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47B1 -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047B1
KR830000047B1 KR1019790004372A KR790004372A KR830000047B1 KR 830000047 B1 KR830000047 B1 KR 830000047B1 KR 1019790004372 A KR1019790004372 A KR 1019790004372A KR 790004372 A KR790004372 A KR 790004372A KR 830000047 B1 KR830000047 B1 KR 830000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its
building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바우 쟈크
Original Assignee
위바우 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바우 쟈크 filed Critical 위바우 쟈크
Priority to KR101979000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의 전개도.
제2도는 등각 투영법으로 하방에서 경사지게 본 장방형 베이스를 가진 유닛의 사시도.
제3도는 장방형 베이스를 가지며 지하실에 기술적인 터널을 형성하게 설계된 유닛의 사시도.
제4도는 그 정부 및 저부벽이 반원형 잘라낸 곳을 구비하는 유닛을 동측투영으로 하방에서 취한 사시도.
제5도는 계단의 플라이트와 랜딩을 구비한 유닛의 사시도.
제6도는 삼각형 베이스를 가지며 정부 및 저부 수평벽을 구비한 유닛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종 형태의 유닛 평면 및 소형 축척도.
제8도는 볼팅에 의한 그 조립이 제2도와 유사한 유닛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사전 제작된 부품의 전개도.
제9도는 저장 및 운송의 목적으로 제8도의 유닛의 구성부품을 유리하게 적치하는 방식도.
제10도는 볼팅에 의한 조립이 제2도와 유사한 유닛을 형성하는 다른 사전 제작된 부품을 도시한 전개도.
제11도는 볼팅에 의한 조립이 사각형 베이스를 가진 대형 유닛의 구조를 허용하는 사전 제작된 부품(제8도의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유사한)을 도시한 전개도.
제12도는 스페이서의 삽입하에 동일형의 4개의 다른 유닛 상에 중첩된 4개의 유닛(제8도에서 설명된 형식의)의 결합점에서의 유닛의 조립시스템을 도시하는 대형 축척의(부분적으로 파단된) 상세도.
제13도는 제2도와 유사한 유닛을 형성하는 다른 사전 제작된 부품을 도시한 (제8도 및 제10도와 유사한) 전개도.
제14도는 구성요소를 조립한 후의 유닛을 동측투영으로 하방에서 취부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에 도시한 형식의 유닛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적인 요소의 5개 형식의 사시도.
제16도는 저장 및 운송의 목적으로 제1도의 유닛의 구성 부품을 유리하게 적치하는 방식도.
제17도는 볼팅에 의한 조립이 장방형 베이스를 가진 대형 유닛을 형성하는 (제14도에서 설명된 유닛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사전 제작된 부품도.
제18도는 동일형식의 2개의 다른 유닛상에 중첩된 2개의 유닛(제14도에서 설명한 형식의)의 결합점에서의 조립 시스템을 도시하는 대형 축적의 상세도.
제19도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정부 및 저부벽이 목재인(강제가 아닌) 제14도와 유사한 조립된 유닛의 제18도와 유사한 상세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라 건축된 건물의 골조를 도시한 동축 투영(부분전개)도.
제21 내지 25도는 건물의 형성을 위한 유닛의 가능한 수많은 조립체 중 몇개를 도시한 평면도.
제26 내지 2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닛에 의해 건축된 몇가지 형식의 건물의 평면도.
제29 및 3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열조화설비내의 공기의 순환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29도는 건물의 정면에 수직인 수직단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XXX-XXX 단면도.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building unit)에 관한 것이다.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진 요소에 의해 건물을 건축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수많은 이런 종류의 건축 시스템이 이미 제안되었고 사용되고 있다.
특히, “중 조립식”에 기초를 두며 사전 제작된 요소가 주로 보강 콘크리이트의 패널, 비임 또는 3차원의 셀(cell)로 구성된 각종 건축 시스템은 알려져 있다. 운송 및 취금 비용이 이런 식으로 건축하는 건물의 총 비용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중조립식은 단지 건축 현장이 사전 제작된 요소 생산공장으로부터 멀지 않을 때에만 경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정거리 이상이거나 교통수단이 불편할 때는 운소비용은 조립식의 이점을 초과해 버린다.
또한 “경 조립식”에 기초를 둔 각종 건축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 주로 금속제의 사전 제작된 요소를 사용하는 이 시스템은 건물의 “커어튼 벽” 또는 “정면 패널”같은 특정한 부분에만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공지된 기술은 전부 또는 대부분 경 조립식으로 구성된 건물을 건축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공지된 기술은 주로 높이가 낮은 단층의 건물에 한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건축 설계에 있어서 큰 융통성을 가지면서도 표준화된 사전 제작된 요소를 사용하는 경 조립식 기술로 각종 용도에 적합한 다층 건물을 급속하고도 경제적으로 건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 생산, 저장 및 운송이 용이하고 고 숙련공이 아닌 인부라도 용이하게 조립해체할 수 있는 다양한 경 조립식 요소를 단지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건물을 건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상의 요소 조립에서는 어떤 석조작업(masonry work)도 없이 간단히 볼트체결로 행해지는 건물을 건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단 건축된 건물이 용이하게 소유주의 요구에 따라 증축 또는 개축할 수 있으며 어디서든지 용이하게 해체 및 재조립이 가능한 다층 건물을 건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효과적인 온도 제어 시스템과 큰 건축적 융통성 때문에 어떤 지역, 어떤 기후에서도 건축이 적합하며 첨가해서 그 다양한 형상과 층수에 기인하여 기존도로, 가각 등의 레이아우트에의 완전한 적응성 때문에 어떤 기존 도시 현장에도 완전히 융화되는 건물을 건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상 도로 시스템의 지면하에 매설하는 모든 수평의 도시 배관 및 전선을 시스템 자체에 생기는 기술적인 공동(technical cavity)으로 건물 밑에 용이하게 병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목적으로서 현장에서 단지 다양한 조립식 빌딩 유닛을 조립하여 건물의 골조를 건축하기 위한 시스템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각 빌딩 유닛은 직각기둥 모양을 갖는 구조이며, 넓은 금속 평판 요소와 금속 단면제 및 목재 비임 중에서 선택되며, 그 저단부가 상기 기둥의 하부 베이스 측부를 형성하게 상기 기둥의 횡면을 따라 배치된 요소들로 형성된 하부 프레임, 넓은 금속 평판 부재와 금속 단면제 및 목재 비임 중에서 선택되며, 그 정부(top) 단부가 상기 기둥의 상부 베이스의 촉부를 형성하게 상기 기둥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부재들로 구성된 상부 프레임 및 V형 단면을 가지고 금속 및 목재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지며 전술한 하부 및 상부 프레임과 접합되고 그 단부가 상기 기둥의 수직 단부를 형성하며 그 폴랜지가 상기 기둥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된 직립재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대다수의 빌딩 유닛은 상부 수평벽 및/또는 하부 수평벽을 가진다.
상부 수평벽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 단부에 접합된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둥의 상부 베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판은 자체 지지되며 금속 시이트와 두꺼운 합판 및 보강 플라스틱제 판 중에서 선택된 건축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상부 프레임과 상부 벽은 함께 하방을 향해 개방된 빈 상자를 형성한다.
하부 수평벽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정부와 접합되며, 이 판은 자체 지지되며, 금속 시이트와 두꺼운 합판 및 보강 플라스틱제판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하부 프레임과 하부벽은 함께 하방으로 개방된 빈 상자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주로 전부 금속으로 만든(특히 강으로 만든) 빌딩 유닛에 대하여 서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유닛이 역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목재 및 강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 경우, 건물 요소의 어떤 요소(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또는 상부 및 하부 벽)는 목재로 만들어지고 다른 요소는 강으로 만들어진다.
보강 플라스틱 재료도 역시 부분적으로 빌딩 유닛에, 특히 상부 수평벽에 사용된다.
빌딩 유닛의 일반적인 형상은 무슨 재료를 사용하든 간에 동일하다. 빌딩 유닛의 성분 요소를 접합하기 위한 수단은 접합될 재료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빌딩 유닛이 하부 수평벽을 가질 때 그 연부는 전 주연에 걸쳐 그 벽에 상면보다 약간 높게(예를 들면 10mm) 돌출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하부 수평벽 및/또는 상부 수평벽(이 벽이 있는 빌딩 유닛의)은 빌딩 유닛의 수직단부 부근에 구멍을 가진다.
빌딩 유닛의 하부 수평벽 및/또는 상부 수평벽은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며, 제거할 수 있는 패널에 의해 폐쇄되는 1개 이상의 맨호울을 가지기도 한다.
연속되는 서술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빌딩 유닛은 중첩된 빌딩 유닛 사이를 사람이 통과할 수 있게(리프트 또는 계단에 의하여) 특별히 고안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벽의 강도는 벽의 일면에 대해 공지된 방법으로 고정된 리브로 구성된 보강재에 의해 보강된다. 하부벽의 보강재는 하부벽의 하부면에 대해 고정되며, 상부벽의 보강재는 상부벽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된다.
빌딩 유닛의 상부, 하부 프레임과 직립재도 유사한 보강재에 의해 보강되기도 한다. 이 경우, 이 보강재는 빌딩 유닛의 내부로 향한 면에 고정되며 빌딩 유닛의 어느 부분도 이 빌딩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직각 기둥면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
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빌딩 유닛은 1개 또는 동일한 건물의 건축에 사용되는 모든 빌딩 유닛에 공통되는 표준 높이를 가진 직각기둥 형태이며, 나아가서 특정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의 베이스의 2개 이상의 측부가 모든 빌딩 유닛에 공통인 기준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 기준높이의 배수의 길이를 가진다.
