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176Y1 - 쓰레기 급송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급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76Y1
KR820001176Y1 KR2019810004180U KR810004180U KR820001176Y1 KR 820001176 Y1 KR820001176 Y1 KR 820001176Y1 KR 2019810004180 U KR2019810004180 U KR 2019810004180U KR 810004180 U KR810004180 U KR 810004180U KR 820001176 Y1 KR820001176 Y1 KR 820001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aste
level device
garbag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4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윈 스미쓰 죠오지
Original Assignee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에드워어드 지. 그리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에드워어드 지. 그리어 filed Critical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19810004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쓰레기 급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구체형의 수직 측면도.
제2도는 쐐기 또는 슬랫(Slat)이 설치된 레벨장치를 예시한 것.
제3도는 톱니가 설치된 레벨장치의 또 다른 구체형을 예시한 것.
제4도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구체형의 수직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구체형을 도식적으로 예시한 수직측면도.
본 고안은 쓰레기 급송시스템에 있어서 쓰레기의 유속을 고르게 하고, 서어지용량(Surge Capacity)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공정 공업에서는, 공급원으로 부터 가변적 간헐적 속도로 급송되어 나오는 것을 일정하고 균일하게 급공시킬 수 있는 연속적 처리공정이 필요하다. 유체처리 공정에서는 시스템 내에 서어지 탱크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히 그 유출 속도를 고르게 해줄 수 있고, 고체물질의 경우에는 급송 호퍼(hopper) 또는 회전식 하부 저장고(bottom bin)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쓰레기가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저장로 저장되면 굳어지거나 밀집하려는 경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위의 두 방법으로는 덩어리 쓰레기나 분쇄된 쓰레기를 급송하는 데는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 종래의 저장호퍼를 통하여 쓰레기를 저장하고 이동시켜 처리하는 방법에서는 호퍼 내에 쓰레기가 누적되거나 엉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저장 또는 서어지 장치로는 덤프트럭이나 분쇄기로 부터 가변적 간혈적 속도로 급송되는 쓰레기의 유속을 고르게 해줄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쓰레기 처리공장의 저장 구역으로 부터 용광로나 소각로 혹은 전환로로 쓰레기를 운반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로는 연속적 유출 콘베이어가 있다. 또한 스크루(screw) 콘베이어와 버킷(bucket) 콘베이어도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이들 장치는 연속적 유출 콘베이어의 용량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포웰에 의한 미국특허 제3,926,582호에서는 쓰레기를 샤프트 용광로로 급송하는데 필요한 전형적인 연속 콘베이어가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콘베이어 시스템은 수평구역과 경사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단일장치 일 수 있고 두 개의 독립된 장치로된 것일 수도 있다. 단일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장치에 너무많은 쓰레기가 누적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한다. 그러나, 단일장치 콘베이어나 이중장치 콘베이어 중 어느 것도 많은 양의 누적된 쓰레기를 성공적으로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콘베이어에 쏟아지는 쓰레기의 갑작스런 서어지 용량을 처리할 수 없게 되고, 서어지 용량이 없음으로 인해 쓰레기의 유속을 고르게 할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가 가변적 간헐적인 유속으로 공급되는 쓰레기 급송장치 내에서 쓰레기의 유출을 고르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시스템 내에 서어지 용량을 제공하는 것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더우기 더 기름이나 숯 또는 하수찌끼를 쓰레기와 혼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들은 본 고안을 다음과 같이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 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면 누구나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동 콘베이어를 통하여 쓰레기가 가변적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쓰레기 급속장치 내에서 쓰레기 유출 속도를 고르게 하고 서어지 용량을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콘베이어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회전식 레벨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콘베이어상에서 레벨장치 뒤에는 쓰레기의 레벨이 원하는 높이로 유지 되도록하여, 콘베이어상의 주어진 지점 넘어로는 과다량의 쓰레기가 지나가지 못하게 해준다. 그리고, 레벨장치를 그 표면 속도가 콘베이어의 속도보다 빠르도록 회전시키고 레벨 장치의 이동방향을 콘베이어상의 쓰레기 이동방향과 반대로 해 줌으로써, 콘베이어위에 적재되어야 할 양 이상의 쓰레기는 누적 쓰레기더미로서 레벨장치 뒤에 남게하여 쓰레기가 콘베이어로부터 일정하고 균일한 속도로 방출되게 한다.
