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617B1 - 가습 정미기의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가습 정미기의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617B1
KR820000617B1 KR7602689A KR760002689A KR820000617B1 KR 820000617 B1 KR820000617 B1 KR 820000617B1 KR 7602689 A KR7602689 A KR 7602689A KR 760002689 A KR760002689 A KR 760002689A KR 820000617 B1 KR820000617 B1 KR 82000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flow rate
flow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꼬 사다께
Original Assignee
도시히꼬 사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히꼬 사다께 filed Critical 도시히꼬 사다께
Priority to KR760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8Conditioning grain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Landscapes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습 정미기의 유량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정미(精米)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정미의 마지막 단계에서 광택을 내기 위해 가해지는 쌀과 물의 유량 비율을 적당한 장치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정미장치에서는 현미에 대하여 수율 91%정도까지 정백이 진행되면 쌀의 표면이 경질화하여 정백 작용의 속도가 현저히 완만해지던가 정지하게 된다.
특히 쌀의 세로홈(縱溝)내에 고착되어 있는 호분층(糊紛層)의 제거가 어렵게 된다.
초고도 정백(현미에 대한 수율 80%~40%)의 양조용 백미조자 수율 70% 이상의 정백도로는 쌀알의 씨눈 밑에 있는 세로 홈부의 호분층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을 정도로 호분층의 정백제거는 어려운 것이다.
70%~65% 정도의 수율까지 쌀알을 연산작용에 의해 원형 정백할 경우 겨우 호분층이 제거될 만큼 호분층의 고착력은 견고한다. 취사용 쌀 정도의 고백도(高白度)는 수율 88%가 사실상 한계이므로 호분층이 남게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같이 제거가 어려운 호분층이라도 백미에 혼수(混水) 정미와 즉시 쌀겨의 제거를 행하면 저백도(低白度)의 상태에서 백미 표면으로부터 완전하고 용이하게 호분층을 제거할 수 있다. 또 혼수의 쌀알 접촉 시간이 길면 쌀알의 내부에 깊숙히 침입하여 정백 완료후에 공기중에 노출하여 볕을 쪼이면 현저하게 균열이 발생되어 쌀알이 부스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쌀알과 물기의 접촉 시간은 아주 짧은 시간에 행해야 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고 또한 가수량(加水量)과 백미량의 비율도 중요하고 미묘하기 때문에 일단은 적절한 유량 비율이 결정되면 백미의 유량에 변동이 있어도 이에 비례하여 물의 양이 자동적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안된다.
요컨데 혼수 정미에 있어서 쌀알의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는 쌀알이 물에 접하는 시간과 수분율(水分率)(수분/쌀 양)의 2가지 요건에 의해 정하는 것이다.
정확히 말해서, 정백작용의 부하(負荷)도 그 하나의 요건은 되지만 상기한 2가지의 요건만큼 중요한 것은 아니다. 즉 부하비율이 약간 변경되어도 쌀알의 균열성에 대하여는 혼수량과 급수량의 비율이 변할만큼 큰 영향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정백도가 진행되어 보통의 무수(無水)마찰 정미 등에서는 정백의 진행이 순조롭지 못한 과정에 있어서 예컨데 현미에 대한 수율 93% 이하의 백미중에 0.5%~1.5% 정도의 범위에서 혼수를 실시하고, 또 평온에서 농도 3~30% 내외의 염수하면 0.1~0.3% 정도의 수분율로 혼수를 실시하여 백미표면의 박층을 연질화하고, 또 백미는 흡수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물이 백미에 접촉하는 시간, 쌀알에 적시는 시간은 호분층의 박탈 가능한 연질화 조건에 있어서 시간이 짧을수록 쌀알의 균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혼수량도 호분층의 박탈에 필요한 연질화의 조건에 있어 최소가 되는 것이 이상적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급수량과 급미유량(給米流量)과의 비율은 극히 미묘하여 급미유량이 임으로 정해진 경우 필연적으로 급수유량도 따라서 정해질 필요가 있다.