빌딩 유닛은 전부 공장에서 제작되어 건축 현장에 운송되기도 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빌딩 유닛은
1. 전술한 하부 프레임과 하부벽을 구비한 하부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하부 부품.
2. 전술한 상부 프레임과 상부벽을 구비한 상부 프레임 중에서 선택된 상부 부품.
3. 빌딩 유닛의 직립재로 구성되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부재를 공지된 방법)예를 들면, 볼트 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조립하여 형성한다.
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빌딩 유닛은 장방형 베이스를 가진 직각기둥 형태이며,
1. 각기 하부 프레임과 하부벽으로 구성되는 2개의 동형의 장방형 부품을 나란히 현장에서 접합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제작되는 하부 부품.
2. 각각 상부 프레임과 상부벽으로 구성되는 2개의 동형의 장방형 부품을 나란히 현장에서 접합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제작되는 상부 부품.
3. 4개의 집립재로 구성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요소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현장에서 조립되어 건축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이하의 서술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빌딩 유닛은 “유닛”으로 칭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 골조가 중첩 및/또는 병치된 유닛을 볼트 체결에 의해 형성되는 건물을 제공한다.
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건물은 그 저면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며, 병치된 유닛의 1개 이상의 측면에 대해 1개 이상의 그 측면이 고정된 1개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은 한계 또는 다수의 서로 이간된 적층(stack)을 가지며, 각 적층은 다른 유닛위에 올려져 있는 유닛으로 형성되며, 각층의 각층은 서로 접합된 1개 또는 그 이상의 병치된 유닛으로 구성되며, 스페이서 부품이 각층의 각 유닛의 상부 프레임의 정부 단부와 그 위에 중첩된 유닛의 하부 프레임의 저부 단부 사이의 간격을 마련하여, 그 저면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유닛이 1개 이상의 그 측면에 의해 상기 적층을 형성하는 유닛의 1개 이상의 자유 측면에 고정된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 부품은 실제 빌딩 유닛의 부품을 형성하며 유닛의 집립재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며, 이 직립재는 하부 프레임의 저부 단부 및/또는 상부 프레임의 정부단부 넘어로 신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건축의 한 유리한 형태에서, 유닛 또는 적어도 그 일부는 유닛의 모서리에 설치된 수직 케이싱과 함께 후자의 전 높이에 걸쳐서 장착되며, 각 하부 및/또는 상부 수평벽은 이 모서리 케이싱이 이 수평벽에서 종료하는 지점에 구멍을 구비하며, 한 유닛의 모서리 케이싱은 적당한 형상의 덕트에 의해 상·하에 위치한 유닛의 상용하는 모서리 케이싱에 접합되며, 함께 접합된 모서리 케이싱은 연속적인 수직 케이싱을 형성한다.
이 연속적인 수직 케이싱 또는 그 일부는 배관 및/또는 전선을 보유하는 기술적인 케이싱(technical casing)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연속적인 수직 케이싱 또는 그 일부는 또한 가정용 화덕의 배연도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연속적인 수직케이싱 또는 그 일부는 또한 방의 공기 조화 또는 환기용 공기 통로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구조의 한 유리한 형태에서, 이 연속적인 수직 케이싱 또는 그 일부는 폐쇄된 회로로 적당한 온도에서 공기의 순환을 유발함으로써 건물 내부에 적당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되는 방사형 열조화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속적인 수직 케이싱과 유닛의 벽 또는 유닛 그룹의 벽을 분리하는 빈 공간내에 이 빈 공간이 유닛의 내부와 또한 외부 공기로부터 격벽에 의해 완전히 격리되며, 연속적인 수직 케이싱내에 마련된 구멍이 이 케이싱과 건물의 상이한 레벨에서 상기 빈 공간 사이에 연락을 이룩하며, 건물의 정부 레벨에 그 출구를 가진 연속적인 수직 케이싱이 1개 이상의 출구 도관에 접속되며, 유닛 사이의 빈 공간과 연락되는 다수의 공기 귀환(return) 출구가 건물의 정부 레벨에 설치되며, 모든 귀한 출구는 1개 이상의 공급 도관에 접속되며, 공급 및 출구도관 사이에 접속된 팬은 폐쇄회로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며, 공기는 연속적인 수직 케이싱내로 분사되며 유닛 사이의 빈 공간 내에서 순환하며 전술한 귀환 출구를 통해 이 빈 공간을 통과하며, 가열기 또는 냉동기의 열교환기가 상기 팬의 회로 하부 또는 상부에 삽입되어 있다.
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저부층에 건물의 배관 및 전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건물의 각층의 상향 및 하향 배관이 접속된 기술적인 1개 이상의 터널이 구비되며, 각 기술적인 터널은 일렬로 배치되며 기초위에 직접 놓인 일련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과 이점들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서술로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고 수자 또는 문자로 표시된다.
제1도 내지 제6도 및 제8도 내지 제18도에 도시한 유닛은 금속, 특히 강으로 제작된다. 다른 금속 역시 사용될 수 있으나 대개 가격 또는 기계적 강도면에서 불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닛 역시 전체가 목재로 또는 목재 부재와 강재 부재의 결합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제19도가 이런 종류의 구조를 설명한다.
유닛(특히 정부 수평벽)의 어떤 성분 요소는 보강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베이스를 가진 유닛의 주요성분 부품을 도시한다. 이 유닛은 하부 프레임(1), 상부 프레임(2) 및 4개의 직립재(3)로 구성된다.
첨가해서, 유닛은 상부 수평백(4) 및/또는 하부 수평벽(5)을 가진다. 건물 건축에 사용되는 대다수의 유닛은 상부 수평벽과 하부 수평벽을 가진다.
각 상부 수평벽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으며, 제거할 수 있는 첨부 패널로 폐쇄되는 1개 이상의 맨호울(6)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유닛의 각종 성분 부품들은 금속, 특히 강으로 제작된다. 다른 금속들도 적당하지만 대개 가격과 기계적 강도면에서 불리하다.
상기한 성분 부품들을 접합하여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유닛을 형성한다.
각 하부 프레임(1) 또는 상부 프레임(2)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4개의 평활한 스트립을 접합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각 프레임은 또한 1개의 평활재조작을 장방형을 형성하도록 적당히 접은 후 1회 용접하여 제작하기도 한다.
각 집립재(3)는 V형 단면을 가지며 2개의 평활재 조각을 직각으로 용접하거나 또는 1개의 평활재 조각을 직각으로 접어서 제작할 수 있다.
상부벽(4)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상부 프레임(2)의 정부단부에 접합된 금속시이트로 구성된다.
하부벽(5)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하부 프레임임의 정부 단부 부근에 접합된 금속 시이트로 구성된다.
그러나 특정한 실시예에서, 하부벽(5)은 하부 프레임(1)의 정부 단부와 레벨이 같지 않고 약간 낮게 위치하며 하부 프레임의 정부분이 하부벽(5) 상방에 예를 들어 10mm 높이로 조금 돌출한 단부를 형성한다. 이 특별한 배치의 유리한 점은 이후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또한 구조의 상세(참고번호 10, 11, 15, 16 및 19)를 도시하며, 그것은 제2도와 관련되어 논의 도리 것이며, 제2도는 전에 열거한 부품(참고번호 1 내지 6)의 결합으로 제작된 유닛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유닛에서, 2개의 대향하는 측부의 구멍은 보강재(8)를 가진 무거운 강 시이트로 만들어진 보강패널(7)에 의해 폐쇄된다. 제1도는 장방형 유닛의 2개의 큰 측부의 구멍을 막으려하는 이런 패널(7)을 도시한다. 이 패널(7)은 유닛의 측면 넘어 외부로 신장하지 않고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해 직립재(3)와 하부 프레임(1) 및 상부 프레임(2)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런 패널(7)은 주로 상부 및 하부 수평벽이 구비되지 않은 유닛을 보강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 구조에 큰 강성을 부여한다.
여기의 보강패널은 후에 서술되며 실질적으로 유닛 및 건물의 강도를 보강하지 않는 경 격벽과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제2도의 유닛 A는 직사각기둥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 제1도의 부품(1) 내지 (6)이 다시 도시된다. 이 도면에서, 하부 프레임(1)은 저부에 돌출단부(9)를 가지며, 상부 프레임(2)도 저부에 돌출단부(10)를 가지고, 집립재(3)의 플랜지의 수직단부는 돌출단부 (11)을 가진다. 모든 이 돌출단부들은 유닛의 내부를 향해 직각인 단부들이다.
상기 직사각기둥의 베이스의 긴측부는 이 베이스의 짧은 측부의 길이의 2배의 길이를 가진다. 이 특수한 배열은 빌딩 유닛을 결합할 때, 특히 제3유닛 A의 긴 측면에 대해 그 짧은 측면을 대어 2개의 유닛 A를 걸어 맴으로써 유닛 A를 병치할 때 유리하다.
하부 프레임(1), 상부 프레임(2), 직립재(3), 상부벽(4) 및 하부벽(5)은 참고번호 (12) 내지 (16)으로 표시된 보강재에 의해 보강되며, 이 보강재는 보강용 시이트 또는 넓은 평바아에 용접된 금속리브로 구성되며, 이 보강재는 또한 이 금속시이트 또는 넓은 평바아에 볼트 결합된 금속 단면재(예를 들면 L, U 또는 C 단면재)들로 구성되기도 한다.
