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392Y1 - 측정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측정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392Y1
KR820001392Y1 KR2019820003998U KR820003998U KR820001392Y1 KR 820001392 Y1 KR820001392 Y1 KR 820001392Y1 KR 2019820003998 U KR2019820003998 U KR 2019820003998U KR 820003998 U KR820003998 U KR 820003998U KR 820001392 Y1 KR820001392 Y1 KR 820001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dicator
battery
plat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다가 미우라
사도루 다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요꼬가와 덴끼 세이사꾸쇼
요꾜가와쇼오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요꼬가와 덴끼 세이사꾸쇼, 요꾜가와쇼오죠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요꼬가와 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820003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04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측정기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
제2도의 (a)는 본 고안의 측정기의 상면도.
(b)는 (a)도의 X-X'선의 단면도.
(c)는 (a)도의 Y-Y'선의 단면도.
제3도는 프린트판에 램프를 착설하는 착설 구조의 설명도.
제4도는 지시계의 측면도.
제5도(a),(b)는 램프의 빛의 가이드(guide)의 설명도.
제6도는 플로우브를 케이스에 착설하는 착설구조의 설명도.
제7도는 전지용 단자와 프린트판과의 접속도이다.
본 고안은 측정기의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기에는 트랜지스터, 콘덴서, 저항 등 외에 예를들면 측정단자, 전지케이스 혹은 측정 스위치 등의 전기부품이 필요한 것이다.
이들 부품 중에 있어 트랜지스터, 콘덴서 등의 부품은 보통 프린트판에 착설되어 유니트(unit)로 되지만, 그 프린트판과 다른 전기부품과의 상호간은 도선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 보통인 것이다.
그러나, 도선에 의한 각 부품 간의 접속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접속 공정을 필요로 하며, 또한 전기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런 경우, 전체의 동작시험은 프린트판을 포함하는 각 부품 상호간을 배선하지 아니하고서는 할수가 없는 것이다.
또한, 그 측정기에 지시계를 필요로 하는 경우, 지시계 혹은 프린트판의 케이스의 착설에는 볼트 및 넛트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볼트넛트를 필요로 하는 것은 부품 종류상으로나, 또는 그 착설하는 공정수에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트랜지스터 및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부품과 함께 필요한 전기부품의 전부를 한장의 프린트 판에 착설케 하여 각 부품 상호간의 배선을 생략하고 따라서 배선에 따르는 공정수를 감소함과 동시에 이 프린트판의 조립 뿐으로 전체의 동작 시험을 할 수 있게 개량한 측정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목적은, 부품자체로 착설할 수 있는 기능을 줌으로서, 사용하는 볼트, 넛트를 감소시키고 제조 공정의 수를 감소하는 것을 기도하는 측정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측정기의 구조는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기구에 예를 들면 절연 저항계 혹은 테스터 등의 소형의 측정기에 적용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 제2도의(a)는 본 고안의 측정기의 상면도, (b)는 (a)도의 X-X'선의 단면도(c)는 (a)도의 Y-Y'선의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00은 상측 케이스, 200은 하측 케이스, 300은 지시계, 400은 프린트 판, 500은 하측 케이스의 저개, 600은 라인측프로우브(probe), 700은 아스측프로우브, 800은 압버튼의 머리, 900은 손잡이다.
프린트판 400에는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 혹은 다이오드등(어느 것이나 도시하지 아니하였다)의 회로 구성상 필요한 전자부품의 모두 착설되어 있는 외에, 푸시 스위치(push switch)401, 로우터리 스위치(rotary switch)402, 라인 측 및아스측 프로우브 600, 700에 접속된 코넥터(connecter) 601, 701이 결합된 코넥터 403, 404가 착설되어 있다.
프린트판 400에는 또한 램프 405와 지시계 300이 착설되어 있다.
램프 405는 제3도에서 상세하게 표시한 것과 같이 프린트판 400의 이면에서 구멍 406에 꽂은 다음 이것을 회전함에 따라, 돌기 407, 408의 작용으로서 이 프린트판 400에 착설된다.
