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64B1 - 강철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강철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64B1
KR830000064B1 KR1019790002852A KR790002852A KR830000064B1 KR 830000064 B1 KR830000064 B1 KR 830000064B1 KR 1019790002852 A KR1019790002852 A KR 1019790002852A KR 790002852 A KR790002852 A KR 790002852A KR 830000064 B1 KR830000064 B1 KR 83000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elt
refining
silic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초울럿 리챠드
키니 멜만 스튜어트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지. 그리어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지. 그리어,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지. 그리어
Priority to KR101979000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21C5/34Blowing through the b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철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 조절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정련된 탄소강의 시간에 따른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강철의 정련에 관련된 것이며, 특히 용융물의 온도가 정련시 조절되어 정련의 최종 단계에서 원하는 출탕온도가 얻어지도록하는, 탄소강과 저합금강의 표면하 압축공기 정련(subsurface pneumatic refining)에 관련된 것이다.
다수의 표면하 압축공기 강철 정련 공정은 예를 들어, AOD, CLU, OBM, Q-BOP 그리고 LWS 공정들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알려져있다. 이러한 공정들에 대한 미합중국 특허들은 각각 다음과 같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3,252,790, 3,867,135, 3,706,549, 3,930,843, 그리고 3,844,768.
본 상세설명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표면하 압축공기 정련”이란 용어는 산소기체 자체나 또는 알곤, 질소, 암모니아, 수증기,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 또는 탄소수가 더 큰 탄화수소 기체로 구성된 기체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체와의 혼합물을 용융물내오 표면하주입시킴으로써 용융물의탈탄소 연소 반응을 일으키는 공정을 일으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기테들은 제조되는 강철의 등급과 산소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특정한 기체들에 의거하여 다음의 여러가지 볼로우잉 계획에 의해서 용융물로 불어넣어질 수 있다. 탈탄소와에 덧붙여, 표면하 압축공기 정련은 용융물의 탈황, 탈인 그리고 탈가스화도 또한 일으킬 수 있다. 더우기, 정련공정은 산화된 합금원소를 환원시키고 염기성 슬랙을 형성하기 위해서 석회석과 합금을 첨가한다거나, 용융물의 조성조건에 맞도록 용융물의 성분을 조질하기 위하여, 합금원소를 첨가하는 것과 같은 특정한 마무리 단계로서 종결될 수 있다.
응용물은 정련등의 탈탄소화 단계에서 발생하는 발열 산화반응에 의해서 가열되나, 마무리 단계에서는 응용물이 급격히 냉각되는데 그것은 석희석과 함금원소의 첨가는 흡열반응이고, 발열 반응은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 때문이다.
흔히 “블로우잉”으로서 언급되는 표면하 압축공기 정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 결과를 초래한다. 탈탄소화, 환원, 탈황 그리고 탈가스와, 이러한 결과들을 얻기 위해서 원하는 수준까지 탄소를 연소시킬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는 것과(탈탄소화), 환원첨가제를 용융물에 완전히 혼합시키고 슬랙--금속간의 우수한 상호작용을 달성하기 위해서 충분한 분사 기체를 공급하는 것과(탈산소 환원 작용), 염기성 슬랙을 얻는 것(탈황을 위해서), 그리고 용융물에 수소와 질소의 함량이 적도록하기 위해서 충분한 분사 기체를 공급하는 것(탈가스화)이 필요하다.
압축공기 정련은 두 가지 상반되는 온도 제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한 가지 조건은 처리 용융물의 출탕을 위해서 용융물의 온도를 충분히 높게 유지하면서 흡열 반응의 단계가 수행되도록, 발열 반응에 의해서 충분히 높은 온도가 얻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것과 상반되는 제한 조건은 정련 용기내에서 얻어지는 피크온도는 용기의 내화물의 과도한 성능 감소를 유발하는 온도 보다는 낮게 유지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얻급된 모든 표면하 압축공기 정련공정들에 있어서, 정련의 마지막 과정에서 처리용융열의 출탕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용융물의 완전한 정련을 달성한다는 것이 통상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처리 산소와 함께 그 열을 다시 불어넣어 줌으로써 용융물 내의 탄소와 금속성분과의 발열 산화 반응에 의해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 기술적인 통례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언급된 모든 표면하 압축 공기 강철 정련 공정들에 대해서 적용가능하지만,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은 알곤-산소의 탈탄소연소(AOD) 공정을 참고로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기초적인 AOD 정련 공정은 크리브스키에 의해서 미합중국 특허 3,752,790호에 발표되었다. 기체의 계획화된 볼로우잉에 관계된 크리브스키 특허에 대한 개량발명이 넬슨등에 의하여 미합중국 특허 3,046,107호에 발표되었다. 미리 정한 질소 함량을 얻기 위해서 알곤, 산소화 함께 질소를 사용하는 방법이 사코마노동에 의해서 미합중국 특허 3,754,894호에 발표되었다. AOD 공정에 대한 수정안이 또한 존슨등에 의해서 미합중국 특허 3,867,135호에 발표되었으며, 이 방법은 용융된 금속을 정련하기 위하여 수증기나 암모니아를 산소와 함께 사용한다.
