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489B1 - 캡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489B1
KR820000489B1 KR1019800004555A KR800004555A KR820000489B1 KR 820000489 B1 KR820000489 B1 KR 820000489B1 KR 1019800004555 A KR1019800004555 A KR 1019800004555A KR 800004555 A KR800004555 A KR 800004555A KR 820000489 B1 KR820000489 B1 KR 820000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ner
container
wal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로오 시노자끼도꾸
Original Assignee
니홍크라운코르크 가부시끼 가이샤
후지에산 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700579A external-priority patent/KR820000173B1/ko
Application filed by 니홍크라운코르크 가부시끼 가이샤, 후지에산 지로오 filed Critical 니홍크라운코르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캡의 일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캡의 다른 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캡의 상부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캡의 라이너에 있어서의 환돌조와 그 인접부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캡의 다른 예의 라이너의 환돌조와 그 인접부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예의 캡의 상부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상기 예의 캡에 있어서의 라이너의 환돌조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내측 환돌조의 다른 예의 단면도.
제9a도 및 제9b도는 본 발명 캡에 있어서의 라이너 성형에 이용가능한 모울딩 펀치의 단면도.
제10도는 용기 구부의 밀봉면 위에 본 발명의 캡을 취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캡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특수한 형상의 라이너를 가진 회동식 캡에 관한 것이다.
환형 상부와 이 상부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것으로서 변형 가능한 견부와 용기 구부(口部)의 나선을 따라 변형 가능한 나선 형성부가 있는 스커어트부를 가진 금속제 캡 본체와, 이 캡 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가요성 라이너로 구성된 종래의 회동식 캡에 있어서, 그 라이너는 통상 원판지 또는 캡 본체 상부에 접착시킨 염화폴리비닐 등의 합성수지, 또는 캡 본체 상부내에 유입시킨 염화폴리비닐 졸(sol)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원판형 라이너는 그 생산성이 빈약하므로, 그 생산단가가 고가이고, 수송과 밀봉작업시에 라이너가 떨어지기 쉬운 결점이 있다. 한편, 유입식 라이너(회전라이너)는 고도의 생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재료로 이용되는 염화폴리비닐은 염화비닐 단량체로 인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식품 용기의 캡에는 그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요망된다.
근래, 염화폴리비닐을 대체시킬 수 있는 라이너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이 각광을 받고 있다. 불행하게도, 폴리에틸렌은 졸로 변화시킬 수가 없고, 또 캡 본체에 대한 접착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입식 라이너 제조에는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회동식 캡, 특히 밀봉성이 높은 캡용 라이너 재료로서 폴리에틸렌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 폴러에틸렌을 특정한 형상의 라이너가 되도록 타형하여 성형하면 특히 우수한 성능의 캡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환형 상부와 이 상부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용기구부의 나선을 따라 변형 가능한 나선형 상부가 있는 스커어트부를 가진 금속제 캡 본체와, 이 캡 본체 상부 내측에 형성된 가요성 라이너로 구성되는 캡이 제공되는데, 상기 라이너는 밀봉시킬 용기 구부의 밀봉면의 외경과 실제로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큰 내경을 가진 환돌조를 포함하고, 용기 구부의 밀봉주면에 밀착되는, 수직 내벽과 상기 스커어트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수직 격리된 외벽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원래, 본 발명의 캡은 2종의 캡을 포함한다. 즉, a) 환형 상부(2)와 이 상부(2)의 주연부로부터 하향연장되고, 병(10)과 같은 용기구부(11)의 나선(12)을 따라 변형 가능한 나선 형성부(4)가 있고 또 하연부에는 절곡부(5)가 있는 스커어트부(6)와, 바람직하게는 변형 가능한 견부(3)를 가진 금속제 캡 본체(1)와, b) 상기 캡 본체(1)의 상부(2)의 내측에 형성된 가요성 라이너(7)로 구성되는 “회동식” 캡과, a) 환상 상부(2), 이 상부(2)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밀봉시킬 용기(10)의 구부(11)의 나선(12)을 따라 변형가능한 형성부(4) 및 다수의 절결부(8)에 의하여 스커어트(6)의 하단연부에 벤드(9)가 일체로 연결되고, 바람직하기는 변형 가능한 견부(3)를 가진 금속제 캡 본체(1)와, b)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 본체(1)의 상부(2)의 내측에 형성된 가요성 라이너(7)로 구성되는 “회동식 위조방지 캡”이다.
