄스들은 증폭과정에서의 어떤 롤오프(roll-off :파헝 모서리의 궁글림)에 일치하는 직각의 감소를 나타낸다.
롤오프는 쉽게 결정된다. 차등증폭기용 부하회로는 연속 증폭기 트랜지스터(Q 10)의 베이스-에미터 용량과 트랜지스터(Q10)의 에미터를 B+에 연결하는 에미터저항( 29)(1K)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트랜지스터(Q10)가 측방향(횡)형 PNP트랜지스터 이므로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미터 용량은 수 피코페러드이다. 따라서 롤오프는 이중으로 헝성되며, 비록 가장 높은 주파수에서도, 콜렉터부하(3.9K)와 분로를이루 에미터부하(1K)에서 보다 더 이상 유기되지 않는다. 상기된 것이외에도, 두 가지의 다른 적분효과가트랜지스터 증폭기(Q10)에 관련하여 존재한다.
그 첫 째는 측방향형 PNP트랜지스터에서의 캐리어가 콜렉터에 도달하기 까지 소요되는 드리프트 시간에 기인되고, 그 두 번째는 RC회로망(23,24)에 의하여 발생되는 적분효과이다. 출력신호가 취출되는 트랜지스터(Q10)의 콜렉터는(FM모우드에서 정지상태) AM검파기(Q5)의 콜렉터와 같이 동일한 점에서 여파기들(23,24)에 연결된다.
PNP 트랜지스터(10)는 수백킬로싸이클의 저주파수 차단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10메가싸이클 IF대의 펄스는 별도로 분석되지 않으므로 저주파수 정보는 평균펄스폭 또는 듀티(duty)싸이클에 근거를 두어 재생된다. 저주파수 정보는 FM신호내의 오디오 정보이다. RC회로망(23, 24)는 원래의 변조오디오 신호를 재구성 하는데 필요한 75마이크로 초의 디엠파시스(de-emphasis)를 하도록 선택된다.
제1도의 개략구성도는 AM과 FM회로를 결합하여 도시된 것이며, 또한 제2도와 제3도에서 생략된 전류원과 제어회로의 상세한 부분을 추가로 도시한 것이다. 예를들자면, 제2도의 등가전류원(25)은 제1도에서 모우드 스위치(26)에 연결된 베이스와 저항( 22)를 통하여 접지된 에미터를 갖는 트랜지스터(Q4)로 도시되었다. 또한 제1도에는 모우드 스위치(26)의 설정결과에 따라서 FM모우드에서는 작동하고 AM모우드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세개의 추가 전류원이 있다. 제3도의 전류원(33)은 제1도의 트랜지스터( Q6)로 도시되었으며 이것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1,Q2)의 에미터들에 연결되며, 베이스는 고정바이어스 공급과 여파가 되는 패드(4)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저항(43)을 통하여 모우드스위치(26)에 있는 패드(Q3)에 연결된 두 번째 저항(44)의 제1단자의 보조 접속점에 연결된다. 제3도의 전류원(35)은 트랜지스터(Q7)인데 이것의 콜렉터는 차등증폭기(Q8,Q9)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이의 베이스는 패드(P4)에 연결되며, 이의 에미터는 제2저항(45)를 통하여 저항(44)의 제1단자에 연결된다.
제3전류원은 제2도 또는 제3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우드 설정기능으로서 복조기에서의 제어출력을 재조정하도록 제공된다. 제3전류원은 트랜지스터(Q17)인데 이것의 베이스는 고정된 정극성 바이어스의 패드(P4)에 연결되며, 에미터는 저항(46)을 통하여 저항(44)의 제 1단자에 연결되고, 콜렉터는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6)와 저항(48)을 포함하는 Veb전류기준을 통하여 B+버스에 연결된다.
제3전류원(Q17)은 AM 의우드와 FM 의우드에서 AGC 및 AFC 증폭기의 출력전류를 증가시킨다. 트랜지스터(Q17) 공급원의 에미터는 저항(44)을 통하여 모우드스위치(26)에 연결된다. 스위치가 AM으로 설정되면 트랜지스터(Q17)는 차단되나 FM으로 설정되면 도통상태가 된다. 트랜지스터(Q17)는 FM 모우드에서 IF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므로 FM 모우드에서 IF 증폭기 이득을 증가시킨다.
AGC, AFC 제어증폭기는 트랜지스터들(Q15, Q16)을 포함한다. 이것은 AM 모우드에서는 증폭된 AGC전압을 FM모우드에서는 증폭된 AFC전압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제어증폭기의 입력단은 베이스가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6)를 포함하며, 검파된 AM 신호는 수신기가 AM 모우드에 있을 때 나타나고, 또한 트랜지스터(Q16)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Q10)의 콜렉터에 연결되어서 검파된 FM 신호는 무선 수신기가 FM 모우드에 있을 때 나타난다. 트랜지스터(Q16)의 에미터는 저항(47)을 통하쳐 접지되고, 이것의 콜렉터는 저항(48)과 다이오드(D6)로 이루어진 전류기준기를 통하여 B+버스에 연결된다.
