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911Y1 - 정전식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식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911Y1
KR820001911Y1 KR2019820005862U KR820005862U KR820001911Y1 KR 820001911 Y1 KR820001911 Y1 KR 820001911Y1 KR 2019820005862 U KR2019820005862 U KR 2019820005862U KR 820005862 U KR820005862 U KR 820005862U KR 820001911 Y1 KR820001911 Y1 KR 820001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lectrode
electrode
variable
fixed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5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다다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다이와 싱구우 고오교오쇼
하세가와 미노루
가부시기 가이샤 데스프레이덱구
사사끼 야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다이와 싱구우 고오교오쇼, 하세가와 미노루, 가부시기 가이샤 데스프레이덱구, 사사끼 야스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다이와 싱구우 고오교오쇼
Priority to KR2019820005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전식 표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원리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III)의 부분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가변전극 장착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부분 확대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고정 전극의 모양이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본 고안은 정전식 표시장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만곡 표면을 가지고 있는 고정 전극에 탄성을 보유하는 가변전극이 정전력에 따라서 흡인되어서 밀착했을 때의 외관과 가변전극이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복귀되어 고정전극에서 떨어져서 있을 때의 외관이 명료하게 변화하는 정전식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의 빛 아래에서 높은 콘트라스트를 띄우고 동작전력이 대단히 적어서 문자, 도형무늬 등의 복잡한 내용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구성이 대단히 간단하여서 소형의 것으로부터 대형의 것까지 광범위한 크기의 것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신규의 원리에 따르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도에 본 고안의 원리도를 표시한다.
기대(1) 위에 원통형의 고정전극(2)을 설치하고, 기대(1)의 좌우양측면에 가변전극(3)(4)의 각 1단을 고정하고,(A)(A') 점에서 고정전극 표면에 가장 근접하고, 타단(5)(6)은 자유단으로 한다. 이 가변전극(3)(4)은 고정전극(2)의 원통 중심선(0)과 평행하게 되도록 부착된다.
가변전극(3)(4)의 구조는 예컨대 폴리에스텔 등의 탄력성을 보유하는 중합체의 박막으로 이루어진 코어(7)의 양면에 알루미늄등 빛의 반사율이 높고 또한 도전성이 좋은 금속의 증착막(8)(9)을 설치한 것이다.
고정전극(2)의 표면에는 유전체의 박막(10)이 설치되어 있어서 고정전극(2)과 가변전극(3)(4)이 도통하는 일이 없다.
고정전극(2)에는 기대(1)를 관통하는 비스(11)를 개재하여 리이드선(12)이 접속되며, 가변전극(3)(4)의 각 고정단에 리이드선(13)이 접속되며, 스윗치(14)를 경유하여 전원(15)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가변전극(3)(4)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제1도 표시와 같은 복귀 상태로 되어 있어서 그 자유단(5)(6)은 표시방향(D)과 대략 평행으로 되게 열려있다.
전압이 인가되면 양 전극간에 발행하는 전계(電界)에 의하여 유전체층 내에 분극이 일어나고 유전체와 가변 전극간에 흡인력이 생긴다. 이 정전 흡인력은 전극간의 거리가 가장 근접하고 있는(A)(A')점에 있어서 가장 크므로,(A)(A')점에서 점차 고정전극(2)의 만곡 표면에 흡착되어 가며,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자유단(5)(6)에 이르기까지 밀착하여 고정전극상의 유전체층(10)을 완전히 피복한다.
이와 같은 흡착 상태에 있어서는 양 전극간에 유전체층이 개재하고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아니하여서 전력 소비가 없다. 가변전극을 움직이게 하는 단위 면적당의 흡인력(F)은 다음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k는 유전체층의 유전을, v는 전극간의 전위차, d는 유전체층의 두께, c는 장치의 고유 정수이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 유전체층(10)을 예컨대 분홍, 노랑, 초록 등의 채색이 있는 도료로서 구성하고 가변전극(3)(4)의 양면을 알미늄의 증착막에 의한 경면으로서 양전극 표면의 광반사율을 다르게 하여 두면 가변전극이 고정전극 표면에 밀착하였을 때와, 고정전극 표면에서 떨어졌을 때의 외관이 명료하게 변화한다.
제2도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다.
외표면에 유전재료로 도장된 고정전극(21)은 정상에 철부(22)를 보유하는 원통형으로서 양단을 하부로 절곡 중합하여 지지부(23)를 구성하고, 지지부(23)에서 또다시 하부로 전극도출단자(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23)의 양측면에 절연재료(25)(26)를 개재하여, 그 바깥쪽에 가변전극(27)(28)이 장착되어 있다.
이 가변전극의 장착 구조는 내측의 협지부재(29)와 바깥쪽의 협지부재(30)가 가변전극(27)의 일단을 협지하고, 외측의 협지부재(30)는 고정전극의 옆쪽으로 연장되어서 측벽(31)을 구성하며, 또 그 하단에 전극 도출단자(38)(38)가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재(29)(30)의 형상은 지그재그형이며, 안쪽의 협지부재의 선상돌기(32)(33)와 바깥쪽의 협지부재의 선상돌기(34)(35)가 교대로 배설되며, 근기부(36)(37)에서 양협지부재가 밀착되어 있고, 윗쪽으로 갈수록 점차로 간극이 증대된다.
선상돌기(32)(33)(34)(35)는 고정전극(21)의 만곡면의 중심선(1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변전극(27)은 근기부(根基部)에서 순차로 선상돌기(32)(33),(34)(35)에 접촉하여 굴절하면서 상부로 뻗어나가므로 그 사이에 주름살이나 절곡에 의한 평면성이 손상되어 있어도 수차례에 걸친 굴절에 의하여 변형이 해소되어서 완전한 평면성을 회복하여 고정전극에 접촉한다.
또, 한편의 가변전극(28)도 동일하게 하여서 협지부재(39)(40)로서 협지되고 바깥쪽의 협지부재(40)가 신장되어서 측벽(41)이 구성되며, 하단에 전극도출단자(4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도출단자(24)(38)(42)는 모두 프린트 배선기판의 장착공에 삽입하여 프린트 회로에 직접 납땜 접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가변전극으로서 두께 0.005-0.008mm의 코어시이트의 양면에 알루미늄의 증착막을 형성한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도전성 접착제로서 접착하는 것만으로는 접착부분에 주름살이 생기고, 온도상승으로 재료가 용융하므로 납땜 접착도 불가능하지만, 본 고안의 가변전극 취부 수단에 의하면 극히 간단하고도 완전한 평면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정부(頂部)에 돌부(22)를 가지고 있는 고정전극(22)을 사용하면, 가변전극(27)(28)이 흡착되었을 때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이 뾰족한 상태로 되므로 흡착상태의 가변전극(27)(28)의 표면에 세운 수선의 바깥쪽에 향하는 것 P1, P2, P3의 모든 것이 측벽(31) 또는(41)과 부딪치며, 결코 관측자의 눈에 들어가는 일이 없으므로 표시품질의 높은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5도에 본 고안의 가변전극의 장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것은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근기부(51)(52)가 밀착하여 선단이 점차로 확개된 평판(53)(54) 위에 원형 단면의 선재(55)……(55)를 교대로 고착한 것을 협지부재로 하고, 그 사이에 가변전극(56)을 협지하고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고정전극 형상, 즉 흡착상태의 가변전극 형상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원통형의 고정전극(58)의 정부에 작은 원통체 또는 작은 원주체(59)를 접착 또는 용접하여 돌기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고정전극(60)의 형상을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유선형상으로 형성하여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

