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933B1 - 탐사침(probe) 배치장치 - Google Patents
탐사침(probe) 배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0933B1 KR820000933B1 KR7902807A KR790002807A KR820000933B1 KR 820000933 B1 KR820000933 B1 KR 820000933B1 KR 7902807 A KR7902807 A KR 7902807A KR 790002807 A KR790002807 A KR 790002807A KR 820000933 B1 KR820000933 B1 KR 8200009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probe
- arm
- tube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2—Apparatus for remov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from the reactor discharge area, e.g. to a storage place; Apparatus for handling radioactive objects or materials within a storage place or removing them therefro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증기 발생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제2도는 원자로 증기 발생기내 배치된 탐사침 배치장치 및 부속장치의 개략도.
제3도는 탐사침 배치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본 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다수의 상호 연결부를 나타내는 탐사침 배치장치의 부분 단면 정면도.
제6도는 탐사침 배치장치의 아암의 부분단면 정면도.
제7도는 탐사침 배치장치의 아암의 단면도.
제8도는 계합기구의 단면도.
제9도는 지지판이 부착된 튜브 시이트의 단면도.
제10도는 튜브시이트 및 지지판의 평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연결기구의 단면도.
제13 및 제14도는 다른 연결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탐사침 배치장치(probe position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자로 증기 발생기를 검사하기 위한 원격제어식 탐사침 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접근이 제한된 위험한 장소가 많이 있다. 그러한 장소에서 원자로 증기발생기를 검사 및 수선을 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인 원자로 증기 발생기는, 수직으로 배치된 외피, 튜브 다발을 형성하도록 그 외피내에 배치된 다수의 U형 튜브, U형 곡면의 반대측 단부에서 튜브들을 지지하는 튜브시이트 및 튜브 다발의 일단부의 1차 유체 인입 플리넘과 튜브다발의 다른 단부의 1차 유체배출 플리넘를 형성하기 위해 튜브 시이트와 협동하는 분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로 노심을 지나는 순환에 의해 가열된 1차 유체는 1차 유체 인입플리넘으로부터 1차 유체는 튜브시이트에 근접한 U형 튜브내 제1개구부를 통해 상방으로 그리고 U형 튜브곡면을 지나고 튜브 시이트에 근접한 U형 튜브내 제2개구부를 지나 하방으로 1차 유체 배출 플리넘내로 흐른다. 동시에, 공급수로 알려진 2차 유체는 열전달 가능하게 U형 튜브를 돌아 순환되어 튜브내 1차 유체로부터의 열을 튜브를 둘러싸고 있는 2차 유체에 전달하고 그리하여 2차 유체의 일부분을 증기로 전환시킨다. 1차 유체는 방사능 입자를 함유하고 있고 U형 튜브벽과 튜브시이트에 의해 2차 유체와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U형 튜브 및 튜브시이트가 결점이 없게 유지되어 U형 튜브와 튜브시이트 사이의 접합부나 U형 튜브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1차 유체에 의한 2차 유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차 유체 인입 및 배출 플리넘을 통해 접근하여 U형 튜브나 튜브시이트 접합부를 점검 또는 수선하는 것이 가끔 필요하다. 이 목적을 위해, 수직 외피에 사람통로가 설치되어 작업원이 U형 튜브 및 튜브시이트에 대한 작업을 행하도록 인입 및 배출 플리넘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물인 1차 유체가 방사능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인입 및 배출플리넘이 방사성을 갖게 되어 작업원이 그 안에 체류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한다. 따라서, 작업원의 체류를 요하지 않고 U-튜브 및 튜브시이트에 대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런 문제의 해결을 제공하도록 시도하는 여러 가지 기구가 본 기술에 알려져 있으나, 그 어느 것도 그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원이 큰 방사능 위험을 받지 않고 원자로 증기 발생기의 튜브시이트나 U-튜브를 점검하기 위한 탐사침을 배치할 수 있는 개선된 탐사침 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작동식 탐사침 배치장치는, 원자로 증기 발생기내 튜브시이트에 탐사침 배치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체와, 원자로 증기 발생기의 튜브시이트나 U-튜브의 구멍들과 정렬하여 탐사침을 배치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상기 지지체에 매달려 있는 다수의 회전가능한 아암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탐사침 배치장치는 서로에 대해 아암을 회전시켜 탐사침을 튜브시이트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탐사침 배치장치의 아암에 신속히 연결될 수 있는 신속분리모우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튜브타입 증기 발생기에서, 튜브시이트가 열전달 튜브의 다발을 지지한다. 본 발명은 원자로 증기 발생기의 튜브 시이트에 가까이 검사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원격 작동식 탐사침 배치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에서, 20으로 나타낸 원자로 증기 발생기는 1차 유체 인입노즐 24와 1차 유체 배출 노즐 26이 하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외피 22를 가지고 있다. 튜브 구멍 30을 가진 원통형 튜브 시이트 28이 외피 22에 그 외피의 하단부에 가까이 부착되어 있다. 튜브 시이트 28과 외피 22에 부착된 분할판 32는 증기 발생기의 하단부에 1차 유체 인입 플리넘 34와 1차 유체 배출 플리넘 36을 형성한다.
