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402Y1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402Y1
KR820001402Y1 KR7802071U KR780002071U KR820001402Y1 KR 820001402 Y1 KR820001402 Y1 KR 820001402Y1 KR 7802071 U KR7802071 U KR 7802071U KR 780002071 U KR780002071 U KR 780002071U KR 820001402 Y1 KR820001402 Y1 KR 820001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omagnetic coil
movable
flang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꾸다 히로시 오오이와 가즈오 아베 겡이찌
히로시 히꾸다
가즈오 오오이와
Original Assignee
로꾸도 후꾸쥬우
후지 뎅기 세이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꾸도 후꾸쥬우, 후지 뎅기 세이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로꾸도 후꾸쥬우
Priority to KR7802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4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접촉기
제1도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것을 일부절단하여 보인 정면도.
제3도는 전자코일 부분의 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를 가리키는 정면도.
제5도는 격판의 투시도.
제6도는 전자코일의 다른 예를 가리키는 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측면도.
제8도는 케이스의 개구부를 가리키는 투시도.
제9도는 덮개를 가리키는 투시도.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전자코일등 부분품의 크기에 오차가 있더라도 별도의 부분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스내의 헐거운 틈을 없앨수 있게 고안한 것이다.
공기조절기기, 사무기등의 일반기기에 사용되는 작은 용량의 교류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접점부와 전자식부의 동작방향이 부착면에 대하여 각각평행이 되게하고, 또 전자석은 두꺼운 판을 구부려 가공한 요크(Yoke)와 적증철심으로 구성한 소위 가등플랜지(flange)형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장치의 소형화와 동작특성의 향상을 꾀할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전자접촉기는 전자 코일등의 부분품의 크기에 오차가 있을 경우조립후에는 이 크기 차이로 인해 접점의 접촉이 잘안되거나 케이스에 끼워질 덮개의 부착 안정성이 떨어지게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 결점을 해결한 것으로 그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먼저 제1도와 제2도에 있어(1)은 케이스인데, 그 하부가 개구형으로서 덮개(2)에 의하여 닫혀있다. 이 케이스(1)은 전기 절연체로 제작되어있고 상부에는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고정접점(3)이 여러개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의 내면 상부 중앙에는 가동간(4)가 제1도상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가등간(4)에는 가동접점(5)가 부착되어 있다. 가동플랜지(11)이 작동하여 가동간(4)가 구동되어 이동함으로써 이 가동접점(5)가 고정접점(3)에 접촉하거나 떨어져서 전기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간(4)의 하부에는 격판(6)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간격판(6)의 하부에 설치된 요크(7)사이에 전자 코일(8)이 내장되어 있다. 이 전자코일(8)은 양단에 플랜지가 있는 스풀(spool)에 동선을감아형성한 것으로 스풀 플랜지(9)가 덮개(2)와 격판사이에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전자코일(8)에는 요크(7)에 부착된 고정코아(core)(10)과 가동 플랜지(11)이 관통하는 구멍(12)이 뚫어져 있다. 가동플랜지(11)은 고정코아(10)에 대하여 거리 X만큼 떨어져 설치되어 있고 전자코일(8)에 전류가 흐를 때 제1도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가동플랜지(11)에는 종방향으로 구멍(13)이 뚫어져 있고, 이 구멍(13)에는 축(14)를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하는 레버(15)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15)의 상단은 가동간(4)에 설치된 돌기부(16)에 연결되어 있다. 이런 전자 접촉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플랜지(11)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레버(15)에 의하여 가동간(4)이 왼쪽으로 이동하여 가동접점(15)가 고정접점(3)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접촉기에서는 가동간(4)의 하부로부터 덮개(2)까지의 사이에 형성된 전자코일 수용부(17)에 격판(6)을 끼워서 전자코일(8)이 수용되게 되는데, 전자코일 수용부(17)의 높이 치수 ℓ에 대하여 격판(6)과 전자코일(8)의 치수가 작은 경우에는 헐거운 틈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틈이 생기면 레버(15)가 돌기부(16)에서 멀어지고 격판(6)이 케이스(1)의 내부기준면(18)로 부터 떠있게 되어 접점간격이 커지는 결함이 나타나게 된다.
본 고안은 이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그 부분을 제3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코일(8)의 스풀 플랜지(9)는 호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부에는 호상의 구멍(19)가 뚫어져 스프링식설편(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식 설편(20)은 스풀 플랜지(9)에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적당한 스프링 탄성을 얻을 수가 있다. 스프링형 설편(20)의 거의 중앙에는 얇은 부분(21)이 있어 스프링식 설편(20)이 잘 동작되게 하나, 그 얇은 부분(21)은 사용할 때 혹은 (조립시) 최대응력이 가해져 파손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스프링식 설편(20)과 스풀 플랜지(9)와 격판(6)의 치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스풀 플랜지(9)의 높이를 X, 격판(6)의 두께를 t, 전자코일수용부(17)의 높이를 ℓ로 하였을 때(제5도 참조)(h+t)-ℓ=m(cm>0)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m은 스풀 플랜지(9)의 스프링식 설편(20)의 탄력으로 흡수되어 내부부품이 항상 내부 기준면(18)에 밀리게 된다. 제4도에서 n으로 표시한 것은 가능 최대 탄력량으로서 n>m으로 하는 것이 합당하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것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전자코일(22)의 스풀 플랜지(23)의 하부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스프링식 설편(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식 설편(24)는 기점(25)를 기준으로 하여 움직이게 된다.
제8도와 제9도는 케이스(1)의 개구부에 덮개(2)를 결합시키는 구조를 보여준다. 즉, 제8도에 도시된 케이스(1)의 개구부의 한쪽 끝에는 절결부(26)이 있고 이 절결부(26)의 바깥쪽에는 돌기(2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의 다른 마주보는 끝에는 구멍(28)이 있어서 덮개(2)의 "ㄱ"자형 돌기(34)가 결합되게 되어있다.
덮개(2)의 한 말단의 양쪽에는 긴 홈(29)가 뚫려있고 긴 홈(29)의 바깥쪽에 형성된 설편(30)과 긴 홈(29)의 안쪽에 형성된 지지변(31)이 서로 반대로 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지지변(31)에 직각으로 "ㄷ"자형의 연결편(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편(32)과 지지변(31)의 끝 사이에 형성된 구멍(33)이 케이스(1)의 돌기(27)에 결합하게 되어있다.
케이스(1)의 내부에 가동접점(5), 격판(6), 전자코일(8), 가동플랜지(11)을 넣은 후에 덮개(2)를 우선 케이스(1)의 개구부에 밀어 넣어 지지변(31)을 케이스(1)로 밀어 연결편(32)의 구멍(33)에 케이스(1)의 돌기(27)가 결합되게 한다. 이때 덮개(2)를 케이스(1)에 대하여 왼쪽으로 약간 걸리게하고 이것을 바른쪽으로 밀면서 구멍(33)에 동기(27)이 끼워지게 한다. 덮개(2)를 오른쪽으로 계속 밀면 "ㄱ"자 형 돌기(34)가 케이스(1)의 구멍(28)에 결합되게 한다.
이때 덮개(2)의 내측에는 전자코일(8)의 스풀 플랜지(9)에 형성된 스프링식 설편(20) (또는 전자코일(22)의 스풀 플랜지(23)에 형성된 스프링식 설편(24))의 압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2)와 케이스(1) 사이에 헐거운 틈이 생기는 일이 없고 전자코일(8)도 전자코일 수용부(17) 내에 틈없이 수용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 전자코일 케이스의 전자코일 수용부내에서 움직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접점 간격이 멀어지는 일이 없고 내구성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추가 부분품을 사용치 않기 때문에 가격도 저렴하다.