본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알곤-산소의 탈탄소연소화 또는 공정”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최소한 한개의 저부 송풍구를 가진 졍려용기 내에서 충전된 용융금속과 합금을 정련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다음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a) 90%까지의 희석 기체를 포함하고 있는 산소 함유 기체를 송풍구를 통해 용융물 내로 주입시키며, 여기서 희석기체는 용융물의 탈탄소연소화 도중 형성된 기체 기포의 일산화탄소 분압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또는 총 주입기체 유속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용융물로의 산소 공급량을 변경시키는 작용을 하며, 그 다음에 (b) 분산기체를 송풍구를 통해서 용융물내로 주입시키며, 여기서 분산 기체응 탈가스화, 환원, 휘발작용등에 의해서, 또는 슬랙과의 후속적인 함몰 또는 반응으로 불순물들을 부유시킴으로써, 용융물로 부터 불순물을 제거시키는 작용을 한다. 임의로, 상기 공정은 송풍구와 주변내화층을 과도한 마모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보호 유체의 원환류로 둘러싸인 산소 함유 기체를 가질수 있다. 유용한 희석기체로는 알곤, 헬륨, 수소, 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또는 탄화수소 기체가 포함되며 알곤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분사 기체들로는 알곤, 헬륨, 질소 및 수증기들이 포함된다. 알곤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보호 유체들로는 알곤, 헬륨, 수소, 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또는탄화수소 유체들이 포함된다 : 알곤이 바람직하다.
정련 공정 도중 용융물의 온도는 열 손실을 일으키는 인자들과 열 수득을 일으키는 인자 들에 의해서 영항을 받는다. 정련용기 내에서 열은 다음의 작용이 요구된다 :
(1) 용융물의 온도를 충전 온도로부터 출탕온도로 상승시키고,
(2) 어떠한 합금 뿐만 아니라 석희석, 고철 또는 정련도중 넣어진 다른 첨가물들을 용해 시키고,
(3) 정체 정련 도중에 걸쳐 용융물에 의한 외부로의 열 손실을 보충 시켜야 한다(즉 비활성 기체의 교반, 블로우잉, 환원그 리고 소염 도중).
열은 정련 도중 발생하는 발열 반응에 의해서만 정련시 공급된다. 이것은 탄소의 산화반응(탈탄소화)과 용융물내의 실리콘과 다른 금속성분(예를 들어, 철, 크롬, 망간등)의 산화 반응도 포함된다.
강철의 열이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용기내에서 정련될 경우 용융물 1톤당의 열 손실은 상대적으로 적다. 결론적으로, 탄소, 금속성분들 그리고 실리콘의 발열산화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열량은 열 손실량과 균형을 이루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강철이 용량이 적은 용기 내에서 정련될 경우 용융물 1톤당 열 손실량은 대단히 커서 산화 반응으로 생성되는 열량은 열 손실량과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 이것은 정련된 처리용융물의 온도가 원하는 출탕 온도보다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는 통상적으로 앞서 언급한 기술에 의하여,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키고 그럼으로써 용융물의 온도를 원하는 출탕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산소함유 기체를 처리 용융물에 다시 불어넣어 줌으로써 극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재송풍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그 이유는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산소가 추가로 사용되어야 하고, 용융물내의 금속 성분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산화가 일어남으로써, 전체 정련 공정의 효율이 감소하고 반대로 금속의 품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일견하여 열 수득 인자들의 크기를 증가시켜 낮은 출탕온도 문제를 해결하거나, 총열량 수지에 도움되는 것으로서 이상에서 언급한 열 손실인자들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러나 이 문제를 더욱 자세히 살펴 본다면, 용량이 적은 용기에 대해서 이러한 것은 실제적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일정한 산소 볼로우잉 속도하에서 산화에 소요되는 탄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탄소가 첨가 된다면, 열 손실도 또한 증가할 것이다. 사실상, 첨가된 탄소를 산화시키는 전체적인 효과는 열의 수득이 전혀 없는 것이거나 또는 열이 손실되는 것이다. 열로부터 금속 원소들을 잃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금속의 산화를 증가 시키는 것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구나, 탄소강과 저 합금간의 금속 산화를 충분히 증가시키면, 슬랙중에서 높은 수준의 금속 산화물이 야기되며 이것은 내화물의 수명에 이롭지 못하다.
