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49B1 - 전화 변환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화 변환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49B1
KR820002149B1 KR7803491A KR780003491A KR820002149B1 KR 820002149 B1 KR820002149 B1 KR 820002149B1 KR 7803491 A KR7803491 A KR 7803491A KR 780003491 A KR780003491 A KR 780003491A KR 820002149 B1 KR820002149 B1 KR 82000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ole
assembly
magnetic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버 유진
Original Assignee
레오나드 비. 매키
인터내셔널 스탠다드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나드 비. 매키, 인터내셔널 스탠다드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레오나드 비. 매키
Priority to KR780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10Telephone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 변환기 어셈블리
제1도는 본 발명의 자기 어셈블리의 평면 부분 절단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컵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컵의 반을 단면도로 한 측면도.
제5도는 제3, 4도에 도시한 컵의 기저도.
제6도는 제1, 2도의 자기어셈블리에 사용할 수 있는 1유형의 진동판의 측면 단면도.
제7도는 제1, 2도의 자기어셈블리에 사용 가능한 제유형의 진동판의 측면 단면도.
제8도는 제1, 2도에 도시한 극편의 정측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극판의 평면도.
제10도는 제1, 2도에 사용한 컵을 부분적으로 올려다 보고 부분적으로는 단면으로 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컵의 평면도.
대개 전기자 수화기라 부르고 있는 종래의 쌍극 수화기 등과 같은 변환기의 일반적 구성은 1969. 4. 15일자로 에이. 제이. 체이스(A. J. Chase)씨등에게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3,439,130호에 표시되어 있다. 그 특허에서, 자기서브어셈블리(magnetic subassembly)는 일반적으로 관형인 단면을 지닌프레임 내에 위치한 절연단자 블럭상에 구성되어 있다. 이 특허에 표시한 형상과 대개같은 자기 극편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인용한 체이스씨등의 특허와 같은 구조에서는 보통 극편이, 단자 블럭내에 부착되어 있고, 극의팁(tip)을 정열하게 정밀 공구로 그라운드 되어 있으며, 전기자 및 진동판 어셈블리에의 접합을 위해 블록에 대해 정밀하게 간격지워져 있다.
마찬가지로 종래 유형의 공극조정도 1970. 11. 24일자로 블래스틱(Blastic)씨 등에게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3,542,974호에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화변환기의 자석 및 극판 어셈블리용 구조에 관한 것인데, 이들 어셈블리를 변환기로 접합시키는 동안 이들 어셈블리간의 공극을 조정할 수 있다.
자기 구조물은 어느 한 형태에서 동일한 T형 극편의 크로스바(crossbar) 사이에 끼워져 있는 영구막대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극편의 다리는 각각의 코일보빈(bobbin)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며 어셈블리 하우징의 베이스에 있는 슬로트를 통해 연장된다. 극편의 다리는 바람직한 편평성 및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지닌 극면 즉, 극의 팁에 그 끌을 이루고 있다. 극면은 공극을 사이에 두고 전기자와 대향하게 되어 결과적인 변환기의 음향 특성은, 극편의 적당한 얼라인먼트 내지는 위치조절, 그리고 대향 전기자로 부터의 간격의 소산이 된다.
본 발명의 제2형은 고리형 자석을 사용한다. 중앙의 극부재는 극자석상에 안치되게 설계된 디스크에 강제로 맞추어 진다. 고리는 조립중 자기판과 함께 결합하도록 컵내의 슬로트를 통해 맞춰진다. 중앙의 극면은 고리 구멍내에서 연장되어 유사한 방법으로 자기판 및 고리에 따라 자체 배열된다.
본 발명은 자기 어셈블리와 전기자 어셈블리간의 소망했던 공극간격을 경제적으로 만들기 위한 구조의 개량이다.
본 발명은 변환기의 공극을 조립하고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조립할 수 있는 개량된 자기구조물을 만들어 내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조는 컵 하우징의 형태의 단자 불럭을 만든다. 하우징 공동은 코일, 극편, 그리고 영구막대 자석의 조립을 가능케하는 간격 및 안치 리브(nesting rib)를 정열시키게 된다. 이들 극면을 자기판과 자기 결합하게 배치시킴으로서, 팁의 위치 조절 및 얼라인먼트가 조립 과정의 일부분으로서 단순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정밀하게 실행될 수 있다. 컵에 포팅컴파운드(potting compound)를 채우는 동안 이 결합을 보지 시킴으로서 극면의 팁이 공통평면에 영구적으로 얼라인먼트 된다.
