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73B1 -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73B1
KR820002173B1 KR1019800004156A KR800004156A KR820002173B1 KR 820002173 B1 KR820002173 B1 KR 820002173B1 KR 1019800004156 A KR1019800004156 A KR 1019800004156A KR 800004156 A KR800004156 A KR 800004156A KR 820002173 B1 KR820002173 B1 KR 82000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image
print
hamm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규창
정영준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80000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in Braille or with key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by blind 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제1a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1b도는 인쇄부 제어 블록도.
제2a도는 영상인자 소자의 구조도.
제2b도는 영상점자 인쇄장치의 구조도.
제3a도는 영상점자 인쇄장치의 햄머 및 코일 배치도.
제3b도 영상점자 인자구조 및 인자순서도.
제4도는 영상점자 인쇄장치의 햄머와 코일배열도.
제5도 영상점자 인쇄 동작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Z1 : 입력번지래치 Z2 : 입출력 제어신호 디코우더
Z3 : 입출력소자 Z4 : 인쇄부상태 출력소자
Z5 : 인버어터 Z6 : 주파수 분활기
Z7 : 인터럽트 타이머 Z8 : 중악처리소자
Z9 : 번지래치 Z10 : 비치환형 기억소자
Z11 : 치환형 기억소자 Z12 : 번지디코우더
Z13 : 소자선택 디코우더 Zl4 : 병별 입출력소자
ZI5 : 멀터플렉서 Z16 : 버퍼
Z17 : 버퍼 Z18 : 버퍼
Z19 : 버퍼 Z20 : 축력여진기
본 발명은 한글 전신타자기에 사용된 영상점자 인쇄방식에 관한 것이다.
전신타자기의 한글 인쇄기는 재래식인 기계식 활자 선택방식과 도트매트릭스(DOT Matrix)에 의한 직렬 점자인쇄방식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중 기계식 활자 선택방식은 수신된 정보신호에 해당하는 활자를 선택하여 인쇄하도록 되어있고, 한글 인쇄시는 정해진 활자에 의해 초성, 중성, 종성 이모여 하나의 글자를 형성 하므로 프레톤(platen)의 상승 또는 하향과 같은 복잡한 기계과정을 거쳐야하며, 인쇄된 글자의 균형이 맞지 않아 인쇄품질이 좋지 않았다.
또한 복잡하고 과다한 기공부품의 내장으로 인한 빈번한 기계 고장으로 정비성 및 신뢰성이 결여되어 있다.
도트 매트릭스에 의한 직렬 점자방식은 구동방식에 따라 제작초기에는 양호한 한글 인쇄품질을 얻을 수 있으나 점차 프린트헤드에 부착된 소수의 인쇄핀에 가중되는 부하로 인한 인쇄핀의 마모 및 인쇄핀의 배열위치가 틀려질 위험성이 있고, 구동 전자석의 힘의 변동으로 인하여 장기 사용시 인쇄품질 저하현상이 일어나며, 프린트헤드의 이동범위가 넓어 외부 충격에 약할 뿐 아니라 주기적인 인쇄핀의 교정등으로 인한 정비성 및 신뢰성 면에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도트 매트릭스에 의한 직렬 인쇄방식은 1라인의 한글 인쇄시적어도 14핀의 프린트 헤드가 필요한데, 이 경우 프린트 헤드의 무게증가 및 그 프린트 헤드를 그 라인의 인쇄점 위치까지 이동 후 다시 좌측시점으로 복귀시켜 다음 라인을 인쇄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속 인쇄를 할 수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점자 인쇄장치는 직렬 인쇄장치의 감속기어 및 신크로벨트 등이 없어 가공 부품수의 극소화로 간단한 인쇄구조를 갖고 있고, 급유 및 주기적인 햄머 교정이 불필요하여 높은 정비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인쇄시 직렬 인쇄장치의 프린트 헤드에 해당하는 햄머 몸체의 이동이 최대 3.98mm(1글자폭)이하이고, 그 햄머를 각햄머코일 그룹별로 동시에 구동시켜 1라인의 글자를 동시에 인쇄하므로 고속인쇄가 가능하고, 외부 충격에 강하며, 신뢰도가 높고, 인쇄품질이 양호하다. 