만약 산화는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실리콘 양을 첨가한다며, 정련 조작중에 전체적인 열량증가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용융물에 더 많은 량의 실리콘이 첨가될 수록, 슬랙에 있어서의 산화 실리콘을 중화시키기 위해서 더욱 많은 양의 석회석이 용융물에 첨가 되어야만 한다. 여분의 석회석의 첨가는 흡열반응이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효과는 적고 따라서 이것은 용융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비현실적인 방법이다. 용융물에 알루미늄을 첨가하면 유화되어 열을 발생한다는 것은 알 수 있다. 더우기, 용융물에 열을 공급하는데 있어서, 알루미늄을 사용하면 실리콘보다 몇가지 이점이 있다. 알루미늄은 방출되는 열량 단위에 대해서 실리콘보다 적은 양의 산소가 소요되며, 염기성 탈황 슬랙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실리콘보다 석회석이 적게 걸린다. 그러므로, 용융물에 있어서 실리콘을 알루미늄으로 대체 시킨다면, 총 생성열량은 더욱 증가될 것이다. 그러나 열을 발생시킥 위해서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은 내화물에 문제를 야기시키며, 그이유는 용융물(보통 탄소, 망간, 실리콘, 크롬, 니켈과 몰리브덴을 포함)이 산소함량이 큰 기체혼합물과 함께 블로우(blow)될 때, 산소는 항상 알루미늄과 먼저 반응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약후속적인 정련을 할 수 있을 만한 충분한 열량이 발생되도록, 충분한 양의 알루미늄이 첨가된다면, 그것들은 필수적으로 모두 탄소, 실리콘이나 다른 금속들이 산화되기에 앞서 먼저 산화될 것이며, 내화물의 과도한 성능감소를 야기하지 않도록 허용된 온도 범위를 초월할 것이다. AOD 용기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내화물의 경우에 있어, 허용되는 최고 온도는 약 3140℉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강이나 저합금강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제 블로우잉의 필요없이 그리고 내화물의 과도한 성능감소를 야기하는 온도로 과열됨이 없이, 원하는 출량온도가 얻어지도록 응용물의 온도를 조정하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소강이나 저합금강 AOD 정련시, 재블로우잉의 필요없이 그리고 내화물의 과도한 성능감소를 야기하는 온도로 과열됨이 없이, 원하는 출탕온도가 얻어지도록 용융물의 온도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숙련된 사람들에게는 명백한, 상기 목적과 여타 목적들은 다음의 사항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에 정련 산소를 주입하기 전에 급속 산화원소를 첨가하고 아울러 용융물에 완속산화 원소를 첨가함으로써, 탄소강과 저합금강의 응용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이며, 첨가되는 급속 산화원소의 양은 그 전체양이 산화 되었을 때, 후속적인 탈탄소와 반응이 시작되기 전에 용융물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올리기에 충분한 양이어야 하며, 첨가되는 완속 산화원소의 양은 산화원소 모두가 산화되었을 때, 탈탄소 연소화시 용융물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 범위내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이어야 하며, 그럼으로써 정련 종결 단계에서 용융물의 온도가 최소한 원하는 출량 온도와 같아 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요구되는 탈탄소화 온도는 내화물의 마모나 성능감소를 견디어 낼수 있는 온도이고 그이상이면 과도해지는 온도이다.