알루미늄은 캡 본체(1)를 위한 훨씬 최적한 재료이다. 초박강판 등의 기타 변형이 용이한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캡의 주특징은 캡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라이너의 형상에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캡에 사용된 라이너(7)는 밀봉시킬 용기(10)의 구부의 밀봉면(13)의 외경(D1)과 실제로 등등하거나, 또는 약간 큰 내경(d1)을 가지며, 용기 구부의 밀봉면(13)의 원주에 밀착될 수 있는 수직 내벽(14)과 공간(17)에 의하여 스커어트(6)의 내주면(16)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격리된 외벽(18)으로 이루어지는 환돌조(15)를 포함한다.
이상적으로는, 환돌조(15)의 내경(41)은 용기 구부의 밀봉면(13)의 외경(D1)과 동등하여야 한다. 그러나, 용기 성형 또는 라이너 성형시에 발생될는지도 모르는 오차를 감안할 때, 적당한 내경(d1)은 다음과 같다.
D1′-α1
Figure kpo00001
d1(mm)
Figure kpo00002
D1′+α1+0.7
여기서 D1′은 용기 구부의 밀봉면의 표준 외경(mm)이고, α1은 D1′의 최대가공 오차(mm)이다.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D1′-α1
Figure kpo00003
d1
Figure kpo00004
D1′+α1
용기 밀봉변의 표준 외경(D1′)은 용기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다. 통상, 20 내지 70mm의 표준 외경이 본 발명의 캡에 적합하다. 병 제조 공업의 통상적인 일반적 지식에 의하면, 외경의 최대 가공오차(α1)는 0.3 내지 0.5mm 범위내에 있다.
환돌조(15)의 내벽(14)의 최소한 일부는 수직평면이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환돌조(15)의 단면형상에 정확한 한정이 없어진다. 그러나, 제4도에 도시한 환돌조(15)의 단면형상은 밀봉수행에 특히 만족하다는 사실이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제4도에서 환돌조(15)는 캡 본체의 상부(2)에 대하여 실제로 직각으로 직립 형성되는데, 내벽(14)과 외격(18)은 상부(2)에 대하여 실제로 수직이어야 한다. 내벽(14)과 외벽(18)간의 거리, 즉 환돌조(15)의 두께(l1)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으며, 예컨대 환돌조(15)의 내경(d1), 캡 본체의 형태, 라이너의 재료, 밀봉시킬 용기의 형태 및 요구되는 밀봉성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당한 거리는 0.3mm
Figure kpo00005
α1
Figure kpo00006
1.5mm, 바람직하게는 0.5mm
Figure kpo00007
α1
Figure kpo00008
1.0mm이다.
내벽(14)의 수직면의 폭(h2)은 임계적인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0.3mm인 것이 유리하다. 그의 상한에 어떤 절대적인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폭은 1.0mm 이상이어서는 아니된다. 그 폭의 바람직한 범위는 0.3 내지 0.5mm이다.
외벽(18)의 높이(h1)도 역시 특별한 제약이 없으며, 예컨대 캡 본체의 형태, 라이너의 재료 및 밀봉시킬 용기의 형태에 따라 광범위하에 변화시킬 수 있다. 그 높이는 최소한 h2와 동등하게 할 수도 있다.
내벽(14)의 상부(19)는 용기 구부의 밀봉면의 외단부와 용이하게 교합하기 위하여 외벽(18)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특히, 적절한 직경의 만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우기, 내벽(14)의 기저부인 만곡면(20)은, 예컨대 밀봉시킬 용기의 밀봉면의 내단부에 대한 접합력을 증진시키고 환돌조(15)를 보강하며, 또 라이너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직경의 만곡면(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제5도 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삼각형 횡단면을 가진 두꺼운 기저부(20′)를 형성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 두꺼운 기저부(20′)의 폭(w1)은 임계적인 것은 아니지만, 0.5 내지 1.3mm인 것이 유리하다. 그 기저부(20′)의 높이(h4)는 0.2 내지 1.0m인 것이 호적하다.
따라서, 내벽(18)의 높이(h1)은 내벽(14)의 수직면의 폭(h2)보다 큰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h1은 0.1 내지 2.0mm,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7mm이지만, 그것은 예컨대, 캡의 크기, 그리고 라이너의 재료에 좌우되는 것이다.