연삼점자 인쇄방식을 한글 인쇄를 위한 하드웨어로 실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는 영상 점자인쇄 장치는 기억장치속에 저장된 가로 1라안에 해당되는 16×16의 한글영상글자와 7×11와 영문 및 기호영상 글자를 햄머를 수평이동시키면서 영상을 신택하여 가로 수평으로 16개의 점과 세로 수직으로 16개의 점으로 된 영상글자로 가로 1라인씩 동시에 인쇄할 수 있어 모아쓰기가 된 한글뿐 아니라 기호 또는 영문을 인쇄할 수 있고, 자형 기억장치에 인쇄코자하는 외국의 자형을 삽입할 경우 어떠한 헝태의 글자로 인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인쇄부의 제어방식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제1a도를 참조하면, 이 도면에는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기의 전반적인 블록도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점자 인쇄장치는 본 매커니즘(100)을 구동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회로는 입력장치부(10), 자형 기억장치부(20), 중앙제어장치(30), 자형 형성장치(40), 영상 인자기억장치(50) 및 리얼타임 발생후(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점자 인쇄장치의 매커니즘(100),은 수펑 이동모터(70), 수직 개행모터(80)및 헤머구동 장치부(9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입력장치부(10)는 외부선로(10a) (제1b도 참조) 또는 키이보오드로(10b)부터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자형형성을 위하여 한글, 영문 또는 기호신호를 분류하여 중앙 제어장치(30)에 전달한다. 중앙 제어장치(30)는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글자를 한글인 경우 자음 또는 모음으로 분류하고 자음은 초성자음과 종성자음(받침), 모음은 단모음과 복모음을 선정하여 자형 기억장치부(20)로부터 인자를 선택하여 자형 형성 장치부(40)에서 영상 인가를 형성한다. 형성된 영상인자는 영상인자 기억장치(50)에 저장되는데 한글의 경우 최대 40자, 영문 또는 기호는 최대 30자가 저장되며, 저장종료 신호를 중앙 제어장치(30)에 전달하고 인쇄 기능동작이 수행된다.
자형 형성장치(40)에서 형성된 영상인자는 한글의 모아쓰기에 따라 그 형태가 상이하며 헝태는 제3a, 3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16×16의 점으로 표시되며, 영문 및 기호는 (제3a도 참조) 16×16점속에 2자소의 인자가 표시된다.
중앙 제어장치(30)는 영상 인자 기억종로신호와 함께 리얼타임 발생부(60)를 구동시키고 인쇄가 시작된다. 이때 수평 이동모터(70)는 리얼 타임 발생부(60)에 의하여 약 38mm/sec로 등속수평 선형운동을 하고(제5도의 파형참조), 동시에 영상 인자 기억장치(50)로부터 영상을 송출하여 해머를 약 1.4mm/sec동작시켜 3차원 공간속으로 영상인쇄를 한다.
제1a도의 블록도를 좀더 구체화시킨 제1b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외부 선로(10a) 또는 자판(10b)으로부터 정보신호를 수신하면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본소자로 구성된 주제어부(30a)는 입출력제어신호 디코우더 Z2의 READ단자
Figure kpo00002
와 번지단자 A1에 "0''레벨신호를 보내어 인쇄부 상태 출력소자 Z4의 게이트를 열어 인쇄부의 데이타 상태를 점검한다. 이 Z4는 인쇄부의 상태표시 데이타를 데이타 라인 DB0로 출력시킨다. 이때 DB0의 데이타가 "0"상태이면 인쇄부가 수신 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하고 "1"상태이면 수신 불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한다.
