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814B1 -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 Google Patents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814B1
KR820001814B1 KR7800701A KR780000701A KR820001814B1 KR 820001814 B1 KR820001814 B1 KR 820001814B1 KR 7800701 A KR7800701 A KR 7800701A KR 780000701 A KR780000701 A KR 780000701A KR 820001814 B1 KR820001814 B1 KR 82000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rinting machine
hand lever
coupling memb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오 사또
Original Assignee
요오 사또
가부시기 가이샤 사또 겐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오 사또, 가부시기 가이샤 사또 겐규쇼 filed Critical 요오 사또
Priority to KR780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도면은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인자압(壓) 완충기구를 갖춘 수동식 인자기의 앞쪽의 측판을 제거하여 그 핸드레버의 벌린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2도는 동 그 핸드레버를 회동시켜서 인자(印字)시킨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표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전동구체(轉動球體)의 전동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예컨데 레이블 등에 수동조작에 의해서 인자를 하는 핸드레이블러 등의 수동식 인자기(印字機)에 있어서 인자압을 일정하게 완충시키는 인자압 완충기구(印字壓緩衝機構))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핸드레이블러 등의 수동식 인자기로서 인자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핸드레버를 꽉 쥐어서 회동조작함으로써 이 핸드레버에 설치된 인자기(印字機)를 레이블이 놓여진 플래톤(platen)에 압접시켜서 인자하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것에 의하면 인자기의 인자압은 핸드레버를 꽉 쥐어서 회동시키는 힘에 직접적으로 좌우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약한 힘으로 핸드레버를 쥐었을 경우에는 그에 따라서 인자압은 약하게 되어 레이블에 대한 인자가 불선명하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으며 또 강한 힘으로 핸드레버를 꽉쥐었을 경우에는 그에 따라서 인자압은 세게되고, 특히 인자기의 활자면이 금속 등의 강성재료에 의해서 형성된 경우에는 인자기가 플래톤과 접촉하여 떨어지는 방향으로 미소한 진동을 일으켜서 2중 인자가 되고 한편 인자기의 활자면의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된 경우에는 활자면이 늘려 찌그러진 상태로 인자되기 때문에 잉크가 번져서 불선명한 인자가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강한 힘으로 핸드레버를 꽉 쥐었을 경우 금속 등의 강성재료로 형성된 활자면의 충격적인 접촉에 의하여 레이블이나 플래튼 등에 파손이나 손상등이 생겨서 레이블을 오손하거나 또 활자면이나 플래튼을 조기에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레이블에 적정한 인자압으로 선명한 인자를 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쥐는 힘으로 핸드레버를 쥐어서 회동력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사용자가 그 감각에 의지하여 핸드레버를 쥐는 힘을 일일이 조정하는 것은 곤란한 일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사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자기 본체 또는 상기 핸드레버의 어느 한 쪽의 부재에 설치된 탄성결합부재가 다른 쪽의 부재에 설치된 정지계단부에 정지되었을 데 인자기의 인자압이 완충되고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재가 상기 정지계단부를 타고 넘어갔을 때, 인자기가 인자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핸드레버를 꽉 쥐는 힘이 약한 경우에는 인자기가 인자를 하지 않으며 또 핸드레버를 강하게 쥐었을 경우에는 그 쥐는 힘을 일정한 힘으로 완충시켜서 일정압의 인자압으로 하여 간단하고 확실하게 선명한 인자를 할수가 있는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중 1은 핸드레버 등의 인자기 본체로서 소정간격을 두고 대설된 한쌍의 측판(2)(2)과 각 측판(2)의 후부(제1도 중 오른쪽)에 일체적으로 연속 형성된 그립(grip)(3)과 상기 한쪽의 측판(2)의 상부 가장자리 후부에 일체적으로 연속형성되어 로울상으로 감긴 테이프상 레이블 (이하 레이블연속체(4)라고 한다)이 간직되는 레이블호울더(5)와 상기 측판(2)의 하단부에 배설된 플래튼(6)과 상기 레이블 호울더(5)의 레이블 연속체(4)를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상기 플래튼(6)에 이송하는 이송로울러(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자기 본체(1)의 양측판(2), (2)사이에는 핸드레버(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핸드레버(8)는 그 중앙부를 상기 측판(2), (2) 사이에 가로 설치된 회동축(9)에 