상부벽(4)에는 보강재(13)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거될 수 있는 패널에 의해 폐쇄되는 맨호울(6)이 있다. 제2맨호울(6)은 상부벽(4)에 선택적으로 마련된다(보강재(14)에 대해 제1맨호울과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2도의 예로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하부 프레임(1)의 각 짧은 측부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단부 사이의 중간에 배치된 1개의 구멍(17)을 가지며, 프레임(1)의 각 긴측부는 2개의 구멍(17)을 가진다.
하부 프레임(1) 및 상부 프레임(2)은 볼트 결합될 유닛의 병치를 가능하게 하는 구멍(18)을 가진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 유닛 A의 각 짧은 면에는 빌딩 유닛의 수직 단부 근처에 위치한 9개 구멍(18)의 4개 군이 마련된다. 유닛 A의 각 긴 측면에는 9개 구멍(18)의 8개 군이 마련된다.
2개의 유닛 A가 제3유닛 A의 긴 측면을 향해 그 짧은 측면이 위치할 때(각 짧은 측며이 긴 측면의 반을 덮는) 접촉면의 구멍(17)과 (18)이 일치하도록 구멍(17)과 (18)이 배열된다.
변경된 실시예(제2도에 설명되지 않은)에서, 직립재(3)의 플랜지는 마찬가지로 볼트 구멍이 마련된다.
삼각형상의 구멍(19)이 유닛 A의 4개 수직단부 근처의 상부벽 (4)와 하부벽(5)내에 마련된다. 상기 구멍(19)에 유도되는 수직모서리 케이싱은 유닛 A의 각 수직단부를 따라서 설치된다(제29 및 30도 참조).
이런 종류의 모서리 케이싱은 긱립재(3)의 돌출단부(11)에 그 수직단부에 의해 고정된 장방형 벽(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유닛 A의 수직단부에 평행으로 설치함으로써 유리하게 형성된다. 마루와 천정 사이의 전 높이를 점유하는 이 장방형 벽은 이렇게 해서 직립재(3) 및 상부 프레임(2)의 일부와 함께 삼각형 단면의 모서리 케이싱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각 유닛 A의 4개 모서리에 이런 모서리 케이싱을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이 케이싱이 임의의 위치에서 필요하지 않을 때, 그 구멍(19)은 제거될 수 있는 패널에 의해 폐쇄된다.
제3도의 유닛 C는 예를 들어 보강 콘크리이트 같은 기초 또는 기초마루상에 그 자체가 직접 높아져 정착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유닛 C는 제2도의 유닛 C와 유사하지만, 하부벽(5)에는 하부벽 (5)와 기초 사이의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2개의 맨호울(6)이 마련된다. 이 맨호울(6)은 보강재(13)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거할 수 있는 패널로 폐쇄될 수 있다. 첨가해서 유닛 C의 2개의 짧은 측면의 구멍은 보강재(21)에 의해 보강된 중금속 시이트로 만든 패널(20)에 의해 그 높이의 대부분에 걸쳐 폐쇄된다.
유닛 C의 활용과 폐넘(20)이 마련된 이유는 제20도와 제22도를 참고로 후에 설명될 것이다.
변경된 실시예에서, 유닛 C의 2개의 짧은 측면은 패넘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닛 C의 2개의 짧은 측면은 개방되며, 패널은 2개의 긴측면을 폐쇄한다(완전히 또는 임의의 높이까지).
제4도는 중첩된 유닛 사이의 통과를 위한 나선형 계단의 설치를 허용하게 설계된 유닛D를 도시한다. 유닛D는 유닛D와 비교되지만, 상부 벽(4)과 하부 벽(5)은 각각 반원형의 잘라낸 부분을 가진다.
하부 벽(5)의 반원형 잘라낸 부분은 긴 측면상에 위치하며, 그 중심은 이 긴 측면의 수직단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다. 하부프레임(1)은 이 구멍이 마련된 지점에서 중단된다. 반원형으로 곡선진 넓은 평바아는 이 잘라낸 부분이 있는 벽(5)의 단부를 따른다.
이 넓은 평 바아(22)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벽(5)의 단부에 접합되며, 또한 후자가 중단된 지점에서 하부프레임(1)에 접합된다. 반원형 잘라낸 부분의 각 측부상에 하부프레임(1)은 일련의 볼트 구멍(23)을 구비한다. 유닛D의 강성은 상기 잘라낸 부분에서 같이 반원형 잘라낸 부분을 가진 중 보강시이트(24)에 의해 보강된다. 벽(5) 밑에 수평으로 배치된 보강시이트(24)는 하부프레임(1) 및 넓은 평바아(22)의 저부단부에(예를들면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보강 시이트(24)는 수직으로 배치되며 벽(5)와 상기 벽(5) 밑에 위치한 시이트(24)의 단부에 고정된 시이트 부품(25)에 의해 하부벽(5)에 같이 접합된다. 복수개의 이 시이트부품(25)은 용접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되지만, 적어도 1개부품(25)은 하부프레임(1)의 내측부상의 볼트구멍(24)에 접근할 수 있도록 (예를들면 볼팅에 의해) 제거할 수 있게 고정되어야 한다.
상부벽(4)내의 반원형 잘라낸 부분은 하부벽(5)의 것과 수직으로 일긱선으로 위치한다. 벽(4)내의 이 잘라낸 부분 주위에 유사하게 동일한 요소(22) 내지 (25)가 배치된다.
2개의 유닛D가 적덩하게 나란히 접합될 때, 반원형 잘라낸 부분은 중첩된 유닛D사이의 통과를 위한 나선형 계단의 설치를 사용하는 원형 구멍을 형성하도록 서로 보충한다.
나선형 계단의 저부 및 정부 레벨에 대하여 유닛D과 비교할 수 있는 유닛이 마련되지만 단지 상부벽 또는 하부벽에 반원형 잘라낸 부분이 마렬된다. 그리고 유닛의 저부분 또는 정부 부분이 유닛A에서와 같이 있다.
유닛A와 같이, 유닛C 및 D는 모서리 케이싱을 가진다.
제5도는 특히 건물의 각 층 사이에 사람 또는 물건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설비를 수납하게 설계된 유닛B를 도시한다. 제5도의 예에서 계단이 유닛B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유닛B의 중첩이 계단을 형성하지만, 유닛B의 중첩은 또한 리프트 또는 엘리베이터 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닛A와 같이,유닛B는 하부프레임(1), 상부프레임(2) 및 4개의 직립재(3)로 구성되지만, 상부 및 하부 벽은 갖지 않는다.
전내부 주연에 걸쳐 하부프레임(1)에 그 정부 단부 근처에 위치한 보강재(26)가 구비된다. 이 보강재(26)는 하부 벽(5)이 유닛A내에 위치한 레벨에 위치한다.
정부의 상부 프레임의 정부에 내부로 직각지게 향한 돌출단부(27)가 구비된다.
유닛B의 2개의 긴 측면은 보강재(8)를 가진 무거운 강 시이트로 만든 보강 패널(7)에 의해 폐쇄된다. 이 패넘(7)은 예를들어 용접 또는 볼팅에 의해 직립재(3)와 하부프레임(1) 및 상부프레임(2)의 돌출단부에 견고히 고정되며, 유닛B의 강성에 기여한다.
제5도에서, 2개 패널(7)이 부분적으로 파단되어 도시된다.
유닛은 또한 유닛 B와 비교되지만, 그것은 하부 벽(유닛 A의 벽(5)와 출일한) 또는 상부 벽(유닛 A의 벽(4)와 동일한)을 구비한다. 이런 종류의 유닛은 계단통로의 상부 또는 하부층 또는 리프트 또는 엘리베이터통에 사용된다.
유닛 B의 적층이 계단통으로 사용될 때, 사전제작된 랜딩(landing)(28)은 예를들어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그 곳에 설치된다.
랜딩(28) 사이에 개단의 사전 제작된 플라이트(flight)(29)가 고정된다(충당 2개). 중간 랜딩의 측부상에 위치한 유닛 B의 짧은 측면은 첨부된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폐쇄된다.
제6도의 유닛 J는 그 베이스가 정삼각형인 긱각기동형상을 가진다. 유닛 J의 구조는 유닛A의 구조와 유사하다. 유닛 J는 하부프레임(30), 상부프레임(31), 3개의 직립재(32), 상부벽(33) 및, 하부벽(34)으로 구성되며, 직립재(32)는 그 측부가 함께 60°를 형성하는 V형 단면을 가진다.
하부프레임(30)의 지부에는 돌출단부(9)가 구비되며, 상부프레임(31)의 지부에는 돌출단부(10)가 구비되고, 집립재(32)의 플랜지의 수직 단부에는 돌출단부(11)가 구비된다. 이 모든 돌출단부는 유닛의 내부를 향해 직각이다.
하부 프레임(30) 및 상부프레임(31), 직립재(32), 저부벽(34) 및, 정부벽(33)은 참고번호(15), (16), (35), (36) 및 (37)의 보강재에 의해 보강된다. 상부벽(33)에는 원형 형상의 보강재(37)에 의해 둘러싸인 맨호울(38)이 구비되며 유닛 J의 각 측면은 유닛A의 긴 측면과 동일하며, 배관 또는 전선의 통과를 허용하는 2개의 구멍(17)이 구비되며, 8군의 볼트 구멍(18)을 가지고 있다.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지 몇개의 비 제한적인 예를 설명했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종 형상의 유닛을 작은 축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했다. 제7도의 대다수의 유닛은 상세히 설명되거나 서술되지 않았지만, 그 구조는 전술한 유닛의 구조와 유사하다.