환돌조(15)의 내벽(14)의 기저부(20)는 후육부(厚肉部)(21)와 연접된다. 이 후육부(21)의 폭(l2)은 밀봉시킬 용기구부의 밀봉면의 두께(13)와 실제로 동등하게 만들 수 있다. 후육부(21)의 두께(h3)은 캡 밀봉시에 밀봉압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두께는 임계적인 것은 아니며, 예컨대 라이너의 재료에 따라 변동시킬 수 있다. 그 두께는 통상 0.3 내지 0.6mm,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0.5mm이다.
후육부(21)의 내향단부는 제4도에서 점선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급경사 형상을 갖거나 제4도에서 점선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형을 갖는 경우가 있고, 또 라이너의 중심판부(22)와 결합할 수도 있다. 라이너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는, 실제로 삼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진 돌조(23)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환돌조(15)의 외벽(18)의 기저부재, 즉 그 환돌조와 캡 본체(1)의 상부 사이의 교차점은 캡 본체(1)의 견부(3)의 상단연부(25), 즉 상부(2)의 주연부에 있는 권취부의 출발점과 실질적으로 정합(整合)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통상 약 0.5 내지 1.5mm 폭의 좁은 간격(17)이 스커어트(6)의 내주면과 환돌조의 외벽(18)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에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이 공간(17)은 고도의 밀봉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캡 본체(1)의 견부(3)를 변형시킬 때 특히 중요하며,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환돌조(15)의 비정상적인 변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우수한 밀봉성능을 가진 캡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 캡의 밀봉성능은 라이너에 전술한 환돌조(15) 외에 내경이 밀봉시킬 용기구부의 밀봉면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작고, 용기구부의 밀봉면의 내주연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경사외벽을 가진 실질적으로 삼각형 횡단면의 다른 환돌조를 형성시킴으로써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기 기재 내용에서는, 이 부가적인 환돌조를 “내측환돌조”라 하고, 전술한 “환돌조(15″)”는 상기 내측 환돌조와 구별하기 위하여 “외측 환돌조”라 하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환형 상부와 이 상부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용기구부의 나선을 따라 변형 가능한 나선 형성부가 있는 스커어트부를 가진 금속제 캡 본체와, 이 캡 본체 상부의 내측에 형성시킨 가요성 라이너로 구성된 캡이 제공되는데, 상기 라이너는, 1) 밀봉시킬 용기구부의 밀봉면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큰 내경을 가진 외측 환돌조와, 2) 용기구부의 밀봉면의 내경과 동등하거나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며 용기구부의 밀봉면의 내주연부에 밀착될 수 있는 경사진 외벽을 포함하고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내측 환돌조를 포함한다.
이 다른 예에서의 캡은 첨부도면 제6도 내지 제10도에 따라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본 예의 캡에서 사용된 라이너(7)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밀봉시킬 용기(10)의 밀봉면(13)의 외경(D1)과 실제로 같거나 또는 약간 큰 내경(d1)을 가지며, a) 밀봉면(13)의 원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수직의 내벽(14)과 b) 스커어트(6)의 내주면(16)으로부터 캡의 중심방향으로 공간(17)만큼 일정 간격으로 격리된 직립의 외벽(18)을 포함하는 외측 환돌조(15)와 2) 용기(10)의 구부의 밀봉면(13)의 내경(D2)와 실제로 같거나 약간 작은 내경(d2)을 가지며, 밀봉면(13)의 내주연부에 밀착시킬수 있는 경사진 외벽(27)을 포함한 내측 환돌조(26)를 포함하고 있다.
외측 환돌조(15)의 구조는 “환돌조”에 관하여 전술하였던 것과 극히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내측 환돌조(26)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정점(28)으로부터 외측으로 분기되어 경사진 외벽(27)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내벽(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점(28)의 각(β)은 한정적으로 제약을 받지 않으며, 예컨데 라이너 재료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각은 30° 내기 50°, 그 중에서도 약 45°이다. 내벽(29)은 수직인 것이 좋으나, 약간의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벽(29)과 라이너의 중심판(22)간의 각(γ)은 90°<γ<100°로 할 수 있다.
내면벽의 저부에서, 횡단면이 삼각형인 후육(厚肉) 기저부(30)은 보강 및 라이너 성형능의 면에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시킬 수 있다. 후육 기저부(30)의 폭(w3)과 높이(h6)는 임계적인 것이 아니며 내측 환돌조(26)의 높이에 따라 변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폭(w3)은 0.4 내지 0.7mm이고 높이는 내측 환돌조(26)의 높이(h5)의 약 1/3 내지 1배, 특히 약 0.8 내지 1.2mm이다.