컵 하우징에 관련된 극 팁의 위치는 컵베이스와 일치하는 공동평면에 있게 되는데, 이 공통 평면은 컵베이스 이상의 평면 또는 컵 베이스 이하의 평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극 팁의 평면은 컵 베이스의 평면에 평행한 또는 일치하는 평면에 있게 될 것이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 따라서, 극 팁들이 서로 또는 컵 베이스와 평행한 관계를 보강케 하기 위해 이들 극 팁을 연마할 필요성이 완전히 제거된다. 동일한 관계를 1개의 극 팁을 이루는 환상형 자기 부재 및 제2극 팁을 형성하는 중앙의 동축대에 따라 얻을 수 있는데, 여기서 동축대는 환상형 자석의 상부 부위에서 부유하는 식으로 놓여있는 설치 구조물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조립이 가능하고 조정할 수 있는 전화변환기용 자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 변환기의 자기 부품을 안쪽으로 떨어뜨리는 식으로(drop in) 수용하여 간단하게 조정하고, 얼라인먼트하여 동일된 방식으로 결과적인 자기 어셈블리를 얻기 위한 구조물을 제공다는 것이다.
이런 목적들을 지니고 있는 본 발명의 전화 변환기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특히 자석식 전화 변환기에의 사용에 적합한 유형의 변환기의 자기 어셈블리(10)를 보여주고있다. 어셈블리(10)는 하우징 즉 컵(12)으로 구성되는데, 이 안에 자기 코일(14), 극편(16), 그리고 영구자석(18)이 삽입된다. 캡(20)은 내용물을 담고 있는 컵(12)을 덮는 식으로 유지된다. 컵의 내부는 전기부품 및 어셈블리를 캡슐화시키기 위해 적합한 포팅 컴파운드가 채워질 수 있다.
컵(12)은 제3-5도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다. 컵(12)은 우수한 안정도를 갖는 적당한 플라스틱 물질로 만든다. 이때 사용하는 전형적인 재료는 상표명 노릴(Noryle)로 시판되는 것이다. 컵(12)은 외쪽이 대개 실린더형인 벽(30)을 지니고 있는데, 이 벽은 상기인용한 특허원의 장치에 끼울 수 있게 높이 방향을 따라서 나사산(32)이 내져 있다. 이 컵은 본질적으로 대개 실린더형인 내부 동공(34)을 따라 원형인데, 이 동공(34)의 하부 크기는 전체적인 컵 베이스(36)의 크기에 의해 한전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이 컵의 베이스는 절취선이 없지만, 제2, 4도에 잘 표시되어 있듯이 베이스 아래의 입구(40) 및 컵동공간에 교통할수 있게 간격 지워진 2개의 직각형 슬로트(38)을 지니고 있다.
제3, 4도에 표시 하였듯이, 컵은 측벽(30)의 상부 표면내에서로 대향하는 스크루우 수용용 소켓(50)을 지니고 있다. 컵의 공동은 대개 실린더 형이며, 동공내에 위를 향하여서 있는 1쌍의 대향 리브를 지니고 있어서 이미 언급 하였듯이 삽입시키는 부분은 드롭 인 네스트(drop in nest)를 형성한다.
일정 간격을 이루고 있는 2쌍의 리브는 2개의 전자코일을 수용하고 위치 시키기 위해 부분적인 측벽을 갖는다. 소켓(50)의 벽도 역시 컴 베이스(30)위에 즉, 컵 베이스(30)위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켓 또는 스페이서(54)위에 코일을 위치 시키도록 작용한다. 리브(52)는 T형 극편(16)의 아암(60)을 지지하기 위해 그 안쪽 단부에 직사각형 오프셋(56)을 갖는다. 극편(16)의 아암(60)은 극 팁(62)에 관하여 대칭적이고, 이 극 팁의 크기는 이 아암이 오프셋(56)에 설치되면 베이스 슬로트(38)을 통하게 정해져 있다. 이 극편(16)은 전화 변환기에 편리하게 사용되는 적절한 닉켈 합금으로 만들었다.
영구자석(18)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18)을 위치시키게 작용하는 리브(64)와 함께 코일(14)의 보빈 상단의 극편 아암(16) 사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공동은 드롭인 삽입에 따라 공동내에 밀봉제(54), 코일(14), 극편(16) 및 영구자석(18)을 적당하게 위치시키게 구성되는 리브(52), (64)를 갖는다.
언급한 바와같이, 극편(16)이 컵 베이스 슬로트를 통함에 따라 극편(16)의 크로스 아암(60)이 리브 오프셋(56)에 걸쳐진다. 이 극 팁은 측벽(30)의 아래쪽 표면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70) 아래로 연장되어, 극 면(72)은 평면(70)에 본질적으로 평행하다.