제7도의 모든 유닛은 직각 기둥 형상이며,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이 모든 기둥들은 높이가 동일하며, 그리고 이 기둥의 베이스의 2개 이상의 축부는 모든 유닛에 공통인 기준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 기준길이의 배수이다. 각 기둥의 높이는 예를들어 3,075mm이고 상기 기준 길이는 2,250mm이다. 이 치수는 명백히 제한없이 예로서 주어진 것이다.
모든 이 유닛은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 및 상부프레임과 결합하는 직립재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의 형상은 명백히 기둥의 베이스의 형상에 상응하며, 직립재는 다시 V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각직립재는 그 단부가 기둥의 수직 단부를 형성하며 그 플랜지가 기둥의 측면을 따르게 배치된다. 임의의 유닛은 첨가해서 하부 및 상부벽을 가지며, 제7도에서 그런 유닛은 음영선으로 도시했다.
유닛 A, B, C, D 및 E는 모두 장방형상의 베이스를 가지며, 이 베이스의 짧은 측부는 기준 길이와 동등한 길이를 가지며, 베이스의 긴 측부의 길이는 상기 기준 길이의 2배와 동등하다. 유닛 A, B, C 및 D는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 상술했다.
유닛 E는 유닛 A와 유사하지만, 그 상부 및 하부벽에 중첩된 빌딩 유닛 사이의 통과를 의한 나선형 계단의 설치를 허용하는 원형구멍을 가진다.
유닛 F,G 및 H는 각각 유닛 A, B 및 E와 유사하지만, 그 측부가 기존길이와 동등한 사각형 베이스를 가진다.
유닛 J, K, L 및 M은 모두 그 측부가 기준 길이의 2매인 정삼각형상의 베이스를 가진다.
유닛 J는 제6도를 참고로 상술되었다.
유닛 K는 유닛 J와 유사하지만, 상부 및 하부벽을 가진다. 그 하부프레임(30)은 그 전 내측 주연에 걸쳐서 그 정부 단부 근처에 위치한 보강재(26)를 가진다. 그 상부프레임(31)은 정부에 직각이며 프레임(31)의 내부를 향해 동출한 단부(27)가 구비된다.
유닛 L은 기초 마루 또는 기초 위에 직접 놓이게 설계되었으며, 유닛L은 대단히 유닛 J와 유사하지만, 그 하부벽에, 하부벽(5)과 기초 사이의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맨호울을 가진다.
유닛 M도 유닛 J와 유사하지만, 그 상부 및 하부벽에 중첩된 빌딩 유닛 사이에 통과를 위한 나선형 계단 설치를 허용하는 원형구멍이 마련된다.
유닛 N과 P도 정삼각형 형태의 베이스를 갖지만, 이 베이스의 측부는 기준 길이와 동딩한 길이를 가진다. 그 밖에, 유닛N과 P는 각각 유닛 J와 N과 유사하다.
유닛 Q와 R은 3개 축부가 기준길이와 동등한 이등변 사다리끝 형태이며, 제4측부는 이 기준길이의 2배와 동등하다. 그밖에, 유닛 Q와 R은 유닛 J와 M에 유사하며, 즉 유닛Q은 상부 및 하부벽을 가지며, 유닛R은 나선형 계단의 설치를 위해 마련된 원형 구멍이 있는 상부 및 하부벽을 가진다.
유닛 S와 T는 그 최단축부가 기준길이와 동등한 직삼각형상의 베이스를 가지며, 직삼각형의 사변은 이 기준길이의 2배와 동등한 길이를 가진다. 그 밖에, 유닛 S와 T는 유닛 J와 유사하다.
유닛 U와 W는 유닛 S와 T와 유사하지만, 그 상부 및 하부벽에 반원형 잘라낸 부분이 구비된다. 이 반원형 잘라낸 부분은 그 사이에 직각을 한정하는 2개의 측면 중 긴 것을 형성하는 측부상에 위치한다.
유닛 U와 W의 구조는 유닛 D의 구조와 비교되며 제4도를 참고로 용이하게 이해된다. 적당히 병치된 유닛 U 및 유닛W의 결합은 유닛M에 비교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유닛 Y와 Z는 이등변 삼각형상의 베이스를 가진다. 그 밖에, 이 유닛은 유닛 J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유닛Y는 2개의 같은 측부가 기준 길이의 2배와 동등한 길이를 가진 2등변 삼각형상의 베이스를 가진다. 삼각형의 제3측부는 필요한 구조에 따라 선택된 길이를 가진다. 특수한 실시예에서, 이 제3측부는 기준 길이와 동등한 길이를 가진다.
유닛 Z는 2개의 등변이 기준 길이와 같은 이등변 삼각형상의 베이스를 가진다. 제3측부는 필요에 따라 선택된다. 제7도의 일련의 유닛은 철저히 예시한 것은 아니다. 다른 형상의 유닛은 용이하게 상상된다. 유닛은 수많은 조합으로 결합되여 가장 다양한 건물을 건축할 수 있게 한다. 건물을 건축하게 위해 제7도에 도시한 모든 유닛이 사용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유닛A,B 및 C만으로도 수많은 형식의 건물에 충분할 것이다.
유닛의 사전제작을 위해 동일한 부품이 다수의 다른 유닛의 생산에 사용된다. 그래서, 유닛A내지 H의 모든 직립재는 동일하다. 유닛 J 내지 P도 동일하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유닛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공장에서 사전제작된 요소들을 결합함으로써 생산된다.
예로서, 제8도는 볼팅에 의한 결합이 제2도와 유사한 유닛A의 구조를 허용하는 사전제작된 요소를 도시한다.
이 사전 제작된 요소는 프레임(1)과 벽(5)으로 구성된 하부 부품, 프레임(2)와 벽(4)로 구성된 상부 부품, 4개의 직립재(3), 직립재(3)이 상부부품과 하부부품과 접합되게 하며 프레임과 직립재 내측에 위치한 8개의 앵글(39)로 구성된다.
볼팅에 의해 결합하도록 직립재의 각 단부 및 각 플랜지상에 일련의 9개의 볼트 구멍(18)이 마련되며, 36개의 볼트구멍을 가진 앵글(39)이 마련된다.
프레임(1) 및 (2)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한 9개의 구멍(18)의 각군과 직립재(3)의 9개의 구멍(18)의 각군에 단일구멍(18)이 (예를들어 각 군의 중앙의 구멍) 유닛 A의 외측상에 카운터 싱크되어 있다.
공사 현장의 조립을 위해 유닛 A의 요소는 우선 각 카운터 싱크 구멍에 대해 카운터 싱크 머리를 가진 볼트를 사용하여 처음 결합된다. 이 식으로, 볼트머리는 유닛A의 측면 넘어로 돌출된다. 이렇게 결합부는 충분히 강하게 제작되어 유닛이 기중기에 의해 승강되고 건축중 건물내에 점유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다수의 유닛의 건물의 동일층 내에 병치될때, 볼트 구멍(18)은 자유로이 남아 병치된 유닛을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제12도 참조).
제9도는 제8도에 설명된 형식의 유닛A의 구성 부품들을 저장 및 운송하기 위해 유리하게 적층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유닛A의 하부 부품은 4개의 직립재(3)와 8개의 앵글(39)이 배치된 평금속 콘테이너를 형성하도록 뒤집어 놓여지며, 건물의 건축에 필요한 볼트 및 너트의 상자 및 다른 부속품 역시 이 콘테이너 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닛A의 정부 부품은 뚜껑이 달려진 후에 저부부분 넘어로 배치되어, 용이하게 저장 또는 운송되는 콘테이너를 형성한다. 도로 운송을 위해 이 콘테이너의 3개 또는 4개가 로리(lory)상에 적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빌딩 유닛은 제8도에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요소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대다수의 유닛에 대해 구성부품들은 제9도에 설명한바와 유사하게 적층될 수 있다.
제10도는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요소의 결합에 의해 유닛A를 생산하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사전제작된 요소는 유닛의 긴 측부를 형성하는 2개의 긴 수직 프레임 (40), 유닛의 짧은 수직 프레임(41), 4개의 앵글(42), 상부 벽(4) 및 하부벽(5)으로 구성된다.
볼팅에 의해 그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수직프레임(40) 및 (41)과 앵글(42)이 볼트 구멍(18)을 구비하며 정부에 상부벽(4)을 볼팅에 의해 고정하는 돌출단부(27)를 구비한다. 하부벽(5)는 수직프레임(40) 및 (41)의 저부에 있는 수평 보강재(43) 상에 볼트 접합된다. 이 보강재는 프레임(40) 및 (41)의 저부의 정부 단부에 관하여 하방으로 경미하게 휘어 있다.
변경된 실시예에서, 보강재(43)는 프레임(40) 및 (41)의 저부의 정부단부와 높이가 같게 위치한다(이렇게해서 형성된 단부는 직각으로 돌출한다). 이 경우에 하부벽(5)은 상방으로 직각으로 돌출한 적은 단부를 구비한다. 이 적은 돌출단부는 예를들어 하부벽(5)의 단부를 따라 용접 또는 나사로 접합된 적은 금속리브로 구성된다. 유닛이 조립되며 하부벽(5)이 보강재(43)에 볼팅될때, 이 적은 돌출 단부는 수직프레임 (40) 및 (41)을 형성하는 시이트와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제10도의 사전제작된 요소는 용이하게 저장 또는 운송을 위해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빌딩 유닛은 제10도에서 설명한 식과 유사하게 사전 제작된 요소를 조립함으로써 제작된다.
