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233B1 -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233B1
KR820001233B1 KR7800718A KR780000718A KR820001233B1 KR 820001233 B1 KR820001233 B1 KR 820001233B1 KR 7800718 A KR7800718 A KR 7800718A KR 780000718 A KR780000718 A KR 780000718A KR 820001233 B1 KR820001233 B1 KR 82000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polyamide
lacq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노부 세기
이강성
Original Assignee
데루노부 세기
가부시기 가이샤 마루끼 쇼우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노부 세기, 가부시기 가이샤 마루끼 쇼우가이 filed Critical 데루노부 세기
Priority to KR780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제1-3도는 음감(音感) 및 질감(質感)에 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목분 15-50중량%를 함유하는 천연 나무에 가까운 성질을 갖는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가) 칠 및 칠기용 도료의 밀착성이 우수한것.
(나) 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것.
(다) 성형성이 풍부하고, 평활한 표면을 갖는 성형용 재료이고, 지분(砥粉)등의 사용에 의한 녹부착 작업을 불용하고 칠 및 칠기용도료의 1회의 도부(塗付)에서 제품을 얻는 것.
(라) 후생성고지 제434호 식품위생법에 따른 규격에 적합한 것.
이상의 4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종래,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로서는 목분과 폴리아미드수지에 국한치않고 열가소성수지에 탄산칼슘, 탈크, 규사등의 무기계 충진제 또는 목분등의 유기계 충진제리 혼합하는 것이 행해졌다. 그러나, 이들의 물(物)은 목제품 칠기의 대체로 되어 얻어진 최대조건인 천연나무에 가까운 성질을 갖는 재료로는 얻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무기질 충진에 의하여 강성, 내열성은 향상되지만 비중의 증대와 함께 금속성의 음감(音感), 질감(質感)이 강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재료에 대하여는 목제품 대체의 칠기용기재료로서 평가되지 않고 플라스틱재료로서 평가밖에 받지 않는 현상으로서 또 가격면에 있어서도 아주 평가가 낮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내열성, 도장성이 풍부한 폴리아미드 수지에 목분을 특수한 조건에서 균일 분산함에 의하여 상기 칠기용소지재의 필요조건(가)-(라)를 만족하고 또한 목제품의 풍미를 갖는 고급칠기용 소지재를 발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84.5-49중량%의 폴리아미드수지와 15-50중량%의 목분과 0.5-1.0중량%의 열화방지용의 내열제로 된 혼합물을 제1단계로서 온도 250-310℃에서 폴리아미드 및 목분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성분을 충분히 접촉혼합시킨후, 제2단계로서 210-250℃로 조정한 벤드식 압출기로서 제1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성 성분을 완전제거함과 동시에 균일하게 분산혼합하여 된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목분은 전나무, 삼목(衫木), 떡갈나무 또는 이들의 혼합목분을 80-200메쉬로 분쇄한 것을 2%이하의 함수율까지 건조시켜 사용한다. 목분의 함수율을 2%보다 많게하면 하기의 폐단이 발생한다.
1) 혼련기의 스크류휘드부에 있어서 먹어들어가는 변동을 일으키기 쉽고 다음에는 휘드부에서 가열기화한 수분 또는 휘발성 혼재물이 가스화하여 호퍼부로 역류하여 분출한다. 이것은 수회의 원료의 공급, 먹어들어가는 불량과 변동의 원인이 된다.
2) 혼련기의 용융 혼련부에 있어서 수분 또는 휘발성 혼재물은 심하게 가스화하고, 목분과 폴리아미드수지의 재료 사이에 충분한 접촉이 방해되고 혼련도가 현저히 서야한다. 다음에는 가스의 강제분산에 의하여 수지압이 상승하고 내부발열에 의한 수지온도의 증대가 생겨 폴리아미드수지의 현저한 열열화(熱劣化)를 일으킨다.