프린트판 400의 이면에는 제1도에 표시한 푸시스위치 401에 연통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전지에 접속되는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램프 405를 프린트판 400에 착설하면 소켓 409에 착설한 리드선 410, 411이 그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푸시스위치 401를 누르면 램프 405가 점등한다.
지시계 300은 제4도에 그 측면도를 표시한 거와같이 불투명 케이스 301과 투명의 아크릴 카바 302와, 스케일간 303과, 상기 램프 405부터의 빛을 스케일판 303에 보내는 투명한 수지로 만든 빛 가이드 304의 양단 305, 306은 경사로 되어 있으며, 빛의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빛 가이드 304에는 팔부분 30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팔부분은 스케일판 303를 지탱시키는 작용하게끔 되어 있다.
한편의 사면 306에다 절홈 30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빛 가이드 304를 갖는 지시계 300은 그 단자를 스페서 309, 310을 개재하여 제1도에 나타낸 프린트판 400에 형성한 돌기 407, 408을 관삽시켜 프린트판 400의 이면부터 넛트 416, 417로 체착하는데 따라, 이 지시계는 프린트판 400에 착설되며, 또한 그단자는 프린트판 400의 이면에 형성한 패턴(pattern)에 전기적으로접속된다.
지시계 300을 프린트판 400에 착설함에 따라, 지시계 300에 설치한 빛가이드 304의 한편의 사면 306에 형성한 절홈 308내에 램프 405가 위치하게끔 되어 있다.
그리하여 램프 405를 점등하면 그 빛의 제5도의(a)(a)에 있어서 화살 표시한 것과 같이 빛 가이드 304의 반사면 306, 311, 305에 보내져 빛 가이드 304내를 통하여, 스케일판 303위를 비친다.
이와같이 프린트판 400에는 지시계 300을 포함하는 전 전기 부품이 착설 되며 이들 부품은 이면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서 모두가 도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 프린트판 조립으로 전 동작 시험을 할 수가 있다.
상측 케이스 100에 있어서, 101은 지시계 300의 투명카바 302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구멍 102는 프린트판 400에 설치한 로우터리 스위치 402의 축 415가 관통하는 구멍, 103은 마찬가지로 프린트판 400에 착설한 푸시 스위치 401이 관통하는 구멍, 104, 105, 106, 107은 보스(Boss)108, 109는 구멍 101의 양측에 설치한 걸리쇠 이다.
보스 104-107과 걸리쇠 108, 109는 공히 상측케이스 100과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된 것으로 걸리쇠 108, 109는 탄성을 갖고 있다.
보스 104-107에는 각각 측방향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지시계 300을 상측 케이스 100의 내측에서 그것의 카바 302가 구멍 101에 대향하게끔 밀어 넣으면 지시계 300의 카바 302의 측부 311, 312가 걸리쇠 108, 109에 걸리게 되어 이것에 의해 지시계 300과 같이 프린트판 400이 상측 케이스 100에 착설된다. 110, 111은 상측 케이스 100에 형성한 각형의 절홈부로서 이절홈부와 하측 케이스 200과를 이용한 플로우브 600과 700이 케이스에 착설된다.
즉 프로우브 600에는 홈 602를 갖는 각주상의 착설부 60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 602를 제6도의(a), (b)에 나타내듯이 상측 케이스 100에 형성한 절홈 110에 감합시키며, 그 다음 하측 케이스 200과 같이 이 착설부 603을 끼우므로서 프로우브 600은 케이스 100, 200에 착설된다.
프로우브 700도 홈 702를 갖는 착설부 703이 형성되어 프로우브 600과 같이 홈을 이용하여 케이스에 착설된다.
이 경우 절홈부 110, 111은 각형으로 되있어서 특히 회전 방지를 설치하지 않았어도 케이스에 착설한 프로우브 600, 700이 회전되는 일은 없다.
하측 케이스 200에 있어서 201은 이 내부에 전원용의 전지가 수납되는 전지 케이스로서 전지를 수납한후 그 아래에 저개 500이 끼어 넣어진다.
202, 203, 204, 205는 전지용 케이스 201의 네모퉁이와 케이스 200과 일체로 성형 형성되어 착설한 주체로, 각주체예는 각각 그 축방향에 관통공 206, 207, 208, 209가 형성되어 있다.