회동자유로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그 상부가장자리 중앙부의 스프링걸이 구멍(10)과 상기 그립(3)의 스프링걸이핀(11) 사이에 복귀스프링(12)이 장치되어 있으며 이 복귀스피링(12)의 탄력에 의해서 상기 회동축(9)을 지점으로 하여 제1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당겨져서 동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벌린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상기 핸드레버(8)는 회동축(9)을 중심으로 하여 후반부분(제1도중 오른쪽)을 상기 그립(3)과 같이가위질하듯이 움직여서 쥐는 조작을 하기 위한 손잡이부(13)로, 또한 전반부분을 인자기지지부(14)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자기 지지부(14)는 소정 이간거리를 두고 대설된 한 쌍의 측벽(15), (15)과 이 측벽(15), (15)의 후단부(15b)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벽(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15), (15)의 선단부 (15a)에는 상기 플래튼(6)과 협동하여 상기 레이블연속체(4)에 인자를 하는 인자기(17)가 그 하면에 소망의 활자면(18)을 표면에 노출시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인자기 본체(1)의 양측판(2), (2)과 이 양측판(2), (2)과 대향하는 인자기 지지부(14)의 양측벽(15)(15)의 사이에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한 쌍의 인자압 완충기구(19), (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의 인자압완충기구(19), (19)는 서로 동일구성이므로 한 쪽의 인자압완충기구(19)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쪽의 인자압 완충기구(19)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인자압 완충기구(19)는 상기 인자기본체(1)의 측판(2)의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정면 형상이 상기 회동축(9)을 중심으로 하는 윈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개방면(20)이 상기 측판(2)의 내벽면(21)으로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내저면(22)이 그 일단부(23)로부터 타단부(24)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깊어져가는 경사면상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타단부(24)에 후기하는 전동구체(轉動球體)(25)가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고 또 타고 넘을 수 있는 정지계단부(26)가 설치된 안내흠(27)과 상기 인자기 지지부(14)의 연결벽(16)에 그 연결벽(16)의 길이방향(제3도중 좌우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개구면(28)을 상기 측벽(15)의 외측면(29)에서 개구하는 스프링부착공(30)과, 탄성결합부재(31)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결합부재(31)는 상기 스프링부착공(30)안에 설치된 압축코일 스프링(32)과 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구체상(球體狀)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32)의 일단부(32a)와 상기 안내흠(27)의 사이에 이 안내흠(27)에 따라서 전동자유로 또한 상기 스프링 부착공(30)안에 그 개구면 (28)을 통하여 출몰자유로 장치된 전동구체(25)로 이루어졌다.
또 상기 전동구체(25)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2)의 탄력에 의해서 상기 안내흠(27)의 내지면 (22)에 항상 압접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완충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첫째로 핸드레버(8)를 비교적 약한 힘으로 쥐었을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통상상태에 있어서는 복귀 스프링(12)의 탄력이 동도면에서 핸드레버(8)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이 때문에 핸드레버(80는 벌린 상태로 되고, 또 인자기(17)는 플래튼(6)으로 부터 반대쪽으로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탄성결합부재(31)의 전동구체(25)는 안내흠(27)의 일단부(23)에 정지되어 있는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32)의 측판(2) 방향에 대한 탄력에 의해서 안내홈(27)의 내저면(22)에 압압되어 있다.
먼저 이 상태에서 그립(3)과 핸드레버(8)를 꽉 쥠으로써 핸드레버(8)를 복귀스프링(12)의 상기 탄력에 버티면서 제1도에 있어서 회동축(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 회동에 따라서 인자기지지부(14), 인자기(17)에 각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전동구체(25)는 압축코일스프링(32)의 측판(2) 방향에 대한 탄력에 의해서 안내홈(27)의 내저면(22)에 압압되도록 하여서 스프링부착공(30)의 개구면(28)으로부터 밀어내어지는 동시에 안내흠(27)의 일단부(23)로부터 타단부(24)로 향해서 전동하고 이 전동은 전동구체(25)가 안내홈(27)의 정지계단부(26)에 맞닿아서 저지된다.
또 이 전동구체(25)의 전동저지와 동시에 핸드레버(8)의 제1도중 회동축(9)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도 저지된다.
