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84B1 -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84B1
KR820002184B1 KR7803591A KR780003591A KR820002184B1 KR 820002184 B1 KR820002184 B1 KR 820002184B1 KR 7803591 A KR7803591 A KR 7803591A KR 780003591 A KR780003591 A KR 780003591A KR 820002184 B1 KR820002184 B1 KR 82000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funnel
substructure
support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로스케 페터
쥴겐 브린크만 프란쓰
큇펠 볼프강
Original Assignee
디이터힐·홀스트 니이펜벨크
도이체 바브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이터힐·홀스트 니이펜벨크, 도이체 바브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이터힐·홀스트 니이펜벨크
Priority to KR780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5/00Joining caissons, sinkers, or other units to each other unde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해상 구조물
제1도는 해상 구조물의 정면도.
제2도는 지주와 하부구조물의 계합단부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횡단면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주와 하부구조물의 계합단부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 횡단면도.
제6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하전의 지주와 하부 구조물의 상호 대향단부를 보여주는 개략적 종단면도.
제7도는 강하후의 지주와 하부구조물의 상호 대향 단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8도는 다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주와 하부구조물의 상호 대향단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 횡단면도.
본 발명은, 그의 플랫포옴이 해저에 정치된 하부구조물상에 지지되어 있는 상하가동(上下可動)한 지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부품들이 고정지지면에서 상하로 놓여 있는 깔대기 모양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서로 계합하고 있는바의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그런 종류의 해상구조물은 해상 건설공사나 연해 착정(鑿井)용의 박체(舶體)이다.
작업위치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주는 해저에 하강되고 플랫포옴은 해면으로 부터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때까지 견고하게 안착된 지주상에서 해면 위로 상승된다.
지주를 하부구조물상에 놓는 일은 기후조건이 좋을때에만 할 수 있는 항시 위험한 작업이다.
해상조건이 나쁠때에는 파도와 함께 아래위로 부동하는 플랫포옴으로 인해, 지주가 최종적으로 고정되기까지 착탈하는 지주가 하부구조물에 몇번이나 충격을 준다. 이로인해 상당한 손상이 야기된다.
지주 또는 하부구조물 단부를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은 조립공정중 지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지만, 그러나 여전히 하부구조물과 지주에는 조립공정중 간헐적충격이 작용한다.
본 발명은 조립공정중 파도에 의한 플랫포옴의 움직임으로 인한 부재에의 충격을 피할 수 있도록 지주와 하부 구조물의 단부를 구성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 목적은 당초기재한 종류의 플랫포옴이 사용된 해상구조물에 있어서 스프링소자가 두단부의 측벽사이에 설치되고 한측벽에 지지됨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들 스프링 소자들은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신축하게 하면 좋을 것이다. 판스프링으로 이 스프링소자를 만들 수 있지만, 달리는 간격을 두고 배설된 수개의 탄성완충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해상구조물에서 지주가 하부구조물의 관련 깔대기에 충돌하면, 그 충격은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감쇠되어 하부구조물에 가해지는 타격이 완화된다. 지주가 깔대기 속으로 더욱 삽입되면, 어떤 탄성을 나타내는 안내재에 의해 안내를 받는다. 판스프링은 더욱 외향으로 점점 더 강하게 압박당하면서 지탱한다.
최종단계에 가서, 지주는 고정된 지지면에 강고하게 결체지지된다. 판스프링은 해수에 5내지 6년 노출되더라도 여전히 효과적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게 한다.
이 구조로서 지주의 하강순간 안내를 보다더 완벽히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개량된 타실시예에서는, 안내링이 스프링소자를 통해 각 지주와 연결되어 있고, 또 안내링은 지주의 베어링을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그 베어링을 지나서까지 뻗쳐 있으며, 안내링의 경사는 하부구조물에 있는 베아링의 측벽에 적합되어 있다. 이 경우, 지주의 안내작용과 충격의 완화기능은 상호분리되어 있다.