제어증폭기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Q15)를 포함하는 데 이것의 베이스는 Veb 기준기(D6, 48)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6)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저항(49)을 통하써 B+버스에 연결된다. 따라서 FM 설정에서 제어증폭기의 출력을 결정하는 Veb 기준은 평균 신호레벨에 비례하는 트랜지스터(Q16)와 전류원에 의하여 제공되는 전류단계를 반영한다. 셋팅설정시에 제어증폭기의 출력을 결정하는 Veb기준은 단지 평균 신호레벨만을 반영한다.
AM과 FM 검파기로 부터 공급되는 제어증폭기에서 증폭된 제어전압은 IF 증폭기(12)와 AM, FM 변환기(11)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AM 설정시에 IF 증폭기의 이득은 여러개의 단으로 구성된 전류제어를 사용하므로 제어된다. 또한 변환기(11)와 어느 RF 단의 이득은 이러한 방법으로 이득제어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이득제어된다. FM 설정시에는 전류레벨은 IF 증폭기에서 충분히 증폭시켜 이득이 트랜지스터(Q15)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류에서의 어떠한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었으며, 동시에 가변전압이 발진기에 인가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FM 발진기는 그 주파수 특성이 전압에 따라 좌우되도록 선택되고, 드리프트를 교정하기 위하여 전압에 의존한다.
상기의 FM 검파기는 집적회로 구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종래의 회로들로서 적합하다. 집적회로 또는 분리형태에서, 차동접속된 에미터 플로워쌍을 이룬 검파기의 중심부는 검파과정에 있어서 일그러짐을 낮게한다. 하단에 인가된 신호와 상단에 인가된 직가위상신호 사이에 3C-50도 차동위상변이를 유발하는 공지의 2상 및 4상 검파회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부가적인 차동위상변이를 유발하지 않는다. 이 차동위상은 신호레벨의 감지하에 일어나므로 인용된 장치에서는 5도-10도의 위상변이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이러한 왜곡의 원인이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 검파장치는 동조회로에 대하여 최적의 부하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동조회로에 대하여 최소의 부하를 의미하는데, 입력탱크회로와 출력탱크회로 사이에 균형을 이루게하며, 또한 부하는 본질적으로 일정하고 신호레벨에 무관하게 된다. FM 복조기에서, 동조 변결기 회로의 효율성 Q는 능동검파소자에 의하여 유기되는 부하에 의하여 저하된다. 부하가 단순한 다이오드들에 의하여서만 형성되는 것이아니라 오히려 트랜지스터 입력접합부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본 발명장치에서의 이러한 부하는 트랜지스터의 베타(beta : β :전류증폭율)에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인자에 의하여 부히가 감소되므로 매우 작다. 이러한 부하가 비교적 적기때문에, FM 여파기의 공진회로는 정상적인 Qs 보다 높은 값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부하가 적기때문에, 전체 신호레벨에서 최소의 이조(de-tuning :혼신분리)만 있게 된다. 더우기 트랜지스터들이 정극성 또는 부극성 위상에서 도통간격을 제각기 동일하게 분배하는 도통주기의 분배 특성에 기인하여, 두 탱크회로들상의 부하효과는 동일하다.
따라서 부하의 정도에 따라, 입력과 출력여파기 사이에는 동일성(동일한 부하지님)이 있으며, 정상 신호레벨에 대하여 동조될 수 있다. 또한 입력과 출력회로 부하 사이의 동일성 이외에도, 에미터 전류와 이에 따른 베이스 전류들이 에미터 전류원(33)에 의하여 항상 일정함을 유지하게되므로 동조회로의 부하는 본질적으로 항상 일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AM과 FM 작동용으로 펀리한 여파기를 활용하며 설명하였으나, 기타 다른 종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한다. 예를들자면, FM 작동용으로 필요한 위상기울기를 일으키도록 충분히 오래도록 지연시키는 지연선(delay line)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FM에서 사용되는 표준주파수에서는, 이러한 시도는 매우 비경제적이다. 그러나 더 높은 주파수에서이거나 또는 다른 표준변조가 활용될경우, 지연선은 종종활용된다. 또한 세라믹 공진기를 활용하거나 또는 FM 여파기(18)의 경우에서, 단일동조 이차코일에 의하여 비동조된 최초 부하회로를 사용할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똑같은 목적을 위하여 표면파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검파기들(Q1, Q2)은 보통 130마이크로암페어에서 선형으로 작동하고, 신호의 주파수편차에 선형비례하여 0 교차가 공극되는 가변폭파형을 발생한다. 0 교차검파기는 검파다이오드 들로 구성되며 0 교차를 감지하고, 이미 유도되어나온 0 교차와 정합하는 0 교차의 구형펄스파를 발생시킨다.