만약, 인쇄부가 수신 가능 상태이면 주제어부(30a)는 Z2의 WRITE단자
Figure kpo00003
와 번지단자 A1에 "0"벨신호를 보내어 문자와 종이 전진 판변신호 AD와 인쇄 데이타 입력신호DB0-DB7을 입력번지 래치 Z1과 입력장치의 입출력소자 Z3에 래치시킨다. Z3에 인쇄데이타가 래치되면 Z3의
Figure kpo00004
신호는 인버어터소자(미표시)를 거쳐서 "0"상태에서 "1"상태로 변환되어 중앙제어장치인 중앙처리소자 Z8을 인터럽트 RST5.5로 세트시켜 데이타가 입력됨을 통지한다. Z8은 RST 5.5로 세트되면 Z8의 직별 입력단자(SID)와 데이타 버스(AD0-AD7)를 통하여 Z1과 Z3에 래치되어 있는 데이타를 읽어들이며, 동시에 인쇄부 상태출력소자 Z4의 출력단자에 "1" 상태를 출력시켜 데이타가 입력되었음을 주제어부에 통지하고 직렬 입력단자(SID)의 데이타를 점검하여 입력된 데이타가 종이 전진데이타("1''상태)인지 인쇄데이타("0"상태)인지를 판별하여 종이 전진데이타이면 그 데이타레벨("1"상태)이 유지되는 시간만큼 인쇄지를 전진시킨다.
인쇄지 전진이 끝나면 다시 입력 대기상태로 유지한다. 다음 인쇄데이타("0"상태)인 경우, 입력 데이타(DB0-DB7)를 검검하여 한글·영문 또는 기호를 결정하는 방식 선택데이타인 경우 각 방식에 대응하여 연속 입력되는 문자 테이타 처리를 위한 준비작업을 수행한다.
한글 방식 선택 데이타가 입력된 경우 중앙 처리장치(Z8)는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하고, 자음은 초성자음과 종성자음(받침)으로, 모음은 단모음 복모음으로 구별하여 자형 기억장치부인 비치환형 기억소자(20,Z10)로부터 입력데이타에 해당되는 영상점자를 선택하고 자형 형성 장치부인 치환형 기억소자(40,Z11)에서 16×16 형태의 영상 인자데이타로 합성하여 영상인자 기억장치인 치환형 기억소자(50,Z11)에 저장한다. 한편, 영문 또는 기호방식으로 선택되면 인쇄부의 중앙처리장치(Z8)는 자형 기억장치부(20,Z10)에서 연속 입력데이타에 해당되는 영상점자를 선택하고, 자형형성장치부(40,Z11)에서 7×11 형태의 영상인자 데이타로 합성하여 영상인자 기억장치부(50,Z11)에 저장한다.
인쇄부의 중앙 처리장치는 주제어부로부터 CR(CARRIAGE RETURN) 데이타가 입력되면 리얼타임 발생부인 인터럽트타이머 소자(Z7)를 구동시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7.3mm/sec로 등속 수평 선형운동을 하는 수평 모터를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키고, 인쇄할 점(DOT)의 햄머코일을 여자시킨 후 리얼타임 발생부가 1.4ms만큼 계수하게 함으로써 햄머 구동시간을 설정한다.
또한 중앙 처리장치는 수평 이동 모터가 최 좌우측 끝까지 이동하면 종이 전진모터를 구동시켜 인쇄지를 다음 영상 인쇄점 열의 위치만큼 위로 전진시킨다.
이와같이 중앙 처리장치는 햄머, 수평이동 모터 및 조동전진모터를 3차원의 공간에서 시간 간격없이 제어하면서 영상인자 거억장치부에 저장된 영상글자를 인쇄하기 때문에 그 자형이 점과 점 사이의 간격으로 인한 점자형태로 보이지 않고 활자 인쇄와 같이 선형으로 인쇄되어 인쇄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제2a도는 영상인자소자의 구조가 그려져 있다.
