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58B1 - 인-라인식 재료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인-라인식 재료처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1758B1 KR820001758B1 KR7902062A KR790002062A KR820001758B1 KR 820001758 B1 KR820001758 B1 KR 820001758B1 KR 7902062 A KR7902062 A KR 7902062A KR 790002062 A KR790002062 A KR 790002062A KR 820001758 B1 KR820001758 B1 KR 8200017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water
- burning
- tank
- water t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식 재료 처리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워터 테이블(water table)을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분을 절단한 제1도의 시스템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Ⅲ-Ⅲ에 따른 확대 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Ⅳ-Ⅳ에 따른 확대 횡단면도.
제5도는 제2 콘베이어 장치의 상류단부의 확대 측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선 Ⅵ-Ⅵ에 따른 물-보유 탱크의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워터 테이블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3도에 도시한 단면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예의 단면도.
본 발명은 재료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의 처리 장소로부터 다른 처리장소까지, 특히 버닝(burning)에 의하여 처리되는 재료를 재료 처리장소까지 운반하기 위한 인-라인장치(in-line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에는 처리시에 생기는 공기오염을 실제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물위에서 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가 결합되어 있다.
예컨대 금속판과 같은 재료를 절단하기 위하여 종래에 사용된 버닝 공정은 절단중에 상당한 오염을 발생시켰다. 최근에, 워터 테이블(water table)이 개발되었으며, 이것을 버닝기계 아래 설치하여 찌꺼기 및 쓰레기를 물속에 모아 배수시킨 결과 오염물질의 농도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이들 워터 테이블중 몇개는 쓰레기를 물속에 모아 배수시킨 결과 오염물질의 농도가 상당히 감소되었다. 이들 워터 테이블중 몇개는 소위 "에어-오버-워터(air-over-water)"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이 원리에서는 워터 테이블내의 물의 높이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공기가 사용되기 때문에 처리된 다음에 연속처리될 재료 가까이의 지점까지 물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물의 높이를 버닝 영역에 접근하도록 저하시킬 수 있다. 오늘날 환경 보호에 대한 중요성 때문에 절단 장치와 관련하여 워터 테이블과 같은 장치의 사용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재료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버닝기계와 같은 고가의 기계를 고도로 이용하기 위하여 하나의 처리장소로부터 다른 처리장소까지 재료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사실상 중단없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장치가 고가이고 또 이용할 수 있는 기계장치의 바닥공간이 넓음을 비추어 볼때 필요한 버닝장치만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재료 처리장치의 목적은 최다의 재료가 최소의 시간에 처리되도록 재료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있음을 인식하여야만 한다.
이전에는 비록 여러개의 콘베이어를 정렬시켜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워터 테이블을 가진 인-라인장치에 그와 같은 콘베이어 장치를 하나 이상 결합시킨 적이 없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처리장소, 예컨대 적재 장소로 부터 다른 처리장소, 예컨대 버닝 및/또는 하역장소까지 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인-라인식 재료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는 끝에서 끝까지 정렬된 콘베이어 장치 형태인 운반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즉 적재 콘베이어 장치는 재료를 처리장소, 예컨대 버닝장소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곳에서 재료는 통상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제어되는 토오치(torch)에 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된다. 