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511B1 - 절첩의자(折疊倚子) - Google Patents

절첩의자(折疊倚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511B1
KR820001511B1 KR7802185A KR780002185A KR820001511B1 KR 820001511 B1 KR820001511 B1 KR 820001511B1 KR 7802185 A KR7802185 A KR 7802185A KR 780002185 A KR780002185 A KR 780002185A KR 820001511 B1 KR820001511 B1 KR 82000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pair
section
en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에기찌 우찌다
Original Assignee
우찌다스에기찌
우찌다 사료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찌다스에기찌, 우찌다 사료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우찌다스에기찌
Priority to KR780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의자(折疊倚子)
제1도는 본 발명을 일부 절결한 사용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 절결한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일부 절결한 상태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요부 발췌도로서 제1도의 "A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
제5a, b, c도는 본 발명의 요부 작동상태로서 제5a, b도는 본 발명을 사용할 때이고 제5c도는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때이다.
제6도는 제5a도도의 B-B' 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항간의 힌지부의 일부 절결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동받이의 각도를 적의 조절하여 안락한 자세로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할 뿐만아니라 간단하게 폐각시켜 운반 및 보관이 용이 하도록 한 절첩의자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한쌍의
Figure kpo00001
자형 지지간을 "X "자형으로 교차시키고 핀으로 추착(樞着)하며,판걸이간과 매트레스(Mattress)를 부설한 좌포 취착관을 등지지간에 연결한 절첩의자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류의 절첩의자는 좌포취착관이 등지지간에 삽착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등지지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등지지간을
Figure kpo00002
형지지간에 핀 또는 볼트로 연결시켜 사용하여 왔으므로서 핀 또는 보울트에 과대한 중량부하가 걸리게 되어 각 연결부분의 핀 또는 보울트가 사용중 절손되는 사례가 발생되게 되므로서 장기 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등지지간이 장출되어 있어 별도의 장치가 없이는 절첩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대, 소인을 막론하고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횡간을
Figure kpo00003
형으로 절곡 형성하고, 등지지간을 적의 조절함에 따라서 편안한 자세로 앉거나 누울 수 있을 뿐아니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의자의 형체를 극히 적은 용적으로 폐각, 절첩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1쌍의 "
Figure kpo00004
"자형 지지간(1a)(1b)을 "X "자형으로 교차시켜 핀(2)으로 추착한 것에 있어서, 이의 전, 후측상단부(1'a),(1'b),(1"a)(1"b)를 "ㄱ"자형으로 절곡형성하고, "
Figure kpo00005
"형 지지횡간(3)의 후방연결용 단간(3')을 후측상단부(1a)(1b)에 삽치 연결함과 동시에 전측상단부(1a')(1b')에 연결용단간(4')으로 밀삽 연결한 판걸이간(4)에 핀(5)으로 고착하며, 이의 후방부에 용착된 연결구(6)를 보울트(7)로"
Figure kpo00006
"형 지지횡간(3)에 나착 고정한다.
그리고 등지지간 (8)의 각도조절용관절금구(9)에 회동지지구(10)를 핀(11)으로 회동자재하게 내설하고, "
Figure kpo00007
"형 지지횡간(3)의 추방상단에 요구(12')를 형성한 괘지구(12)에 보울트(13)로 유설하며, 일체로 형성된 좌포(14)와 배포(背布)(15)를 "
Figure kpo00008
"형 지지횡간(3)과 등지지간(8)에 삽착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부호 16,16' 는 등지지간 (8) 상단에 부착된 횡간, 17은 횡간(16)(16')을 절첩자재하도록 연결된 힌지금구, 17',17"는 힌지금구(17)의 금구편, 18은 힌지금구(17)축간, 19은 파라솔(Parasol) 걸이부, 20은 팔걸이간(4)에 부착된 팔걸이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1쌍의 "
Figure kpo00009
"자형 지지간(.1a)(1b)을 "x"자형으로 펼쳐놓은 상태로 좌포(14)에 착석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좌포 (14)는 "
Figure kpo00010
"형 지지횡간 (3)에의하여 "
Figure kpo00011
"형을 이루고 있음으로 사용자의 둔부(臀部)와 대퇴부(大腿部)의 하방부가 좌포(14)에 접한 상태로 착석하게 되어 매우 안락하게 할뿐만아니라 제2도내지 제5a,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포(15)를 부설한 등지지간 (8)의 각도를 적의 조절하므로서 편안한 자세로 앉거나 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한편, 본 발명에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의 70% 이상을 부담하는"
Figure kpo00012
"자형 지지간(1a)(1b)의 후방부는 "ㄱ"자형으로 절곡형성한 후측 상단부(1"a)(1"b)에 "
Figure kpo00013
"형 지지횡간(3)의 후단부에 돌설시킨 연결용단간(3')을 밀삽시켜 연결하여 주므로서 마치 "
Figure kpo00014
"자형 지지간 (1a)(1b)의 후측상단부(1"a)(1"b)를 일체로 연출시켜 놓은 것처럼 하였으므로 연결부분이 매우 견고한 상태를 보지(保持)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Figure kpo00015
"형 지지횡간(3) 후측상부에 용착 돌설된 괘지구(12)에 등지지간 (8)의 각도조절용 관절금구(9)를 보울트(13)로 회동자재하게 연결하며, 이의 내부에 핀(11)에 의하여 회동자재하게 내설된 회동지지구(10)의 하단부와 상전단부가 괘지구(12)의 상단부와 접함과 동시에 관절금구(9)의 내저면에 접하여 등지기간 (8)을 괘지하거나(제5a도 참조) 괘지구(12)의 요구(12')에 요삽됨과 동시에 관절금구(9)내후면에 접하여 등지지간(8)을 괘지하게 되는데 (제5b도 참조), 이때 사용자의 체중중 30%에 해당하는 중량을 핀 (11)과 보울트(13)가 나누어 부담하게 되므로서 핀 (11)과 보울트(13)에는 사용자의 체중중에서 15% 이하의 중량만이 걸리게 되여 종래와 같이 연결부분(핀 또는 보울트)이 과대한 중량(사용자의 체중)을 직접 받아 절손되는 사례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서 본 발명의 수명을 연장시켜 장구히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등지지간(8)이 장출되어 있으므로서 통행상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제2도의 2점쇄선내지는 제5c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지지간(8)을 간단하게 복치(伏置) 시켜주므로서 등지지간(8)이 장출되어 통행을 방해하는 사례가 없을 뿐만아니라 운반이나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등지지간(8)을 복치시킨 다음 제3도의 가상선과 같이 "U "자형지지간(1a)(1b)를 핀(2)을 지점으로 하여 협동(鋏動)시켜 주므로서 형체가 극히 적은 용적으로 절첩되어지는데 이때 좌포(14) 및 배포(15)를 이루고 있는 재질은 가용성재임으로 용이하게 폐각되며, 또한 횡간(16)(16')을 연결하는 힌지금구(17)에 의하여 횡간(16)(16')도 용이 절첩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등받이의 각도를 용이하게 적의 조절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지지횡간을 "'
Figure kpo00016
"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착석시 안락한 자세로 앉거나 누울 수 있으며 또 불사용시 그 형체를 극히 적은 용적으로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서 운반이나 보관이 매우 용이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저렴가로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표현한 바와 같이
    Figure kpo00017
    자형 지지간(1a)(1b)을 "X "자형으로 교차시켜 핀(2)으로 추착한 것에 있어서, 이의 후측상단부(1"a)(1"b)에 후단을 연결시킨
    Figure kpo00018
    형 지지횡간(3)의 전방부를 전측 상당부(1a')(1'b)에 전단을 연결시킨 팔걸이간(4) 전단측부에 고착하며,
    Figure kpo00019
    형 지지횡간(3)의 후방에는 팔걸이간(4)에 용착된 연결구(6)를 괘지토록 연결시킴과 동시에 괘지구(12)에 회동지지구(10)를 내설한 등지지간(8)의 하단 각도조절용 관절금구(9)을 연결하며,
    Figure kpo00020
    형지지횡간(3)과 등지지간(8)에 좌포(14)와 배포(15)를 부설하여서 된 절첩의자.
KR7802185A 1978-07-14 1978-07-14 절첩의자(折疊倚子) KR82000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185A KR820001511B1 (ko) 1978-07-14 1978-07-14 절첩의자(折疊倚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185A KR820001511B1 (ko) 1978-07-14 1978-07-14 절첩의자(折疊倚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511B1 true KR820001511B1 (ko) 1982-08-27