U형 곡면을 가진 형태의 열전달 튜브인 튜브 38이 외피 22내 배치되어 있고 튜브구멍 30에 의해 튜브시이트 28에 부착되어 있다. 약 7000개의 튜브 38은 튜브다발 40을 형성한다. 또한, 2차 유체 인입노즐 42가 외피 22에 배치되어 물과 같은 2차 유체를 제공하며, 증기 배출 노즐 44가 외피 22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작동에 있어서, 원자로 노심을 지나는 순환에 의해 가열되는 물인 1차 유체는 1차유체 인입노즐 24를 지나 증기 발생기 20내로 들어가고 1차 유체 인입 플리넘 34내로 흐른다. 1차 유체 인입 플리넘 34로부터 1차 유체는 튜브 시이트 28의 튜브 38을 지나고 튜브 38의 U형 곡면을 지나 위로 흐르고 튜브 38을 지나 하방으로 흘러 1차 유체 배출 플리넘 36내로 들어간다. 그 1차 유체 배출 플리넘 36에서 1차 유체가 1차 유체 배출 노즐 26을 통해 증기 발생기로부터 배출된다. 튜브 38을 지나 흐르는 동안 1차 유체로부터 2차 유체로 열이 전달된다. 그 2차 유체는 튜브 38을 둘러싸고 있어 2차 유체를 증가화시킨다. 그 결과 생성된 증기는 증기 배출노즐 44를 지나 증기 발생기로부터 배출된다. 때때로, 방사능 물질을 함유하는 1차 유체가 2차 유체와 확실히 절연되어 있게 하기 위해 튜브 38과 튜브 시이트 28 사이 용접부나 튜브 38을 점검 또는 수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체 튜브 시이트 28에 접근할 수 있도록 1차 유체 인입플리넘 34와 1차 유체 배출 플리넘 36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 통로 46이 외피 22내에 설치된다.
제2도에서 탐사침 배치장치가 50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인입 플리넘 34내 튜브 시이트 28아래 매달려 있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탐사침 배치장치 50은 전기 케이블에 의해 제어패널 52에 연결되어 있고, 그 제어 패널은 원자로 증기 발생기 20에서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제어패널 52는 탐사침 배치장치 50의 운동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공지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서, 탐사침 배치장치 50은 최소한 2개의 캠록크(camlock)56이 부착된 지지판 54를 가지고 있다.
캠록크 56은 튜브 38의 내측 표면에 계합하도록 튜브시이트 28의 튜브 3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판 54에는 튜브 38내로 연장하여 있는 다수의 안내핀 58이 부착되어 있다. 안내핀 58이 튜브시이트 28로부터 지지판 54를 매달려 있게 하지 않으나 안내핀 58이 캠록크 56과의 정렬 그리고 튜브시이트 28에 대한 지지판 54와의 정렬을 제공한다. 캠록크 56은 본 기술에 잘 알려진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튜브 38에 계합하고 튜브 시이트 28로부터 지지판 54를 매달게 할 수 있도록 수동 또는 원격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탐사침 배치장치 50은 지지판 54와 튜브시이트 28로부터 탐사침 배치장치 50의 나머지 부분을 매달리게 하도록 지지판 54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중앙부재 60을 또한 가지고 있다. 또한, 탐사침 배치장치 50은 제1아암 62, 제2아암 64, 제3아암 66을 가지고 있다.