버닝 장소는 예컨대 통상의 "브라자(bridge)"형 구조의 버닝기계 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버닝기계는 버닝작업중에 재료를 지지하고 또 장치로 부터 재료를 하역하기 위한 제2콘베이어장치의 단부위와 중간에 뻗어 있다. 제2콘베이어 장치는 버닝장치 아래 위치한 물-보유탱크를 포함하고 있는 워터 테이블 형태인 오염방지 장치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장치에서 사용되는 워터 테이블의 바람직한 형태는 탱크내의 물의 높이를 상승시키거나 저하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형태의 워터 테이블에서 물-보유탱크는 그의 지지장치 및 버닝 장치에 대하여 상승 또는 저하된다. 물-보유탱크를 통하여 제2콘베이어 장치를 통과시키고 또 탱크내의 물의 높이를 처리될 작업물의 밑바닥 가까이의 높이까지 제2콘베이어 장치의 평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탱크의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적당하고 신규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절단중에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측부 버닝 바아(burning bar)를 지니고, 또 물-보유탱크의 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안의 길이를 따라 적절하게 간격을 둔 특수 링크 즉 변이 링크를 가진 무단체인(endless chain)을 사용하는 제2콘베이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외에, 체인에는 다수의 가아더(guard) 즉 수집 요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집요소는 찌꺼기나 쓰레기가 체인링크의 공간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여 콘베이어 장치의 작업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절단중에 재료를 지지하고 또 재료를 하역하기 위한 제2콘베이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체인 속에 떨어지는 찌꺼기나 쓰레기에 의한 콘베이어의 고장이 회피된다. 더우기 처리된 재료를 하역하기 위한 제2콘베이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콘베이어 위의 찌꺼기나 쓰레기가 버닝 장소로 부터 콘베이어의 단부까지 멀리 운반되어 폐기물 용기와 같은 처분장치, 바닥의 채널, 또는 기계적으로 제거되는 기타 처분장치나 영역속으로 직접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식 재료 처리장치는 조작자의 편의 및 안전을 위하여 하역 영역에 실제로 물이 없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인-라인 장치는 고가의 버닝장치를 약 85-90% 능력까지 이용 가능하므로 절단 재료의 생산이 매우 높게 유지된다.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6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식 판 처리장치는 제1적재 콘베이어 장치(10) 및 제2판지지 또는 하역 콘베이어장치(12)를 지닌다. 콘베이어 장치는 판(14)(점선으로 도시됨)과 같은 재료가 제1콘베이어 장치(10)에 적재되어 화살표(A)방향으로 토오치(torch)(20)를 지지하는 이동성 브리지 비임(beam)(18)을 가진 통상의 버닝 장치(16) 아래의 제2콘베이어 장치(12)의 단부까지 운반된다. 버닝이 완성된 후에, 버닝된 판은 콘베이어 장치로 부터 하역되는 제2콘베이어 장치의 반대편 즉 하류단부까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버닝작업중에 생긴 부스러기는 부스러기 하역 장소까지 버닝된 판과 함께 화살표(A)방향으로 운반되는데, 상술한 하역장소에서 부스러기는 제2콘베이어 장치의 하류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폐기물 용기(22)속으로 들어간다.
제1콘베이어 장치(1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측부 비임(26)를 지지하는 수직부재(24)를 가진 구조물에 설치된 강력 로울러 콘베이어가 바람직하다. 측부 로울러(28)는 박스(30)에 저어널 되어있으며 스풀(spool) 또는 스프로켓(32)을 통하여 구동된다. 제1콘베이어 장치는 오버헤드 크레인이나 이와 유사한 장치에 의하여 판(14)과 같은 재료를 적당히 적재한다. 판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적재될 수 있다. 적재 후, 판을 종방향 콘베이어 장치(10, 12)의 중심선과 적절히 배치시키므로서 판이 막히는 일이 없이 콘베이어 장치를 따라 전진하도록 할 수 있다. 최초의 배치는 안내장치로서 통상의 고정 정지부(34)를 사용함으로서 크레인이나 이와 유사한 기구의 조작자에 의하여 성취되는 반면에, 최종 재치는 콘베이어장치(10)에 일체로 설치된 공기장치(36)를 사용함으로서 달성된다. 콘베이어(1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기 기어모터(38) 형태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 기어 모터(38)는 연속 로울러 체인(40)을 통하여 각각의 로울러(28)에 연결되어 있다.