즉 핸드레버(8)를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전동구체(25)를 압축코일스프링(32)의 측판(2) 방향에 대한 탄력에 버티면서 스프링 부착공(30) 내로 몰입시키는 힘보다도 약한 경우에는 전동구체(25)가 정지계단부(26)에 멈추고 이 정지계단부(26)를 타고 넘는 일이 없으므로 핸드레버(8)는 그 이상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고 따라서 인자기(17)는 플래튼(6) 위의 레이블 연속체(4)에 맞닿지 않아 인자는 되지 않는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핸드레버(8)의 쥐었던 것을 놓으면 핸드레버(8), 인자기 지지부(14), 인자기(17)등은 제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축(9)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이 회동에 따라서 전동구체(25)는 안내홈(27)의 타단부(24)로 부터 일단부(23)로 향해서 전동함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32)의 측판(2) 방향으로의 탄력에 버티면서 개구면(28)을 통하여 스프링부착공(30) 내로 몰입하여 제1도와 제3도에 표시하는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둘째로 상기 제1의 경우보다 비교적 큰 힘으로 핸드레버(8)를 꽉 쥐었을 경우 즉, 적정한 인자압으로 인자가 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탄성결합부재(31)의 전동구체(25)가 안내홈(27)의 정지계단부(26)에 정지될 때까지의 작용은 상기 제1의 경우의 작용과 같기 때문에 설명의 번잡을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탄성결합부재(31)의 전동구체(25)가 정지계단부(26)에 정지한 상태에서 더욱 핸드레버(8)가 제1도에 있어서 회동축(9)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인자기지지부(14)등도 더욱 제1도에 있어서 회동축(9)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회동에 따라서 전동구체(25)는 압축코일스프링(32)의 측판(2) 방향에 대한 탄력에 버티면서 정지계단부(26)를 타고넘는 동시에 스프링부착공(30) 안으로 그 개구면(28)을 통하여 몰입한다. 그리하여 상기 전동구체(25)는 측판(2)의 내벽면(21)을 약간의 거리를 전동하며 이때 인자기(17)의 활자면(18)은 레이블연속체(4)를 통하여 플래튼(6)에 맞닿아서 인자가 된다.
또 핸드레버(8)의 쥐었던 것을 놓았을 경우 핸드레버(8)는 복귀스프링(12)의 탄력으로 제2도에 있어서 회동축(9)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에 따라서 스프링부착공(30)내로 몰입하고 있었던 전동구체(25)는 측판(2)의 내벽면(21)을 상기 방향과는 반대방향(제3도에 있어서 아래서 위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동하고 압축코일스프링(32)의 탄력에 의해서 정지계단부(26)로부터 낙하하여 안내홈(27)내로 결합된다.
그리고 그후의 작용은 상기 제1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의 제 3의 경우로서 강대한 힘으로 핸드레버(8)를 꽉 쥐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의 작용은 상기 제 2 의 경우의 작용과 대략 같다. 다만 핸드레버(8)에 가해진 과대한 쥐는 힘은 탄성결합부재(31)의 전동구체(25)가 안내홈(27)의 정지계단부(26)에 부딪쳐서 접하고 또 전동구체(25)가 압축코일스프링(32)의 탄력에 버티면서 상기 정지계단부(26)를 타고 넘을 때에 압축코일스프링(32)의 힘에 의해서 완충되어서 인자압도 일정하게 완충되는 점이 다를 뿐이며 그 작용은 상기 제2의 경우의 작용에 따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수동식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완충기구(19), (19)는 스프링부착공(30)내에 부착된 압축코일스프링(32)을 각종의 탄력이 상이한 압축코일스프링(32)으로 교환함으로써 예컨대 레이블연속체(4)의 두께. 질김도 등이 다른 경우에도 각각 그에 상응한 적당한 인자압을 얻을 수가 있어 항상 선명한 인자를 할 수가 있다.
또 전동구체(25)는 압축코일 스프링(32)의 탄력에 버티면서 스프링부착공(30) 내를 출몰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인자압의 완충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는 동시에 핸드레버(8)의 회동조작 즉, 인자기(17)의 인자조작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며 이들의 조작을 원할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탄성결합부재(31)는 전동구체(25)와 압축코일스프링(32)으로 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구체(25)가 마모하거나 또 압축코일스프링(32)의 탄력이 약하게 된 경우에는 각 부재마다 교환할 수가 있어 탄성결합부재(31) 전체가 인자기 지지부재(14) 등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전체로서 장기에 걸쳐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결합부재(31)를 인자기지지부(14)에 그리고 정지계단부(26)를 측판(2)에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측판(2)에 탄성결합부재를 설치해도 좋고 또 탄성결합부재(31)와 정지계단부(26)를 각각 인자기 지지부(14)와 플래튼(6)의 사이나 핸드레버(8)의 손잡이부(13)와 그립(3)의 사이 등에 설치해도 된다.