내측 환돌조(26)의 내경(d2), 즉 하나의 표준으로서 제7도에서 정점(28)의 위치를 가진 내측환돌조(26)의 직경은 밀봉시킬 용기, 이를테면 병의 구부의 밀봉면(13)의 내경(D2)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작게함으로써 내측 환돌조(26)의 외벽(27)은 밀봉면(13)의 내주연부와 접한다. 따라서, 내측 환돌조(26)의 내경(d2)은 밀봉면(13)의 내경(D2)에 관하여 하기 범위내에 있다.
D2′-α2-0.6
Figure kpo00009
d2(mm)
Figure kpo00010
D2′-α2
여기서, D2′는 용기의 밀봉면의 표준 내경(mm)이고, α2는 D2′의 최대 가공오차(mm)이다.
내경 d2의 특히 적합한 범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즉,
D2
Figure kpo00011
α2-0.3
Figure kpo00012
d2
Figure kpo00013
D2′-α2
밀봉면의 표준 내경(D2′)는 용기의 형태에 따라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캡용으로는 통상 17 내지 67mm의 내경이 적절하다. 내경이 최대 가공오차(α2)는 병 제조공업의 통상적인 일반 지식에 의하면 0.4 내지 0.6mm이다.
내측 환돌조(26)의 높이(h5)는 외측 환돌조(15)의 높이(h1)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이를테면, 높이(h5)는 다음 범위 내에있다.
hi(mm)-0.3mm
Figure kpo00014
h5(mm)
Figure kpo00015
h1(mm)+0.5mm
높이(h5)는 높이(h1)보다 약간 크며 다음 범위가 바람직하다.
h1(mm)
Figure kpo00016
h5(mm)
Figure kpo00017
h1(mm)+0.2mm
외측 환돌조(15)의 내벽(14)의 후육기저부(30)는 내측 환돌조(26)의 외벽의 기저부(31)과 직접 연접될 수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은 용기의 밀봉면의 상면과 연접되는 후육부(32)를 통하여 상호 연접되는 것이 좋다. 후육부(32)의 폭(w2)은 밀봉시킬 용기의 밀봉면(13)의 두께(l3)의 1/4 내지 2/5이다. 후육부(32)의 두께(h3)는 제4도에서 후육부(21)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시에 밀봉압력을 흡수하는데 충분한 것이 좋다.
이 두께는 임계적인 것이 아니며, 라이너 재료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통상 0.4 내지 0.9mm,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0.7mm이다.
본 발명에 의한 특수형상을 가진 라이너는 원래 공지된 방법, 예컨데 왕관 캡 본체의 내면상에 성형된 라이너를 취부시키는데 빈번히 이용되는 장치와 방법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장치와 방법들은 이를테면 영국 특허 제1,112,023호, 일본특허 공보 제19386/73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05689/74호 및 미국 특허 제2,954,585호, 제3,135,019호와 제3,213,131호에 기재되어 있다. 제9a도와 제9b도에 도시한 종류의 모울딩 펀치를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이 라이너 재료로서 최적이지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수지류, 고무류 및 염화폴리비닐 역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0.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의 적당한 용융지수를 가지고 있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이 라이너 재료로 사용될 경우에는, 라이너를 피복시킬 캡 본체의 표면에 산화폴리에틸렌 함유 랙커층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것은 캡 본체의 표면에의 라이너 재료의 접착력을 증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유용한 산화 폴리에틸렌 함유 랙커의 자세한 것은 독일 공개 특허 명세서(DOS) 제2,504,623호 및 제2,617,526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캡은 각종 용기, 특히 병의 밀봉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 캡은 보통의 회동식 캡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도의 밀봉성(고압 및 감압하에)을 요구하는 용기를 밀봉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캡은 미국 특허 제3,039,247호와 제3,303,955호 및 영국 특허 제957,739호에 기재한 것들과 같이 밀봉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캡의 환형 견부를 변형시키는데 채용된 회동식 밀봉기를 사용하여 밀봉시키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면,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캡으로 밀봉하는 용기를 도시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캡은 그 외측에 나선(12)가 있는 용기(10)의 밀봉면(13) 위에 취부된다. 압력블록(33)의 승강기(34)로 캡의 상부(2)를 압압(壓押)하면, 캡의 견부(3)은 압력 블록 슬리이브(35)의 작용에 의하여 용기의 밀봉면(13)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이로 일해 견부(3)의 직경이 감소되는 것이다. 동시에, 캡의 나선 형성부(4)가 나선 로울러의 작용에 의해 용기의 나선(12)를 따라 형성된다. 이 과정에 의하여 고도의 밀봉성을 가진 봉착이 이루어진다.