제2콘베이어 장치(12)는 전기 기어 모터(46)형태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링크(44)로 형성된 다수의 연속체인(42)를 스프로켓(48, 50, 52)위에 지니고 있으며, 스프로켓(48, 50, 52)은 콘베이어 장치의 맞은 편 단부에서 수직 부재(54)를 지니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부재(54)는 종방향 비임(56)과 측부 비임(58)를 지지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재료 지지요소 즉 버닝바아(60)가 각각의 체인(42)의 각각의 링크(44)에 측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버닝바아는 용접에 의하여 또는 브래키트(62)에 의하여 체인의 링크(44)에 장착된 가아더요소(64)에 고정되어 있다. 가아더요소는 한쌍의 수직 다리부(66, 68) 및 앞으로 뻗어있는 다리부(70)를 가진 채널부재 형태로서, 다리부(70)는 상술한 가아더 요소의 다리부(66)위에 걸친다. 따라서 가아더 요소는 버닝 작업중에 생긴 슬래그(slag)를 수집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콘베이어가 장치의 하류단부까지 전진할 때 찌꺼기 또는 작은 부스러기 형태인 슬래그를 폐기물 용기(22) 또는 이와 유사한 처분 장치나 수집장치속으로 떨어뜨린다. 콘베이어 당 최소한 두 개의 체인이 있으며, 각각의 측부에 하나가 있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체인(42)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콘베이어 장치(12)는 버닝 작업중에 판(14)를 지지하는 콘베이어로서 또는 하역 콘베이어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에 존재할지도 모를 틈새가 제거된다. 그와 같은 틈새는 작은 부스러기가 체인속에 떨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슬래그 수집 또는 가아더요소(64)의 존재여하에 관계없이 콘베이어에 고장이 일어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2콘베이어 장치의 콘베이어 체인(42)에는 최소한 두 개, 바람직하기로는 다수의 n형태의 링크(72)(이하 변이링크라칭함)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변이링크(transition link)는 워터 테이블(76)의 양단부에서 밀봉장치(74)를 수용하도록 적당한 거리로 체인을 따라 격리되어 있으며, 워터 테이블(76)은 콘베이어 장치(12)의 상류 단부에 인접하고 또 버닝장치(16)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변이링크는 체인(42)에 대한 총 장력하중을 견디어 내며 또 밀봉장치(74)의 일부를 걸치도록 설계되어 있다.
워터 테이블(76)은 내부챔버(80)를 가진 물-보유탱크(78)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 챔버(80)는 도시한바와 같이 단부벽(82), 측벽(84), 상부벽(86) 및 탱크(78)를 가진 공통 저부벽(88)을 포함하고 있다. 가스(예컨대 공기)는 챔버(80)내의 물 위로 인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으며, 챔버(80)의 측부벽에 있는 구멍(90)을 통하여 탱크의 밸런스와 불안정하게 연통하여 상부 높이(92)와 저부 높이(94)사이로 탱크의 물 높이를 상승시키거나 저하시킨다. 상부 높이는 콘베이어 체인(42)위에 있으나 버닝바아(60)의 상부의 약간 아래에 있다. 저부 물 높이는 콘베이어 장치(12)가 전진할때 물속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콘베이어 체인 아래에 있다. 물 높이를 상승시키거나 저하시키는 장치 및 방법은 널리 공지된 "에어-오버-워터(air-over-water)"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인-라인 장치의 작업과 관련한 것을 제외하고 더 이상 기술하지 않고자 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은 버닝장소에서 워터 테이블(76)을 통하여 버닝 기계(16)아래로 제2콘베이어장치(12)를 이동시키는 장치에 있다. 물론, 체인이 복귀하도록 하기 위하여 탱크(78)의 아래와 기계장치 바닥위에 충분한 간격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베어 장치(12)는 상부, 즉 전진 주행부가 버닝장치 아래의 평면에서 유지되도록 각각의 측부 및 로울러(98)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콘베이어 장치의 저부 즉 복귀 주행부는 외부 로울러(100)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로울러(100)는 수직 지지부재(54)에 용점된 L-형 플랜지(102)를 따라 이동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보유탱크(78)의 양쪽단부(이하 인입단부(104)와 배출단부(106)라 칭함)는 유사하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오직 하나의 단부 즉 인입 단부만 상세히 기술하겠다. 특히 제4, 5 및 6도에서, 탱크의 인입단부(104)는, 수직벽도 또한 사용할 수 있으나, 경사진 단벽부(108)를 포함하고 있는데, 단벽부(108)은 그의 수직모서리와 저부 모서리를 따라 탱크의 측벽부(110) 및 저벽부(88)에 용접되어 있다. 사실상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112)(이것은 콘베이어 장치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형상일수도 있다)가 콘베이어 장치(12)의 폭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폭을 가진 탱크의 단부벽(108)의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해 있다. 그러나 개구의 폭은 밀봉장치(74)에 의하여 수행된 밀봉이 액체, 즉 물에 대하여 개구(112)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탱크의 모서리와 개구(112)의 수직 모서리 사이에 벽부분(114)을 제공하기 위하여 탱크의 전체 폭보다 적다.