  1. 전체로서 원통형으로 된 만곡부와 그 양단을 표시 방향에 대해서 후방으로 절곡한 평판형의 지지부(21)로 구성되는 고정전극(22)과, 그 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절연재료(29)와, 고정단이 상기 절연체의 좌와 양측에 위치하여 각 2개의 도전성 협지부재(29)(30),(39)(40)에 의해 지지되어 표시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며, 선단이 고정전극의 표면에 흡인되는 자유단으로 된 가변전극(27),(28)과, 고정전극의 가변전극쪽 표면 또는 상기 가변전극의 고정전극쪽 표면의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한 유전체 박막과, 고정전극과 가변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통상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전극(21)의 만곡부 정부에는 철부(32)를 설치하고, 상기한 협지부재(29)(30),(39)(40)에는 고정전극의 만곡 표면의 중심선과 평행한 선상돌기(32)(33),(34)(35)를 적어도 1개 형성하고, 협지부재의 근원부로서 지지된 가변전극이 선상돌기에 2개소 이상 접촉하여 굴절한 다음 고정전극 표면에 근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표시장치.
KR2019820005862U 1982-07-24 1982-07-24 정전식 표시장치 KR820001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862U KR820001911Y1 (ko) 1982-07-24 1982-07-24 정전식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5862U KR820001911Y1 (ko) 1982-07-24 1982-07-24 정전식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2332 Division 1978-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911Y1 true KR820001911Y1 (ko) 1982-09-09

Family

ID=1922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5862U KR820001911Y1 (ko) 1982-07-24 1982-07-24 정전식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9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7670A (en) Electrostatic device and terminal therefor
US4488784A (en) Capacitively coupled electrostatic device
KR970024132A (ko) 회로장치와 그 제조방법(circui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4484038A (en) Membrane touch panel having improved conductor construction
JPH07333639A (ja) 液晶表示装置
JPH0339808Y2 (ko)
KR820001911Y1 (ko) 정전식 표시장치
US368913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4160583A (en) Electrostatic display device
JPS6347388U (ko)
US4160582A (en) Electrostatic display assembly
JPH08153582A (ja) 分散型電界発光素子
US4264798A (en) Electrostatic switch
KR950703265A (ko) 전자부품(electronic component)
JPH08273830A (ja) El素子への給電装置
JPH0322772Y2 (ko)
KR820001912Y1 (ko) 정전식 표시장치의 유전체층
JPS5730818A (e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KR800000196Y1 (ko) 전광 표시장치
RU2007109799A (ru) Индикатор наличия напряжения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JPS6331079Y2 (ko)
JPS5926378Y2 (ja) 静電式表示装置
JPS6419324A (e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H0733432Y2 (ja) El発光素子の構造
JPS63193579A (ja) 光半導体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