종래 곡류의 유량에 대응하여 급수유량을 순응시키는 것은 예를 들면 일본 특공소 31-6857호나 일본특공소 29-2469호와 같이 곡류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는 부재(部材)를 설치하여 이 부재의 이동에 의해 급수유량을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곡물의 유동을 받아서 이동하는 부재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쌀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에 의해 물의 유량을 조절하고 곡들의 유동에 이동하는 부재를 생략함과 동시에 취사용 쌀의 초고도 정백(현미에 대한 수율 91%~88%)과 쌀알 세로홈의 호분층 제거를 높은 수율로서 가능하게 하는 가습정미기에 있어서의 유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습정미기의 유량 조절장치는 다공벽 쌀겨 제거 정백통으로 된 정백실에 공급하는 쌀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물의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유량계 및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장치를 병설하여 쌀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장치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제2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공벽 쌀겨 제거 정백통(1)에 정백롤(2)을 내장한 정백실(3)에 쌀 공급구(4)와 배출구(5)를 설치하고, 쌀 공급구(4)에는 백미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인 조절밸브(6)를 측(7)에 회동자재로 축설하며, 축(7)의 쌀 공급구(4) 외부에 레버(8)와 백미유량을 표시한 눔금(9)용 지침(10)을 설치하여 레버(8)를 나사간(11)에 의해 작동시켜 조절밸브(6)의 개방도를 변경하여 백미 공급유량을 조절한다. 또한, 정백실(3)에 연동하는 급수관(12)을 다공벽 쌀겨 제거 정백통(1) 및 급수탱크(13)에 연락시켜 그 과정에 급수유량계인 게이지(14)를 삽입하여 나사간(15)에 의해 조절장치를 이루는 니이들(16)과 통공(17)의 간격을 바꿔 혼수용(混水用)의 급수유량을 조절한다.
나사간(11), (15)의 관련적인 임의의 적당한 량의 조절은 눈금(9)과 게이지(14)에 의해 행한다.
조절밸브(6)와 정백실(3)에 연통된 급수관(12)에 의해 혼수용의 물을 급수하는 물유량 조절밸브 니이들(16)과는 레버(8)를 개재하여 연동적으로 작동하고, 일단 백미유량과 물유량이 정미조건을 만족하는 적절한 비율로 조정되면 나사간(11)에 의해 백미유량을 변경 조절한 경우에도 연동적으로 급수량도 비례하여 자동 조절되어 항상 적량의 혼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니이들(16)의 요부에는 충판(18)이 있어 스프링(19)을 장설하고 있으므로 나사간(15)에 의해 일단 적당량의 수량조절을 해두면 레버(8)가 조절밸브(6)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니이들(16)의 첨단이 테이퍼가 되므로 스프링(19)의 힘에 하거하여 통공(17)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항상 일정비율의 적당량의 물을 혼수할 수 있다.
다음에 제3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면, 다공벽 쌀겨 제거 정백통(20)에 정백롤(21)을 내장한 정백실(22)내에 백미를 공급하는 쌀 공급구(23)에 전동기(24)에 의해 구동하는 회전밸브(25)를 축설하고, 또 정백실(22)로 연통하는 급수관(26)에는 전동기(27)에 의해 구동하는 급수펌프(28)를 설치하여 급수펌프(28)와 정백실(22)의 급수구(29)간의 급수관(26)에는 물의 유량계(30)를 삽입하여 급수펌프(28)와 수원(水源)(31)간을 급수관(32)에 의해 연결한다.
쌀 공급용 회전밸브(25)의 전동기(24)와 급수펌프(28)의 전동기(27)는 각각 비례적으로 전압을 조절하는 전기적 조절장치(33)에 도선(34)으로 연결되어 쌀공급용 회전밸브(25)의 회전수를 임의로 변경하여 쌀의 유량을 조절할 때는 비례하여 급수펌프(28)의 회전수도 증감하여 물의 유량이 조절되고, 백미의 유량이 변해도 항상 일정한 비율의 물이 백미에 혼수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동기에 정류자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타나낸 제4도의 것은 정백실(22)에 연통하는 급수관(26)의 행정에 물유량 조절장치인 조절밸브를 내장한 유량계(43)를 삽입하고 또한 급수관(48)에 의해 물탱크(49)로 연결되며, 또 정미기의 쌀공급구(35)에는 백미의 유량조절밸브(36)를 축장한 회동축(40)을 축설하고, 쌀 공급구(35) 외측의 회동축(40)에는 레버(39)와 지침(38)을 축지하여 눈금(37)을 지시토록 하되 상기 레버(39)와 지침(38)은 쌀 공급구(35) 외벽에 돌설된 돌간(41)에 대하여 스프링(42)으로 인장토록 하였다.