회동식 밀봉기에 대한 특수한 조작법은 당분야에 숙달된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캡은 다양한 공업적인 이점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라이너의 특수형상 때문에 그 라이너는 밀봉시의 엄한 조건을 받지는 않지만, 용기의 밀봉면에 밀착되므로 고도의 밀봉성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우기, 비교적 높은 경도(硬度)의 수지를 라이너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된 수지의 양은 종전에 동일한 종류와 캡에 사용되었던 양의 약 2/3로 할 수 있다.
또한, 종전의 유입식 캡의 생산과는 달리, 본 발명은 항상 일정한 라이너 형상을 가진 캡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경사 봉착”, “상단 균열”, “개전(開栓)불량”, 또는 “절취선 파열” 등의 밀봉 결함의 발생을 거의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은 라이너의 환돌조와 캡의 주벽간에 공간이 있어서 캡 견부의 변형이 용이하게 수행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캡의 우수한 밀봉성 외에 본 발명의 캡은 낙하 충격, 열 충격, 또는 진동과 같은 간종 충격에 대하여 강한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다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상술하면 하기와 같다.
[실시예 1]
두께 0.24mm외 알루미늄 박판의 일면을 비닐형 보호 랙커로 압인하여 피복하고, 타면은 산화폴리에틸렌(알라이드 케미칼 코오포레이션사 제품 :평균 분자량 6500, 산도 28.0, 산소 함량 4.36중량%)을 함유하는 에폭시 페인트로 피복하였다. 그 알루미늄 박판을 28mm 캡용 프레스로 에폭시 페인트 피복면이 내면에 오도록 타형하였다. 이 캡에 마디를 붙여 천공하고, 캡 라이닝 취부기를 사용하여 170℃에서 용융시킨 고압 폴리에틸렌(밀도 0.92 : 용융지수 4.5) 240mg을 110℃로 예열시킨 캡 본체내에 제9a도에 나타낸 형태의 모울딩 펀치에 의하여 그것을 제3도에 도시한 형상으로 성형시켰다.
그 결과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라이너는 다음과 같은 명세의 형상을 가졌다.
Figure kpo00018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캡의 밀봉성은 하기 방법으로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연속 압력 보유시험
2) 65℃열처러법(JIS S-9017에 의함)
규격품 병(구경 24.1mm)을 제10도에 도시한 방법으로 견본 캡을 사용하여 밀봉시켰다. 밀봉후의 병의 내부 압력은 확산과 탄산수소나트륨에 의해 4용(容)으로 조절하였다. 그 병을 실온에서 수시간 방치하여 내부 압력을 안정시켰다. 다음에, 그 병을 65℃로 유지시킨 항온조 내에 침용시키고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기간 중에, 가스 누출 여부에 대하여 그 병을 관찰하였다. 1시간 후에, 그 병을 항온조에서 꺼내어 병내부의 액체를 25℃로 냉각시켰다. 이 때의 내부 압력을 압력게이지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ㄴ) 70℃열처리법
열처리온도를 70℃로 변경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ㄱ)항에서의 시험 방법을 반복하였다.
2. 밀봉 상태의 관찰
봉착 후, 경사 봉착, 상단 균열, 개전불량 및 절취선 파열이 시각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그러한 결함 발생의 각 갯수를 기록하였다.
[표 1]
Figure kpo00019
[실시예 2]
두께 0.24mm인 알루미늄 박판의 일면을 비닐형 보호 랙커로 타인 피복하고, 타면은 산화폴리에틸렌(알라이드 케미칼 코오포레이션사 제품 :평균 분자량 6500, 산도 28.0, 산소함량 4.36중량%)을 함유하는 에폭시 페인트로 피복하였다. 그 알루미늄 박판을 에폭시페인트 피복면이 내면이 되도록 프레스로 타형하여 28mm의 캡으로 만들었다. 이 캡에 마디를 형성하여 천공하고, 캡 라이닝기를 사용하여 170℃에서 용융된 고압 폴리에틸렌(밀도 0.92 : 용융지수 4.5) 240mg을 110℃로 예열시킨 캡 본체내에 넣었다. 제9b도에 보인 형태의 모울딩 펀치로 그것을 성형하여 제7도에 도시한 형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하여 얻은 폴리에틸렌은 하기 명세의 형상을 가졌다.
