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009B1 - 그 림 틀 - Google Patents
그 림 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009B1 KR830000009B1 KR1019780002843A KR780002843A KR830000009B1 KR 830000009 B1 KR830000009 B1 KR 830000009B1 KR 1019780002843 A KR1019780002843 A KR 1019780002843A KR 780002843 A KR780002843 A KR 780002843A KR 830000009 B1 KR830000009 B1 KR 830000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cture
- slider member
- housing
- pile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3/00—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 G03B23/02—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in which a picture is removed from a stock and returned to the same stock or another one; Magazin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 내지 5a도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제1 내지 4도는 그림 교환시의 슬라이더부재의 다양한 동작위치에서 본 장치의 종단면 도시도, 제5a도는 압박 장치의 부분평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선 5b-5b에 의한 부분단면도.
제6 내지 12도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6 내지 9도는 제1 내지 4도와 유사한 그림교환 단면도.
제10 내지 12도는 세부도.
제13 내지 16도는 또 다른 장치의 부분 절취 단면도로서 제13, 15 및 16도는 종단면도.
조14도는 횡단면도.
본 발명은 그림틀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장치는 예를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명세서 제873, 908호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다. 다음의 동작원리는 그들 모두에 있어서 특유한 것이다.
조망창에 면하는 그림은 하우징과 분리기 사이의 상부 홈을 통하여 그림의 한 가장자리상에서 접촉하는 후크형의 운반부재에 의하여 하우징내에 배치된 그림들의 파일 (pile)로부터 취해진다. 분리바는 후크가 슬라이더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파일 지지장치이다. 분리바는 그림파일의 나머지를 뒤에 남겨 놓는다. 그림은 슬라이더 부재내에서 바닥에 떨어지거나 보조스프링들에 의하여 바닥에 눌려지며, 그의 귀환행정 또는 삽입행정시에 분리 아래의 하부 그림홈을 통하여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힘을 받아서 압박장치와 파일딜면 사이로 밀린다. 이리하여 상부로 부터의 두번째 그림이 볼 수 있도록 조망창을 향하여 놓이며 원한다면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이 설계들은 그림 두께가 적당할 때와 그림들이 엄밀하게 평탄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얇거나 변형된 것이면 후크가 활주할 때에 동작이 방해받을 뿐만 아니라 그림표면이 손상되며 후크가 반복접촉해야 할 그림의 가장자리가 손상된다. 이러한 이유로이러한 형의 공지된 장치들이 시장에서 별로 인기가 없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림들에 손상을 주지 않는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이송부재를 가지는 형태의 장치를 만드는 것이다.
그림틀내의 회전가능한 운반기부재들이 그 자체로서(perse) 알려져 있음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명세서 제864759호는 수동으로 회전되는 고무가 입혀진 로울러들을 달고 있는 입체그림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림을 신속히 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개개의 그림들 사이에 불필요하게 긴 단락이 발생한다.
더우기, 이 경우에 있어서 최소한 두개의 로울러가 있는데, 그중의 하나는 구동부재로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그림을 보는 위치밖으로 운반하여 파일아래에 놓이게 한다. 이 로울러들은 기어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 가능한 높은 마찰 또는 점착성 소자를 슬라이더부재에 의하여 구등시키는 것은, 비록 그림의 이등에는 아무런 문제점들을 주지 않는다고 하지만 귀환행정시에 역방향으로 구등되는 점착성 소자가 현재보고 있는 그림을 휘감을 수도 있다는 난점을 제거한다. 이러한 난점이 테를 씌운그림 또는 빳빳한 그림들의 경우와 모든 형태의 그림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량의 경우에서는 상당히 완화될 수 있지만, 슬라이더 부재와 운반기부재와 사진파일로 이루어지는 등작체인은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 행정시에 한 지점에서 방해받는다. 이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다.슬라이더/운반부재를 위한 구등이 귀환 행정시에 분리될 수 있거나 그림파일과 운반부재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며, 다르게는 파일이 정지된 점착성 소자로부터 이동되거나 점착성 소자가 정지된 파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장치는 그의 용도를 개량하기 위하여 다르게 또는 조합으로 또다른 변형들로 갖추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들은 뒷면에 있는 가요성 지지체와, 프레임과 같이 장치를 매어다는 장치와, 앞면에서 통합장치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이한 형태들을 가지며 상이한 표면처리를 받은 교환 가능한 부가적인 프레임들과, 스프링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그의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하는 것과, 각각 하나는 그림파일에 관한 것이며 다른것은 통상적인 정보 운반기상에 배치되는 텍스트 카아드들과 그림 및 텍스트 파일에 관한 것인 다수의 창들로 창을 지닌 하우징벽을 구분하는 것을 포함한다. 더우기, 하우징의 창벽은 사용자가 그 위에 표시를 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될 수도 있다.
