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335B1 - 살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335B1
KR820002335B1 KR7803354A KR780003354A KR820002335B1 KR 820002335 B1 KR820002335 B1 KR 820002335B1 KR 7803354 A KR7803354 A KR 7803354A KR 780003354 A KR780003354 A KR 780003354A KR 820002335 B1 KR820002335 B1 KR 82000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aricide
bis
effect
parts
comp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 요네다
겐지 야마자끼
도미오 야마다
히루오 시미즈
미쓰오 아사다
메이끼 안도
Original Assignee
모리사와 요시오
닛뽕소오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사와 요시오, 닛뽕소오다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사와 요시오
Priority to KR780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 A01N41/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sulfur atom bound to a hetero ato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double bond
    • A01N41/04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01N41/06Sulfonic acid am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살비제 조성물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유효 성분과 불활성 담체를 함유하는 신규한 살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비제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다음과 같은 유효 성분(a)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다음과 같은 유효 성분(b)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a) 일반식(Ⅰ)의 화합물
Figure kpo00001
식중, X 및 Y는 할로겐이고, R1은 저급알콕시 또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2는 저급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카르보닐, 저급알케닐카르보닐, 벤조일, 페닐아세틸, 사이클로프로필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페녹시카르보닐, 저급알킬티오 또는 저급알킬티오알콕시이고, R3는 저급알킬 또는 수소임
(b) 진드기에 대해 살성충효과를 갖는 유기인산염
카르바메이트 또는 합성 피레트로이드의 살충성화합물, 진드기에 대해 살성충효과를 갖는 살비제화합물, 클로로펜손, 다황화칼슘 및 석유.
일반식(Ⅰ)의 화합물 중 대부분은 공지의 화합물이며, 이 화합물이 살비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또한 공지이다(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26613호/1975.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제5355호 1975). 일반식(Ⅰ)의 기타 신규 화합물은 일반식(Ⅰ)의 공지 화합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동일한 살비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진드기에 대해서 만족스런 살성충 효과를 가지지 아니하며, 실제 사용시에 진드기를 구제하기 위해 다량을 사용해야 하는 결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b)으로서 사용하는 공지의 살비성 화합물 또는 살충성 화합물의 대부분은 진드기에 대해 강력한 살성충성 효과를 가지지만, 이들의 살란 효과, 무균 효과 또는 잔류 효과는 낮다. 클로로펜손(chlorofenson) 및 다황화칼슘은 살란효과를 갖지만, 진드기에 대해 살성충 효과가 낮은 결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진드기를 만족스럽게 구제하는 것이 어렵다.
종래, 살비제로서 석유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졌으며, 석유 및 기타 살비성화합물을 함유하는 살비제가 또한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 공지의 살비제는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살비효과를 갖지 아니하며, 식물에 대해 식물-독성을 일으키는 다량의 석유를 함유한다.
본 발명자 등은 살비제로서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용도를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살비제의 우수한 살비성 효과를 발견했다. 이 살비제는 진드기 구제에 대해 각 유효 성분의 누적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상승 효과도 나타낸다. 그리하여, 이 살비제의 보다 적은 양으로 유효 성분 각각을 사용할 경우보다 충분히 진드기를 구제할 수 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 중 적합한 것은 R1이 저급알콕시이고, R2가 저급알콕시카르보닐이고, R3가 메틸인 화합물이다. 전형적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중 일부를 아래의 표 Ⅰ에 나타냈다.
[표 Ⅰ]
Figure kpo00002
본 발명의 유효 성분(b)으로서 사용하는 적합한 살충제는 다음과 같은 공지의 살충제이다.
Figure kpo00003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b)으로서 사용되며, 진드기에 대해 살성충효과를 갖는 살비성 화합물 중 적합한 것은 다음과 같은 살비제이다.
Figure kpo00004
또한, 다음과 같은 화합물이 본 발명의 유효 성분(b)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chlorfenson(공지의 살비제) : p-클로로페닐 p-클로로벤젠술포네이트
다황화칼슘(공지의 살균제) : 속명은 "석회유황"이고, 주성분은 CaS5이다.