제11도는 그 볼팅에 의한 조립이 사각형 베이스를 가진 큰 유닛A 비스(bis)를 형성하는 사전제작된 부품을 도시하며, 이 유닛A 비스의 하부는 각각이 유닛A(제8도의 형식의)의 하부에 상응하는 2개 부품으로 형성된다. 이 2개 부품은 36개 볼트에 의해 나란히 결합된다. 유닛A 비스의 상부는 동일하게 2개부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며, 각각은 유닛A(제8도의 형식의) 상부와 상응한다.
유닛A의 경우와 같이, 직립재(3)와 하부 및 상부 사이의 연결은 앵글(39)의 도움으로 볼팅에 의한다. 유닛A 비스의 강성은 볼트 구멍(18)을 가진 4개의 넓은 평바아 (44)에 의해 증가한다.
각 넓은 평바아는 프레임(1) (또는 프레임(2)의 2개의 짧은 측부의 외면에 대해 볼팅되어, 서로 결합된다.
다층 건물의 건축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유닛이 선택적으로 직접 적층된다. 이 경우 2개의 중첩된 유닛은 하부프레임의 돌출단부(9)와 상부프레임(또는 하부벽 (4)의 돌출단부(27)에 일부러 마련한 볼트 구멍(18)을 통과하는 볼트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본 서술에서 명백해지는 것처럼 예외적이며, 중첩된 유닛을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쌓는 것이 대개 유리하다. 이런 종류의 조립이 제12도에 설명되며, 큰 축적의 상세로(부분적으로 파단되며), 8개의 유닛A(제8도의 형식의)의 접합점에서의 유닛의 조립시스템을 도시하며, 4개의 유닛 A(Aa, Ab, Ac 및 Ad)는 스페이서의 삽입하에 4개의 다른 유닛 A(Ae, Af, Ag 및 Ab)상에 중첩된다. 유닛 Aa는 유닛 Ae상에 위치하며, 유닛 Ab는 유닛 Af 상에 위치하고, 유닛 Ac는 유닛 Ag 상에 위치하며, 유닛 Ad는 유닛 Ah 상에 위치한다.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요소는 그 참고수자가 소속 유닛에 상응하는 참고문자를 수반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유닛 Ab의 하부벽은 5b로, 유닛 Af의 상부벽은 4h가 된다. 유닛 Ah의 요소는 제12도에 나타나지 않는다.
4개의 병치된 유닛A의 직립재(3)는 십자가 형상을 가진 단일 기둥을 형성한다.
구멍(19b) 부근에서 리브(45b)는 벽(5b)의 상부면에 대해 용접된다. 모든 유닛의 하부벽(5)는 각 구멍(19) 부근의 이런 리브(45)를 구비한다. 벽(5)상방의 프레임(1)에 의해 형성된 리브(45) 및 돌출단부는 수많은 이점을 부여한다. 특히, 그들은 임의의 액체가 벽(5)의 정부면으로부터 모서리 케이싱 또는 병치된 프레임(1)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리브(45)는 모서리 케이싱을 구성하는 패널의 고정을 위한 지지점을 형성한다. 벽(5)상의 프레임(1)에 의해 형성된 돌출단부는 특히 중첩된 유닛 사이의 구멍을 폐쇄하는 어떤 형식(대개 경 격벽)의 패널 설치에 적합한 지지를 구성한다.
스페이서(46)는 중첩된 유닛A 사이에 삽입된다. 이 스페이서(46)는 장방형 단면의 중공단면(금속의)을 구성하며, 그들은 한 유닛의 돌출단부(9)와 밑에 위치한 유닛A의 벽(4)의 외측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스페이서(46)는 이렇게 해서 유닛A의 전주연에 걸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46)는 중첩된 유닛 사이에서 단지 이유닛의 4개의 모서리 부근에 삽입된다.
스페이서(46)의 하부 및 상부면은 유닛A의 벽(4)과 돌출단부(9)내에 마련된 볼트 구멍(18)과 상응하는 볼트 구멍을 구비한다. 이렇게해서 중첩된 유닛A는 나사봉(47)과 너트(48)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동시에 하중을 분배하는 방음조인팅(Jointing)이 서로 결합된 유닛의 접촉면사이에 삽입된다. 이 형식의 조인팅은 특히 스페이서(46) 하방 및/또는 상방에 삽입된다.
제13도는 공장에서 사전 제작된 요소의 결합에 의한 유닛(제2.8 및 10도와 약간 상이한)의 구조의 다른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 사전제작된 요소는 함께 유닛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하는 2개의 요소(49)와 2개의 요소(50), 함께 유닛의 “상부프레임”을 형성하는 2개의 요소(51)과 2개의 요소(52), 4개의 직립재(53), 하부 수평벽(54) 및 상부 수평벽(55)으로 구성된다.
요소(49), (50), (51) 및 (52)는 그 2개의 짧은 평행분기가 각각 돌출단부(9) 및 (26)(요소(49) 및 (50)에 대해) 또는 돌출단부(10) 및 (27)을 형성하는 U단면을 가진다. 요소(49) 및 (50)에서 구멍(17)이 형성되며, 그것은 배관 및 전선의 통과를 허용한다.
직립재(52)는 강제 앵글로 구성된다. 직립재(53)의 플랜지의 수직단부는 유닛의 내부를 향해 직각인 돌출단부(11)을 구비한다. 이 돌출단부(11)는 직립재(53)의 플랜지의 수직단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지만, 또한 직립재(53)(앵글의 내부각을 형성하는 이 플랜지에 대해)의 각 수직단부를 따라 작은 앵글을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하부 수평벽(54)과 상부 수평벽(55)은 각종 요소가 조립되어 이 유닛을 형성할 때(제14도 참조) 유닛A의 각 4개의 수직 모서리 부근에 구멍(19)을 형성하도록 장방형 강 시이트의 4개의 모서리를 절단함으로써 만든 강시이트이다.
하부벽(54)은 요소(49) 및 (50)에 의해 형성된 “하부프레임”의 돌출단부(26)에 용접되지만, 이 프레임의 외측면 넘어로 돌출하여(이 측면에 관하여) 그 폭이 직립재(53)의 플랜지의 두께와 동등한 작은 돌출단부를 형성한다.
상부벽(55)은 유사하게 “상부프레임”의 돌출단부(27)에 용접된다.
요소(49), (50), (51) 및 (52)와 직립재(53)은 그 단부 부근에 제14도와 같이 유닛A를 형성하기 위해 각종 요소를 결합할 수 있게 하는(볼팅에 의해) 일련의 볼트 구멍(18)을 구비하며, 또한 병치된 유닛을 볼트 접합되게 한다.
직립재(53)의 플랜지는 “하부 및 상부 프레임”의 외면에 대해 위치한다.
유닛A가 제조될 때, 제14도와 같이 직립재(53)의 단부는 “하부 프레임”(요소(49) 및 (50)의 하부단부 넘어 및 “상부프레임”(요소(51) 및 (52))의 상부 단부넘어로 돌출한다. 이 직립재(53)의 돌출부분은 구멍(18)의 1개 이상의 열을 구비한다. 하부벽(54) 및 상성부벽(55)의 단부는 직립재(53)의 외면과 정렬되게 배치된다. “하부프레임” 요소(49) 및 (50)의 구성 요소의 단부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하부프레임”은 각 모서리에서 방해된다. “상부프레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보강재(56)는 하부벽(54)와 상부벽(55)의 하부면에 대해 용접된다. 이 보가애 (56)는 즐겨 그 개방측이 하방으로 배치된 U단면(또는 C단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4도의 유닛A는 대단히 간단하고 염가인 금속요소로서 생산된다. 첨가해서 단지 아주 적은 수효의 상이한 요소가 사용된다. 사실 제15도에 도시한 이 요소는,
1) 금속 U단면재 또는 유사형에서 모두 얻어지는 요소(49), (50), (51) 및 (52)(“하부 및 상부프레임”의 길고 짧은 측부를 형성하기 위해 이 U단면재는 단지 길이에 맞추어 절단되고 볼트 구멍(18)에 천공된다. 그리고 요소(49) 및 (50)도 천공된 구멍(17)을 가진다).
2) 단면재와 동일형을 절단해서 얻어지며 모두 동일한 직립재(53). (구멍(18)이 직립재(53) 내에 천공된다. 2가지의 제조방법이 실제 사용되며, 돌출단부(11)를 구비한 넓은 앵글의 금속단면재 또는 단일 넓은 앵글(돌출단부없이) 및 돌출단부(11)을 형성하기 위해 넓은 앵글의 플랜지의 단부를 따라 용접된 2개의 적은 동형 앵글로 시작할 수 있다).
3) 금속 시이트를 절단하여 얻어지는 하부벽(54) 및 상부벽(55).(시작재료는 장방형 시이트이며, 여기서 4개의 모서리가 절단된다. 상부벽(55)에 대해 구멍(6)이 절단된다).
4) U단면재(또는 선택적으로 C단면재) 및 유사물을 절단하여 얻어지는 보강재(56)으로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프레임, 직립재(53) 및 보강재(56)을 형성하는 단면재는 모두 평바아 또는 넓은 평바아의 냉간압연에 의해 생산된다.