더우기, 예를들면 슬라이더에 배치된 사진 음화에 속하는 음화를 저장하도록 하우징내에 양호하게 고정된 장치내에 공간이 갖추어질 수도 있다. 결국 장치는 물론 그의 앞면 및 뒷면에 두개의 상이한 슬라이더들이 평행으로 장착되는 각각의 창을 갖출 수도 있다.
3개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의 특징들은 3개의 실시예에 공통된 것이다.
분리하는 하우징내에 배치되는데, 변형된 실시예들에서는 그것이 슬라이더 부재내에 대신 배치될 수 있다. 그림이 교환될때 조망창에 면하는 그림이 파일로부터 이동되어 파일아래로 밀어넣어진다. 역순서는 본 발명의 제안으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 전체파일을 교환하는 것은 하우징의 구멍 반대편에 배치된 분리덮개에 의하여 성취된다. 하우징이 상부 또는 바닥에서 힌지(hinge)되거나, 예를들면 분리바를 선회시키므로 슬라이더 부재가 전체파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가 또한 가능하다.
도면에서의 장치의 도시는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소자들에 제한되어 있으며 도면들은 광범위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들은 다만 기초원리들을 설명하는데 기여한다.
제1실시예(제1 내지 5도)는 투명판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는 조당 구멍 또는 창 (13)을 가진 하우징(1)을 지니고 있다. 창(13)에 평행한 슬라이더 부재(7)는 하우징내의 구멍(14)를 통하여 하우징 밖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 동작은 멈춤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제한된다. 예를들면, 20장의 그림파일(15)은 그림면이 이창에 면하게 하여 창(13)밑에 배치되며 압박장치(3)에 의하여 창둘레의 하우징(1)의 프레임부를 향하여 압박된다(제1도).
제1 내지 4도에서 왼쪽의 하우징(1)의 좁은 면은 파일(15)이 제거 교환될 때에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덮개(2)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압박장치(3)는 하우징의 바닥(18)에 고정된 판스프링(17)에 의하여 지지되는 압박판(16)을 포함한다. 압박판은 팽창부(8)를 가지거나 같은 효과를 내도록 만곡되어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에 면하는 파일의 하부가장자리(19)와 판(16)의 끝 가장자리(2 0) 사이에 그림이 삽입될 수 있는 간극이 상존하도록 한다(제3 및 4도).
분리기(6)가 하우징내에 고정되어 있다. 분리기 위에서 하우징 프레임은 타원형 회단면을 가지는“저어널(25)”가 고정설치되는 위치인 직사각형 그림실(21)을 가지고 있다. 점착성 소자는 저어널(25)에 면하는 내면은 저어널 부재에 대하여 매우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나 외면은 예를들면 고무 코우팅의 결과로 그림 지지재(즉 그림이 그려져 있는 종이)와 슬라이더 부재 구성재에 대하여 매우 높은 정적마찰력을 나타내는 샌드위치 구조의 짧은 튜우브 토막이다.
장치는 점착성 소자는(23)의 밑면(또는“하부 주행면”이 창을 둘러싸는 프레임의 하부가장자리(12)보다 약간 낮게 되며 슬라이더 부재(7)의 측면바(24)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설계된다.
타원의 장축은 저어널(25)상에서 점착성 소자가 회전할 때에 최상부 그림(11)이 슬라이더 부재에 접한 점착성 소자의 표면 일부에 접촉되도록 길게 되어 있으며, 또한 그림의 뒷 가장자리가 분리기를 지나서 운반되도록 분리바(6)를 지나 받혀 있다.