제1슬리브 68이 중앙부재 6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중앙부재 60의 수직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아암 62는 그 아암 62가 중앙부재 60의 수직축 주위에서 수평면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슬리이브 68에 부착된 제1아암 62의 단부의 반대측의 제1아암 62의 단부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3아암 66 역시 제2아암 64에 연결되어 있다. 제1아암 62는 중앙부재 60에 대해 수평면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2아암 64는 제1아암 62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3아암 66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아암 64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제3도를 보면, 탐사침 배치장치 50은 중앙부재 60에 대해 제1슬리이브 68을 회전시켜 중앙부재 60에 대해 제1아암 62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슬리이브 68의 저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제1구동기구 70을 가지고 있다. 그 제1구동기구 70은 본 기술에 잘 알려진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다단 모우터(stepping motor), 조화 구동 감속기어 박스, 슬립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동 유니트의 중량은 대략 15파운드이고 전기적 연결이 전기 도선에 의해 제어 패널 52에 연결되어 있다. 제2구동기구 72는 제1아암 62에 대해 제2아암 6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아암 64에 부착되어 있다.
제5도에서, 제1아암 62는 그의 일단부에 노치부(notched) 부재 74를 가지고 있고, 그 노치부 부재 74는 제1노치 76과 제2노치 78을 가지고 있다. 제1슬리이브 68에는 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1핀 80과 제2핀 82가 부착되어 있다. 제1핀 80 및 제2핀 82는 탐사침 배치장치 50의 여러 아암들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판 54가 튜브시이트 28 아래 배치되어 캠록크 56과 안내핀 58이 튜브 38내 배치되면, 제1아암 62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제1노치 76이 제1핀 80에 계합되고 제2노치 78이 제2핀 82에 계합되며, 그리하여 제1슬리이브 68로부터 제1아암 62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한다. 제1아암 62가 노치부 부재 74에 의해 제1슬리이브 68에 부착되어 고정기구 84가 계합될 수 있다. 그 고정기구 84는 노치부 부재 74에 가까이 제1아암 62의 단부에 접동가능하게 배치된 제3핀 86을 가지고 있다. 그 제3핀 86은 레버 88에 부착되어 있어 제1아암 62가 노치부 부재 74에 의해 제1슬리이브 68에 부착된때 레버 88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리이브 68 슬로트 90과 제3핀 86이 계합하도록 제1슬리이브 68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아암 62는, 일단부가 노치부 부재 74에 부착되고 타단부가 제1아암 62에 부착되어 노치부 부재 74와 슬리이브 68에 대해 제1아암 62를 안정시키도록 하는 지지기구 92를 가지고 있다.
제3 및 제5도를 보면, 제1하우징 94가 제1아암 62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그들 관통하여 연장하는 수직의 제1축 96을 가지고 있다. 제1축 96은 2조의 베어링 98에 의해 제1하우징 94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아암 64는 제1축 96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제1축 96의 저단부는 제2구동기구 72에 부착되어 있어 제2구동기구 72가 제1아암 62에 대해 제1축 96과 제2아암 64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제3아암 66은, 제3아암 66을 계합기구 102에 의해 제2아암 64와 연결할 수 있는 부착 연결자 100을 가지고 있다. 제3아암 66은 또한 제3구동기구 106에 의해 부착연결자 10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부재 104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회전부재 104에는 텔레비죤 카메라 108이 부착될 수 있고 회전부재 104의 최외측 단부에 부착된 탐사침 배치장치 50 및 탐사침 호울더 110에 검사될 부재쪽으로 향하여 있다. 탐사침 호울더 110은 와동전류 탐사침 또는 초음파 탐사침과 같은 탐사침이 배치될 수 있는 중공(中空)의 플라스틱 도관이다.
