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427Y1 - 블 록 - Google Patents

블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427Y1
KR820002427Y1 KR2019810005651U KR810005651U KR820002427Y1 KR 820002427 Y1 KR820002427 Y1 KR 820002427Y1 KR 2019810005651 U KR2019810005651 U KR 2019810005651U KR 810005651 U KR810005651 U KR 810005651U KR 820002427 Y1 KR820002427 Y1 KR 820002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ement
surface layer
soil brick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5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KR2019810005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블 록
제1도는 본 고안 블록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제조공정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은 네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요조(2)를 형성하고, 상면보다 하면을 넓게 사다리꼴로 형성되게 가압성형한 흙벽돌의 상면과 각 측면에 시멘트 몰탈을 가압 피착하여 흙벽돌과 일체로 시멘트 표면층이 형성되게 한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흙벽돌과 시멘트 블록의 장점을 취택하여 견고하고 보온 및 방수효과가 크며 외관이 양호할 뿐 아니라 또한 저렴하게 양산할 수 있어 농촌 주택건설에 널리 보급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코저 함에 있는바 본 고안의 구조와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 측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요조(2)를 형성하고, 상면(1′)보다 하면(1″)을 넓게 사다리꼴로 형성되게 가압성형한 흙벽돌(1)의 상면(1′)과 각 측면에 시멘트 몰탈을 가압 피착하여 시멘트 표면층(3)을 형성함으로서 시멘트 표면층(3)이 흙벽돌(1)의 표면에 일체로 피착되게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는 가압판이고 5는 블록틀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블록은 흙벽돌(1)의 상면(1′)과 각 측면에 시멘트 몰탈의 표면층(3)을 형성함에 있어 흙벽돌(1)의 각 측면에 형성된 수개의 요입부에 시멘트 몰탈이 가압 몰입되어 충진되므로 성형후 시멘트 표면층(3)과 흙벽돌(1)과의 접착면적이 크게 증대되어 표면층(3)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어 쉽게 박리될 우려가 없으며 시멘트 표면층(3)이 상면과 각 측면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흙벽돌에 비하여 상하 방향의 압축강도가 크게 증대되며, 내부가 흙벽돌로 되어 있어 보온효과가 양호하고 또 축조후 시멘트 표면층(3)만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종래 흙벽돌에 비하여 방수효과가 크고 외관도 미려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 블록은 제조시 제3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블록틀(5)의 중앙에 흙벽돌(1)을 정치하고 상부로부터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는 경우 흙벽돌(1)이 상면(1′)보다 하면(1″)을 넓게한 사다리꼴이어서 볼록틀(5)과 흙벽돌(1)측면과의 내부공간이 상측으로 넓어진 형태이므로 시멘트 몰탈이 고르게 흙벽돌(1) 측면과 블록틀(5)사이의 공간에 충진되고, 충진된 몰탈은 상부 가압에 골고루 압력을 받게되며, 특히 본 고안 블록은 흙벽돌을 주체로 하는 것이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량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네 측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요조(2)를 형성하고, 상면(1′)보다 하면(1″)을 넓게 사다리꼴로 형성한 흙 벽돌(1)의 상면(1′)과 각 측면에 시멘트 몰탈을 가압 피착하여 시멘트 표면층(3)을 형성하여서 된 블록.
KR2019810005651U 1981-08-11 1981-08-11 블 록 KR820002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651U KR820002427Y1 (ko) 1981-08-11 1981-08-11 블 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651U KR820002427Y1 (ko) 1981-08-11 1981-08-11 블 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427Y1 true KR820002427Y1 (ko) 1982-11-25

Family

ID=1922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5651U KR820002427Y1 (ko) 1981-08-11 1981-08-11 블 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4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9021877A0 (it) Massa ceramica per la produzione dello strato di copertura di piastrelle di gres con struttura a due strati
FR2614336B1 (fr) Element de construction prefabrique a isolation thermique integree, notamment element de plancher,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KR820002427Y1 (ko) 블 록
JPH07255277A (ja) 土壌区画装置
KR810000267Y1 (ko) 블 록
KR880011419A (ko) 목재 건물용 기초 및 공법
FR2393121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murs creux prefabriques, murs creux fabriques par ce procede et outillage pour sa mise en oeuvre
DE68900800D1 (de) Mit fliesen ausgeruestetes einkleidungselement zum abfuehren des kondenswassers.
KR800001819Y1 (ko) 단열 시멘트 벽돌
CN214575075U (zh) 一种隔热粉煤灰墙体砖
JPS59173446A (ja) タイル目地用シ−リング材
USD291700S (en) Mold to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concrete ceilings
IT1183502B (it) Procedimento per la fabbricazione di un piastrella decorativa in particolare di grande formato con superficie simile alla ceramica
CN2193896Y (zh) 泡沫塑料混凝土隔热层构件
JPS6183718U (ko)
KR800001502Y1 (ko) 미장벽돌 제조 형틀
JPS5539516A (en) Concrete retaining-wall and mold device for construction thereof
JPH075145Y2 (ja) 外壁用役物
MARX STRUCTURES INCORPORATING TILE COVERINGS.
JPS5842075Y2 (ja) 太陽熱利用淡水装置
JPS5842074Y2 (ja) 太陽熱利用淡水装置
KR19980042695U (ko) 건축용 흙벽돌
JPS59190818U (ja) 太陽熱吸収屋根瓦
BE589598A (fr) Matériau de couverture pour toitures ou de revêtement pour parois, sous la forme de plaques planes en asbeste-ciment posées sur un planchéiage ou un autre support recouvert d'un matériau de couverture bitumé en rouleaux
IT8002917A0 (it) Pressoformato per sottotegole e isolamento dei tetti di case con copertura in tegole principalmente in cemento o di terracot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