유닛A의 하부는 요소(49),(50),(54) 및 (56)의 용접에 의해 형성된다. 유닛A의 상부도 유사하게 요소(51),(52),(55) 및 (56)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닛A는 하부, 상부 및 4개의 직립재(53)의 볼트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대개 볼팅에 의한 이 조립은 사전제작된 요소를 생산하는 공장에서가 아니고 전축 현장 또는 현장 근처에서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제 하부 및 상부와 직립재(53)는 용이하게 적층되므로, 유닛A의 모든 구성 요소는 아주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제16도는 저장 및 운송의 목적하에 제14도의 형식의 유닛A의 구성 부품들을 대단히 유리하게 적층하는 것을 설명한다. 유닛A의 하부는 그 속에 4개의 직립재(53)가 위치하는 평금속 콘테이너를 형성하도록 뒤집혀지며, 건물의 건축에 요구되는 볼트 및 너트의 상자 및 다른 부속품은 이 콘테이너내에 위치하며, 콘테이너를 뚜껑과 같은 상부에 의해 폐쇄된다. “하부 및 상부 프레임”이 모서리에서 저지되므로 하부 및 상부는 서로 다른 것 안에 포개진다. 적층된 유닛A의 구성요소는 이런 식으로 일종의 콘테이너의 높이는 “프레임”의 높이보다 약간 높으므로, 도로운송을 위해 5 내지 6개의 이 콘테이너가 로리상에 적층될 수 있다.
유닛A의 하부 및 상부가 서로 다른 것 속에 "끼워 들어가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이 4개 모서리에서 저지될 필요는 없다. 변경된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은 단지 그 모서리의 한계에서 서로 저지된다. 다른 변경된 실시예에서 “하부 프레임”은 완전하며 즉 어떤 모서리에서도 저지되지 않으며, “상부 프레임”은 2개의 대향된 모서리에서 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빌딩 유닛은 제12도 및 제14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생산될 수 있으며, 대다수의 이 유닛에 대해 구성부품들은 제16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적층될 수 있다.
제17도는 볼팅에 의한 그 조립이 장방형 베이스를 가진 큰 유닛 듀어(duo)를 형성하게 하는 사전제작된 부품을 도시하며, 이 유닛A 듀오의 하부는 각각 유닛A(제14도의 형식의) 하부에 상응하는 2개 부품으로 형성된다. 이 2개 부품은 볼팅에 의해 나란히 접합된다. 이 볼팅접합은 2개의 요소(57)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그것은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각 요소(57)는 장방형 평바아(58)와 장방형 평바아(58)의 중간의 수직으로 용접된 짧은 장방형 평바아(59)의 플랜지와 같은 두께를 가지며, 장방형 평바아(59)는 직립재(53)의 플랜지의 두께의 2배의 두께를 가진다.
평바아(58) 및 (59)는 요소(49) 및 (50)의 볼트 구멍(18)과 상응하도록 배치된 볼트 구멍(18)을 구비한다. 각종 요소가 결합될때 평바아(59)(요소 (57)의)는 요소(50) 사이에 삽입되며, 평바아(58)는 요소(49)의 외면에 위치하게 된다. 요소는 일련의 볼트 및 너트의 도움으로 결합된다.
유닛A 듀오의 상부는 2개 부품의 볼팅에 의해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각각은 유닛A(제14도의 형식의)의 상부와 상응한다. 2개의 요소(57)도 같이 이 부품들의 볼팅을 필요로 한다.
유닛A 듀오의 상부 및 하부는 유닛A(제14도의 형식의)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식으로 4개의 직립재(53)에 의해 결합된다.
제18도는 4개의 유닛A(제14도의 형식의)의 결합점에서의 결합 시스템을 큰 축적으로 도시한 상세도이며, 2개의 유닛(Ar 및 As)는 2개의 다른 유닛(At 및 Au)상에 중첩된다. 도면의 이해를 위해, 각 요소는 소속 유닛에 상응하는 참고문자를 수반하는 참고수자(제14도와 같이)에 의해 표시된다. 이렇게 해서, 예를 들어, 유닛 As의 하부벽은 (54s)로, 유닛 Au의 상부벽은 (55u)로 호칭된다.
직립재(53s)는 요소(49s) 및 (50s)의 하부 단부 하방으로 돌출한다. 직립재 (53u)는 요소(51u) 및 (52u)의 상부 단부 상방으로 돌출한다. 직립재(53s) 및 (53u)는 카버판(60)의 도움으로 볼팅에 의해 결합된다. 직립재(53r) 및 (53t)는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된다(제18도에는 보이지 않는다). 직립재(53r) 및 (53s)는 구멍(18)을 통과하는 일련의 볼트의 도움으로 결합된다. 직립재(53t) 및 (53u)는 동일하게 결합된다.
구멍(19s) 부근에 리브(61s)가 하부벽(54s)의 정부면에 대해 용접 또는 나사 접합된다. 모든 유닛의 하부벽(54)에 각 구멍(19) 부근의 이런 리브(61)가 구비된다.
요소(50r) 및 (50s)는 접촉하지 않는다. 실제로 그들은 직립재(53)의 플랜지 두께의 2배와 동등한 거리로 분리되어 있다. 요소(52t) 및 (52u)에서도 동일하다.
한편, 하부벽(54r) 및 (54s)는 접촉한다. 상부벽(55t) 및 (55u)에서도 동일하다.
하부벽(54r) 및 (54s)의 단부를 따라서 작은 리브(62)가 이 벽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이 작은 리브(62)는 예를 들어 한측부 길이가 1cm인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하부벽(54)에 용접 또는 나사접합된 작은 금속 바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작은 리브(62)도 중합체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 경우 그들은 벽(54)에 접착된다.
제19도는 제18도와 유사한 상세도이지만, 약간 상이한 형식의 4개의 유닛(Aw, Ax, Ay 및 Az)의 결합점에서의 연결 시스템을 도시한다. 유닛 Aw, Ax, Ay 및 Az는 제14도의 유닛 A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직립재(53)(강재)를 가진다. 그러나,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상부 및 하부벽은 목재(강재가 아닌)로 제작된다. “하부 프레임”은 목재 비임(65) 및 (66)으로 구성된다. 하부벽(67) 및 상부벽(68)은 대단히 얇은 합판으로 구성된다. 벽(67) 및 (68)의 강성은 목재 또는 금속 보강재(도시하지 않음)의 도움으로 보강된다.
그밖에 유닛 Aw, Ax, Ay 및 Az는 유닛 Ar, As, At 및 Au와 유사하며 유닛 결합 시스템은 동일하다.
제20도는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골조(불완전한)를 도시한다. 이 건물의 저부 레벨은 그 속에 전선과 배관(70)(용수, 가스, 전기, 배수 등)이 설치된 기술적인 터널(69)을 구성하며, 거기에 빌딩 유닛조의 연속적인 적층 사이의 빈 공간내에 설치된 수직관과 하강관(71)이 접속된다. 이 기술적인 터널(69)은 차례로 배치되며 기초마루(72)상에 직접 놓인 일련의 유닛 C(단지 1개가 도면에 보이는)로 형성되며, 거기에 그들이 공지된 방법으로 고정된다. 유닛 C는 나란히 배치되며, 결합되어 조가 되고(그들의 큰 측부에 의해), 연속된 유닛 C의 조들 사이에 공간(예를 들어 30cm)이 허용된다. 첨부된 시이트금속 패널은 인접한 비접촉 유닛 C를 결합하며, 이렇게 해서 기술적인 터널의 벽을 완성한다. 유닛 C의 짧은 측면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패널(20)(제3도 참조)은 흙이 기술적인 터널(69)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패널(20)과 유닛 C의 상부 프레임(2) 사이에 구멍이 있으므로 기술적인 터널(69)에 의해서 지면과 정면(전술한 적층을 형성하는 유닛에 대해 외팔보형인)상에 위치한 지면마루 사이의 공간에 접근이 가능하다.
유닛C의 각조는 반조립체(Subassembly)의 적층을 지탱하며, 각각은 2개의 유닛 A 또는 2개의 유닛 D를 나란히 결합하여 형성된다. 한 적층의 유닛은 다른 것 위에 위치하지만, 공간은 각 유닛의 상부 프레임의 정부 단부와 그 위에 중첩된 유닛의(제12, 18 및 19도와 같이) 하부 프레임의 저부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적층의 반조립체의 자유 측면에 대해, 결합된 2개의 유닛으로 형성된 다른 반조립체가 외팔보형으로 부착된다. 대다수의 이 반 조립체는 2개의 유닛A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외팔보형으로 부착된 몇개의 이 반조립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닛 A와 유닛 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것과 일직선으로 수직되게 배치된 유닛 B는 계단통을 형성한다.
이 건물에서 상기 적층의 모든 반조립체는 서로 분리되어 위치한다. 외팔보형 반조립체는 그 자신의 하증 및 그 중첩된 하중의 응력을 단지 그들이 고정된 적층된 반조립체에 가한다. 이 외팔보형 반조립체는 서로 분리되어 위치한다. 외팔보형 반조립체를 분리하는 빈 공간은 모두 서로 연결되며 또한 적층의 반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과도 연결되어 참고문자 VI로 표시된 연속 틈(void)을 형성한다.
제21 내지 25도는 직교격자에 따라 배치된 장방형 베이스(A, B, C, D 및 E)를 가진 유닛의 수많은 가능한 조립체의 몇개를 도시적으로 설명한다.