슬라이더 부재는 측면 아암(26)(제5도)과, 끝면에 있는 가로아암(27)과, 측면아암(26)에 수직한 측면바(24)와, 슬라이더 부재가 밀어넣어질 때 앞에서 하우징 구멍을 폐쇄시키는 끝면 바(28)로서 U자형 윤곽을 가진다. 슬라이더 부재는 손잡이(29)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의 U자형 윤곽에 의하여 개방된 채로 하우징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이미 언급된 스프링(17)과, 그 기능이 이후에 설명되는 비작동화장치이다. 무력화장치는 하우징의 바닥(18)상에 형성된 안내부재(31)내에서 안내되는 단단한 조절판(30)으로 되어 있으며, 조절판의 정지위치(제1 및 2도)에서 가로부재(32)가 하우징 구멍에 가까운 판스프링(17)뒤에 놓인다. 조절판의 측면돌기(33)가, 슬라이더 부재의 측면 아암상에 형성되거나 그와 일체로 되어 있는 내향 돌출 교대부(34)들의 운등 경로증에 설치된다.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폐쇄된 위치(제1도)에서, 최상부 그림(11)이 창틀의 하부 가장자리(12)로 향하여 놓인다. 그것은 또한 점착성 소자(23)의 밑면을 향하여 놓이며, 한편 그림파일(15)의 측면에서 측면바(24)를 향하여 놓인다. 손잡이(29)가 오른쪽으로 당겨지면 슬라이더 부재가 마찰 접촉의 결과 점착성 소자를 회전시킨다. 점착성 소자는 저어널(25)의 타원형에 보충하는 그의 형태를 보유하도록 충분히 유연하여 그림(11)이 슬라이더부재의 속도에 따라서 밖으로 운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림과 운반기 부재사이의 마찰접촉은 압박장치(3)에 의하여 보존된다. 분리바(6)는 그와 점착성 소자(23)사이의 간극이 한장의 그림만 통과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나머지 파일에 대한 멈춤장치로서 작용한다(제2도). 슬라이더 부재의 최외부위치(제3도)에서 운반기 부재가 그림(11)을 분리바( 6)를 지나 이동 완료시킨다. 이 바로전에 교대부(34)가 조절판의 돌기(33)와 만나서 조절판을 하우징 구멍(14)쪽으로 밀게 되어 조절판의 가로부재(32)가 하우징에 가까운 판스프링(17)상으로 활주하여 스프링을 하방으로 눌러준다. 판스프링(17)의 탄성적인 초기응력의 결과로 조절판이 이 위치에 고정된 채로 있다. 이때에 판(16)이 슬라이더 부재의 측면아암(26)의 상부면보다 낮아지도록 하우징바닥(18)의 방향으로 끌어내려지며, 그 다음에 아암(26)상에 그림이 놓여져서 슬라이더 부재가 귀환될 때에 이 그림이 가장자리(20)와 파일 가장자리(19)사이에서 안전하게 밀려지도록 한다. 또한 이때에 판(16)이 아래로 조정된 채로 있으므로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방금 구동된 점착성소자(23)가 현재의 최상부 그림(11')을 내리누르지 않으면서 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 행정은, 조절판이 슬라이더 부재(7)의 운동으로 그위로 활주하는 끝면 아암(27)의 내면에 의하여 그의 출발 위치로 되밀려질 때까지 방해받지 않는다.
또 다른 안내부재(35)는 슬라이더 부재가 안으로 밀릴 때에 조절판이 외부로부터 압박장치(3)의 비작동화 위치로 밀려질 수 있게 하며 물론 슬라이더 부재가 약간 밖으로 밀려지게 하는 단추(36)을 위하여 하우징 바닥(18)에 설치된다. 이 단추는 덮개 (2)가 파일을 교환하기 위하여 열리기 전에, 또는 원칙적으로 그림들이 교환되지 않고 그들로부터 압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철해지거나 신속히 처리될 때에 동작된다.