제2b도의 영상 인쇄장치는 햄머(94)와 2개의 코일로 구성된 40개의 인자소자와, 수평 이동모터(70) 및 종이 전진모터(80)로 되어 있다. 햄머(94)는 40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햄머 몸체에 붙어 있어 하모니까 리드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각 햄머 뒤에는 댐퍼(96)가 부착되어 있어 인쇄시 인자판에 때리는 힘을 증가시키는 스프링 작용과 서로의 길이 차이로 인한 고유 진동수가 다른 점을 이용한 감쇄작용으로서 중복하여 인쇄됨을 방지한다. 햄머(94)는 인쇄될 점(DOT) 위치에 오면 햄머 코일에 의하여 자화된 전자석의 힘으로 잡아 당겼다가 전자석의 힘을 잃을 때 햄머(94)의 탄성과 댐퍼(96)의 스프링 힘으로 인자판을 때려서 점을 인쇄하며, 수평 이동 모터(70)가 좌, 우로 움직이면 부착된 40개의 햄머(94)도 동시에 한 글자의 폭만큼 좌우로 움직이면서 이 작용을 반복한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점자 인쇄방식은 영문과 기호는 거의 모든 문자가 단위문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한 1그룹의 코일 1 및 코일 2의 경우와 같이 1개의 코일로써 1개의 햄머를 구동함으로써 7×11 형태로 인쇄할 수 있으며, 한글은 그 문자 구성형태가 초성자음, 종성모음 및 중성자음으로 구성되어 그 인자 범위가 넓기 때문에 영상 인쇄방식에 도입하기 위하여 2개의 코일로써 1개의 햄머를 동작시킴으로써 16×16 형태로 인쇄할 수 있다.
또한 한글 인쇄의 경우 인쇄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3b도에 도시한 예의 글자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영상글자의 1-6번째 인쇄점은 기수 햄머코일(A), 11-16번째 인쇄점은 우수 햄머 코일(B)를 구동시켜 인쇄하고, 7-10번째점은 기수 및 우수코일을 동시에 구동시켜 인쇄하는데 이것은 쇄머(94)가 인지판(91)을 때리는 힘을 균등하게 함으로써 인쇄품질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햄머(94) 및 햄머코일의 배열을 도시한 것으로도 1라인의 글자를 동시에 인쇄하기 위하여 햄머코일들은 1,2,3,4,5,1,2,3……그룹순으로 총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5개 그룹은 1개의 군을 형성하여 8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군의 동일한 햄머 코일 그룹에 속하는 햄머(94)들은 동시에 인쇄를 수행하게 된다.
제5도는 인쇄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초기에는 모든 햄머(94)는 각 인쇄할 글자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며, 인쇄명령신호와 함께 햄머(94)가 동작된다. 각 햄머(94)는 5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고, 서로 인접한 햄머를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구동하지 않는데 이는 인접한 햄머가 동작할 때 인접 전자력에 의한 오인쇄를 방지함에 있다.
1예로, 각 군의 제1그룹은(1,6,11,16……36)째의 햄머로 구성된다. 따라서 좌측에서 우측으르 이동하면서 인쇄시는 1,4,2,5,3의 그룹 순서로 동작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는 3,5,2,4,1의 그룹 순서로 동작된다.
처음 햄머코일이 동작하며 제1그룹의 햄머들이 뒤로 잡아 당겨지고 다음에 제1그룹의 햄머가 놓아지면 제4그룹의 햄머들이 동작한다. 즉 제4그룹의 햄머들이 잡아당겨져 있을 때 제1그룹의 햄머들은 리본과 종이를 때려서 1번째 점을 인쇄한다. 여기서 주어진 글자에 대한 영상위치에 점 인쇄를 요구치 않은 햄머들은 동작되지 않는다.
제4그룹의 햄머들이 놓아지면 제2그룹의 햄머가 당겨진다. 이와 같이 제3그룹 햄머의 동작이 완료되면 각 글자의 첫번째 영상점 위치에 해당하는 모든 영상이 인쇄된다. 다음 동작의 햄머는 일정 속도로 선형이동하는 수평 이동 모터에 의하여 다음 위치에 영상이 인쇄된다.