또 탄성결합부재(31)를 압축코일스프링(32)과 전동구체(25)로 별체적으로 형성하였으나 압축코일스프링(32)을 사용하지 않고 탄성결합부재(31)를 플라스틱 등의 탄성력을 가진 재료로 인자기 지지부(14)의 측벽(15) 등과 일체적으로 구체상(球體狀)으로 돌설시켜도 좋고 또 안내홈(27)을 설치하지 않고 다만 측판(2) 등에 정지계단부(26)만을 일체적으로 돌설시켜도 좋으며 이런 경우에는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생상비도 염가로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그밖의 구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을 할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는 인자기 본체에 부착된 핸드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인자기본체 또는 상기 핸드레버의 양부재중 어느 한쪽의 부재에 설치된 탄성결합부재가 다른 쪽의 부재에 설치된 결합부재에 멈추었을 때 인자기의 인자압이 완충되고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재가 상기 정지계단부를 타고 넘었을 때 인자기가 인자하도록 설치한 구성이다.
따라서 (1) 핸드레버를 꽉쥐는 힘이 약할 경우에는 탄성결합부재가 정지계단부에 정지되어 이것을 타고 넘지 않기 때문에 인자기가 인자조작을 행하지 않아 종래와 같이 인자기의 약한 인자압으로 불선명한 인자가 될 염려가 없다.
(2) 또 핸드레버를 꽉 쥐는 힘이 과대한 경우에는 탄성 결합부재가 정지계단부에 정지됨으로써 상기 쥐는 힘은 일정압의 힘으로 완충됨과 동시에 탄성결합부재가 정지계단부를 타고 넘어서 비로소 인자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인자압으로 확실하게 선명한 인자를 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강대한 인자압으로 인자기가 작동하여 2중인자를 하는 등의 염려가 없다.
(3) 또 인자압이 일정하게 완충되므로 가령 인자기의 활자면이 금속 등의 강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예컨데 레이블이나 플래튼 등에 활자면의 충격적인 접촉에 따른 손상이 생길 염려가 없다.
(4) 또 결합부재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지계단부에 정지했을 때의 반발충격력도 작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염려가 없는 동시에 정지계단부의 타고 넘는 것도 원할하게 행할 수가 있고 핸드레버의 수동조작도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5) 또 전체의 구성도 간단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다고 하는 실용적 효과도 크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인자기 본체(1)에 부착된 핸드레버(8)을 수동 조작하여, 이 핸드레버(8)에 설치된 인자기(17)에 의하여 인자하는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 상기 인자기본체(1)와 상시 핸드레버(8)의 어느 한쪽의 부재에 설치된 탄성결합부재(31)와 상기 다른쪽의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재(31)가 정지와 이탈을 자유로 하는 정지계단부(2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자기(17)는 상기 탄성결합부재(31)가 상기정지계단부(26)에 정지되었을 때, 그 인자압이 완충되고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재(31)가 상기 정지계단부(26)를 타고 넘었을때 인자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인자기(1)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KR7800701A 1978-03-15 1978-03-15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KR820001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701A KR820001814B1 (ko) 1978-03-15 1978-03-15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701A KR820001814B1 (ko) 1978-03-15 1978-03-15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814B1 true KR820001814B1 (ko) 1982-10-12

Family

ID=1920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701A KR820001814B1 (ko) 1978-03-15 1978-03-15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8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0172A (en) Apparatus for feeding and attaching labels
US4134695A (en) Printer carriage
JPS6054186B2 (ja) 印字装置
JP2782728B2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KR820001814B1 (ko)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JPS5918235B2 (ja) ハンドラベラ−における印刷時の定圧機構
US5136937A (en) Printing device
GB1592369A (en) Imprinting devices
GB1239969A (en) Type lever drive for power-driven typewriter or like machines
EP0741024A3 (de) Vorrichtung zum An- und Abstellen von Walzen
AU584829B2 (en) Hand labeling device
US6311753B1 (en) Label printing-and-applying device
DE3869454D1 (de) Handetikettiergeraet.
KR820001813B1 (ko) 수동식 인자기에 있어서의 인자압 완충기구
CA1109330A (en) Apparatus for printing and dispensing labels
KR820002148Y1 (ko) 핸드레이블러등에 있어서의 정압인쇄기구
JPS584683Y2 (ja) 印字ヘッド位置調節装置
US4201134A (en) Printing pressure damping mechanism for hand labeler
JPS6033008Y2 (ja) 印刷機版胴ドラム固定装置
JPS5924534Y2 (ja) 開閉機構
JPS61209180A (ja) 印字装置の用紙押え機構
JP2687686B2 (ja) ラベル貼付器
JPH0420614Y2 (ko)
KR890005991Y1 (ko) 펜식 기록 장치
KR820001816B1 (ko) 핸드레이블러등에 있어서의 정압인쇄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