제6 내지 12도에 따르는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장치되었던 주요부품 즉, 덮개 (102)를 가진 하우징(101)과, 그림들의 파일(109)를 위하여 하우징 내에 배치된 압박장치(103)와, 슬라이더 부재(108)와, 하우징내에 배치된 분리기(107)를 갖고 있다. 압박장치(103)는 하우징 출구로부터 중심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개의 아암(104)을 지니는데, 이 아맘의 자유단은 단추(105)의 안내구멍과 접촉한다. 이는 단추(105)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아암(104)의 사부면을 압박하여 전체 압박장치(103)를 하방으로 당긴다.
제10도의 단면도에서 가장 잘 볼수 있는 바와같이, 슬라이더 부재의 후퇴 방향에 평행한 세로로 연장된 마찰벨트(106)가 하우징(101)의 측면벽(102)상의 양면에 배치되는데, 이 벨트들은 몇개의 핀(117)에 의하여 지지된다. 핀(117)은 하우징의 측면벽(120)상에 형성된다.
마찰 벨트들의 하부 주행면들은 그림파일(109)의 최상부 그림(115)을 내려눌러서 그의 외측면 가장자리(114)를 누른다. 그림파일(115)위에서 마찰 벨트는 슬라이더 부재(108)의 측면바(110)에 형성되거나 부착된 래치트 톱니(ratchet teeth, 113)과 접촉하는 톱니(111)를 가진다. 톱니(111)는 슬라이더 부재가 인출되면 마찰벨트( 106)가 래치트(113)들에 의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계되며, 또 톱니의 분할은 슬라이더 부재의 후퇴거리가 톱니피치의 총합이 되도록 칫수가 결정되어 슬라이더 부재가 다시 안으로 밀려졌을때 톱니(111)과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슬라이더가 안으로 밀리면, 제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회전운반기 소자가 최상부 그림과 접촉해서는 안되는데 그 이유는 그림이 손상되거나 적어도 심한 압박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래치트(113)가 탄성적으로 휘어져서 톱니아래에서 지나갈 수 있도록 톱니를 사용하게 되어 있다.
최상부 그림(115)가 운반기 소자부분을 구동하는 마찰 벨트의 총연장이 분리를 넘어서 연장되며 슬라이더 부재의 후퇴 경로가 그림들의 관련 길이보다 더 길게 되어 있는 까닭에 분리바(107)을 지나서 이송된다.
후퇴된 그림(115)이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시에 파일아래로 다시 삽입되도록 압박장치(103)의 스프링이 바닥에서 벌지부(bulge 116)를 가진다. 명백하게 이 경우에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 압력의 비작용화를 위하여 슬라이더 부재 조절식 비작동장치를 갖추는 것이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이것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에도 단추(105)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의 용도는 이미 위에서 설명된 바 있으며 덮개(102)가 파일교환의 목적으로 제거될 때에만 정상동작된다.
제10도에서와 같은 핀(117)상에 운반기소자(106)을 지지 또는 지탱하는 것과는 달리, 제12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회전핀(118)을 갖출 수도 있다. 명백하게 그와 같이 연속적인 핀들은 도려낸 조망창(112)의 프레임에 의하여 덮혀진 하우징내에서 갖추어질 수 있다.
운반기 소자 상에 톱니를 설치하는 대신에 후퇴 및 삽입 방향으로 발생되는 다양한 각에 의해 탄력적으로 장착된 운반기 래버에 의하여 순전한 마찰접촉을 갖는 슬라이더 부재를 갖추는 것도 가능하다.
제13내지 1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2실시예로부터 소자들 즉, 덮개( 202)를 가진 하우징(201)과, 슬라이더 부재(209)와, 압박장치(203)와, 압박장치의 중간 아암(204)과 접최하도록 기저부에 배치된 단추(205)와, 분리비(208)가 다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부품들의 동작은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방(220)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그의 저어널(222)들이 측면 하우징 홈(216)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점착성 피복을 갖추고 있는 로울러 형태의 제1운반기 소자(206)이다.
제13도에 도시된 출발위치 또는 폐쇄위치에서 로울러(206)의 저어널(222)가 경사진 홈(216)의 최저 지점에 배치되며 또 이 위치에서 U자형으로 구부러진 작은 스프링(217)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 위치에서 로울러의 주변은 최상부 그림(226)을 내려 누른다.