Figure kpo00020
얻어진 캡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밀봉성에 대한 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21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캡들역시 하기 시험에 의해 평가되었다.
A) 낙하시험
관착(冠着)시키고 그 내부 압력이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4용(容)으로 조절된 50개의 시료병들을 마분지 상자로 포장하여 높이 30cm에서 콘크리이트 바닥에 5회 낙하시켰다. 이때 그 시료들을 관찰하여 가스누출을 검사하였다. 어떠한 병에서도 가스누출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B) 열충격 시험
관착시키고 그 내부 압력이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4용으로 조절된 시료병들을 5℃에서 30분간, 50℃에서 30분간 방치시켰다. 이 과정을 2회 반복시키고, 가스누출에 대하여 시료를 검사하였다. 어떠한 시료에서도 가스누출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C) 진동시험
관착시키고 그 내부 압력이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4용으로 조절된 50개의 시료 병들을 마분지 상자로 포장하고, 병들을 직립시킨 체 DH분, 1,080회의 속도에서 3mm의 진폭으로 30분간 진동시켰다. 그리하여, 그 병들을 관찰하여 가스누출 여부를 검사하였다. 어떠한 병에서도 가스누출이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Claims (1)

  1. 환형 상부(2)와 이 환형 상부(2)의 주연부로 부터 하향 연장 되고 용기구부(11)의 나선(12)을 따라 나선 성형부(4)가 있는 금속제 캡본체(1)와 캡본체(1)의 상부 내측에 있는 가요성 라이너(7)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라이너(7)는 밀봉시킬 용기구부의 밀봉단(13)의 외경(D1)과 같거나 약간 큰 내경(d1)을 가지고, 용기구부의 밀봉단(1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의 내벽(14)과 스커어트부(6)의 내주면(16)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직립시킨 외벽(18)으로 형성된 외측환돌조(15)와, 용기구부의 밀봉단(13)의 내경(D2)과 같거나 약간 작은 내경(d2)을 가지며 용기구부의 밀봉단(13)의 내주연부와 밀착될 수 있는 경사외벽(27)을갖는 횡단면이 삼각형인 내측 환돌조(2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KR1019800004555A 1977-03-11 1980-11-28 KR820000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555A KR820000489B1 (ko) 1977-03-11 1980-11-2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579A KR820000173B1 (ko) 1977-03-11 1977-03-11
KR1019800004555A KR820000489B1 (ko) 1977-03-11 1980-11-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579A Division KR820000173B1 (ko) 1977-03-11 1977-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489B1 true KR820000489B1 (ko) 1982-04-08

Family

ID=2662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555A KR820000489B1 (ko) 1977-03-11 1980-11-28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48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4775A (en) Cap with sealing liner
US4379512A (en) Closure having an improved liner
JP2739674B2 (ja) プラスチック飲料蓋
CA2162982C (en) Sealed container
US4209102A (en) Linerless plastic closure
HU226940B1 (en) Plastic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plastic closure
IE48566B1 (en) Containers
GB212656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osures for containers
NO800119L (no) Foringsfri plastkapsel for trykkbeholder.
EP0014206A1 (en) PLASTIC WATERPROOF PLUG OR LID.
UA118977C2 (uk) Металевий контейнер, що має шийку, на яку може закручуватись ущільнюючий елемент у вигляді ковпачка з різьбою
US3303955A (en) Container closure
JP2018522790A (ja) 金属瓶を密封するために設計されたガスケットを有するカバーキャップ
US4461392A (en) Threaded plastic bottle cap
US3664536A (en) Screw type closure cap
US3247994A (en) Plastic caps for use as closure for containers
US4415096A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n improved liner
GB2028781A (en) Vessel closur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3447710A (en) Manually removable tear-type closure elements
KR820000489B1 (ko)
JPH0525748B2 (ko)
KR820000173B1 (ko)
JPS6121354A (ja) 爆発防止特性を有する容器と容器蓋の組合せ
JPS58171359A (ja) 耐衝撃密封性及び耐ストレスクラツキング性を有するライナ−付容器蓋
JP2006273374A (ja) ネジ付き缶用キャップの密封ライナー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