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548B1 - 응력부식결함을 방지토록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 Google Patents

응력부식결함을 방지토록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548B1
KR820001548B1 KR7901751A KR790001751A KR820001548B1 KR 820001548 B1 KR820001548 B1 KR 820001548B1 KR 7901751 A KR7901751 A KR 7901751A KR 790001751 A KR790001751 A KR 790001751A KR 820001548 B1 KR820001548 B1 KR 820001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steel
austenitic stainless
austenitic
dissimi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죤 존슨 마크
죠셒 파브릭 파울
애담스루라 레머스
Original Assignee
알. 씨. 로스
알레니 루드럼 스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로스, 알레니 루드럼 스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알. 씨. 로스
Priority to KR790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5/00Other methods of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응력부식결함을 방지토록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본 발명은 응력부식결함을 촉진시키는 조건하의 환경에서 실용키에 적당토록 개선 처리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관한 것이다.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은 응력부식결함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그의 사용은 그와 같은 결과를 유발하는 여러 조건에 노출되지 않는 환경속에서 사용하도록 한정되어 있다.
응력부식결함을 유발하기 쉬운 환경에 있어서는 설계 기술자들은 고닉켈합금강 또는 신형의 400계열의 스텐레스강에 의존했다. 그러나 이들 대체할 재료로서의 양자는 어느 것이나 결점이 있다. 닉켈합금강은 고가이며, 400계열의 스텐레스강은 일반적으로 성형 및 용접이 곤란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응력부식결함이 문제되는 환경에서 가공이나 용접도 가능한 개량처리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이 제공된다.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은 그 일부를 이러한 부식성 환경에서는 오오스테나이트강보다는 내성이 낮은 다른 스테인레스강으로 피복접착시킴으로서 응력부식결함으로부터 보호된다.
설계 기술자들은 타종의 금속으로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일부를 피복 접착시킴으로서 이러한 스테인레스강의 응력부식결함으로부터 보호를 꾀했다. 미국특허제3084742호 및 동3378359호는 각기 스테인레스강을 보호하는데 탄소강과 알루미늄이 사용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하나의 스테인레스강이 다른 스테인레스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법을 기술하지는 않았다.
다른 특허 즉 미국특허 제3830720호는 스테인레스강의 심(芯)과 알루미늄을 피복물로 구성된 소모양극을 기술하였다. 전기한 스테인레스강은 접합 피복된 스테인레스강과는 화학적으로 동일한 성분의 것이지만 이 방법은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이 다른 스테인레스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법은 기술하지 않았다. 전기한 미국 특허 제3378359호의 경우와 똑같이 알루미늄이 소모성(消耗性)금속으로 되어있다.
기타 전기 반응에 관한 인용에는 많이 존재한다. 이들에는 미국특허 제1613461호, 제2303778호, 제2619455호, 제3616419호 및 제3830634호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것이나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보호를 위하여 이종(異種)의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 이중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소모금속의 수명을 연장하여 오염적으로 작용하는 부식 생성물의 량을 절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사하지 않은 스테인레스강은 응력부식결함을 촉진하는 조건하의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응력부식 결함을 일으키는 조건하의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당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방법은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 기저물을 준비하고 이 기저물의 일면을 부식환경에서 오오스테나이트스테인레스강보다 부식성이 낮은 이종 스테인레스강으로 피복접합시키는 단계들로 구성되었다.
부식환경은 일반적으로 염화물이 함유된 환경이고 또한 이것은 황화물함유 환경이거나 알카리성 환경인 경우도 있다. 전기한 이종 스테인레스강의 선택은 이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이 노출되는 환경이 어떻게 결정되는 가에 있다.
이종 스테인레스강은 용접, 압접, 리베팅 및 도포(spraying)등을 포함하는 여러 방법으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접합시키면 된다. 양자의 강(鋼)은 밀접한 전기적 접촉을 만들도록 접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품은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기저층과 여기에 접합된 이종 스테인레스강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종 스테인레스강이 기저층의 일표면 또는 양면을 접합 피복하는 것이다. 특별한 이종 스테인레스강으로는 A. I. S. I. 의 제409형 및 439형의 스테인레스강이 있다. 이 재료는 온수조 및 열교환기와 같은 여러가지 용기로서 형성되고 용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바꿀 수 있는 상기한 이종 스테인레스강은 제작중이나 제작후에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접합시킬 수도 있다. 이종 스테인레스강은 이러한 끝손질된 용기 내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 수개의 상태를 예시한다.
25㎜×150㎜의 A. I. S. I 제304형 스테인레스강대(鋼帶)를 U자상으로 구부린 시험편(試驗片)을 만들고 이것은 비등하는 MgCL2용액속으로 침치시켰다. 이 시험편은 4시간이내에 결함이 발생했다.
상기 A. I. S. I 제304형 스테인레스강과 똑같은 시험편의 다시 3개 만들어서 V자형으로 구부러져 비등하는 42%의 NgCl2용액속으로 침지시켰다. 상기시험편의 하나는 그 양단이 벗어지지 않도록 이를 억류하는 볼트 바로 윗쪽에 25㎜×25㎜의 A. I. S. I 제409형 스테인레스강이 점 용접되어 있다.
다른 두 시험편에는 A. I. S. I 제840형 스테인레스강과 똑같은 시험편이 상기 억류볼트의 바로 아래쪽의 다리위에 점용접되었다. 시험 개시로부터 840시간뒤 어떤 시험편에도 결함이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409형 스테인레스강이 304형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 응력 부식결함에 대한 현저한 보호효과를 준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Claims (1)

