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09Y1 -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09Y1
KR820001709Y1 KR2019810001161U KR810001161U KR820001709Y1 KR 820001709 Y1 KR820001709 Y1 KR 820001709Y1 KR 2019810001161 U KR2019810001161 U KR 2019810001161U KR 810001161 U KR810001161 U KR 810001161U KR 820001709 Y1 KR820001709 Y1 KR 820001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ductor
hot water
electric heating
he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1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효
이태열
Original Assignee
이승효
이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효, 이태열 filed Critical 이승효
Priority to KR2019810001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실시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요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제1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본 고안은 사용전원 AC110 또는 220V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물을 가온시키는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전기에 의해 온수를 얻는 장치가 있었으나, 이는 주로 회전식이거나, 히타 장치로 물을 가열한 것으로 전기 소모가 대단히 크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이 많고, 다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가온시킬 수 없어, 난방장치나, 기타 가열 면적이 큰 것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 특히 전기 소모가 적은 것으로, 도체로 된 원통관 형인 2개의 환극(環極)을 형성하여, 내측과 외측으로 설하되, 내측 환극의 내주연에는 부도체의 고무재를 착설하여 그 중앙에 도체의 금속봉을 설하고, 그 상하부를 역시 도체인 횡간으로 외측 환극에 착설시킨 다음, 상기한 두 환극에 각각 전원단자를 접속시킨 것이다. 두 환극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있어, 전원 단자에 전압을 인가해도 일반적으로 공기는 부도체이므로, 하나의 개회로(開回路)로서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 그러나 물(水)은 하나의 도체이므로, 상기한 두 환극 사이로 물을 주입시키면 물은 도체로서 하나의 저항체 역할을 하게 되므로, 폐회로(閉回路)를 구성시킴으로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 전류는 물의 저항에 작용하여 주울열(Joule heat)로서 물을 가열시키게 되는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조와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출관(1)과 순환관(2)으로 형성된 연결관(3) 중앙에 도체인 원통관 형의 외측환극(4)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내측환극(6)을 설하고, 그 내주연에 부도체인 "+"자형 고무재(5)를 착설하여, 그 중앙에는 도체인 금속봉(7)을 설하되, 그 상하부를 역시 도체인 횡간(8)(8')으로 외측환극(4)에 착설시킨 다음, 상기한 두 환극(4)(6)에 각각 전류선(10)(10')을 접속시킨 구조로, 미설명 부호9는 부도체의 고무환, 11은 배관, 12는 급수관, 12'는 배기관, 13은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상용전원(Ac1100/220V)측의 스위치(13)를 "ON"시키면 전류선(10)(10')이 접속된 외측환극(4)과 내측환극(6)은 하나의 전극(電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급수관(12)으로 물을 주입시키면 물은 배관(11)을 거쳐 순환관(2)을 통해 연결관(13)에 형성된 전극의 외측환극(4)과 내측환극(6) 사이로 흐르게 된다. 물은 저항을 가진 하나의 모체 역할을 하여 하나의 폐회로를 구성시킴으로서, 전류가 도통하게 된다. 따라서 주울의 법칙(Joule's law)에 따라서 물의 저항에 소비되는 에너지 I2R(I는 전류 R은 물의 저항)는 열(熱)로서 작용하므로, 이 열에 의해 상기한 두환극(4)(6) 사이로 흐르는 물이 가열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열된 온수는 유출관(1)을 통하여 다시 난방용 배관(11)을 순환하게 되는데, 이렇게물은 수차례 순환하면서 지속적으로 가열되는 것이다.
그리고 만일 급수 사정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급수가 안되면 상기한 두 환극(4)(6) 사이에는 물이 흐르지 않으므로, 회로가 끊어지는 결과가 되어 전력의 낭비를 막아주게 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도체인 외측환극(4)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내측환극(6)을 설하고, 그 내주연에 부도체인 "+"자형 고무재(5)를 착설하여 그 중앙부에 도체인 금속봉(7)을 설하되, 그 상하부를 역시 도체인 횡간(8)(8')으로 외측환극(4)에 착설시킨 다음, 상기한 두 환극(4)(6)에 각각 전류선(10)(10')을 접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KR2019810001161U 1981-02-20 1981-02-20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KR820001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161U KR820001709Y1 (ko) 1981-02-20 1981-02-20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161U KR820001709Y1 (ko) 1981-02-20 1981-02-20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09Y1 true KR820001709Y1 (ko) 1982-08-12

Family

ID=1922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1161U KR820001709Y1 (ko) 1981-02-20 1981-02-20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786897T2 (de) Elektrische Heizgeräte.
DE3382551D1 (de) Verbinder mit schmelzeinsatz und innerer temperatursteuerung.
BE901415A (fr) Appareil de chauffage pour postes de chauffage par rayonnement chauffes par energie electrique.
DK161296C (da) Apparat til opvarmning af et elektrisk ledende stroembart medium
ES2050912T3 (es) Instalacion para el abastecimiento de energia de un cristal de calefaccion desde la red de a bordo de un vehiculo.
KR820001709Y1 (ko) 전기 가열식 온수장치
US49720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current drain on the sacrificial anode in a water heater
US1553491A (en) Electrical water heater
DE8426533U1 (de) Elektrischer Heißwasserbereiter
GB2012944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Heating Installation and a Valve Therefor
ES296378Y (es) Convector con resistencia electrica de calentamiento.
RU25582U1 (ru) Канальны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воздуха
US1618761A (en) Heater
RU3074U1 (ru) Электрод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US2032210A (en) Instantaneous electrical water heater
JPH0837994A (ja) 鑑賞魚用温度調節装置
SU752820A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нагреватель токопровод щей жидкости
FR2252722A1 (en) Electric water heater operating on low tariff - manual booster switch used outside tariff period
KR100517681B1 (ko) 전기가열기
JPS5565370A (en) Outside power source type electric anticorrosion apparatus
RU3809U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GB54783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water heaters
JPS54160985A (en) Temperature controller of positive resistanc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ing unit
JPS6417388A (en) Heat treatment device for substrate
JPS56107967A (en) Control device for preheating 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