이와 같은 점 인쇄방식이 16회 진행되면 1군부터 8군까지의 각 군에 속하는 동일한 햄머코일 그룹에 속하는 햄머들은 동시에 인쇄를 수행하므로 1라인의 인쇄가 끝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첫째 인자점열의 인쇄가 끝나면 종이 전진모터를 구동시켜 인쇄지를 다음 영상인자점열로 위로 전진시킨다. 인쇄지가 다음 영상 인자점열로 전진되면,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째 인자점열의 인쇄후, 각 영상글자 인자점열의 16번째 점에 위치하고 있는 햄머를 제2인자점열 인쇄시는 첫째점으로 복귀하지 않고 제2열에 나열된 각 영상글자 인자점열의 16째점으로부터 첫째점으로 인쇄를 진행하면서 첫째 인자점열과는 역으로 3,5,2,4,1그룹 순으로 햄머를 동작시켜 제2열의 인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기수열 인쇄시는 제1인자점열과 같이 햄머를 동작시키고 우수열 인쇄시는 제2인자점열과 같이 반복 동작시켜 1라인의 한글 모아쓰기 또는 영문, 기호 등의 글자를 각각 16×16으로 인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영상점자 인쇄방식은 한글의 모아쓰기익 경우 초당 약 20자, 영문 및 기호 경우 약 40자를 인쇄할 수 있으며, 자형 기억장치의 자소형태를 변경하면 일본어, 로마글자, 아랍어 등 어떠한 특이한 문자 인쇄도 가능하며, 요구에 따라서는 그림 인쇄도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햄머 몸체에 부착된 모든 햄머를 일정한 속도로 수평이동시키면서, 영상인자 장치속에 저장된 가로 1라인에 해당되는 16×16의 한글 영상인자들과 7×11의 영문 및 기호 영상 글자들의 맨위 가로 제1열에 해당되는 모든 인자점을, 도트 1에서 6까지는 기수 햄머코일(A)이 구동하고 도트 7에서 10까지는 기수(A)및 우수 햄머코일(B)이 함께 구동하며 도트 11에서 16까지는 우수 햄머코일(B)이 구동하는 식으로, 1군을 이루는 5개 그룹이 서로 1그룹씩 건너띈 순서를 유지하면서 가로 16점씩 각 군의 동일 그룹별로 동시에 인자하고; 인쇄지를 둘째 영상 인자점열의 위치만큼 위로 수직전진시켜 제1열과 반대의 그룹 순으로 제2인자 점열을 인자한 후, 다시 수직으로 종이를 전진시켜 제1열과 동일한 그룹 순으로 제3열을 인자하는 방법으로 16회 반복 인자하여 한글의 경우 16×16, 영문 및 기호의 경우 7×11 형태로 1라인의 글자를 동시에 인쇄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KR1019800004156A 1980-10-30 1980-10-30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KR820002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156A KR820002173B1 (ko) 1980-10-30 1980-10-30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156A KR820002173B1 (ko) 1980-10-30 1980-10-30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73B1 true KR820002173B1 (ko) 1982-11-20

Family

ID=1921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156A KR820002173B1 (ko) 1980-10-30 1980-10-30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705A (en) Descender printing system for dot matrix printer
EP0027566A2 (en) Font selection and compression device for a printer subsystem
GB1586589A (en) Printing systems
US4371274A (en) Apparatus for dot-matrix printing with proportional character spacing
US4144405A (en) Character writing system
US3354816A (en) Line printer with proportional spacing control means
US4279199A (en) Print head image generator for printer subsystem
EP0009033A1 (en) Printing device
RU2088969C1 (ru) Принтер
KR820002173B1 (ko) 전자식 전신타자기에 사용되는 영상점자 인쇄방식
US4031992A (en) Printing device
US4248147A (en) Control system for dot matrix line printer using one print element per character
US4560980A (en) Method of typing scripts whose characters are arranged next to one another in rows or underneath one another in columns
US4871270A (en) Method of printing modified characters by means of a matrix printer
CA1066949A (en) Impact line printer having graphics plotting capability
JPS5741771A (en) Controller of dot printer
GB2157865A (en) Dot printer
GB1566024A (en) Dot matrix printing
US5774143A (en) Dot-matrix type printing system
KR890003283B1 (ko) 플로팅 메카니즘을 이용한 한글 인자 방법
US4428692A (en) High speed impact matrix printer
JPS6114970A (ja) ドツト印字装置
JPS61209167A (ja) ワイヤドツトラインプリンタの印字制御回路
US4548134A (en) Dot image buffer and dot sequence scrambler for dot matrix line printer
JPS58132568A (ja) ドツト印字方法及びドツト印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