석유(기계유) : 적합하기로는 37.8℃에서 60내지 220(특히 약 70)초의 세이볼트 점도를 갖는 석유
본 발명의 살비제에서, 각 유효 성분의 비율은 유효 성분(b)의 종류에 따라 변한다. 유효 성분(b)대 유효 성분(a)의 중량비는 석유의 경우에 1내지 8사이이고, 전술한 공지의 살충제의 경우에, 0.1내지 5, 적합하기로는 0.25내지 2.5사이이다. 진드기에 대해 살성충 효과를 갖는 전술한 공지의 살비제의 경우에, 0.1내지 5, 적합하기로는 0.2내지 2.5 사이이다. 클로로펜손의 경우에, 0.4내지 6, 적합하기로는 1내지 4 사이이다. 다황화칼슘의 경우에, 1내지 55, 적합하기로는 3내지 20 사이이다.
본 발명의 살비제는 유효 성분(a) 및 (b)와 적합한 불활성 담체를 농약에 흔히 사용되는 형태로, 예를 들면 수화제, 유화제 및 산제로 제제할 수 있다.
고상 담체로서, 대두분 및 소맥분과 같은 곡분, 규조토, 인회석, 석고, 활석, 피로필라이트(pyrophyllite) 및 점토와 같은 광물분을 사용할 수 있다. 액상 담체로서, 케로신, 광유, 석유, 용매 납사, 키실렌,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헥사논, 디메틸포름아미드, 알코올, 아세톤 및 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균일하고 안정한 제제물을 제조하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해도 좋다. 유효 성분의 농도는 제제 형태에 따라 변하며, 예를 들면 수화제의 경우에 5내지 80중량%, 적합하기로는 10내지 60중량%이고, 유화제의 경우에 5내지 70중량%, 적합하기로는 10내지 50중량%이고, 산제의 경우에 0.5내지 10중량%, 적합하기로는 1내지 5중량%이다.
그리하여, 수화제 또는 유화 농축제를 물로 희석하여 소기의 농도로 만들며, 현탁액 또는 유제는 진드기 또는 그 알을 방제하기 위해, 분무, 흠뻑 적시거나 또는 살포시켜 사용한다. 산제는 직접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살비제는 통상으로 유효 성분 양자를 함유하는 제형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살비효과는 또한 서로 분리된 각각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제제를 제조하고, 이것을 개선충이 전염된 지역에 혼합물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각개의 제제를 분리해서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살비제의 비제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유화농축제]
Figure kpo00005
이들을 함께 혼합하여 유효 성분 30%를 함유하는 유화농축제를 제제하고, 사용시에는 물을 사용하여 소기의 농도로 희석해서 유제로서 분무한다.
[실시예 2]
[유화농축제]
Figure kpo00006
이들 함께 혼합하여 유효 성분 53%를 함유하는 유화농축제를 제제하고, 사용시에는 물을 사용하여 희석해서 유제로서 분무한다.
[실시예 3]
[수화제]
Figure kpo00007
이들은 균일하게 혼합하고, 미세입자로 분쇄시켜 유효성분 40%를 함유하는 수화제를 제제하고, 물을 부가하여 소기의 농도로 희석해서 현탁액으로서 분무했다.
[실시예 4]
[수화제[유효성분(a)]]
Figure kpo00008
[유화농축제 유효성분(b)]
Figure kpo00009
사용시에, 상기의 수화제와 유화 농축제를 혼합하고, 물로 희석한 다음 분무 사용했다.
본 발명의 살비제의 효과를 다음 시험예에 나타냈다.
[시험예 1]
두개의 반점이 있는 거미진드기의 암컷성충을 제2엽단계의 화분에 심은 강남콩에 접종시켰다. 시험하고자 하는 조성물을 접종 7일 후 수성 현탁액 또는 유액으로서 식물에 분무했다. 살비효과를 식물에 생존하는 성충암컷을 계산해서 평가했다. 표 Ⅱ에 그 결과를 분무전의 성충암컷에 기초해서 지수로서 나타냈다.
[표 Ⅱ]
Figure kpo00010
[시험예 2]
다음과 같은 조성물의 효과를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했다. 그 결과를 표 Ⅲ에 나타냈다.
[표 Ⅲ]
Figure kpo00011
[시험예 3]
밭에 심은 5년생 감귤나무에 기생하는 감귤나무 적색진드기의 구제 시험을 행했다. 조성물을 이 나무에 분무하고 살비효과를 분무 전후에 임의로 감귤나무의 30개의 잎에 있는 성충 암컷을 계산해서 평가했다.
그 결과를 분무전의 성충암컷의 수효에 기준해서 지수로서 표 Ⅳ에 나타냈다.
[표 Ⅳ]
Figure kpo00012
[시험예 4]
다음과 같은 조성의 살비효과를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Ⅴ에 나타냈다.