제21도는 그 속의 구조가 보강 콘크리이트의 수평마루(73)와 2개의 수직벽(74)으로 구성된 건물의 구조를 도시하며, 그것은 전체 건물을 지지한다. 건물의 저부 레벨은 각각 그 짧은 측면에 의해 단부를 결합하는 3개 유닛을 형성하는 일련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이 일련의 유닛은 “다리”구조를 형성하여 그 단부만이 벽(74) 상방에 놓인다. 각 군의 단부에 위치한 유닛은 참고번호(75)로 표시된다. 2개 유닛(75) 사이에 그 짧은 측부에 의해 2개의 유닛(75)에 부착된 유닛(76)이 배치된다. 2개의 유닛(75)과 유닛 (76)으로 구성된 각 군은 유닛(75) 및 (76)과같은 식으로 그 사이에 부착된 2개의 유닛(77)과 유닛(78)으로 구성된 3개 유닛의 군의 적층을 지탱한다. 이 3개 유닛의 군은 스페이서(46)의 삽입과 함께 중첩되며, 유닛의 짧은 자유면이 위치한 측상에 단지 서로 지지된다. 3개의 유닛의 각 군은 “다리”구조를 형성하며, 그 단부가 직하방의 군의 단부상에 위치하며 직상방의 군의 단부를 지지한다. 제21도의 구조는 수평 및 수직으로 신장될 수 있다.
수평마루(78) 및 벽(74)은 지하실에 특히 중간 지지점이 없는 차량용 차고로 사용될 수 있는 터널을 형성한다.
상상에서 제21도의 건물은 “구분”으로 갈라질 수 있으며, 각 구분은 “다리”배열(2개의 유닛(75)와 1개의 유닛(76))로 배치된 3개의 저부 레벨 유닛을 가지며, 모든 유닛은 이 3개의 유닛 상방에 배치된다. 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분”사이 또는 그들의 몇개 사이에 공간이 남는다. 한 특정예에서 이 “구분”은 2개에 2개씩 볼트 결합되지만, “구분”의 병치된 조 사이에 공간이 남는다. 이렇게 해서 이 배열은 연속적인 “구분”사이나 또는 적어도 그들의 몇개 사이에 참고문자 VI로 표시된 틈을 형성한다. 이 틈 VI은 다른 유닛상에 놓인 유닛 사이에 존재하는 틈 VI과 연결된다. 이 틈 VI는 수많은 이점을 부여한다. 특히 그들은 인접 유닛의 군 사이에 우수한 음향적 절연을 제공한다. 그들은 또한 인접 유닛의 군 사이의 신장 및 압축 조인트로 사용되며 이 유닛의 제작 허용오차 및 조립 허용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및 수평 배관과 모든 종류의 전선이 이 틈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유리한 실시예에서 틈 VI은 건물내에 적당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한 방사형 열조화 설비를 위한 덕트를 구성한다. 상술한(제2도를 참고로) 모서리 케이싱은 이런 종류의 열조화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로 이 열조화 시스템은 공기를 적당한 온도로 폐쇄된 회로, 상술한 모서리 케이싱 및 유닛의 벽 또는 유닛의 그룹을 분리하는 틈 VI내에서 순환시킨다. 이런 종류의 폐쇄된 회로를 만들기 위해, 상기 틈 VI은 격벽에 의해 유닛의 내부 및 외부 대기로부터 완전히 격리된다. 이 격벽은 정면 패널과 건물의 정부 및 저부 레벨내의 적당한 점에 배치되어 부착된 패널로 구성된다. 수평 연결이 서로 분리된 유닛 사이에 마련될때, 수직 틈 VI은 이 틈 VI을 연결하는 적당한 형식의 연결 케이싱에 의해 유닛의 내부로부터 격리된다. 전술한 연속 수직 모서리 케이싱내에 마련된 구멍은 건물의 각 층에서 연속 수직 모서리 케이싱과 전술한 틈 VI을 연결한다. 즐겨, 건물의 정부레벨에 설치되는 열교환기(가열기 또는 냉동기)에 의해 적당한 온도가 된 공기는 상기 연속 수직 케이싱에 분사되며, 거기서부터 공기는 이 연속 수직 케이싱 GV내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 도피하며 건물의 상이한 레벨상의 틈 VI내로 분배된다. 이 틈 내에 보유된 공기는 복귀 출구가 구비된 건물의 정부 레벨로 상승하며, 거기서부터 이 공기는 공기 순환을 발생하는 팬을 통과하여 전술한 열교환기로 귀환한다.
제22도는 그 저부 레벨이 그 속에 건물용 전선과 배관을 설치하는 2개의 기술적인 터널로 구성된 건물을 도시한다. 이 기술적인 터널의 각각은 차례로 배치되고 기초상에 직접 놓인 일련의 유닛C로 구성된다.
각 유닛 C는 스페이스(46)의 삽입하에 다른 유닛 위에 올려 높여진 장방형 유닛(79)를 적층한다.
이 일련의 유닛(79) 사이에 그 짧은 측면이 유닛(79)의 적은 측면에 부착된 유닛(80)이 배치되며 이 유닛(80)은 유닛(79) 조 사이에 “다리”배열로 배치된다. 유닛(81)은 유닛(79)에 대해 외팔보형태로 부착된다. 이 유닛(81)은 유닛(79)의 짧은 측면에 대해 그 짧은 측면으로 부착된다. 유닛(80) 및 (81)은 지면상에 직접 놓이지 않으며 서로 다른것 위에 놓이지 않는다. 유닛 C 및 이 유닛 C 상에 적층된 유닛(79)은 이렇게 해서 구성골조 전체의 하중 및 중첩된 하중을 지지하며 건물 기초에 전달하는 유일한 유닛이며 외팔보형유닛(81) 또는 “다리”형 유닛(82)은 그 자중 및 중첩된 하중의 응력을 그들이 고정된 유닛(79)에 가한다.
유닛 C의 짧은 측면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패널(20)은 흙이 기술적인 터널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 패널(20)과 유닛 C의 상부 프레임(2) 사이에 구멍이 있으므로, 기술적인 터널을 통해 지면과 지면 마루 유닛(80) 및 (81) 사이의 공간에의 접근이 용이하다.
제21도의 건물과 같이, 제22도의 건물은 중첩된 유닛 사이에 존재하는 틈(VI)과 연결된 틈(VI)에 의해 서로 분리된 “구분”으로 분할된다. 이 름(VI)은 전술한 것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제23도는 평행 “구분”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유닛 위에 중첩되며 (스페이서(46)을 삽입하여) 병치된 일련의 장방형 유닛(82)으로 구성된 건물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이 일련의 유닛의 각각은 틈(VI)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이 “구분”으로 구성된다.
건물의 단부에 위치한 일련의 유닛은 단지 단일 “구분”으로 구성된다. 일련의 유닛의 각각은 마루(83)의 지지로서 사용되는 일종의 두껍고 중공인 지지벽을 형성한다. 실제로 이 마루(83)는 빈 공간(84)에 의해 분리된 2개의 평행 수평벽으로 구성된 이중 마루이다. 틈(VI)과 (84)의 조합은 전술한 것과 유사한 열조화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한다.
제24도는 2개군의 장방형 유닛(85)으로 구성된 건물을 도시하며, 이 군의 각각은 루우핑 또는 플랫포옴을 지탱하기 위한 비임(86)의 지지로 사용되는 일종의 두껍고 중공인 지지벽을 형성한다. 제24도의 이 형식의 건물은 특히 격납고, 체육관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중공벽”은 그 속에서 사람 및 물건이 수평 및 수직으로 순환할 수 있으며 수직 및 수평배관이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21,22,23 및 24도의 건물은 모두 장방형 베이스를 가진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 건물의 건축에 사용된 대다수의 유닛은 유닛A이다. 그러나, 나선형 계단통을 설치하려 하는곳에 이 유닛A의 몇개가 유닛E 또는 유닛 D에 의해 대체된다. 첨가해서, 다른 유닛과 일직선되게 수직으로 배치된 임의의 일련의 유닛은 이식으로 계단통 또는 리프트 또는 엘리베이터통을 형성하도록 유닛 B로 구성된다.
제25도는 장방형 베이스(유닛 A,B,C,D 및 E로 부터 선택된)를 가진 유닛(87), 삼각형 베이스(유닛 J,M,L 및 M으로부터 선택된)를 가진 대형 유닛, 삼각형 베이스(유닛 N 및 P로부터 선택된)를 가진 소형유닛 및 사다리꼴 베이스(유닛Q 및 P로부터 선택된)를 가진 유닛(90)의 조립으로 설치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건물과 같이, 이 유닛의 몇개는 스페이서(46)의 삽입하에 서로 적층되어, 빈공간(VI)을 만든다.
제26도 내지 제2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닛의 도움으로 생산될 수 있는 몇개 종류의 건물의 평면도이다.
제26도는 장방형 베이스를 가지며 직교 격자에 따라 배치된 유닛(87)의 도움으로 생산되는 건물을 도시하며, 이 평면도는 예를들어 제21도의 건물과 상응한다.
장방형 베이스를 가진 유닛(87)의 도움으로 건축된 건물의 다른 형식을 도시한 제27도는 평면의 수평격자가 휘어질 가능성을 설명한다. 수직 틈(VI)에 의해 분리되는 지점에서 유닛의 적층 사이에서 달성되기 용이한 수직 휘임과 설택적으로 조합되는 이런 종류의 휨은 건물이 도로 시스템의 레이아우트 및 지면의 레벨 곡선과 적응되게 한다.
