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829Y1 -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829Y1
KR820001829Y1 KR2019810002375U KR810002375U KR820001829Y1 KR 820001829 Y1 KR820001829 Y1 KR 820001829Y1 KR 2019810002375 U KR2019810002375 U KR 2019810002375U KR 810002375 U KR810002375 U KR 810002375U KR 820001829 Y1 KR820001829 Y1 KR 820001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resistor
collector
emitt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2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무균
이금순
Original Assignee
노무균
이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무균, 이금순 filed Critical 노무균
Priority to KR2019810002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0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 H02P9/105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 H02P9/2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9/3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9/30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압 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각 부분에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계속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전압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기계적인 작동으로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어서 전압유지가 불안정했을뿐 아니라 고장이 잦았고 또 무접점회로인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것도 있으나 제네레타의 단자가 어스되었거나 기기 또는 배선의 노후의 경우 또는 취급자의 부주위로 잘못 연결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또는 수초 이내에 트랜지스터가 파괴되어 전압조정기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상기한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 있으나 축전지의 전압에 대한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고 또한 쑈트에 의해 조정기의 발열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차량용 전압조정기의 내구성과 축전지의 손실을 가지고와 장시간의 방치로 축전지와 전압조정기의 파손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고 항상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하여 안정성을 도모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즉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로 일단이 접지된 저항(R7)과 저항(R6)이 직렬된 중심점은 다이오드(D1)와 제너다이오드(ZD)가 직렬 연결되어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이와 같은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는 저항(R4)을 통해 어스되고 에미터와 베이스 사이에는 저항(R5)이 연결되어 있다.
또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는 콘덴서(C1)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에는 저항(R2)과 저항(R3)의 직렬로 연결되고 또 상기한 저항(R2)과 저항(R3)의 중간점은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는 상기한 저항(R3)의 타단에 연결되어 저항(R3)과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콜렉터와는 병렬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네레이터(도시하지 않음)의 필드코일에 연결되는 단자(F)에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또 이와같은 단자(F)는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3)가 도통해야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한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면 필드코일의 단자(F)를 통해 제네레이터의 계자(界磁)를 여자하도록 됨과 동시 과잉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3) 베이스에 부극성이 도통하여 에미터-콜렉터와 병렬 연결된 저항(R3)의 값을 변화시켜 나타나므로 트랜지스터(TR3)가 제어되어 저항(R3)의 값을 변화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접지된 저항(R13)와 콘덴서(C2)는 서로 병렬연결되어 제네레이터의 발전자의 중심점(N)과 다이오드(D2)를 통해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또 상기한 트랜지스터(TR7)의 콜렉터는 저항(R10)을 통해 이그닛션코일 단자(IG)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에 또한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에 각각 이그닛션코일단자(IG)에 연결되고 있으며 또 상기한 트랜지스터(TR6)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와 그리고 저항(R8)을 통해 라이트단자(L)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 트랜지스터(TR6)의 에미터와 콜렉터는 저항(R9)이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서 저항(R14)을 통해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한 도시에서 제네레이터의 중심점(N)이나 필드코일 단자(F) 등의 발전신호 제어회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공지이므로 이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작용과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저항(R6)과 저항(R7) 사이의 중심점의 전압은 다이오드(D1)와 제너 다이오드(ZD)를 통해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콜렉터는 OFF 되어 저항(R4, 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와 트랜지스터(TR1)를 ON 시키나 이때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와 아스 사이에 과잉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에 부극성이 나타남으로서 트랜지스터(TR1)는 에미터에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R3)가 제어되어 저항(R3)의 저항치를 변화시켜 주므로 과전류에 의해 전압 조정기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게되며, 또 다이오드(D2)를 통해 트랜지스터(TR7)에 양극성이 나타나면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R5)가 턴-온되어 전구에 공급하게 되는데 기기나 배선의 노후로 전류가 급작히 커져서 제어트랜지스터를 파괴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저항(R9)의 병렬 연결되는 트랜지스터(TR6)가 제어됨으로서 저항(R9)의 저항치를 변화함으로서 라이트(L)에는 처음부터 써지전류가 가해지지 않게되어 있고 전구의 아스와의 연결에 의한 과전류를 방지하여 라이트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안전하게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모들 기기나 배선의 노후사용 실수의 모들 상태에서 전압 조정기의 성능과 내구성을 우수하게 실현시켜 주므로 자동차 전압조정기의 조정전압과 표시장치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도시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7)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된 저항(R9)와 병열 연결되도록 트랜지스터(TR6)의 에미터 및 콜렉터를 연결함과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된 저항(R3)와 병열 연결되도록 트랜지스터(TR3)의 에미터 및 콜렉터를 연결하여 쑈트로 인한 파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KR2019810002375U 1981-04-03 1981-04-03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KR820001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375U KR820001829Y1 (ko) 1981-04-03 1981-04-03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375U KR820001829Y1 (ko) 1981-04-03 1981-04-03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829Y1 true KR820001829Y1 (ko) 1982-08-30

Family

ID=1922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2375U KR820001829Y1 (ko) 1981-04-03 1981-04-03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8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107B2 (en) Lighting control circuit for vehicle lighting equipment
US3764879A (en) Battery charging systems for road vehicles
US3959708A (en) Battery charging systems for road vehicles
US4297631A (en) Battery charging systems for road vehicles
US5014675A (en) Ignition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944905A (en) Battery charging systems for road vehicles
KR100421094B1 (ko) 차량용 발전기의 외장형 레귤레이터
KR820001829Y1 (ko)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US4321509A (en) Dimmer
EP0049053A2 (en) Engine temperature sensor
US6943532B1 (en) Voltag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generator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US5587661A (en) Device for indicating errors in a control line of an electric control units
JPS58108694A (ja) ランプ駆動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オルタネ−タ回路
EP0005330B1 (en) Lighting system
JPS6033506Y2 (ja) ランプ駆動回路
KR930007060A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제어장치
KR790001325Y1 (ko) 차량용 축전지 전압 조정장치
KR800001906Y1 (ko) 자동차 레규레이터용 경보 표시회로
US3443193A (en) Battery charging systems for use in road vehicles
EP0047599A1 (en) Warning device for vehicle instrument fascia
US5525896A (en) Fuel gauge power system for use with alternating current vehicle electrical system
US5426559A (en) Control circuit for ignition spark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890006033Y1 (ko) 밧데리의 충전 표시 회로
KR810000007Y1 (ko) 차량용 축전지의 전압 조정장치
KR890007652Y1 (ko)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공급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