제1단계에 있어서 온도 28℃-310℃에서 처리하거나 이와같이 아주높은 온도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폴리아미드수지의 일화를 방지하는 내열제를 0.5-1.0중량% 첨가한다. 이 내열제로서는 디-t-부틸P-크레졸 또는 2,6-디-t-부틸-4-알킬페놀등의 방향족 옥시 화합물이 있다. 다른 내열제로서 동(銅)화합물, 아민화합물, 산, 에스텔 등이 생각되지만 칠기용소지재의 필요조건은 (가) 및 (라)의 폐단을 초래한다. 내열제의 미첨가 혼합물은 폴리아미드의 분자량에 의하지만 열화가 현저하여 성형불량 또는 성형불가능한 혼합물이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폴리아미드수지와 15-50중량%의 목분과 0.5-1.0중량%의 내열제로된 혼합물을 280-310℃에서 처리하면 목분의 열분해가 개시되어 -OH, -COCH2, -OCH3기를 함유하는 리그닌 성분에 의해 용출하는 유기성가스가 목분과 폴리아미드의 분산제의 효과를 나타내고 충분한 혼련혼합물이 얻어진다. 추정되는 유기성 성분은 C6~C3의 소수성 골격과 -OH, -COCH3등의 친수성기를 동시에 갖는 계면활성제적 구조에서 CO-NH의 친수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와 분산제로서 양호한 작용을 나타낸다.
다음에 이단계에서 발생하는 유기성성분은 -OH, COCH3등의 친수성을 갖기 때문에 전기 조건의 (가)인 도장성에 대하여도 전혀 폐단을 가져오지 않는다.
다음에, 제2단계에 있어서, 벤드식 압출기에서 잔존하는 불필요성분을 완전제거하고 혼련분산을 완전히 한다. 잔존하는 유기성 성분을 미처리한 경우, 성형하는때에 성형물의 발포, 마크의 출현, 다음에는 전기 조건(라)의 증발 잔류물 또는 과망간산 칼륨 소비량의 규격에 있어서 부적합을 초래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80중량%의 폴리아미드수지와 20중량%의목분과 폴리아미드 수지의 중량에 대하여 0.5중량%의 1.6-디-t-부틸-P-크레졸로 된 혼합물 제1단계에 온도 250-300℃에서 폴리아미드 및 목분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성분을 충분히 접촉 혼합시킨후 제2단계로서 210-250℃로 조정한 벤드식 압출기에서 제1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성 성분을 벤드구(band溝)에 의하여 진공펌프로 제거하고 균일하게 분산혼합하여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80중량%의 폴리아미드수지와 20중량%의 목분으로 된 혼합물을 제1단계로서 온도 210-260℃에서 열처리한 것 외에는 실시예(1)과 같이 하여 칠기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80중량%의 폴리아미드수지와 20중량%의 목분으로 된 혼합물을 벤드구를 상압(常壓)으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1)과 같이 칠기용폴리아미드수지조성물을 얻는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1
1) 도장시험
조건 : 흑구도립칠, 칠쇄모도후 27℃에서 168시간 건조한다.
시험법 : 크로스캇트시험
평가 :
평 점 : 0 2 4 6 10
잔류목수 : 0-19 20-39 40-59 80-99 100
2) 식품위생
후생성 제434호 규격 하기항목 1)-5)를 전부 만족하는것.
항목 1. 페놀 : 검출되지 않음
2. 포름알데하이드 : 검출되지 않음
3. 중금속 : 검출되지 않음
4. 증발잔류물 30ppm이하
5. 과망간산칼륨소비량 : 10ppm이하
다음에 이 칠기용수지조성물과 목질의 음감 및 질감에 관한 시험결과를 도면에 나타내었다.