콘베이어는 수평구역과 경사구역을 갖는 단일 장치로 구성되거나, 혹은 수평장치와 경사장치의 두 독립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기름이나 숯 또는 하수찌끼와 같은 여러가지 물질들은 콘베이어 위의 레벨장치 뒤에 적재된 회전쓰레기더미 속으로 흘려 넣음으로써 쓰레기와 쉽게 혼합될 수 있다. 레벨장치와 콘베이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쓰레기 자체가 뒤흔들려 좋은 혼합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특히 본원에서 참조한 "쓰레기 분쇄기"라는 제하의 미국 특허 출원번호 제675,934호(J.F.Pelton, 1976.4.12 등록)에 설명된 분쇄 급송장치에 쓰레기를 일정하고 균일한 속도로 급송시키는데 유용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미국특허 제3,729,298호에서 발표된 것처럼 고형의 쓰레기처리 및 자원재생을 위한 시스템들과 관련하여 특히 유용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보인 것처럼 예들들어, 트럭으로 부터 쓰레기를 쏟아 부음으로써 급송실(1) 속으로 쓰레기물질이 간헐적으로 유입된다. 쓰레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쓰레기도 콘베이어(2)에 의해 급송실(1) 속으로 유입된다. 이 두 경우 모두, 급송실(1)로 운반된 쓰레기는 벨트 콘베이어(2) 위에 수평구역(H)에 누적된다.
콘베이어(2)는 수평-경사 콘베이어로서 그 경사구역(I)는 수평에 대해 30-45°사이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쓰레기 콘베이어(2)에는 쐐기 혹은 슬랫(Slat)(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콘베이어 벨트(18)의 표면으로부터 위로 뻗은 돌출부로서, 벨트상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서 쓰레기가 벨트에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쓰레기(R)은 콘베이어(2)의 수평구역(H) 위에 적재되어 순환 벨트(18)에 의하여 화살표(19) 방향으로 이동된다. 쐐기(11)이 설치된 순환 밸브(12)로 구성된 레벨장치(5)에 쓰레기가 도달하면, 화살표(6)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벨장치(5)의 작용에 의해 콘베어(2)의 경사구역(I)위의 쓰레기가 뒤로 밀린다.
레벨장치(5)는 급송콘베이어(2)의 경사구역(I)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것이 좋다. 벨트(12)는 체인(17)에 의한 스프로켓(15)와 (16)의 연결을 통해 모우터(7)에 의하여 구동된다. 레벨장치 벨트(12)의 속도가 콘베이어 벨트(18)의 속도보다 적어도 2배 이상 빠르도록 움직이는 것이 좋다. 레벨장치(5)는 지지틀(8)에 의해 콘베이어(2) 위에 지지되어 있다. 레벨장치(5)와 지지구조물(8) 사이에는 선회축(7)이 있어서 큰 쓰레기더미가 나타나면 그 위로 레벨장치(5)가 언힐 수 있게 해주는데, 이 경우에는 모터(7)이 동작하지 못하게 되거나 일시적으로 꺼진다. 선회축을 두는 목적은 레벨장치의 손상을 막는데 있다.
쓰레기가 레벨장치(5)에 닿으면 벨트(12)의 회전운동에 의해 쓰레기가 화살표(9)로 표시된 것처럼 미끄러지거나 회전하게 된다. (10)으로 표시된 깊이 이하의 쓰레기는 콘베이어(2)의 배출말단부(3)으로 보내진다. 쓰레기 콘베이어(2)와 레벨장치(5)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인해 콘베이어(2)위로 깊이(10)이상인 과잉의 물질은 회전하는 쓰레기 더미로 남게된다. 이렇게 회전더미로 남는 쓰레기의 양은 급송실(1)안에 주기적으로 쏟아지는 쓰레기 (R)의 양에 따라 변한다. 즉 많아졌다 적어졌다 하면서 서어지 용량을 제공해주어 이로부터 콘베이어(2)가 레벨장치(5)의 도움으로 쓰레기를 일정하고 균일한 속도로 급송시키게 된다.