210, 211은 전지용 케이스 201에 형성된 구멍, 212, 213은 L자상의 금속판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전지용 접속단자로 그 각부 214, 215가 구멍 210, 211에 삽입된다.
단자 212, 213의 각부 214, 215에는 걸리쇠 217, 218, 219, 220이 형성되어 각부 214, 215를 구멍 210, 211에 삽입하면 이 걸리쇠 217-220이 이탈 방지의 작용을 하게끔 되어있다.
221, 222는 단자212, 213에 형성한 구멍으로, 단자 212, 213을 하측 케이스 200에 형성한 구멍 210, 211에 착설하면 구멍 221, 222가 주체 202, 203에 형성한 관통공 206, 207에 대향하게끔 되어있다.
223, 224(그림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 225 및 226은 착설 볼트이고, 착설볼트 223-226으로 하측케이스 200과 프린트판 400과 상측케이스 100을 하나로 고정하지만 착설볼트 223을 체착 했을 때 제7도에 표시하듯이 전지용 접속단자 212는 프린트판 400의 하측에 형성한 패턴 418에 직접 접속하며, 이것에 의해서 전지(전원)와 전기회로와의 접속이 된다.
착설 볼트 224도 제7도와 마찬가지로 이것을 체착하면 전지용 접속단자 213이 프린트판 400의 패턴에 직접 접촉한다.
이와같이 전지용 접속단자 212, 213은 케이스 100, 200 및 프린트판 400을 결합하는 볼트 223, 224로 같이 체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관계되는 측정기의 구조의 조립순서는 다음과 같다.
프린트판 400에 트랜지스터, 콘덴서 등의 전자회로 소자와 같이, 푸시 스위치 401, 로우터리 스위치 402, 코넥터(Connecter) 403, 404 및 램프 405를 구멍 406에 착설하며, 또한 지시계 300을 그의 단자를 이용하여 넛트 416, 417에 의해 착설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린트판 400에 전전기부품을 착설하면, 프린트판 400에 착설한 전기부품은 프린트판 400에 형성된 패턴(Pattern)에 의해 모두가 소정의 전기적 도통을 하게된다.
따라서 전 전기부품이 착설된 이 프린트판 조립뿐으로, 램프 405의 점등 시험을 비롯해, 전 동작시험을 할 수가 있다.
동작시험이 완료한 프린트판 조립체는 상측 케이스 100의 내측부터 지시계 300이 상측 케이스 100의 구멍 101에 위치하게끔 밀어 넣고, 카바 302의 측부 311, 312를 걸리쇠 108, 109로 건다.
이것에 의해서 지시계 300이 들어 있는 프린트판 조립체 400은 상측케이스 100에 착설되며 이 경우 사전에 압버튼 머리 800을 상측 케이스 100의 구멍 103내에 배치시켜, 그 하측부터 프린트판 400에 착설한 푸시 스위치 401을 누름에 따라 프린트판 조립체 400을 상측 케이스 100에 착설했을 시 압보턴 머리 800의 선단부는 상측 케이스 100에서 노출되게끔 되어있다.
지시계 300이 들어 있는 프린트판 400을 상측 케이스 100에 착설하면 프로우브 600과 700의 코넥터 601, 701를 프린트판 400위의 코넥터 403, 404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착설부 603, 703의 홈 602, 702를 케이스 100에 형성한 절홈 110, 111에 각각 감합시킨다.
그런 후에 프린트판 400의 이면측에서 하측 케이스 200의 상면을 상측 케이스 100의 하면에 접합하고 저해 500을 덮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볼트 223-226을 주체 202-205에 설한 관통공 206-209에 삽입한다.
그들 볼트의 선단은 프린트판 400의 구멍 411, 412, 413, 414,(414는 그림에서 나타나 있지 않음)을 관통하여, 상측 케이스 100의 보스(Boss)104-107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나사로 맞춘다.
이 경우 프로우브 600과 700의 착설부 603과 703은 상측 케이스 100에 형성한 각형의 절홈 110과 111 및 하측 케이스 200에 끼여 넣어져 케이스부터 빠져 나가지 못하게 착설한다.