이제 슬라이더 부재가 동작되면, 로울러가 슬라이더 부재 측면 바(228)의 상부가장자리(211)와의 마찰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되어, 슬라이더 부재의 후단상에 형성된핀(215) 로울러 저어널(222)과 부딪쳐서 이들을 전방으로 밀며 동시에 홈(216)을 따라 상방으로 밀때까지, 또 저어널(222)이 스프링(217)의 작용하에서 요홈(230)내로떨어져서 슬라이더 부재가 다시 되밀려 질때 그곳에 머물려있을 때까지 사진을 지지한다.
슬라이더 부재의 귀환 행정시에 이런 식으로 운반기 소자(206)가 최상부 그림에 대하여 들어 올려져서 활동 정지 또는 작동되지 않는다. 슬라이더 부재의 손잡이 부에 인접한 반대멈춤장치(218)가 이때 운반기 소자(206)를 요홈(230)이 밖으로 되밀어 보내기 때문에 운반기 소자가 아래로 경사진 홈(216)을 따라 스프링(217)에 의하여 보조받는 처음 위치로 귀환되어 굴러갈 수가 있다.
최상부 그림(226)이 파일의 나머지와 운반기 소자(206)사이에서 통과완료하면 운반기 소자에 의하여 더이상 구동되지 않으며, 제2운반기소자(207)에 의하여 더이상 운반되지 않는다면 분리바(208)과 하우징의 상부면 사이에 놓여질 것이다. 이 운반기 소자는 운반기 소자(206)과 마찬가지로 점착성 피록을 갖춘 로울러이지만 이 로울러는 구등원으로 부터 분리될 수 없다. 구동원은 바(228)의 측면의 슬라이더 부재의 바(21 3)의 밑면에 의하여 마련된다. 바(213)과 바(228)의 기저부 사이의 간격이 제2운반기소자(207)가 이곳에 설치되는 것은 물론 분리기(208)의 체결장치(219)가 홈을 통하여 연장되고 하우징(201)내에 고정되도록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
구동되는 제2운반기소자(207)가 최상부그림(226)을 분리바(208)을 지나서 운반시키며, 연후에 그림이 아래로 떨어지거나 보조스프링에 의하여 아래로 압박되어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일아래의 분리바 아래로 밀려진다. 제2운반기 로울러(207)는 분리바(208)와 하우징 상부면(202)사이에 몰린 그림이 없을때 역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꼭 분리될 필요는 없다.
압박장치를 하방 이동시키면서 덮개(202)를 제거하여 파일을 교환하는 것은 제2실시예서와 같이 실행된다.
또한, 한편으로는 슬라이더 부재와 회전하는 운반기 사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운반기와 축출될 그림사이에서, 그림이 슬라이더 부재 자체보다 더 큰 선속도를 받게 되도록 기어 전동이 갖추어질 수 있어서 슬라이더 부재가 최소 길이로될 수 있으며, 그림에도 불구하고 그림이 파일로부터 완전히 이동되며 분리바를 지나서 운반되는 것이 지적된다. 이는 제14도에서 분명히 볼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동등하게 적용된다.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바이어스된 스프링 또는, 후크와 같은 또는 높은 전동율에 순응되지만 그림 경로의 말단부를 가로질러 작용하는 보조 운반장치에 의하여 한장의 그림을 보충적으로 가속시키는 것과 같은 동작을 달성하기 위한 대등한 장치들이 있다.
더우기, 분리바가 끝면에서 파일을 지지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측면 마찰 접촉 지지부가 파일을 위해서 대신 갖추어질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의 후퇴가 스프링을 다시 뒤로 당겨서 하우징내에 배치된 스프링을 바이어스 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역으로 스프링이 슬라이더 부재 삽입시에 제압축되는 동안에 슬라이더 부재가 스프링 압력하에 있을 수 있으며 단추 따위에 의하여 제동되어질 수 있다.