본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급속 산화 원소”란 용어는 그 원소의 산화가 강철 제조온도에서 열역학적으로 탄소화의 반응으로 촉진되며, 단위 산소량당 높은 열방출량을 가지며 (즉 산소 1ft3당 1100 BTU 이상), 그 원소의 산화물은 종래의 강철제조용 슬랙에 있어서 강한산성을 띠지않으며 (예로들어 실리카 같은), 그 증기압은 철의 증기압보다 실질적으로 크지 않은 원소들을 의미한다. 알루미늄과 지르코늄은 급속산화 원소의 실태이다. 알루미늄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급속산화 원소이다. 알루미늄은 알루미늄 금속이나 또는 철을 포함하는 어떠한 알루미늄 합금의 형태로 서도 첨가될 수 있다.
본 설명과 청구범위에 있어서 “완속 산화 원소”란 용어는, 표면하공기 정련시 가해지는 강철제조 온도와 일산화탄소의 분압하에서 그원소의 산화가 탄소의 산화와 비슷하며, 그 원소의 산화로 방출된 열량이 탄소의 산화열량과 함께 실질적으로 탈탄소 연소반응시 정상 상태에서의 열량 손실과 동일한 원소들을 의미한다. 실리콘과 바나듐이 완속산화원소의 실례이다. 실리콘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완속산화원소이다. 실리콘은 실리콘 금속이나 실리콘철, 망간, 철실리콘, 크롬철실리콘, 또는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여타의 철합금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공기 정련 공정은 알곤-산소 탈탄소화 공정(AOD)이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1화 처리 강철에 대한 전형적인 시간-온도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급속산화 원소를 완속산화원소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 본 발명의 실행하는 데 있어서, 실리콘과 알루미늄은 정련을 시작하기 전에 첨가된다. 실리콘과 알루미늄 연료는 또한 정련산소를 블로우잉하는 초기 단계에 첨가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것들은 각각 별도로 첨가될 수도 있고 결합되어 첨가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이들 원소중 하나 또는 모두가 이미 용융물내에 존재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각 원소의 총량이 본 발명에 의하여 요구되는 총량에 도달하도록 이들 원소를 첨가 할 필요가 있다. 첨가될 원소의 양을 결정하는 계산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5톤 미만의 용기내에서 정련된 1회처리 탄소강의 전형적인 온도 분포를 나타내며, 여기서 용융물내의 탄소함량은, 알곤-산소 비율을 1 : 3으로하고 블로우의 전체 속도를 평균 4.2M3/min로 하는 AOD 공정에 의해서 0.4% 감소된다. 그러한 조건하에서 30㎏의 알루미늄과 14㎏의 실리콘이 본 발명에 따른 소요열량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요구된다. A로 표시된 곡선 부분은 만약 정련용기에 충전 된 용융물의 온도가 1550℃하면, 그 온도가 약 6분 동안에 대략 1725℃로 상승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며, 그 동안에 알루미늄의 산화는 용융물의 온도를 최고나 또는 원하는 탈탄소화 온도로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을 공급해 준다. B로 표시된 곡선의 부분을 탈탄소화 반응이 일어나는 정련단계를 나타낸다. 즉 소량의 금속성분들의 산화와 아울러, 탄소나 실리콘의 산화가 약 9분의 시간동안에 산화에 의해 방출되는 열량을 공급한다. C로 표시된, 곡선의 마지막 부분은 정련의 최종 단계를 나타내며 약 16분이 걸린다. 이동안에 환원 반응으로 합금 성분들이 혼합되거나(미리 첨가되지 않았다면, 석회석도 포함) 용융물에 다른 첨가물이 들어간다. 탈황과 탈가스화도 역시 이 단계의 정련기간중에 발생한다. 이 단계의 후반에 있어서 용융물의 온도는 출탕을 위해서 충분히 높은 온도인 약 1620℃가 된다. 탄소와 저합금강에 대하여 요구되는 종래의 출탕온도는 강철의 종류에, 따라서 아울러 공장사용 온도를 포함한 강철의 최종사용 용도에 달려있는 강철제조 공정의 후속단계에 따라서 약 1540℃에서 1680℃의 범위에 들어간다.