그 호울더 110은 그 안에 배치된 특정 탐사침이 탐사침 호울더 도관 112를 통해 참사침 압압기 114까지 연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제2도 참조). 탐사침 배치장치 50은 특정 탐사침이 특정튜브 38내로 탐사침 압압기 114에 의해 압입될 수 있도록 튜브 시이트 28내 특정튜브 38에 대한 위치에 탐사침 호울더 110을 배치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 장치 외에, 광각(廣角)카메라 116이 전체 탐사침 배치장치 50을 감시할 수 있도록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 플리넘의 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6,7 및 제8도에서, 계합기구 102는 한쌍의 클립 118을 가지고 있다. 그 클립 118은 제2아암 64와 접촉하여 그리고 제2아암 64에 대한 부착연결자 100의 측방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부착 연결자 100을 안내하도록 부착연결자 100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 계합기구 102는 또한 제1계합 핀 120과 제2계합핀 124 및 제3계합핀 126을 가지고 있다. 제1계합핀 120은 부착연결자 100에 부착되어 있고 제1핀 안내자 122내에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제2계합핀 124와 제3계합핀 126은 제1계합핀 120보다 작으며, 제2핀 안내자 128 및 제3핀 안내자 130내에 각각 삽입되어 제2아암 64와 부착연결자 100을 정렬시키도록 작용한다. 제1아암 62 및 제2아암 64가 제1슬리이브 68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 연결자 100은 클립 118 및 계합핀 120, 124, 126에 의해 제2아암 64와 수동적으로 계합될 수 있다. 계합기구 102는 또한, 고정 핀 132를 가지고 있고, 그 고정핀 132는 제2아암 64의 저부내에 나착되고 제1핀 안내자 122내로 연장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계합핀 120은, 그가 제1핀 안내자 122내에 완전히 배치된때 고정핀 132의 위치에 상응하는 제1홈 134를 가지고 있다. 제1계합핀 120이 제1핀 안내자 122내에 완전히 배치되면, 고정핀 132는 손잡이 136을 손으로 돌려 전진이동될 수 있고, 고정핀 132가 제1홈 134내에 삽입되어 제1핀 안내자 122내의 제1계합핀 120을 고정시킨다. 고정너트 138이 제2아암 64에 설치되어 있어 손잡이 136을 그의 고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계합기구 102는, 제3아암 66이 부착되고 제2아암 64내에 고정될 때 제2아암 64가 중기 발생기 20내 배치되는 기구를 제공한다.
제6,7 및 제8도를 보면, 제3구동기구 106은 부착연결자 100내제 배치된 전기모우터 140, 그 모우터에 부착된 웜기어 142, 부착연결자 100내 수직으로 부착된 제2축 142와, 웜기어 142와 계합되어 상기 축 142에 부착된 기어 146을 가지고 있다. 회전부재 104는, 제2축 144가 웜기어 142와 전기모우터 140에 의해 그의 축 주위에서 회전될 때 회전부재 104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제2축 144의 상부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다. 제1아암 62, 제2아암 64, 제3아암 66의 결합된 회전은 적당한 탐사침이 안에 배치된 탐사침 호울더 110이 튜브시이트 28의 선택된 튜브 38과 동일면상에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한다. 탐사침 호울더 110이 특정튜브 38과 일치됨에 의해 탐사침 압압기 114가 튜브 38내로 탐사침을 도입시켜 그 튜브를 점검할 수 있다.
제9도 및 제10도에서, 지지판 54는 튜브 시이트 28의 튜브 38에 상응하는 다수의 구멍 148을 가지고 있다. 캠록크 56 및 안내판 58은 튜브 38이 막히거나 접근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하도록 여러 구멍 148로 이동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구멍 148은 탐사침이 구멍 148을 통해 튜브 38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판 54아래 탐사침 호울더 110이 배치되게 한다. 따라서, 지지판 54에 다수의 구멍 148을 설치함에 의해 탐사침 배치장치 50에 의해 봉쇄된 유일한 튜브 38은 안내핀 58 또는 캠록크 56이 삽입된 튜브 38이다. 물론, 안내핀 58 및 캠록크 56이 지지판 54의 다른 구멍 48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판 54 바로 위 위치된 모든 튜브 38은 탐사침 및 탐사침 배치장치 50에 의해 탐사될 수 있다.