레버(39)는 유량계(43)의 유량조절밸브의 축(44)에 축설된 레버(46)와 연결간(45)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공(47), (47′) 등의 연결위치에 의해 백미유량과 물의 유량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백미유량과 물유량의 대체적인 조절은 나사간(50)을 좌우로 회전하여 레버(39)를 회동하고, 우선 결정하는 백미유량에 순응하여 수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 외에 백미유량 조절밸브와 수량조절밸브를 연동시키는 구조에 관해서는 각종으로 설계되지만 요컨데 연등적으로 각 유량을 적절하게 정밀 조절하는 목적에는 변함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분은 미립자화한 안개모양의 것이나 증기상태로 공급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분은 액체상태 또는 안개모양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백롤의 통벽에 설치한 통기공을 통하여 정백실에 가수, 가습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공벽 쌀겨 제거 정백통으로 이루어진 정백실에 공급하는 쌀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물의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유량계 및 상기한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장치를 병설하고, 쌀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장치를 연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정미기에 있어서의 유동 조절장치를 요지로 함으로써 쌀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절장치에 의해 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일본특공소 31-6857호나 일본특공소 29-2469호와 같이 쌀의 유동을 받아 이동하는 유량검출장치를 설치한 필요가 없으며, 정미기에 공급하는 백미유량과 그 백미층에 혼합하는 급수유량의 비율을 정확하고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가장 합리적인 혼수정미를 행하여 호분층을 제거함과 동시에 완료된 백미의 수분을 정상적으로 보존하여 광택이 있는 미려한 양질의 백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Claims (1)

  1. 다공벽 쌀겨 제거 정백통(1)으로 이루어진 정백실(3)에 공급하는 쌀의 유량을 조접하는 조절장치와 물의 유량을 계측할 수 있는 유량계 및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장치를 병설하여 쌀의 유량을조절하는 조절장치와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장치를 연동시킨 것을특징으로 하는 가습정미기의 유량 조절장치.
KR7602689A 1976-10-29 1976-10-29 가습 정미기의 유량조절장치 KR82000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689A KR820000617B1 (ko) 1976-10-29 1976-10-29 가습 정미기의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689A KR820000617B1 (ko) 1976-10-29 1976-10-29 가습 정미기의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617B1 true KR820000617B1 (ko) 1982-04-19

Family

ID=1920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689A KR820000617B1 (ko) 1976-10-29 1976-10-29 가습 정미기의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61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50347A (ja) 砥液供給装置
US2171312A (en) Consistency control device
KR820000617B1 (ko) 가습 정미기의 유량조절장치
CN205820498U (zh) 一种张紧度可调的验卷机
US1925833A (en) Consistency regulator
FI87665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reglering av framstaellningen av raffinoermassa
JP4279461B2 (ja) 成分紙料の計量用タンクにおける面位および濃度の調整方法
US3947356A (en) Arrangement for regulating the moistening solution mixture in a moistening solution preparation plant for an offset printing press
US3425861A (en) Continuous application of substances to travelling materials
US2203925A (en) Stock regulating apparatus for paper machines
US1936049A (en) Regulating system
US2880654A (en) Consistency regulating system
US2510256A (en) Moistener for duplicating apparatus
US4040241A (en) Device for distributing softening liquid on the yarn during the twisting process
US4155295A (en) Rice pearling apparatus
US2598852A (en) Feed regulator for paper machinery
JPH0127776B2 (ko)
JPS645980B2 (ko)
GB2079189A (en) Moistening Textile Yarns
US2425962A (en) Water flow control for humidifiers
US2038667A (en) Chemical proportioning and mixing apparatus
US257771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reeness of papermaking stock
US2129249A (en) Apparatus for sizing photographic paper
US1248972A (en) Pulp-feed regulator.
US4541571A (en) Method of controlling a grinding process in a pocket gri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