[표 Ⅴ]
Figure kpo00013
[시험예 5]
감귤나무 적색진드기의 방제시험을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여, 그 결과를 표 Ⅵ에 나타냈다.
[표 Ⅵ]
Figure kpo00014
[시험예 6]
두개의 반점이 있는 거미 진드기의 암컷 성충 30마리를 화분에 심은 강낭콩의 제1엽에 접종했다. 1일후에 상처받은 진드기를 식물에서 제거했다. 시험하고자 하는 조성물을 유제로서 식물에 분무했다. 성충 사망률을 분무 2 및 5일후에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Ⅶ에 나타냈다.
[표 Ⅶ]
Figure kpo00015

Claims (1)

  1. (가) 하기 일반식(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80내지 5중량부와,
    (나) 이소프로필 P, P'-디클로로벤질레이트, 2,2,2-트리클로로-1,1-비스(P-클로로페닐)에탄올, 1,1-비스(P-클로로페닐)에탄올, 2-(P-ter-부틸페녹시)사이클로헥실프로피닐 설피네이트, 2-sec-부틸-4,6-디니트로페닐 3-메틸크로로네이트, S, S-6-메틸퀴녹살린-2,3-디일-디티오카르보네이트 N-메틸-N'-2,4-크실릴-N-(N-2,4-크실릴-포름이미도일)포르아미딘, 트리시클로헥실히드록시린, P-클로로페닐-P-클로로벤젠 설포네이트 칼슘 폴리설파이드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 20내지 95 중량부로 조성된 살비제 조성물.
    Figure kpo00016
    상기식에서 X 및 Y는 할로겐이고, R1은 저급알콕시 또는 사이클로프로필이고, R2는 저급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카르보닐, 저급알케닐카르보닐, 벤조일, 페닐아세틸, 사이클로프로필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페녹시카르보닐, 저급알킬티오 또는 저급알킬티오알콕시이고, R3는 저급알킬 또는 수소이다.
KR7803354A 1978-11-08 1978-11-08 살비제 조성물 KR820002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354A KR820002335B1 (ko) 1978-11-08 1978-11-08 살비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354A KR820002335B1 (ko) 1978-11-08 1978-11-08 살비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335B1 true KR820002335B1 (ko) 1982-12-23

Family

ID=1920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354A KR820002335B1 (ko) 1978-11-08 1978-11-08 살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33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675B1 (ko) 제초 현탁상 농축물
KR880004744A (ko) 상승 작용성 조성물 및 벼에서의 선택적 잡초 방제방법
DE154287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neuer Nematozide
AU627218B2 (en) Aqueous formulations and their use
US4613354A (en) Composition for defoliating plants
HU180094B (en) Synergetic composition for controlling growth of plants first of all for defoliation
SU1111674A3 (ru) Сред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роста хлебных злаков
JPH05507726A (ja) 殺線虫剤ピリミジン誘導体
EP0117363B1 (en) Insecticidal compositions
KR820002335B1 (ko) 살비제 조성물
US3046189A (en) Nematocidal agents
EP0443411B1 (de) Wasserdispergierbare Granulate von Neophanen und Azaneophanen zur Anwendung im Pflanzenschutz
DE3612830A1 (de) Thiadiazolylharnstoff enthaltendes mittel zur entblaetterung von pflanzen
EP0001271B1 (de) Heterocyclische Norbornanderivate, Mittel zur Beeinflussung des Pflanzenwachstums d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Mittel
US3010870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nematodes employing dithiooxamide
DE2941658A1 (de) Praeparat mit wachstumsregulierender wirkung und anwendung dieses praeparats im acker- und gartenbau, sowie neue hexahydropyrimidine und imidazolidine
EP0098972A2 (de) Neue 5-Phenoxybenzisothiazol-4'-harnstoff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Herbizide
CA1098726A (en) Selective herbicidal agents
US3933466A (en) Uracil and carbamate herbicide mixtures
US3397053A (en) Method of killing plants
US2637647A (en) Herbicidal compositions
EP0272542A2 (de) Mittel zur Abszission von Pflanzenteilen
EP0275484B1 (en) Compositions of methyl-3-(3'-methyl-phenyl-carbamoyloxy) phenylcarbamate, stable in an aqueous emulsion
KR0166975B1 (ko) 벤푸레세이트 및 다임론을 기재로 하는 제초 조성물
US3558685A (en) Substituted thiol carbam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