제5,11 및 제12도에서, 제1구동기구 70 및 제2구동기구 72는 유사한 장치이며 신속 분리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 제1아암 62 및 제2아암 64가 제1슬리이브 68에 부착되면 제1구동기구 70이 제1슬리이브 68의 저단부에 신속히 연결될 수 있고 제2구동기구 72가 연결기구 150에 의해 제1축 96에 신속히 연결될 수 있다. 제1슬리이브 68의 저단부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제1축 96의 저단부와 동일하다. 연결기구 150은 제2구동기구 72와 같은 통상의 구동기구의 하우징에 부착된 내측 슬리이브 152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연결기구 150은 수직 슬로트 156을 가진 외측 슬리이브 154를 가지고 있고 내측 슬리이브 152의 외측을 따라 수직으로 접동할 수 있다. 부착핀 158은 내측 슬리이브 152에 부착되어 있고 수직 슬로트 156을 지나 연장하여 외측 슬리이브 154가 내측 슬리이브 152에 대해 수직으로 접동하도록 하면서 내측 슬리이브 152상에 외측 슬리이브 154를 보지한다. 코일 스프링인 제1바이어스 기구 160이 내측 슬리이브 152와 외측 슬리이브 154 사이에 배치되어 내측 슬리이브 152에 대해 상방으로 외측 슬리이브 154를 압압한다.
제1슬리이브 68 및 제1아암 62는 안내구조물 162를 가지고 있고, 그 안내 구조물 162는 외주 주위를 연장하는 제2홈 164와 제5,11 및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 164 약간위에 장착된 한쌍의 정지부재 166을 가지고 있다. 안내구조물 162는 제1축 96을 둘러싸고 있으나 제1축 96이 베어링 98에 의해 안내구조물 162내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연결기구 150은 또한, 내측 슬리이브 152의 원주상 슬로트 170내 위치된 일련의 금속 볼 168을 가지고 있다.
제2구동기구 72와 같은 구동기구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 96에 연결하는 것이 요구될 때, 제2구동기구 72는 수동으로 보지되고 외측 슬리이브 154가 제11도에 도시된 위치로 수동으로 철회된다. 외측 슬리이브 154가 수동으로 철회됨에 의해 외측 슬리이브 154의 제3홈 172는 금속볼 168의 위치에 해당하여 그 금속볼 168의 제2구동기구 72가 안내구조물 162위에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될 때 외측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간격이 금속볼 168에 제공된다.
제2구동기구 72는 내측 슬리이브 152의 최상부가 정지부재 166에 접촉할때까지 안내구조물 162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내측 슬리이브 152가 정지수단 166에 접촉한때, 외측 슬리이브 154가 이완되어 제1바이어스 기구 160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슬리이브 152에 대해 상방으로 외측 슬리이브 154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 위치에 있을 때, 금속볼 168은, 외측 슬리이브 154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3홈 172가 금속볼 168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들 때, 금속볼 168이 제2홈 164내로 압압되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구 및 안내구조물 162를 확고히 연결시키도록 제2홈 164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제5,11도 및 제12도에서, 제1축 96은 6각형 헤드 176이 하단부에 부착된 철회 가능한 하부 174를 가지고 있다. 하부 174는 제1축 96을 가지고 있는 상부 178내 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코일스프링인 제2바이어스 기구 180이 하부 174를 상부 178에 대해 하방으로 압압하도록 하부 174와 상부 17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178은 하부 174에 부착된 연장부 184가 수직 개구부 182내에서 접동하도록 수직개구부 182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 184가 하부 174에 확고히 부착되어 그의 일체의 부분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연장부 184는 하부 174가 상부 178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게 하나, 하부 174가 제2구동기구 72의 영향하에서 회전될 때 상부 178의 회전을 필요로 한다.