코일(14), 극편(16) 및 자석(18)을 컵(12)에 조립함과 동시에, 이 컵(12)을 자기 유지 재료인 금속판(74)상에 놓게 됨에 따라, 이 컵(12)은 평면(70)을 따라 놓이게 된다. 극 팁(62)은 금속판(74)와 결합하여 확고하게 붙게 된다. 따라서 이 극 팁(62)은 평면(70)에 평행한 극면(72)에 따라 유지된다. 도시하였듯이, 극면(72)은 평면(70)내에 있게된다. 필요시, 이 극면(72)은 심 또는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평면(70)위에 유지될 수도 있고, 적절한 스페이서상에 컵(12)의 측벽을 놓음으로서, 평면(70) 아래로 유지될 수있다.
조립시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평면(70)에 극면(72)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한 접근법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접근법은 컵(12)을 스페이서등에 관하여 위치시킬 필요성 없이 금속판(74)상에 직접 컵(2)을 놓을 수 있게 한다.
자기 금속판(74)상에 컵(12)을 놓아 극편(72)이 금속판(74)에 달라붙게 함으로서, 극의 크로스 아암은 오프셋(56) 및 코일보빈 위로 을라오게 될 것이다. 영구자석 및 극의 크로스 아암은 자기판에 의해 완성되는 자기 회로에 보지되어 제자리에 확실하게 보지될 것이다.
그후 캡(20)은 컵의 공동을 덮을 수 있도록 끼워 맞춰진다. 제2, 10, 11도에 도시하였듯이, 캡(20)은 터미날 스크루우 소켓(50)을 위해 마련된 대향하는 반구형 절단부(86)을 지닌 계단식 원형 플랜지(84)와 직사각형의 덮개(82)을 지니고 있다. 플랜지를 이루는 부분(84)은 터미날(92)의 각각의 수평 터미날 팁(90)을 수용하기 위한 4개의 슬로트(88)를 지니고 있다. 코일 보빈으로부러 나온 와이어는 종래의 방법대로 어떤 중간 단계에서 터미날 팁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 캡(20)은 컵(12)의 상부에 설치되고, 터미날(92)은 캡(20)에 설치되어 수평의 팁(90)이 슬로트(86)을 통해 연장한다.
그 후 이 어셈블리는 캡(20)의 개구(96)을 통해 컵(12)의 공동으로 포팅 컴파운드를 도입할 수 있는 준비 상태로 된다. 전기 또는 전자 소자에다 사용하기 적합한 에폭시등과 같은 어떤 공기 건조 포팅 컴파운드를 주입 개구(96)을 통하여 공동(34)으로 주입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도입시키게 된다. 이 컴파운드가 경화 또는 설정되면, 자기 회로(자기판 흡인에의 극면을 포함)는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자기판에 관한 극면의 상대적 위치 결정은 일정하게 된다. 포팅 컴파운드가 경화 되었을 때, 어셈블리를 자기판으로 부터 제거하게 되고, 극면은 평면(70)과 평행하거나 공존하는 면에서 남게될 것이다.
제6, 7도에서는, 자기 어셈블리(10)가 조립될 진동판 하우징 어셈블리를 2개 표시하고 있는데, 이들은 서로 대체가능하다. 제6도에서 하우징 어셈블리(110)는 동심원상의 실린더형 구현부(112), (114), (116)의 비자기성 외곽 하우징(111)을 포함하고 있으며, 안쪽에는 암나사부(120)를 지니고 있다. 디스크의 전기자(122)는 암나사부(1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진동판(124)에 의해 유지된다. 보호 스크리인 또는 관통 격자(130)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대로 전기자(122)를 그 노출된 면으로 부터 덮는다. 이 진동판(124) 및 격자(130)는 격자의 외곽 주변에 걸쳐 하단 부분의 모서리를 오그라 뜨리거나 구브리는 것과 같은 어떤 기존의 방법으로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대안으로, 진동판(124)을 계단을 이룬 부분(114), (116)간의 견부(132)로 유지시켜 오끄라뜨림이 없이 안쪽으로 축상 이동하지 않게 진동판(124)를 유지시킨다.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나사부(32)를 하우징(111)의 암나사부(120)로 삽입시켜 자기 극면(72) 및 전기자(122)간의 공극이 소망한 레벨이 될때 까지 조인다. 이러한 조정은 바람직한 응답 레벨이 이루어질 때까지 자기의 어셈블리를 결합된 나사에 의해 하우징어셈블리로 진행시킴에 따라 적절한 기기에 나타나는 변환기의 음향 출력을 모니터 함으로서 이루어 진다. 그 응답레벨에서, 이 나사에 이미 가해진 접착제는 소망한 레벨로 공극이 경화되고 설정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변환기를 특정한 곳에 응용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터미날 스크루우(94) 및 바리스터를 조립할 수도 있다.