  1. 응력부식결함을 촉진하는 환경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토록 개량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있어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일면에 부식환경하에서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보다 부식성이 낮은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 피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강판.
KR7901751A 1979-05-29 1979-05-29 응력부식결함을 방지토록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KR820001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751A KR820001548B1 (ko) 1979-05-29 1979-05-29 응력부식결함을 방지토록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751A KR820001548B1 (ko) 1979-05-29 1979-05-29 응력부식결함을 방지토록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548B1 true KR820001548B1 (ko) 1982-08-31

Family

ID=1921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751A KR820001548B1 (ko) 1979-05-29 1979-05-29 응력부식결함을 방지토록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54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9576A (en) Welding electrode
Copson et al. Qualification of inconel for nuclear power plant applications
US2791096A (en) Protectively sheathed structure exposed to sea water
KR820001548B1 (ko) 응력부식결함을 방지토록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US2764805A (en) Duplex metal article
GB2111893A (en) Container for the long-term storage of spent nuclear reactor fuel elements
US3378359A (en) Method of protect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subject to stress corrosion
US3555236A (en) Corrosion resistant boiler tube for chemical recovery vapor generating unit
US4770315A (en) Shaped body made of a poorly weldable material
CA1138816A (en) Protecting ferritic stainless steel from crevice and pitting corrosion
KR820001547B1 (ko) 틈부식 및 점부식을 방지토록 페라이트 스테인레스강에 이종성(異種性)의 스테인레스강을 접합하여서 된 스테인레스강판
US4318966A (en) Welded structures
EP0195634B1 (en) Welding electrode
JPH09279388A (ja) 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腐食防止方法
Johnson et al. Bimetallic corrosion effects on mild steel in natural environments
Spacht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luminum and its alloys.
EP0016645A1 (en) Welded structures
CA1138815A (en) Protect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from stress corrosion cracking
JPS5928576A (ja) 応力腐食割れ防止法
Artemyev et al. About conditions of the occurrence and course of contact corrosion of metals
JPH06235692A (ja) 腐食試験における非試験部保護方法
US2172388A (en) Stainless steel
Hoeltge Corrosion and the choice of metals for cage construction
Blume et al. Flux cored surfacing on hot-dip aluminised steel sheet
Yamada Corrosion Protection of the Vacuum Brazing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