본 발명을 시행하여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 피크 운전온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완속산화 원소의 양을 가능한 한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탈탄소 연소시 온도를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완속 산화원소인 실리콘의 양은 제고되어야 할 탄소량에 달려있다. 예를 들어, 만약 통상적인 예로, 이러한 탄소량이 0.40%라 하면, 0.60%의 실리콘이 실질적으로 온도를 유지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양은 이하의 시행예에서 사용된다. 만약 더 많은 양의 탄소가 제거되어야 한다면 이러한 실리콘의 양은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열 수지 계산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이하의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해 줄것이다. 편의상, 모든 열 수지 항목들은 용융온도와의 차이로서 계산된다.
용융물에 의해 손실되는 열을 보충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열 입력량을 계산하기 위해서 다음의 5가지 요인들이 고려된다 :
(1) 용융물의 온도를 충정온도에서 출탕온도로 상승시키는데 요구되는 열량을 A(℉)라 표시한다.
A=Ttap(℃)-Tcharge(℃)
(2) 석회석을 용해하는데 요구되는 온도를 B(℃)라 표시한다.
B=(% Si)×112℃/% Si
%Si 량은 용기에 충정된 실리콘, 연료로서 첨가된 실리콘 그리고 환원을 위해서 첨가된 실리콘의 실리콘 총무게 백분율을 나타낸다. 충전되는 실리콘의 양은 완속 산화 원소로서 요구되는 양이 되도록 연료로서 첨가되는 실리콘에 의해서 조정되며, 예를 들어서 0.40-0.60%의 탄소 제거에 대하여 0.30% 의실리콘이 요구된다.
112℃/% Si 인자는 금속열역학과 요구되는 슬랙의 화학조성으로 부터 유도된 것이다. 석회석 1%를 첨가시킴으로서 강철용조는 26℃ 냉각될 것이다. 염기성 탈황 슬랙을 형성하기 위해서 산화된 실리콘 1%마다 4.3%의 석회석이 첨가된다.
(3) 탈탄소화중 손실된 열량을 보충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열량을 C(℃)라 한다.
C=t(min)×7℃/min
시간, t는 원하는 탄소와 실리콘 연료와 예상량의 금속성분을 산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 블로우 시간을 나타낸다. 이것은 용조의 화학조성과 블로우 속도로 부터 계산된다. 7℃/min 인자는 고려중인 특정용기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는 5톤 미만의 AOD 용기에 대한것이다. 탈탄소 연소시와 동일한 총 유속으로 불활성 기체를 불어넣기 전과 후에, 어떤 측정된 시간에 대해서 그때의 용융물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서 실험적으로 결정한 것이다.
(4) 불활성 기체 교반과 소열시 손실되는 열량을 보충하는데 요구되는 열량 D(℃)은 각 용기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은 비슷한 조건하에서 운전한 특정한 용기에 대한 앞서의 시험으로부터 이루어졌다. 이것은 어떤 다른 첨가물이 없다고 가정하였 때, 환원 교반초에서 정련 종료까지에 있어서의 온도 손실이다.
D=95℃
95℃는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5톤 미만의 AOD 용기에서의 값을 나타낸다.
(5) 합금과 고철 첨가물을 용해시키는데 요구되는 열량을 E(℃)라 표시한다.
E=(% Z)×19℃/% 첨가물
(% Z)는 정련도중 첨가물로서 들어가는 용융물의 무게 백분율을 나타낸다(예를들어 망간철). 19℃/% 첨가물은 금속열 역학으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여러가지 철합금과 고철 첨가물들의 개별적인 냉각효과가 계산되었다(예를 들어 FeNi 18℃/%, HCFe Mn 22℃/%, 고철 19℃/%). 통상적인 첨가에 대한 대표값의로 20℃/%가 선택되었다.
탄소, 실리콘 그리고 다른 금속성분들의 발열 산화반응에 의해서 공급되는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c=(
Figure kpo00002
% C)×100℃/%
여기서 Sc(℃)는 탄소의 산화에 의해서 생성된 열량이다.
(
Figure kpo00003
% C)인자는 요구되는 탄소함얄에 있어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100℃/% 인자는 금속 열력학으로부터 유도된 것이며 강철용조안에 용해된 탄소가 기체탄소에 의해서 일산화탄소로 산화됨으로써 방출되는 열량을 나타낸다.
Sm=(% M)×82℃/%
여기서 Sm(℃)는 실리콘의 산회에 의해 생성되는 열량을 나타낸다. (% Si)는 전환된 실리콘의 열료로서 첨가되는 실리콘의 복합적인 양을 나타낸다. 이 양은 본 발명의 범주를 충족시키도록 결정된다.