Family

ID=1920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185A KR820001511B1 (ko) 1978-07-14 1978-07-14 절첩의자(折疊倚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51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1183A (en) Folding wheel-chair
US6095607A (en) Universal adjustable chair
CA1274760A (en) Foldable arm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and footrest
KR880000055A (ko) 힌지식 등받이를 가진 의자
CA2225431A1 (en) Folding chair
JPS6226763B2 (ko)
KR820001511B1 (ko) 절첩의자(折疊倚子)
US3061365A (en) Foldable invalid chair
JP2859443B2 (ja) 折畳み椅子
US10159349B1 (en) Folding sofa
US5058948A (en) Foldable chair
US4685732A (en) Folding chair
CN214433077U (zh) 一种月亮椅
CN218571804U (zh) 一种折叠椅的三联组及折叠椅
JPH11346865A (ja) 折畳み式長椅子
US2278568A (en) Foldable frame
CN213849677U (zh) 一种沙发的折叠式骨架
CN219396735U (zh) 一种折叠椅
US2762057A (en) Sitz bath stool or chair
JP2001190454A (ja) 着座式便器用肘掛け装置
JP3055483U (ja) サイドテーブル付き折り畳み椅子
KR880002220Y1 (ko) 휴대용 의자
FR2490086A1 (fr) Fauteuil transformable en transatlantique avec soutien tournant et appuis-tete separes rabattables
US2785736A (en) Folding chair with kneeler
JPS6144670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