0 교차검파기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주파수변별(frequency discrimination)은 에미터 폴러워쌍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회로는 진폭변조에서도 또한 민감하다. 따라서 제3도의 부극성행 방향으로 곡선의 면적을 본다면 부극성행 부분의 폭과 높이가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입력파형이 주파수 영역에 걸쳐 선형인 경우, 이러한 효과는 검파 일그러짐으로 통상 나타나는 2차고조파를 발생한다.
그러나, 여파기의 대역통과 특성을 정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진폭이 적당히 낮추어지도록(협대역 여파기를 사용하므로)하며 이러한 증가된 2차고조파를 보상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여파기와 검파회로에서의 효과를 고려한다면, 진폭의 비선형은 다음단의 제한증폭기 없이 보상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협대역에서 또는 작은 왜곡이 별로 중요치 않은 적용에서는 보상은 불필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당한 형태에서, 여파기(18)의 진폭과 위상응답은 복조기의 선형범위를 연장하도록 조절된다. 특히 두개의 등조회로들은 제4도에 도시된 위상응답(39)을 일으키도록 중복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조정은 최적의 중복결합으로서 약 1/4%의 왜곡을 일으킨다.
0 교차검파기는 여기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이 장치는 낮은 신호레벨에서 높은 이득을 가지며, 바이어스점 위 또는 아래로 60 또는 70밀리볼트에서 제각기 신호들의 극성에 의하여 매우 빠르게 제한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 장치가 보통 500밀리볼트의 피이크-피이크 신호에 의하여 동작되므로, 정상적인 신호레벨은 근본적으로 엄격한 제한이 된다. 표준정궤한 증폭기로 이루어진 다른 형태의 0 교차검파기들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0 교차검파기 증폭기는 두개의 극성의 낮은 신호잡음에서 포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족 비직선성이어야 만 하고, 신호가 없을 때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없어서 증폭기가 원래 바이어스점으로 신속히 복귀하여야만 한다.
검파기는 제각기 AM과 FM용으로 트랜지스터(Q5, Q10)의 분리 오디오전치증폭기단들을 사용하였으며 저항(23)과 콘덴서(24)를 포함하는 동일한 최종 RC회로망을
파수 변조신호에 대하여 정확한 디-엠퍼시스를 하도록 선택되어지며, 여러가지 면에서 AM 수신기에 대한 소정의 주파수 응답에 근사하다.

Claims (1)

  1. 제2입력과 동일한 공칭중심주파수를 갖는 제1주파수변조입력신호열과 제1주파수 입력변조열을 90°기수체배의 영역에 걸친 선형주파수함수로서 위상변이시킨 제2주파수 변조입력열을 수신하는 형태의 FM 검파기에 있어서, 입력신호열들을 조합하여 입력신호열들의 상대위상변이에 따라서 폭이 변화하는 연속변화폭신호들을 포함하는 파형의 출력신호열을 제공하는 "최우선 입력신호통과" 선택회로와, 연속변화폭 신호들을 적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FM 검파기
KR1019750000821A 1975-04-18 1975-04-18 Fm 검파기 KR830000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50000821A KR830000137B1 (ko) 1975-04-18 1975-04-18 Fm 검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50000821A KR830000137B1 (ko) 1975-04-18 1975-04-18 Fm 검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37B1 true KR830000137B1 (ko) 1983-02-14

Family

ID=7354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50000821A KR830000137B1 (ko) 1975-04-18 1975-04-18 Fm 검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13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9873A (en) Active low-pass filter
CA1062779A (en) Detector for am-fm signals
US4249261A (en) Superheterodyne radio receiver with nearby-station interference detection
US4054840A (en) FM demodulator using multiplier to which delayed and undelayed input signals are applied
KR970007869B1 (ko) 동기 비디오 검출기용 제어발진기
JPS6211825B2 (ko)
JPS6113644B2 (ko)
US3667060A (en) Balanced angle modulation detector
KR830000137B1 (ko) Fm 검파기
US4054839A (en) Balanced synchronous detector circuit
US3430151A (en) Amplitude modulation detector for single sideband or suppressed carrier input
JPS6159002B2 (ko)
CA1108250A (en) Demodulating apparatus with phase shift compenstion
JP2911458B2 (ja) 自動周波数制御装置
JP2757377B2 (ja) ステレオ復調回路
JPS6236401B2 (ko)
US4119919A (en) Frequency discriminator circuit
US364645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detecting a television signal having a differential circuit with a common emitter transistor
KR100371420B1 (ko) 버스정렬된구적fm검출기
JPH0573319B2 (ko)
EP0020744B1 (en) Am-fm detector circuit
US4272726A (en) Differential FM detector with series tuned filter
US3586986A (en) Frequency discriminator
JPS6149846B2 (ko)
US3084291A (en) Circuit-arrangement for push-pull frequency demodulation or phase compar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