제28도는 건축 콤플렉스(architectural complex)의 평면도이다. 이 콤플렉스의 구조는 장방형 베이스(유닛 A,B,C,D 및 E로부터 선택된)를 가진 유닛(87), 삼각형 베이스(유닛 J,K,L 및 M으로부터 선택된)를 가진 소형유닛(89) 및 사다리꼴 베이스(유닛 Q 및 R로부터 선택된)를 가진 유닛(90)을 사용한다.
이 건물의 몇개의 구성 유닛은 외팔보형 또는 “다리”배열로 배치된다. 빌딩 유닛의 몇개 그룹은 빈공간을 둘러싸서 채광정(light well)(9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유닛의 도움으로 생산된 건물의 골조는 정면 및 루우핑으로 구성된 피복(covering)에 의해 완성된다.
정면은 명백히 건물의 주연에 위치한 유닛의 수직벽에 평행하다. 그들은 전 배열을 폐쇄하며 필요시 적당한 위치에 따라 그들과 건물의 주연의 셀 사이에 빈 공간을 제공하거나 또는 제공하지 않으며, 그 빈공간은 중첩된 유닛 사이의 공간 및 건물의 “구분”사이의 빈공간과 연결된다. 이 정면은 가벼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공지된 방법으로 모든 유닛의 수직벽에 구비된 수많은 볼트 구멍을 이용하여 건물의 주연상에 위치한 유닛에 고정된다.
이 가벼운 정면은 선택적으로 상용하는 재료로 기능공에 의해 제작되지만, 현대식 커어튼벽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발코니, 테라스 또는 순환통로 등이 건물의 주연상에 위치한 유닛에 정면을 통과하는 고정 요소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정면은 무거운 재료, 예를 들어 석조 같은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들은 주연 유닛 부근 또는 주연유닛을 향해서 건축되어야 하며, 그 자체 기초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1개 또는 2 이상의 루우핑이 정부 마루에 의해 지탱되며, 건물이 외팔보형 또는 “다리”배열로 배치될 때, 대개 루우핑이 이 유닛상에 지지되지 않고 다른 유닛상에 놓인 유닛의 적층상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루우핑은 가장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지역, 기후 및 건물의 형상에 의존하여 광범위하게 재료가 변한다.
빗물은 직접 외부와 또는 틈(VI) 또는 모서리 케이싱 내에 설치된 수직 배관으로 유도된다.
제29도 및 제30도는 제20도에 도시한 형식의 건물의 열조화 설비내 공기의 강제 순환을 설명한다. 열교환기(92)(가열기 또는 냉동기)에 의해 적당한 온도가 된 공기는 출구도관 CD를 통과하여 연속 수직테이싱 GV내를 하강한다. 케이싱GV에 의해 운송된 공기는 빌딩 유닛의 모서리 케이싱을 접합하는 덕트 내에 마련된 구멍(93)을 통해 도피하며, 이 공기는 틈(VI) 내에서 건물의 모든 층으로 분배된다. 빈공간(VI)내에 보유된 공기는 공기 귀환출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 건물의 정부 레벨로 상승하며, 이 출구는 건물의 정부 레벨에서 인접 유닛 사이의 공간을 둘러싼 금속 시이트에 접속된다(틈(VI) 내에서 상승하는 공기는 제29도에서 파단선으로, 제30도에서 파상선으로 도시된다). 모든 복귀환 출구는 1개 이상의 공급도관 CA에 접속된다. 공급도관 또는 도관에 의해 운반된 공기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도시하지 않음)을 통과하여 열 교환기(92)로 복귀환한다.
틈(VI)은 (격벽에 의해) 유닛의 내부 및 외부 대기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어야 한다. 건물의 정부 레벨에서 공기 귀한 출구가 접속된 금속 시이트는 틈(VI) 사이와 루우핑 T와 정부층의 유닛사이에 보유된 공간사이에 격벽을 형성한다.
지붕밑의 공간도 열조화 설비의 공기 순환시스템에 참가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적당한 점에서 출구도곤 CD상의 공기출구(보청된)와 공급도관 CA 상의 공기 복귀환 출구의 접속에 의해 달성된다. 이 식으로 열 교환기(92)를 통과한 공기는 루우핑T와 정부층의 유닛 사이의 공간을 순환하여, 이 유닛의 천정을 적당온도로 만든다.
건물의 지면 마루 밑에 연속 수평격벽(94)을 형성하는 단열 패널은 돌출 단부(9)와 격벽(94) 사이에 공간(예를들어 약 10cm의)을 남기는 금속 고정구에 의해 지면 마루를 형성하는 건물 유닛의 돌출단부(9)에 고정된다. 이 식으로 지면 마루빌딩 유닛의 마루밑에 분사되는 공기는 이 돌출단부 밑을 통과하여 틈(VI)내를 상승한다.
제29도 및 제30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정면F가 위치한 측부상에는 모서리케이싱이 없다. 정면F 부근에 위치한 구멍(19)(빌딩 유닛A의 정부벽(4) 및 저부벽(5) 내의)은 부착된 패널(95)에 의해 폐쇄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주어졌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닛(루우핑, 정면, 격벽, 기술적인 장비등)의 도움으로 생산된 건물의 건축에 사용된 모든 첨가적인 구성 요소들이 사전 제작과 표준화를 촉진한다.
통상적으로 단순한 설치에 의한 모든 이 보충적인 부품의 활용은 특히 본 발명에 기인한 특징에 의해촉진되며, 그 특징 중에서 틈(VI) 및 모서리 케이싱의 적합한 배열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기인한 경제적 이점의 원인은 빌딩 유닛 자체의 경제성 및 단순성의 조합이다.
빌딩 유닛은 건물을 형성하기 위해 기중기의 도움으로 제위치에 배치되기 전에 지면에서 정면 요소, 격벽, 각종 배관 및 전선과 함께 장착될 수 있다. 이 작업은 개방된 작업 현장에서 조립 라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명백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서술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 많은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1)

  1. 건물을 건축하기 위한 빌딩 유닛에 있어서, 직각 기둥 형상을 가진 금속구조체로서, 그 저부 단부가 직각기둥의 저면의 측연부를 형성하도록 직각 기둥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그 저부에 빌딩 유닛의 내부를 향해 직각으로 돌출하는 돌출단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 정부 단부가 직각 기둥의 정면의 측연부를 형성하도록 직각 기둥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그 저부에 빌딩 유닛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 연부를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 그 정부 단부가 직각 기둥의 수직 단부를 형성하고 넓은 평탄바아로 제조된 그 플랜지가 직각 기둥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배치되며 프레임들과 결합되는 V형상의 단면을 갖는 직립재 및 각 프레임에 부착되며 하부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예정된 높이로 자체 지지되는 하부 수평벽과 상부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예정된 높이로 자체 지지되고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패널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맨호울을 구비하는 상부 수평 벽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임과 각벽이 함께 하방으로 개방되는 용기 구조체를 형성하며 직각 기둥의 수직 단부 주위에 구멍을 구비하고 직각 기둥의 측면 넘어로 돌출하지 않게 배치된 금속 리브 보강재를 구비하는 금속 시이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KR1019790004372A 1979-12-11 1979-12-11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KR83000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372A KR830000047B1 (ko) 1979-12-11 1979-12-11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372A KR830000047B1 (ko) 1979-12-11 1979-12-11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47B1 true KR830000047B1 (ko) 1983-02-03

Family

ID=1921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372A KR830000047B1 (ko) 1979-12-11 1979-12-11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739B1 (ko) * 2012-08-20 2014-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KR101409229B1 (ko) * 2013-07-26 2014-07-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구조체용 ㄱ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101409221B1 (ko) * 2013-07-26 2014-07-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구조체용 ㄱ형 기둥을 이용한 철골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739B1 (ko) * 2012-08-20 2014-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KR101409229B1 (ko) * 2013-07-26 2014-07-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구조체용 ㄱ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101409221B1 (ko) * 2013-07-26 2014-07-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닛구조체용 ㄱ형 기둥을 이용한 철골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4206A (en) Prefabricated building units for constructing building, and buildings whose fabric comprises assembled units of this kind
US3751864A (en) Interstitial space frame system
US6393774B1 (en) Construction system for modular apartments, hotels and the like
US6523322B1 (en)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RU2120002C1 (ru) Каркас здания
US5950374A (en)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s
US3605350A (en) Modular housing structure
US20130074424A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EP0929723A1 (en) A transportable structure kit
CN104755678A (zh) 模块化建筑物
US3430398A (en)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US4087072A (en) Form means for fabricating pre-cast structural panels
KR0173506B1 (ko) 건조물의 건축공법
CN116547432A (zh) 建筑组件、由其形成的建筑物结构及其构造方法
US4184296A (en) Prefabricated prismatic structure for building
KR830000047B1 (ko) 건축용 조립식 빌딩 유닛
US20210388602A1 (en)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086060B1 (ko) 조립식 건축모듈
JPS6114299B2 (ko)
US3466828A (en) Modular wall construction
US4078344A (en) Prefabricated building sections or room unit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erecting buildings
US3975873A (en) Prefabricated building sections or room unit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erecting buildings
JP7178730B2 (ja) 躯体ユニット及び簡易構造物
JP4391041B2 (ja) プレハブ式建物
JP4340402B2 (ja) 建物の屋根構造および屋根施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