콘베이어(2)의 말단 배출부(3)으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은 콘베이어(2)의 속도와 벨트위에 유지된는 쓰레기의 깊이(10)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레벨장치(5)의 표면속도가 콘베이어(2)의 표면 속도보다 적어도 2배이상 오히려 바람직하게는 10배 정도 빠르게 해 줌으로써 일정량의 회전 쓰레기더미(R')의 콘베이어(2)에 공급되도록 한다.
회전 쓰레기더미(R')은 기름이나 숯 또는 (탈수된) 하수찌끼를 쓰레기와 혼합하기에 아주 좋은 장소이다. 회전 레벨장치(5)와 이동벨트 콘베이어(2)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운동은 쓰레기가 부가된 물질과 잘 혼합되게 해 준다.
제1도에서는 경사 구역을 갖는 쓰레기 콘베이어를 제시하였으나, 제4도에 예시된 수평콘베이어도 본 고안을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쓰레기 콘베이어(30)은 급송 말단구역(31)로 부터 배출말단부(32)로 물질을 이동시킨다. 콘베이어(30)상의 급송실(39) 내의 말단부(31) 위에 적재된 쓰레기(R)은 화살표(49)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레벨장치(41)에 도달할 때까지 콘베이어(30)에 의하여 화살표(48)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레벨장치(41)은 번호(33)으로 표시된 깊이 이상의 쓰레기가 레벨장치를 넘어서 통과되지 못하도록 한다. 레벨장치(41)은 쐐기 혹은 슬랫(35)가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는 순환 콘베이어 벨트(34)로 구성되어 있다. 레벨장치(41)은 수평 콘베이어(30)에 대해 약 45°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좋다. 콘베이어(30)은 굴대(42)에 부착된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굴대(42)에는 또한 스프로켓 휠(sprocket wheel)도 부착되어 있다. 체인(37)은 스프로켓 휠(36)을 스프로켓 휠(38)로 연결시키며, 이것은 다시 레벨장치(41)의 벨트(34)를 구동시키는 굴대(43)에 연결되어 있다. 굴대(42)의 회전은 결과적으로 쓰레기 콘베이어(30)과 레벨장치(41)둘 다를 구등시킨다. 스프로켓휠(36)의 원주와 스프로켓 휠(38)의 원주의 비는 벨트(34)의 표면속도가 적어도 쓰레기 콘베이어(30)의 속도의 2배 이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레벨장치(41)과 접촉되는 물질은 화살표(44)의 방향으로 역회전한다.
깊이(33) 이하의 물질은 배출말단부(32)를 향해 레벨장치(41) 아래로 통과한다. 지주 암(arm)(45)는 조정지점(46)과 결합하여 콘베이어(30)에 대한 레벨장치(41)의 높이를 조절한다.
제1도의 장치의 적절한 변형을 제5도에서 도식적으로 예시하였다. 이 장치에서는 쓰레기사 2개의 분리된 장치, 즉 수평장치(501)과 경사장치(502)로 운반되게 되어 있다. 레벨장치(503)은 제1도의 레벨장치와 비슷하게 동작하는데, 이 레벨장치는 경사 콘베이어(502)의 회전속도가 수평 콘베이어(501)의 회전속도보다 빠를때 좋은 효과를 낸다. 레벨장치(503)의 표면속도는 경사장치의 속도보다 빨라야 한다. 이 각 장치들은 공지의 재래식 구동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다.
레벨장치는 꼭 순환 콘베이어로 구성될 필요없이, 제2도나 제3도와 같이 원통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도는 레벨장치(5) 대신에 콘베이어(2)의 경사구역(I) 위로 설치될 수 있는 레벨장치(20)을 예시한 것이다. 원통형의 레벨장치(20)은 콘베이어 위로 쓰레기가 일정깊이로 유지되도록 그 표면(21)이 콘베이어(2)로부터 충분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레벨장치(20)의 표면(21)에는 그 원통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외부로 뻗어있는 돌출부(22)가 있다. 원통형 레벨장치(20)의 중앙을 관통해 있는 굴대(23)은 그 굴대에 부착되어서 모우터와 연결된 체인(25)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로켓 휠(24)에 의해 구동된다.
또 다른 형의 원통형 레벨장치(101)이 제3도에 도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톱니(100)이 원통과 동일체로 되어 있다. 레벨장치(101)은 제1도에서 자세히 설명된 레벨장치(5)와 같은 방식으로 장치되고 작동된다.