특수하게 만들어진 안내링은 경우에 따라 파도로 인해 하부구조물에 대해 비스듬히 하강되는 지주를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제 스프링소사는 타격을 흡수하기만 하면 된다.
이런 방식으로, 지주를 하부구조물 위에 내려놓는 어려운 작업은 안전 확실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량실시예에서는, 지주는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의 실린더는 재치되어 있는 피스톤봉위에 스프링소자가 지지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스프링소자는 이들 실린더 구성을 통해 플랫포옴의 작업위치에서 부하가 해제될 수 있다.
얼마동안의 시간경과후 플랫포옴을 하부구조체로부터 제거하여야 한다면, 그때는 올리기에 앞서 스프링소자를 새로이 부하부여해야 한다.
스프링소자에 부하부여하면, 플랫포옴이 올라가는 동안 파도운동으로부터의 충격이 역시 흡수된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상세는 청구범위에 특징지어져 있다. 본 발명의 몇실시예가 첨부도면에 예시되어 있고 다음 설명에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예시된 해상구조물은 플랫포옴(1)과 상하가동의 지주(2)로 구성되어 있다. 지주(2)는 플랫포옴(1)을 사용위치에 유지한채, 미리 하강하여 해저에 안착된 하부구조물(3) 위에 내려앉는다.
플랫포옴(1)은 부동(浮動) 가능하며 심해예인선에 의해 원하는 건설지점까지 예인된다.
건설작업을 하는 동안 플랫포옴(1)은 해면상에 부유하고 이때 파도의 높이에 따라 다소 강하게 상하운동한다. 제1도에서, 해면은 선(4)으로 표시되어 있고, 파도의 높이는(a)로 표시되어 있다.
지주(2)를 유압구동하는 장치는 각 지주(2)의 둘레에 균일하게 분배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유압 리프트 실린더(5)로 구성되어 있다.
유압실린더(5)는 플랫포옴(1)에 밀착되어 있고 지주(2)와 계합한다.
제2도와 제4도에 따라, 각 지주(2)에는 고정 새들(6)이 있고, 이 새들에는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진 카운터새들(7)이 하부구조물(3)의 상단에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2)가 하강하면, 새들(6)은 카운터새들(7) 위에 견고하게 결합된채 안착한다. 하부구조물(3)은 강철이나 콘크리이트로 만들어지며 지주(2)를 수납깔대기(8)를 형성하도록 그 상부가 깔때기 모양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때 수납깔대기(8)와 지주(2)의 측별사이에는 간극을 남긴다. 예시된 이 실시예와는 달리, 지주(2)에 수납깔대기(8)가 설치되게 하여 하부구조물(3)의 상단을 포위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구조의 이점은 플랫포옴이 하부구조물(3)로부터 상승한뒤, 플랫포옴의 잔여장치와 함께 수납깔대기(8)를 도크에서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의 깔대기(9)가 수납깔대기(8)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납깔대기(8)와 이 깔대기(9)사이의 공간을 나중에 발란스체로 충전한다.
스프링소자는 지주(2)의 단부측벽과 하부구조물(3)의 수납깔대기(8)와의 사이 간극에 배설된다. 수납깔대기(8)안에 추가깔대기(9)가 삽입될때는, 수납깔대기(8)가 스프링소자를 수납한다.
제2도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소자가 판스프링(10)으로 되어 있고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10)은 상부 및 하부웨브(11) 및 (12)를 통해 깔대기(9)와 접한다.
스프링효과를 증대시키려면 스프링(10)을 미리 안쪽으로 꾸부려 놓는다. 더우기 상부 웨브(11)를 탄성물질로 만들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상부 및 하부 웨브(11) 및 (12)사이에 추가로 스프링을 배치해도 될것이다. 판스프링(10)은 지주(2)의 하강시 수납깔대기(8)의 상연(上緣)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납깔대기(8)의 상연위로까지 뻗쳐 있다.
하강동작시, 지주(2)는 먼저 그의 이동로중에 놓여 있는 판스프링(10)에 부딪친다. 스프링들은 충격을 흡수하여 하부구조물(3)에 하중을 부가하지 않는다.