300℃/% Si 는 금속 열역학으로부터 유도되며, 기체산소를 실리콘에 불어 넣읍으로써 강철 용조내에 용해된 실리콘이 산화됨으로서 발생되는 열량을 나타낸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실시예 1]
AISI 1025 강철의 열량은 5톤의 AOD 용기내에 1585℃의 용융철 4.625㎏을 충전시킴으로서 얻어진다.
요구되는 출탕 온도는 1620℃이다. 블로우(blow)시 요구되는 유일한 비연료 첨가물은 망간 가공 규정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용융물에 첨가되는 36㎏의 고탄소 망간철이다. 이것은 또한 0.05%C를 용조에 첨가시킨다. 충전된 용융물을 분석하면 0.60%C, 0.12% Si, 0.32% Cr으로 되어있다. 목표로 하는 탄소함량은 0.20%이다. 합금 첨가물을 고려하면,
Figure kpo00004
%C는 0.45%이다. 연료로서 0.3 Si이 필요하므로, 11㎏의 75% 페로실리콘이 첨가된다. 이러한 크롬 함량에 대하여, 0.25% 금속산화가 예상된다. 그러므로 열수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손실 열량
A=Ttap-Tcharge=1620℃-1585℃=35℃
B=(% SI)×112℃/% Si=0.39% Si×112℃/% Si=44℃
C=t(min)×7℃/min=11min×7℃/min=77℃
11분이라는 숫자는 탄소, 실리콘 연료 그리고 금속 성분들을 산화시키는데 요구되는 화학양론적 산소량으로부터 계산되며, 블로우(blow)시 정상상태에서 7℃/min의 열손실과 평균 3.1ft3/min의 산소 입력 속도가 가정되었다.
D=95℃
95℃라는 숫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정 용기에 대한 실험치에 근거를 두고 있다.
E=(% Z)×19℃/% Z
E=(0.78)×19=15℃
손실된 열량의 합계=266℃
수득 열량
Sc=(
Figure kpo00005
% C)×100℃/%C=0.45×100=45℃
Sm=(%M)×82℃/%M=0.25×82=20℃
Ssi=(%Si)×300℃/% Si=0.30×300=90℃
수득된 열량의 합계=155℃
손실된 열량의 합계와 수득된 열량의 합계 사이의 차이는 266℃-155℃=111℃의 열량 손실이며, 이것은 알루미늄의 산화에 의해에 공급될 필요가 있다. 필요한 111℃의 열량을 공급할 알루미늄의 양을 구하기 위해서, 111을 157로 나누며, 157은 1% Al이 산화될 때 발생되는 온도를 나타내고, 알루미늄 산화시와 생성된 알루미나로서 기초 슬랙을 형성하는데 요구되는 석회석 첨가시에 발생하는 정상상태 열손실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계산을 111/157=0.72% Al 즉 33㎏이 첨가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공정을 시행하기 위해서, 원하는 피크 온도범위 1700°-1725℃로 열량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33㎏의 알루미늄이 첨가되었으며 탈탄소화 반응시 이러한 온도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11㎏의 FeSi가 첨가되었다. 1620℃의 출탕 온도를 가진 원하는 정련 용융물이 얻어졌다.
[실시예 2]
WC6(ASTM A217-75)의 4300㎏의 용융물이 1580℃에서 AOD용기에 충전되었다. 요구되는 출탕온도는 1630℃이다. 충전물을 분석해 보면 0.60%C, 0.18% Mn, 0.11% Si, 0.44% Cr, 0.44 Mo으로 되어있다. 분석을 상술하기 위해서 블로우(blow)시 다음의 첨가물이 첨가되었다. 28㎏의 고탄소 망간철, 23㎏의 충전크롬, 4㎏의 산화 몰리브덴, 0.20%의 목표 탄소함량과 합금 첨가물을 고려하면,
Figure kpo00006
%C는 0.47이다. 이 양에 근거하여, 0.30% Si이 필요하며, 8㎏의 실리콘금속이 첨가된다. 이러한 크롬 수준에 대하여 0.40%의 금속 산화가 예상된다. 열 수지는 다음과 같다.