제2구동기구 72 및 제1구동기구 70은 6각형 개구부를 가진 접촉부재 186을 가지고 있다. 접촉부재 186의 6각형 개구부는 제1축 96의 6각형 헤드 176과 맞게 되어 있다. 구동기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구조물 162에 연결될 때 6각형 헤드 176은 접촉부재 186의 6각형 개구부와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6각형 헤드 176은 수직으로 이동되어 하부 174 역시 수직으로 이동되게 하며 그리하여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이어스 기구 180을 압착한다.
다음, 구동기구가 작동되어 접촉부재 186의 6각형 개구부가 제1축 96의 수직축 주위에서 회전되게 할 때 제2바이어스 기구 180이 접촉부재 186의 6각형 개구부쪽으로 6각형 헤드 176을 압압하여, 6각형 개구부가 6각형 헤드와 일치될 때 6각형 헤드 176이 접촉부재 186내로 압입되도록 하며 그리하여 제1축 96과 구동기구간의 연결을 완료한다. 제1축 96과 구동기구가 이런 방식으로 연결되어, 구동기구의 회전에 의해 제1축 96을 또한 회전시키고 특정아암을 수평으로 회전시킨다.
제13 및 제14도에서, 다른 연결기구 150은 내측 슬리이브 152가 그의 외주 주위를 연장하는 제4홈 188을 갖도록 되어 있고 안내구조물 162가 내측 슬리이브 152의 외측주위에 맞게 되어 있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 로드 190이 안내구조물 162를 지나 연장하고, 외측 단부에 부착된 손잡이 192를 가지고 있다.
로드 190에는 또한 제4홈 188이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190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내측 슬리이브 152가 안내구조물 162대로 도입될 때 손잡이 192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 194가 제4홈 188내에 설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도록 제4홈 188의 곡면에 상응하는 곡면을 가진 편심부분 194가 배치되어 있다. 그렇게 편심부분 194가 제4홈 188내에 고정되어, 제2구동기구 72가 안내구조물 162에 확고히 부착된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 제1축 96은 제11도 및 제12도의 것과 동일하다.
증기발생기 20의 튜브 38을 점검하는 것이 요구될 때, 인입 플리넘 34 내로 사람이 들어가 튜브 38내에 안내핀 58 및 캠록크 56을 삽입하여 튜브시이트 28에 지지판 54를 부착시킨다. 그렇게 튜브 38내 캠록크 56과 안내핀 58이 삽입되어, 캠록크 56은 수동으로 작동되어 튜브 38의 내측 표면에 접촉하고, 그리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시이트 28로부터 지지판 54를 매달려 있게 한다. 지지판 54가 튜브시이트 8에 확고히 매달려 있어, 제2아암 64가 부착된 제1아암 62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이브 68에 연결된다. 제1아암 62와 제2아암 64가 슬리이브 68에 부착되어 제3아암 66이 계합기구 102에 의해 제2아암 64에 연결된다. 이 지점에서 텔레비죤 카메라 108이 제3아암 66에 부착되어 있고, 특정 탐사침이 탐사침 호울더 110내 삽입되며 제2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사침 압압기 114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 제1구동기구 70이 슬리이브 68에 수동으로 부착되고 제2구동기구 72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 96에 수동을 부착될 수 있다. 이 위치에 있을 때, 증기 발생기내 위치된 모든 장치는 전기 케이블에 의해 제어패널 52에 연결되어 조작자가 탐사침 배치장치 50을 원격제어할 수 있게 한다. 다음, 조작자는 제1구동기구 70, 제2구동기구 72, 또는 전기 모우터 140을 작동시켜 제1아암 62, 제2아암 64, 또는 제3아암 66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그리하여, 탐사침이 배치된 탐사침 호울더 110을 튜브 시이트 28의 선택된 튜브 38과 동일면상에 일치하도록 배치시킨다. 그 바라는 위치에 있을 때, 탐사침 압압기 114는 선택된 튜브를 점검하기 위해 그 튜브내로 선택된 탐사침을 도입시키도록 작동된다. 그 선택된 튜브가 점검된 후, 탐사침이 탐사침 압압기 114에 의해 철회되고 탐사침 배치장치 50은 탐사침이 다른 튜브38에 위치되도록 재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기 발생기 20의 다수의 튜브 38이 점검될 수 있다. 따라서, 탐사침 배치장치는 튜브가 원격적으로 점검될 수 있도록 원자로 증기 발생기내 튜브 38과 동일면으로 일치하여 탐사침을 원격배치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
-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있고, 증기 발생기내 튜브에 배치되어 튜브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완전히 매달리게 하는 제거가능한 안내핀 및 캠록크; 상기 지지판에 부착된 중앙부재; 상기 중앙부재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외측 표면에 원주상홈이 형성된 제1슬리이브; 상기 슬리이브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재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된 최소한 하나의 아암; 상기 중앙부재 주위에서 상기 제1슬리이브 및 상기 아암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슬리이브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 