밀봉장치(74)는 개구(112)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것이어야만 한다. 도면중에서 특히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람직한 밀봉장치는 브래키트(118) 및 개구(112)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개구(112)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진 직사각형 평면부재(120)를 포함하고 있다. 밀봉재료, 즉 가스켓물질(122)(예컨대 세포상 고무)이 부재(12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장치(74)가 제5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놓일 때 가스켓재료(122)는 이중 작동 실린더(124)에 의하여 가압되어 벽부분(114) 및 인입 단부벽(108)의 다른 부분을 결합시켜 유체 유동에 대항하여 탱크의 단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 밀봉장치는 탱크의 저부 가까이에 위치한 다른 이중 작동 실린더 즉 실린더(126)의 작동에 의하여 이탈된다. 실린더(126)의 실린더 봉이 수축되면 브래키트(118)에 부착된 캠 아암을 부재(128)위에 끌어들이고, 밀봉장치를 제5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벽이 체인 콘베이어 장치(1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12)와 사실상 유사한 개구를 가지고 있는 탱크(78)의 배출 단부에 유사한 밀봉 장치(13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의 맞은 편단부에 이와 같은 밀봉 장치를 설치하므로써, 밀봉장치가 결합될 때 콘베이어 장치가 역장하는 개구의 저부 모서리(134)위로 탱크내의 물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밀봉장치가 이탈될 수 있도록 개구 아래로 물 높이를 저하시킬 수 있다. 밀봉장치가 이탈되면, 콘베이어 장치를 전진시켜 그 위에서 판을 하나의 처리장소로 부터 다른 처리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밀봉장치가 탱크(78)의 단부에 대항하여 결합하면, 물 높이를 콘베이어 체인 및 버닝바아위에 지지된 판위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판의 상부는 버닝 작업으로 부터의 찌꺼기나 쓰레기가 버닝 작업중에 급냉될 수 있도록 물 높이 위로 약간 뻗어나오며, 판에 부여된 열 안정성을 절단중에 증가시켜 준다. 판의 증가된 열 안정성은 절단시 판에 대한 크기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준다.
워터 테이블(76)의 인입 및 배출 단부에 대하여 밀봉장치를 결합 및 이탈시키기 위하여, 독특한 변이 링크(72)를 설비하였다. 각각의 변이 링크(72)는 근본적으로 ∩-형 링크구조로서, ∩-형 다리부(136)는 공지 방법으로 볼트, 리벳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장치에 의하여 통상의 체인링크(44)에 연결된다. 링크의 모든 크기는 ∩-형 다리부 사이에 설치된 내부 개구가 탱크의 인입 및 배출 단부로 부터 밀봉 장치가 결합 및 이탈되는데 방해됨이 없이 상술한 형상속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체인 링크와 다리부의 연결 거리는 스프로켓(48, 50, 52)의 원주의 1/4보다 적어야만 한다. 변이 링크는 강철(steel)과 같은 바람직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변이 링크는 콘베이어가 절단하기 위한 위치에서 멈출때 한 셋트의 변이 링크는 탱크의 배출 단부에서 밀봉 장치위에 놓이고, 다른 셋트의 변이 링크는 탱크의 인입단부에서 밀봉장치위에 놓이는 방식으로 각각의 체인을 따라 체인의 수에 의존하여 셋트로 놓여진다. 변이 링크는 체인 콘베이어 둘레에 동일한 간격으로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에는 지지용 구조물, 워터 테이블(76') 및 콘베이어 장치(12')의 변형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용 구조물은 플랜지(138)를 가진 수직 부재(54')를 포함하고 있으며 횡단부재(140)는 플랜지(138)로 부터 현수되어 있고, 콘베이어 체인(42')은 횡단부재(140)위로 이동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체인은 버닝 바아(60') 및 수집요소(64')를 운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 테이블(76')내의 물 높이가 가스, 즉 공기를 인입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변경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량의 물 높이를 가진 전체 물-보유탱크(78')는 탱크의 4모퉁이 각각에 위치한 유압잭(142)과 같은 장치에 의하여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다른 것은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은 장치이다.