손실 열량
A=Ttap=Tcharge=50℃
B=(%Si)×112=0.44×112=50℃
C=t(min)×7=11×7=77℃
D=(실시예 1과 같음)=95℃
E=(% Z)×19=1.27×19=24℃
손실된 열량의 합계=296℃
수득 열량
Sc=(
Figure kpo00007
% C)×100=0.47×100=47℃
Sm=(%M)×82=0.40×82=33℃
Ssi=(%Si)×300=0.30×300=90℃
손실된 열량과 수득된 열량의 합계 사이의 차이는 296℃-170=126℃이다. 그러므로, 이 열량을 공급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알루미늄은 126÷157=0.80%Al 이다. 이것은 정상 상태에서의 열량 손실과 석회석 첨가를 고려하였을때, 1% Al이 산화될 때 발생되는 온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계산은 0.80%Al즉 34㎏이 첨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34㎏의 알루미늄이 용조의 온도를 1725℃로 올리기 위해서 충전물에 첨가되었으며, 37㎏의 금속 실리콘이 탈탄소화 반응시 이 온도를 유지하도록 첨가되었다. 규정 범위내의 처리 용융물은 1630℃로 출탕되었으며, 이로 인해 재블로우잉 시킬 필요가 없었다.

Claims (1)

  1. 첨가되는 금속산화 원소의 양은 용융물이 산화되었을때, 실질적인 탈탄소 연소화가 시작되기 전의 용융물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양이고, 첨가되는 완속 산화원소의 양은 그것이 산화 되었을 때, 탈탄소 연소화시의 용융물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 범위내에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서, 정련 종결시 용융물의 온도가 최소한 원하는 출탕온도(1540-1680℃의 범위내)와 같고, 그 탈탄소 연소 온도는 내화물의 성능 감소가 야기되는 온도보다 크지 않으며, 급속 산화원소는 알루미늄 금속이나 철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중에서 선택되고, 완속산화 원소는 실리콘 금속이나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철합금으로 부터 선택되어 산소의 주입을 개시하기 전에 급속 산화원소와 완속 산화원소를 용융물에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여 용융물의 알곤-산소탈탄소 연소화에 의해 수행되는 강철의 표면하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KR1019790002852A 1979-08-21 1979-08-21 강철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 조절방법 KR830000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852A KR830000064B1 (ko) 1979-08-21 1979-08-21 강철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2852A KR830000064B1 (ko) 1979-08-21 1979-08-21 강철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 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64B1 true KR830000064B1 (ko) 1983-02-05

Family

ID=1921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852A KR830000064B1 (ko) 1979-08-21 1979-08-21 강철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6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0357C (en) Method for smelting reduction of ni ore
US503948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metal containing Ni and Cr
US4474605A (en) Process for refining high-chromium steels
US3323907A (en) Production of chromium steels
US4187102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melt during pneumatic refining of steel
KR910002950B1 (ko) 로저부 공기작용에 의한 강의 정련에서 2차 상부-취입산소를 조절하는 방법
US4001012A (en) Method of producing stainless steel
EP0033780B2 (en) Method for preventing slopping during subsurface pneumatic refining of steel
KR830000064B1 (ko) 강철의 표면하 압축 공기 정련시 용융물의 온도 조절방법
US3930843A (en) Method for increasing metallic yield in bottom blown processes
US4394165A (en) Method of preliminary desiliconization of molten iron by injecting gaseous oxygen
US3929458A (en) Process for the elaboration of chrome steels
EP0688877A1 (en) Process for producing low-carbon chromium-containing steel
SE459738B (sv) Saett vid framstaellning av staal med laag kolhalt i vacuum genom inblaasning av syrgas
US4141723A (en) Process for producing stainless steel
JPH11131122A (ja) 高炉溶銑とフェロクロム合金を用いたステンレス粗溶鋼の脱炭精錬方法
US4066442A (en) Method of making chrome steel in an electric arc furnace
EP0097971B1 (en) Method for producing low hydrogen content in steels produced by subsurface pneumatic refining
JP4357082B2 (ja) 含クロム溶鋼の脱炭精錬方法
US4065297A (en) Process for dephosphorizing molten pig iron
Ashok et al. Process evaluation of AOD stainless steel making in Salem Steel Plant, SAIL
JP2727627B2 (ja) 高合金鋼用溶銑の製造方法
JPH11217618A (ja) ステンレス鋼の転炉精錬方法
JPH0154409B2 (ko)
JPS5854171B2 (ja) 高クロム鋼の精錬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