결국 운반기 소자가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슬라이더 부재가 그와 함께 전체 파일을 운반하도록 만들어진다면, 운반기 소자가 슬라이더 부재상에 배치되며 예를들면 하우징과 마찰 접촉으로 구동되므로하여 뒤에 남겨질 한장의 그림이 하우징내에 지지되는 식으로 하여 역회전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운반기가 인접그림과 먼저 접촉하도록 즉 분리바보다 먼저 접촉하도록 설계되어져야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한편, 운반기가 분리바를 지나서 그림을 운반해야 하므로, 최소한 이점대로 실행되어야 한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문제가 분리바전후에 있는 각각의 로울러 설비, 또는 분리바를 지나서 연장하는 테이프형 컨베이어 설비에 의하여 해결되었다. 또 다른 설계가 분리바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홈 안내부들과, 상기 홈들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그러한 세로 이동시에 회전이 억제되지만 그 억제가 풀리는 홈끝에서 슬라이더 부재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로울러를 포함하곤한다. 따라서, 그림이 로울러에 의하여 집어올려지고 로울링 작용없이도 마찰 접촉에 의하여 제1경로에서 운반되며 로울러의 회전에 의하여 더 이동된다. 로울러 샤프트는, 분리바 위쪽에서 정사각형 로울러 샤프트단을 위한 베어링으로 작용하기에 적합한 넓혀진 원형 모양을 갖는 홈구조에 맞게 되어 있는 사각형일 수도 있다.
Claims (1)
- 조망창과 슬라이더를 형성한 몸체를 포함하며 파일 이송 장치와 그림이송 장치를 갖고 있는 그림교환 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그림틀에 있어서, 보유성 구동표면을 갖고 저어널(25)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각 그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파일의 끝단에서 각 그림표면과 접촉하도록 그림실(21)의 끝단에 형성된 점착성 소자(23)와, 점착성 소자와 접촉하여 덮개(2)에 대한 슬라이더 부재(7)의 미끄럼 운동에 따라 상기 점착성 소자를 회전시키는 슬라이더 부재(7)의 측면바(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림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80002843A KR830000009B1 (ko) | 1978-09-19 | 1978-09-19 | 그 림 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780002843A KR830000009B1 (ko) | 1978-09-19 | 1978-09-19 | 그 림 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009B1 true KR830000009B1 (ko) | 1983-01-25 |
KR830000009A KR830000009A (en) | 1983-01-25 |
Family
ID=1920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80002843A KR830000009B1 (ko) | 1978-09-19 | 1978-09-19 | 그 림 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0009B1 (ko) |
-
1978
- 1978-09-19 KR KR1019780002843A patent/KR830000009B1/ko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009A (en) | 1983-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06214A (en) | Viewer for photographic prints | |
CA1079761A (en) | Sheet feed apparatus | |
CA1107102A (en) | Viewer for photographic prints | |
CA1055057A (en) | Semi-automatic document feeder | |
US4860031A (en) | Register tape transport device | |
US4241528A (en) | Picture viewer | |
US5143363A (en) |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device | |
NL8101927A (nl) | Scheidingsinrichting voor het scheiden van vellen. | |
SU725575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смотра фотоснимков | |
US3955092A (en) | Arrangement for respectively withdrawing a single film sheet from a stack of directly loosely superimposed film sheets | |
NL8202141A (nl) | Inrichting voor het afvoeren van vellen. | |
US3966190A (en) | Sheet advancing methods and apparatus | |
KR830000009B1 (ko) | 그 림 틀 | |
GB1581497A (en) | Air assisted automatic document stacking apparatus | |
US4939860A (en) | Cyclic rearrangement device for stacked rectangular sheets | |
US4993179A (en) |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 |
US5044101A (en) |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 |
US3907159A (en) | Dispensing device | |
US5848727A (en) | Scent strip dispenser | |
US5482184A (en) | Newspaper conveying mechanism of a newspaper vending | |
US4879825A (en) | Cyclic rearrangement apparatus for stacked rectangular sheets | |
US4738441A (en) | Data scanning apparatus | |
GB2122675A (en) | Vertical slat blinds | |
US4897946A (en) | Device for the cyclic rearrangement of a pile of rectangular or square sheets | |
US4482146A (en) | Dispenser of single film shee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