지주(2)가 점차 하강함에 따라 판스프링(10)은 외부방향으로 굽어진다. 제2도에서 표시된 점선은 지주(2)의 새들(6)이 카운터 새들(7)에 내려 앉았을때 판스프링(10)이 갖는 형상이다.
예시된 판스프링(10)과는 달리, 깔대기모양이 아닌 다른 스프링, 예컨대, 금속판을 지지하는 스프링 패켓이나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4도에서는, 스프링소자가 예컨대 고무나 합성물질등의 탄성물질로 된 블록(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블록(13)은 수납깔대기(8)의 원주방향에 일정간격씩 떨어져 배치되어 깔대기(9)에 고정되어 있다.
깔대기(9)가 없는 경우에는 직접 수납깔대기(8) 위에 블록을 설치한다. 블록(13)은 깔대기의 내면을 바라보는 쪽에 내식강(耐飾鋼)이나 기타 금속합금제의 금속슬라이드 레일(14)을 수납하고 있다.
슬라이드레일(14)은 블록(13)이 무부하상태일때는 블록표면보다 위로 나와 있다. 이들 슬라이드레일(14)이 없다면, 지주(2)는 그의 하강주 블록(13)의 탄성물질에 너무 꽉 끼이게 될 것이다. 블록(13)과 슬라이드레일(14)은 수납깔대기(8)의 상연을 넘어 뻗쳐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지주(2)의 하단이 제2도의 것보다 더 뾰죽한 원추상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레일(14)의 경사는 지주(2)의 원추단의 경사에 대략 일치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주(2)는 슬라이드레일(14)과 잘 계하게 된다.
블록(13)이 탄성변형의 결과 지니게 되는 구조의 변화가 제5도에 예시되어 있다. 좌측부분도에는 무부하 최초상태의 블록(13)이 표시되어 있다. 우측 부분도는 지주(2)가 강하게 눌러 않았을때 블록(13)이 변형된 상태를 보여준다.
제6도 내지 제9도에 의하면, 각 지주(2)의 새들(6)은 스커트모양으로 생겼고 하부구조물(3)의 카운터새들의 상응형상의 면위에 놓이게 된다. 새들(6)은 그의 내경이 새들(6)의 직경보다 더 큰 안내링(15)으로 둘러싸여 있다. 안내링(15)은 지주(2)의 하단을 지나 아래로 뻗쳐 있다.
그의 내부에 놓인면의 경사는 하부구조물(3)의 카운터새들(7)의 측벽에 맞추어져 있다.
이때, 안내를 확실케하기 위해, 원추상으로 만들어진 안내링(15)의 최대직경을 카운터새들(7)의 최대직경보다 더 크게 한다. 따라서 안내링(2)이 완전히 안착할때, 안내링(15)은 카운터 새들(7)의 원추를 지나서 뻗쳐 있게 된다.
안내링(15)은 스프링(16)을 통해서 지주(2)와 연결되어 있다. 안내링(15)의 단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스프링(16)이 동작원리를 분명히 보이기 위해 제6도 및 제7도에는 코일스프링으로 표시되어 있다.
플랫포옴의 파도운동으로 인한 충격은 지주(2)가 하부구조물(3) 위에 하강되는 동안 이들 스프링(16)을 통해 흡수된다. 하강동작 끝에 새들(6)이 카운터새들(7)상에 확고히 안착될때에는, 안내링(15)도 카운터새들(7)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16)은 제7도의 우측부분도에 나타난 것처럼 하중을 받는 상태가 된다.
유압실린더(17)는 그의 피스톤봉(18)이 지주(2)의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각 지주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들(16)이 이들 피스톤봉(18)에 접해 있다.
새들(6)이 제7도에 표시한 위치에 도달할 그때는, 압력매체가 실린더(17)로 부터 배출되고 스프링(16)의 부하상태가 해제될때까지 피스톤봉(18)은 충분히 이동한다(제7도의 좌반부). 이때 안내링(15)은 그의 원위치를 유지한다.