시스템 제어의 바람직한 형태는 버닝 작업을 시간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버닝장소 근처 의영역에 위치한 제어 콘소울을 사용함으로서 작동되는 전기 작동제어 형태이다. 작동은 판 즉 재료가 제1콘베이어 장치에 적절히 위치하여 배향되고 또 완성된 부분의 하역 장소에서 달성된 후에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컴퓨터 제어될 산 있다. 공지된 전기적 연결 장치는 장치의 기능을 적절히 하여주고, 손상을 회피하여주며, 또 조작자의 안전을 보장하여 주는데 이용된다. 연결 장치 사이에서 하역 콘베이어에 판 재향을 적절히 하여주고, 워터 테이블 보유탱크에 물 높이를 적절히 하여주며, 보유탱크의 단부벽과 결합하거나 분리되는 밀봉장치의 위치에 적절히 하여주며, 또 새로운 재료를 위하여 하역 콘베이어 장치의 접근을 적절히 하여 주는 연결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장치의 모든 기능은 본 장치가 수동 형태인 경우 비록 전기 연결장치가 안전을 위하여 제공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쓰레기 따위를 내버리기 위하여 사용되고 이용될 수도 있도록 차륜에 장착된 이동성 폐기물 용기가 버닝 작업중에 생긴 슬래기, 찌꺼기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경제적으로 유용함을 고려해 볼때, 기타 장치의 폐기물 제거장치는 명백히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이들은 바닥 채널과 폐기부 자동 운반장치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금속판과 같은 평판 재료의 처리에 있어, 인-라인식 재료 처리장치의 작동은 매우 능률적이다. 처리될 판은 먼저 오버헤드 크레인등에 의하여 제1콘베이어 장치에 적재되어 버닝장소까지 연속 운반되기 위하여 적절히 놓인다. 운반되기 전에 버닝 토오치는 그의 최상단 위치에 놓이고, 워터 테이블 내의 물 높이는 기정된 낮은 위치까지 강하하고, 적절한 위치에서 변이 링크와 함께 워터 테이블 단부 밀봉 장치를 걸터 앉으며, 워터 테이블 밀봉장치는 수축된다.
원격 제어에 의하여, 조작자는 판을 적재 콘베이어 위에 적진시키는 콘베이어 장치(10)용 콘베이어 구동장치를 결합시킨다. 판이 워터 테이블의 인입단부와 제2콘베이어 장치 변이 링크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리미트 스위치는 제2 즉, 판지지용 콘베이어가 버닝기계 아래의 위치로 판을 운반하는 적재 콘베이어와 같은 속도로 전진된다. 판이 적재 콘베이어 장치를 떠나면 콘베이어 장치는 작동을 멈춘다. 판 지지용 콘베이어 장치는 변이 링크가 워터 테이블의, 배출 단부에 접근하여 각각의 링크가 상류 밀봉 장치를 걸터 앉는 소기의 적당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 전진한다. 이 지점에서, 콘베이어 장치의 속도는 예정된 정지위치를 예견하여 두 개의 속도 콘베이어 모터를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원래 속도의 약 V3까지 자동적으로 감소된다. 예정된 정지 위치에서, 변이 링크와 밀봉장치는 워터 테이블의 단부에 대항하여 결합 및 밀봉시키기 위하여 변이 링크내에 장착된 밀봉 장치와 정확하고 적절하게 결합하여야 한다.
워터 테이블 밀봉 장치는 결합되고, 밀봉 장치는 워터 테이블의 물-보유탱크의 단부에 대하여 안치된다. 탱크내의 물위로 공기를 주입하므로서, 물 높이는 금속이 버닝되기에 적당한 높이까지 콘베이어 체인의 상부위의 예정된 높은 높이까지 상승된다. 이것은 판을 모두 침수시킨다. 워터 테이블을 그의 높은 위치로 잭으로 들어 올림으로서 동일한 결과가 제7도의 변형실시 예에서 얻어질 수 있다.
그 다음 판의 버닝은 통상 방법으로 진행된다.