제1도는 A : 목제품(목 100%), 제2도는 B : 실시예 (1)에 의한 조성물, 제3도는 C : 비교의 폴리아미드-탈크조성물(탈크 20%)의 진동수에 의한 진폭파형을 나타내었다. 측정방법은 리얼티타임아나라이저(Real time analyser)(실시간 주파수 분석기)RT-30-HS(株)노드제를 수지용하고 상기 3자의 어느것도 선재완(仙才梡)에서 각각 동형, 형질의 것을 20회 접촉시켜 그 평균치를 측정한 것이다. 횡축은 진동수(Hz), 종축은 진폭(db)으로 최고 진폭은 25db이다.
이상, 측정의 결과, A, B, C모두 500Hz-100Hz가지의 진폭파형에 의하여 음량으로서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500Hz 이하의 파형에 있어서는 목제품의 경우 및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의 500Hz이하의 진폭파 형은 전부 10db이하이고 더우기 양자 모두 같은 파형을 갖고 있는데 대하여, C의 폴리아미드-탈크조성물에 있어서는 A, B와 달리 200Hz부근에서 10db이상의 진폭파성을 볼 수 있고 다시 200-500Hz의 사이에서 15-19db의 현저한 파형을 볼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500Hz이하의 낮은 음이 발생하는 영역에서 상당히 약한음인 발생하지 않고 목제품과 아주 유사하다. 이것에 대하여 C와 같이 무기질충진제의 복합재료는 500Hz이하의 낮은음이 발생하는 영역에 있어서도 아주 강한 음으로서 영향이 있는 것이 명확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은 성형성, 성형표면, 식품위생, 도장성등이 우수한 것으로서 또 천연목에 아주 가까운 성질을 갖는 것이다.

Claims (1)

  1. 84.5-49중량%의 폴리아미드수지와 15-50중량%의 목분과 0.2-1.0중량%의 열화방지용의 내열제로된 혼합물을 제1단계로서 온도 250-310℃에서 폴리아미드 및 목분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성분을 충분히 접촉혼합시킨후, 제2단계로서 210-250℃로 조정한 밴트식 압출기로서 제1단계에서 발생한 유기성 성분을 완전 제거함과 동시에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여서 된 칠기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KR7800718A 1978-03-16 1978-03-16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KR820001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718A KR820001233B1 (ko) 1978-03-16 1978-03-16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718A KR820001233B1 (ko) 1978-03-16 1978-03-16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233B1 true KR820001233B1 (ko) 1982-07-07

Family

ID=1920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718A KR820001233B1 (ko) 1978-03-16 1978-03-16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23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09774A (en) Coating compositions incorporating composite polymer particles
KR820001233B1 (ko) 칠기용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의 제조법
US2491287A (en) Fungistatic plastics
JPS55118935A (en) Conductive molding material
US2400078A (en) Constructional material
JP2005089538A (ja) 漆および植物繊維を用いた成形用材料、前記成形用材料を用いて得られる漆/植物繊維成形体
JPH0848853A (ja) フェノール樹脂組成物
JP2004276463A (ja) 器類
KR820001232B1 (ko) 칠기용 소지재 조성물
IL42000A (en) Method of preparation of rubber-modified aminoplast moulding composition
US2452313A (en) Plasticized prolamine-base protein compositions
JPS6021704B2 (ja) 漆塗り下地材
US2535363A (en) Stabilized thermoplastic cellulose ether composition
JPS61149330A (ja) 射出成形方法
US1863540A (en) Moldable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obtained therefrom
JPS591302B2 (ja) 漆器素地用合成樹脂組成物
JPH10195305A (ja) プラスチック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95652A (en) Plastic compositions and vehicles thereof
US1838618A (en) Plastic composition
US2478634A (en) Molding powder of phenol-acetaldehyde resin containing manilkara wood flour
US2291432A (en) Molding composition and plastic material made therefrom
JPH02225556A (ja) 合成樹脂製漆器素地の成形材料
US1885780A (en) Wood filler composition
JPS591305B2 (ja) 漆器素地用組成物
JPH0446951A (ja) フエノール樹脂成形材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