얼마만한 기간동안의 작업이 끝난뒤 플랫포옴(1)을 하부구조물(3)로 부터 위로 올려야 할 그때에는, 실린더(17)는 처음으로 압력매체로 충만되고 그것에 의해 피스톤봉(18)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16)의 부하상태에 놓인다. 실린더(17)의 이런 구성은 플랫포옴에서 작업하는 동안은 스프링(16)의 부하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고 있다.
지주의 하강과정중 스프링(16)이 과부하될 위험이 있으면, 실린더(17)에 토출관에 설치하면 된다. 스프링(16)의 한계부하에 도달하면 토출관은 개방된다.
그러면 피스톤봉(18)의 이동에 스프링(16)은 얼마만큼 부하해제된다.
제8도와 제9도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6)이 스프링 소자로서의 기능을 가진 고무제 완충제(19)로 대치되어 있다. 완충제는 응력하에 압축변형된후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두 동심강제(强制) 링(20)과 (21)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외측강제링(21)은 지지링(22)을 통하여 실린더(17)의 피스톤봉(18)과 연결되어 있다. 내측강제링(21)은 안내링(15)에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강제링(20)과 (21)은 지주(2)의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한편 그들의 상대적운동은 완충제(19)에 의해 완화된다.
두 강제링(20)과 (21)은 계속 열견되어 있지만, 완충체(19)는 여러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 구획들은 상호간에 횡스페이싱어 배치되어 있다.

Claims (1)

  1. 상하가동(上下可動)한 지주를 갖춘 플랫포옴을 가지며, 해저에 정치하고 상기 지주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구조물 수단을 가지며, 상기 지주는 상기 하부구조물의 고정지지면과 계합하고 그 사이에 깔대기모양의 간극을 유지하며, 상기 하부구조물의 측벽과 상기 지주의 단부(端部) 사이에 스프링 수단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수단은 상기 측벽위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수단은 스프링소자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할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궤도를 갖춘 상기 스프링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수단을 통해 상기 지주에 연결되어 있는 안내링 수단을 가지며, 상기 안내링수단은 지주의 계합부를 둘러싸고 그것을 지나 반경방향으로 뻗쳐 있고, 안내링 수단은 지주의 상기 계합부를 수납하는 상기 하부구조물 수단내 계합면의 측벽에 합치하는 경사(傾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
KR7803591A 1978-11-28 1978-11-28 해상 구조물 KR82000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591A KR820002184B1 (ko) 1978-11-28 1978-11-28 해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591A KR820002184B1 (ko) 1978-11-28 1978-11-28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84B1 true KR820002184B1 (ko) 1982-11-22

Family

ID=1920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591A KR820002184B1 (ko) 1978-11-28 1978-11-28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8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2683A (en) Offshore construction
US4098211A (en) Bumper rings
US3717001A (en) Offshore storage structure
US9677241B2 (en) Passive grout seal
US698182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objects at sea
US5092712A (en) Inclined leg jack-up platform with flexible leg guides
US4425056A (en) Tensio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nsion in platform supporting tension legs.
KR820002184B1 (ko) 해상 구조물
JPH11503383A (ja) フローティング装置
EP0087321B1 (en) Offshor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FI66953B (fi) Lyftbar plattform
US3777497A (en) Storage tank for offshore storage of liquid and method of constructing and installing same
US6857155B2 (en) Automatic level-control floating apparatus
US3812804A (en) Apparatus for floating a vehicle for underwater operation
US4548151A (en) Replaceable marine fender mechanism
KR101859613B1 (ko) 무어링 장치
KR102449050B1 (ko) 해양 구조물
US2214453A (en) Floating structure
CN211036923U (zh) 一种快速布防围油栏
AU2014233925B2 (en) Leg mating unit
RU273664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тальных трубных свай в стационарных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ях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ластомера
GB2336384A (en) Foundations for submarine structures
CN211646320U (zh) 用于海上桩基定位导向和勘探的升降平台
SU1617093A1 (ru) Морска платформа
GB2091376A (en) Replaceable marine fender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