구동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의 회전으로 탐사침 호울더와 탐사침을 상기 튜브와 동일면상에 일치하여 배치할 수 있고, 탐사침 배치장치가 상기 지지판과 캠록크에 의해 상기 튜브로부터 완전히 지지되는, 증기 발생기내 탐사침을 배치하기 위한 탐사침 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가, 접촉부재를 가지고 있고 하우징내 배치된 모우터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내측 슬리이브와; 상기 내측 슬리이브상에 접동자재하게 배치된 외측 슬리이브와; 상기 외측 슬리이브를 상기 내측 슬리이브에 대해 상방으로 압압하기 위해 상기 내측 슬리이브와 외측 슬리이브 사이에 배치된 제1바이어스 기구와; 상기 외측 슬리이브가 상기 내측 슬리이브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슬리이브의 원주상홈에 계합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외측 슬리이브가 상기 내측 슬리이브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슬리이브에 상기 하우징을 부착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할 때 상기 제1슬리이브의 일부분 위에서 상기 내측 슬리이브가 접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 슬리이브내에 배치된 다수의 금속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사침 배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2807A KR820000933B1 (ko) | 1979-08-17 | 1979-08-17 | 탐사침(probe) 배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2807A KR820000933B1 (ko) | 1979-08-17 | 1979-08-17 | 탐사침(probe) 배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0933B1 true KR820000933B1 (ko) | 1982-05-26 |
Family
ID=1921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902807A KR820000933B1 (ko) | 1979-08-17 | 1979-08-17 | 탐사침(probe) 배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0933B1 (ko) |
-
1979
- 1979-08-17 KR KR7902807A patent/KR820000933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02146A (en) | Probe positioner | |
KR850001849B1 (ko) | 원자로의 스팀발생기 튜브의 수리 및 검사장치 | |
JP4357298B2 (ja) |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 |
US561194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positioning a probe in a tubular member | |
US4231419A (en) | Manipulator for inspection and possible repair of the tubes of heat exchangers, especially of steam generators for nuclear reactors | |
US8485139B2 (en) |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object in gaps of bundle of heating tubes of upper portion of tube sheet of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 | |
JP2000513442A (ja) | 検査装置 | |
JPH0712983A (ja) | 管プラグ検査装置 | |
US4586079A (en) | Fiberscope delivery system | |
KR820000933B1 (ko) | 탐사침(probe) 배치장치 | |
JPH01102201A (ja) | 熱交換器伝熱管の点検修理装置 | |
US5164151A (en) | Manipulator system for an enclosure with a limited access point | |
US4804291A (en) | Double gimbal camlock installation assembly | |
JP2865815B2 (ja) | 制御棒案内管検査装置 | |
US6606920B2 (en) | Tube non-destructive testing probe drive elevator and contamination containment system | |
CA2262335C (en) | Segmented lance assembly | |
JP2001159696A (ja) | ジェットポンプの検査補修方法および装置 | |
EP065206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quentially registering tool modules for a welding operation of a tube | |
US461519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forming and rolling tube ends | |
JP6291203B2 (ja) | 長尺体挿抜装置 | |
EP0001893B1 (en) | Internal tube cutters | |
KR20160150542A (ko) | 증기 발생기의 용접부 검사 장치 | |
JPH0517480B2 (ko) | ||
CN106378509B (zh) | 2m头自动焊接装置 | |
US5611391A (en) | Powered guide tub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