쓰레기 콘베어의 원하는 경사각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어떤 유형의 레벨장치가 가장 효과적인 것인지가 결정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콘베이어의 경사각이 증가되면,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레벨장치 표면적이 감소한다. 다시 말해서 수평형 쓰레기 콘베이어에서 레벨조정 및 누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순환벨트형 레벨장치가 필수적이지만, 45˚로 경사진 쓰레기 콘베이어에는 원통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순환벨트형 레벨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레벨장치와 쓰레기 콘베이어간의 각도가 중요해진다.
수평형 쓰레기 콘베이어의 경우 레벨장치와 쓰레기 콘베이어 사이의 각도는 45°가 바람직하다. 90°이상의 각도에서는, 물질이 그냥 통과되어 버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피하여야 한다. 또 45°이하의 각도에서는 각도가 감소됨에 따라, 레벨장치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할 일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역시 피하여야 한다.
그러나 쓰레기 콘베이어의 경사가 커짐에 따라 콘베이어와 레벨장치 사이의 각도의 중요성이 덜해진다.
쓰레기의 회전적재더미가 생김으로 인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잇점은 콘베이어로 부터 배출되는 쓰레기의 조성이 더욱 균일해진다는 점이다.
즉, 가정쓰레기로부터 공장쓰레기에 이르기까지 본 시스템에 공급되는 쓰레기들의 조성에 변화가 있더라도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콘베이어가 한 가지 물질에서 갑자기 다른 물질로 바뀌도록 배출시키지 않고 그런 두 물질을 혼합해주는 효과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것은 용광로 혹은 전환로에 급송되는 쓰레기 조성의 갑작스런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쓰레기 전환로의 작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잇점도 있다.

Claims (1)

  1. 콘베이어(2)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레벨장치(5)의 회전방향은 쓰레기 급송방향과 반대이고 그 표면속도가 콘베이어 속도보다 빠르게 되어 있으며, 콘베이어(2)는 수평구역(H) 및 이보다 속도가 빠른 경사구역(I)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급송장치.
KR2019810004180U 1981-06-11 1981-06-11 쓰레기 급송장치 KR820001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4180U KR820001176Y1 (ko) 1981-06-11 1981-06-11 쓰레기 급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4180U KR820001176Y1 (ko) 1981-06-11 1981-06-11 쓰레기 급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1603 Division 1977-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76Y1 true KR820001176Y1 (ko) 1982-06-05

Family

ID=1922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4180U KR820001176Y1 (ko) 1981-06-11 1981-06-11 쓰레기 급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934B1 (ko) * 2000-12-07 2003-03-26 김근식 한방용 침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934B1 (ko) * 2000-12-07 2003-03-26 김근식 한방용 침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0167A (en) Method for converting intermittent to constant refuse flow
US5427250A (en) Barrel screen apparatus
US5180272A (en) Device and method for outloading bulk materials
CN206417553U (zh) 皮带机漏料回收装置
KR820001176Y1 (ko) 쓰레기 급송장치
US3572524A (en) Mechanical equipment for charging sludge and/or semisolid and fluid waste material into rotary incinerating kilns
US2623737A (en) Material conditioning apparatus
US4105143A (en) Device for discharging bulk material
US3260382A (en) Apparatus for removing material from a storage structure
NL8102748A (nl) Verdeelinrichting.
SU1036244A3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удалени порошкового или куск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из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бункера
US4000822A (en) Reclaimer to reclaim blending beds, storage beds and the like
US362201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ass flow of stored material
CN211204069U (zh) 油泥沙干燥处理设备
JP6552172B2 (ja) 汚染物供給装置及び汚染物分別装置
US4426187A (en) Drive mechanism for a bottom silo unloader
GB2085741A (en) A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wet particulate materials
US5423491A (en) Transporting and/or handling and/or processing plant for soil, gravel, sand etc.
US2358289A (en) Conveyer apparatus
JP2763852B2 (ja) 汚泥の搬送装置
CN218024314U (zh) 一种接料装置
JPH04126914A (ja) 供給設備
KR20040025756A (ko) 경사벨트의 낙석회수장치
JPH082644A (ja) 粉粒体ばら輸送ベルトコンベア用キャリアローラー
JPH0711144Y2 (ja) コンクリート、舗装用合材用砂の製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