Claims (1)

  1. 전자코일(8), 가동플랜지(11), 접점(3)등을 수용하는 케이스(1)의 개구부를 덮개(2)로 폐쇄하도록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전자코일(8)(22)의 스풀 플랜지(9)(23)에 스프링 설편(20)(24)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1)에 덮개(2)를 결합할 때 설편(20)(24)가 전자 코일(8)(23)을 전자코일 수용부(17) 내에서 압압 지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전자 접촉기.
KR7802071U 1978-04-18 1978-04-18 전자 접촉기 KR820001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071U KR820001402Y1 (ko) 1978-04-18 1978-04-18 전자 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071U KR820001402Y1 (ko) 1978-04-18 1978-04-18 전자 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402Y1 true KR820001402Y1 (ko) 1982-07-03

Family

ID=1920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071U KR820001402Y1 (ko) 1978-04-18 1978-04-18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4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236E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JP4471859B2 (ja) 電磁継電器
US4267540A (en) Hinge-type electromagnetic relay
US4405911A (en) Electromagnetic relay
EP0372554A2 (en) Electromagnetic relay
US5015978A (en) Electromagnetic relay
US4101855A (en) Miniature relay
US4827232A (en) Relay, particularly miniature relay
CA2213976C (en) Electromagnetic relay
KR820001402Y1 (ko) 전자 접촉기
US4272745A (en) Electromagnetic relay
EP0051255A1 (en) An electromagnetic device
JP3959894B2 (ja) 電磁継電器
CA1251816A (en) Electromagnetic apparatus combined a pair of contactors into one unit
JP2021057221A (ja) リレー
CN218996625U (zh) 继电器及其推杆机构
US4136337A (en) Buzzer assembly
CA2058376C (en) Miniature electromagnet assembly and relay with the miniature electromagnet assembly
JPS5816605B2 (ja) 電磁石装置
US3145279A (en) Enclosed multipole relay
JPS5814440A (ja) 電磁継電器
JPS6222056Y2 (ko)
JPH0112369Y2 (ko)
EP0370452A2 (e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n improved terminal structure
JPS6355741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