제7도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수화기 하우징(140)등과 갈은 변환기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보통 기존전화기의 핸드셋에 사용하게끔 설계하였다. 이 하우징의 외부 실린더형 벽(142)은 중앙의 아아치형 웨브(144)상에 1개의 직경을 이루고 있다. 외쪽의 벽으로 부터 나온 안쪽의 나사보어(146) 즉 안쪽 보어의 크기는 제6도의 수화기에 관하여 이미 설명한 대로 자기 어셈블리(10)의 나사부(32)와 결합되고 수용하게 되어 있다. 제6, 7도의 실시예에서, 자기 극면 및 전기자의 위치는 어셈블리 또는 모듈의 구성부재에 따라 축이동 대하여 각각의 어셈블리 내에 유지된다. 스크루우를 조정하는 동안, 공극이 설정될 것이다. 나사상의 접착제는 전기자 어셈블리 모듈에 대해 자기 어셈블리모듈을 보지하여 소망된 설정 위치에 공극을 설정하여 영구히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사용에 따라 컵 형상의 하우징내의 안착부재에 고정되는 드롭인 부품을 사용하여 자기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완성시킬 수 있다. 이 자기 구조물은 자기적으로 적당한 얼라이먼트를 유지하여 후에 조정하거나 조립후에 연마할 필요가 없다. 자기적으로 보지되는 자기 구조물의 얼라인먼트에 따라, 얼라인먼트 및 위치가 설정되고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위치는 컵에 도입되는 일단의 포팅 컴파운드에 의해 유지되어 극면 위치가 장기적으로 유지하면서 경화되게 된다. 완성된 자기 어셈블리는 이미 설명한 대로 공극을 조정하면서 하우징 어셈블리와 결합시켜 수화기를 완성시킨다.
본 발명의 도면은 별개의 극편을 지닌 전기자를 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극 조정 기술은 역시 전기자 어셈블리에의 접합을 위한 자석 어셈블리의 출력 부재로서 링 극면과 함께 실행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자기 구조물과 함께 단일의 슬로트가 컵에 마련된다. 이 링은 컵의 링에 안착하여 컵 슬로트아래의 표상 형극의 팁을 위치시킨다. 중앙의 극편은 디스크내로 강제적으로 끼워져서 디스크가 위의 링 자석에 안착하고 또한 환상형 극편으로 부터 일정 간격을 이룬다. 중앙의 극팁은 고리의 동공내에 연장된다. 이들 극면의 팁 간의 자기회로를 완성시킴으로서, 극팁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는 상대적 위치에 정열될 수 있다.

Claims (1)

  1. 극편(16), 전자 코일(14) 및 영구자석(18)을 포함한 자기 구동구조물(11)을 포함한 전화 변환기에 있어서, 하부 베이스(36)가 마련된 중앙의 동공(34)을 지닌 비자기 컵(12)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 베이스(36)는 적어도 2개의 슬로트(38)를 지니고 있고, 적어도 2개의 슬로트(38)는 극편이 슬로트를 통해 관통될 수 있게 슬로트(38)내에 위치한 극면 팁(62)을 지니고 있으며, 하부 베이스(36)에 평행한 평면에서 극편(16)을 유지시키는 포팅 컴파운드를 변환기의 중앙동공(34)에 채운 특징을 지닌 전환 변환기 어셈블리.
KR7803491A 1978-11-20 1978-11-20 전화 변환기 어셈블리 KR82000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491A KR820002149B1 (ko) 1978-11-20 1978-11-20 전화 변환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491A KR820002149B1 (ko) 1978-11-20 1978-11-20 전화 변환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49B1 true KR820002149B1 (ko) 1982-11-15

Family

ID=1920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491A KR820002149B1 (ko) 1978-11-20 1978-11-20 전화 변환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4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8423A (en) Excite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a pager
US5905805A (en) Electrodynamic transducer
US20040218778A1 (en) Loudspeaker suspension for achieving very long excursion
US5195142A (en) Piezoelectric transducer
JPH05260595A (ja) 横ギャップを備えた平衡化された電機子変換器
US4336425A (en) High frequency compression dri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443667A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EP0040948B1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o dynamic transducer
KR820002149B1 (ko) 전화 변환기 어셈블리
US1766473A (en) Electrodynamic device
US2506624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GB2144600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5953437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4246450A (en) Telephone transduc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578808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s
CA1122694A (en) Telephone transduc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936479B2 (ja) 電磁型音響変換装置
US1811367A (en) Loud speaker
JPH07220929A (ja) 高周波変成器
KR101739335B1 (ko) 슬림형 스피커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2235864A (ja) 電磁弁
ES2272423T3 (es) Transductor electroacustico.
US2241107A (en) Sound translating device
US1868090A (en) Sound translating device
JPS54161906A (en) Galvamirro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