버닝이 진행되는 동안 새로운 재료가 제1콘베이어 장치 위에 놓여진다. 버닝이 종료된 후, 탱크(즉 제7도 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탱크)내의 물 높이는 콘베이어 체인 링크 아래의 예정된 낮은 위치까지 저하되고 밀봉장치는 수축된다. 그 다음 콘베이어는 자동적으로 전진되어 하역 장소까지 버닝된 재료를 운반하고 버닝장소로 새로운 재료를 운반한다. 버닝중에 생긴 찌꺼기 및 쓰레기는 제2콘베이어장치에 의하여 폐기물 용기에 처분되고 절단된 부분 및 대형 조각은 자석, 진공 또는 수동에 의하여 하역 된다.
상술한 바로 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작업은 연속적이며, 워터 테이블의 물 높이의 변경 및 밀봉장치의 수축과 결합중에만 중단이 일어날 뿐이다.
본 장치를 이용한 재료의 생산은 적재 콘베이어 위에 미절단된 판을 적절히 위치시키는 때로 부터 하역 콘베이어 장치로 부터 반-가공판의 제거시까지 외부에서 처리하지 않고 80-90%정도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매우 두꺼운 게이지의 판을 처리하기 위한 통상의 로울러 콘베이어 테이블 및 버닝후에 반-가공 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통상의 처리장치 예컨대 판을 쌓고, 판을 하역 시키기 위한 장치를 결합시킬 수 있는데 예컨데 이와 같은 테이블은 워터 테이블의 양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판을 수송하기 위한 차량이나 이와 유사한 장치가 본 장치와 관련하여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
-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를 지지하는 콘베이어 장치(12)와 콘베이어 장치(12)에 재료를 운반하는 콘베이어 장치(10) 및 처리장소에 워터 테이블(76)을 지니고 상기 워터 테이블(76)이 탱크속의 물 높이를 변경시키는 장치를 지니는 장치에 있어서, 워터 테이블(76)이 수직 측벽(84)및 단부벽(82)과 콘베이어 장치(12)가 탱크를 통과하게 하는 마주 보는 단부벽(82)의 개구(112)를 지니는 탱크(78)를 지니고 물 높이가 상기 개구(112) 아래에 있을 때 콘베이어 장치(12)가 워터 테이블(76)을 통하여 전진하도록 개구를 밀봉하는 장치(74)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재료를 처리 장소로 운반하는 인라인식 재료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2062A KR820001758B1 (ko) | 1979-06-25 | 1979-06-25 | 인-라인식 재료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2062A KR820001758B1 (ko) | 1979-06-25 | 1979-06-25 | 인-라인식 재료처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1758B1 true KR820001758B1 (ko) | 1982-09-30 |
Family
ID=1921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902062A KR820001758B1 (ko) | 1979-06-25 | 1979-06-25 | 인-라인식 재료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1758B1 (ko) |
-
1979
- 1979-06-25 KR KR7902062A patent/KR820001758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20318A (en) | In-line material handling system | |
US2228887A (en) | Stacker and unloader | |
US3793916A (en) | Feedback conveyor system | |
US3917078A (en) | Elongate-material transport system | |
KR820001758B1 (ko) | 인-라인식 재료처리 장치 | |
US6126890A (en) | In-line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pallet baskets | |
US447564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lumber | |
US4010843A (en) | Device for transferring a load from one conveyor to a second conveyor | |
CA1194762A (en) | Apparatus for cutting to length and stacking elongated goods | |
US2901128A (en) | Case stacker | |
CA1044593A (en) | Torch cutting system with automated work support mechanism | |
CN218663655U (zh) | 一种过滤器自动上料装置 | |
EP0047294B1 (en) | Water table with low profile conveyor system | |
US3583582A (en) | Bucket type barge unloader | |
US4126236A (en) | Backstacking apparatus | |
CN113479564B (zh) | 激光切割的原材料输送设备 | |
IE32728L (en) | Semi-automatic pallet loading device | |
US3303920A (en) | Product handling apparatus | |
US3640233A (en) | Incinerator shiftable closure gate | |
CN114433606B (zh) | 一种危废物桶的送料装置 | |
KR910007521B1 (ko) | 타이어 자동 출하 시스템 | |
CN216105181U (zh) | 自动替换栈板横出纸垛输送机构 | |
CN114834828B (zh) | 一种除焦系统用刮板式输送机 | |
CN217261217U (zh) | 一种冻肉的拆包生产设备 | |
CN116902521A (zh) | 一种轴承毛坯件继续加工设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