또한 볼트 223과 224를 체착 하므로서 전지용 단자 212, 213은 각각 프린트판 400의 패턴에 접속된다. 상측 케이스 100에 프린트판 조립체를 착설하면 로우터리 스위치 402의 축 415는 상측 케이스 100에 형상한 구멍 102를 관통하므로 이 관통한 축 415에 손잡이 900을 착설한다.
그리고 전지용 케이스 201내에 있어서 전지용 단자 212, 213에 +,-단자가 접속되게끔 전지 223을 수납한 후 저개 500을 착설하며 이것에 의하여 완료된다.
더욱 전술의 실시예는 지시계를 가진 경우를 예시했지만 피측정량을 표시하는 표시기는 디지탈(digital)표시기라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측정기에 있어서는 주로(A)(B)와 같은 효과가 있다.
(A) 한장의 프린트판에 전 전기부품을 착설하게끔 한 것으로서 각 부품 상호간의 배선은 불필요하며, 이것으로 배선 작업의 공정의 수를 감소할 수 있으며, 또한 배선에 따르는 전기적인 말성을 없앨 수가 있다.
(B) 한장의 프린트판 조립체으로서 전동작 시험을 할수가 있으므로 작업성이 극히 양호하다. 더욱 그외에 상측 케이스 자체에 지시계를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가지게 함과 동시에 전지용 단자를 케이스와 같이 체착하게 끔 하였으므로 볼트수를 줄일 수가 있으며 이것으로 부품 종류가 감소되며 또한 볼트에 의한 체착가지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한 프로우브를 상측 케이스에만 설치한 각형의 절결부와 하측 케이스와의 사이에 끼어넣는 방식으로 하므로서 프로우브의 회전 방지를 위한 특별한 다른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하측 케이스의 형의 제작이 용이한 이점도 있다.

Claims (1)

  1. 측정치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가지는 측정기에 있어서, 상면에 지시계(300)가 취착되는 구멍(101)과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구멍(101)에 취착된 지시계(300)를 끼여 안는 걸리쇠(108)(109) 및 한쪽옆에 각형의 절결부(110)(111)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100)와, 전지가 수납되는 하부 케이스(200)와, 상기 지시계(300)을 포함한 필요한 전기부품이 취착되는 프린트 판(400)과, 상기 절결부(100,111)에 끼워 넣어서 보지되어 측정 전기량을 도입하는 플로우부(600)(700)와를 구비한 측정기의 구조.
KR2019820003998U 1982-05-21 1982-05-21 측정기의 구조 KR820001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998U KR820001392Y1 (ko) 1982-05-21 1982-05-21 측정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998U KR820001392Y1 (ko) 1982-05-21 1982-05-21 측정기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263 Division 1979-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392Y1 true KR820001392Y1 (ko) 1982-07-03

Family

ID=1922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998U KR820001392Y1 (ko) 1982-05-21 1982-05-21 측정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3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4522A (en) Display connection scheme for modular analog/digital instrument
US4431966A (en) Modular backlighted analog/digital instrument display
KR960006146A (ko) 세이프티 코넥터
KR820001392Y1 (ko) 측정기의 구조
JPS6351252B2 (ko)
JPH0247456Y2 (ko)
ATE228273T1 (de) Steckverbindung für eine unterhalb einer abdeckung befindliche baugruppe
JP3515837B2 (ja) Led表示装置
JPS60207030A (ja) 圧力または差圧測定装置
JP3457148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メータ
JPS63153481A (ja) 集積回路測定用接続装置
US3274587A (en) Combined electrical connector and indicator
JPS6111907Y2 (ko)
KR900005934Y1 (ko) 다이얼식 스케일 포인터장치
JP2004273192A (ja) コネクタ検査用治具
JPH058537Y2 (ko)
JP3394180B2 (ja) 計器用配線板の電気的接続方法及び電気的接続構造
JPH0733316Y2 (ja) 照光式電子部品
JPH0127218Y2 (ko)
JP2940788B2 (ja) 計器用照明装置
JPS6028014Y2 (ja) 照光押釦スイツチ
CA1210109A (en) Electrical measuring instrument
JPS6141273Y2 (ko)
JPH09210735A (ja) 計器本体の取付構造
RU1817269C (ru) Держатель дл светодиод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