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455B1 -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0455B1 KR820000455B1 KR7502680A KR750002680A KR820000455B1 KR 820000455 B1 KR820000455 B1 KR 820000455B1 KR 7502680 A KR7502680 A KR 7502680A KR 750002680 A KR750002680 A KR 750002680A KR 820000455 B1 KR820000455 B1 KR 8200004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engine
- bilge
- oil
- pu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빌지수 처리장치의 전체를 표시하는 약도.
제2a도와 제2b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어와 연동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개략선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어반의 양호한 형식의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반 15 : 선박용 디이젤기관
18 : 배기닥트 23 : 물펌프용 전동기
24 : 물펌프 29 : 유수분리기
30 : 빌지수 분리기 공급도관 32,32′: 처리수 배기닥트 급수도관
본 발명은 선박의 빌지처리를 비오염, 환경보호적인 방법으로 또 안전 자동적으로 배의 운전에 관하여 신뢰될 수 있는 방법으로 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출원인은 빌지수부터 기름을 분리하기 위한 노력이 미국특허 제1,586,449호 및 제1,921,689호 및 가장 최근의 제3,425,556호에 표시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알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예는 미국특허 제1,406,750호 및 제1,425,289호에 보인다. 또 미국특허 제3,628,660호 기재의 부유돔형유 물 분리장치도 알고 있다.
출원인은 또 차량 또는 선박에서의 인간의 배설물을 차량 또는 선박의 기관, 특히 배기 매니폴드(manifold) 또는 연둘을 열원으로서 사용하여 배설물을 태우든지 증발시키는 것에 의하여 처리하기 위한 이전의 노력도 알고 있다. 미국특허 제26,891호, 제3,504,797호, 제3,615,010호 등은 출원인이 크리브랜드시의 오일제작 회사에서 열원으로서 내연기관의 배기 매니폴드를 사용하는 폐수 증발장치의 실시예이다. 다음의 미국특허는 차량의 내연기관의 배기류이고 인간의 폐수를 그것의 증발로 처리하는 선행기술에서 알려진 장치의 부가적인 실시예를 표시한다 : 제2,565,720호, 제3,731,490호 및 제3,740,773호.
빌지수부터 기름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부유돔 분리장치를 사용하는 빌지 처리장치를 이와 같이 하여 기름으로 부터 분리된 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항상 장치의 안전한 운전을 보증하는 세련된 조정장치의 제어하여 완전히 자동적으로 또 연속적으로 운전되는 배기연둘 증발기와 조합하여 사용하는등의 선행기술의 사용도 출원인은 모른다.
본 발명은 물의 처리에 앞서 빌지수부터 기름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빌지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름오염물을 포함한 빌지수는 미국특허 제362,862호에 표시되는 형식의 용접 밀봉된 기름돔 분리기속에 흡입에 의하여 당겨진다. 이 특허에 기술된 바와 같이 기름은 유입하는 기름과 물의 빌지 혼합물부터 분리되어 분리된 기름은 양액의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부유돔의 정부 아래에 축적된다. 유입 빌지수의 함유량과 기름의 비중에 따라 어느 시간내에 수집된 기름의 다소에 의하여 돔은 급속히 또는 완만하게 상승한다.
빌지수의 분리기내로의 흡입은 처리수를 분리기의 출구부터 펌프로 보내는 것에 의하여 유지되고 이 물은 거의 기름 오염물이 없다. 그러나 처리수는 아직 소량의 기름 또는 다른 용존 오염물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물의 배 밖에 배출은 반듯이 바람직하지 않고 지역에 따라서는 법률로 금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배위의 내연기관의 고온의 배기흐름중에서의 플래시 증발에 의한 그 물의 처리를 기하고 있다.
장치내부에는 정밀한 제어장치가 포함되고 그 자신이 이 분야에 있어서의 선행기술에 관하여 본 발명의 독특성에 중요한 공헌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빌지수레벨, 물 펌프기능, 물밸브 흐름기능, 기관연료압력, 기관조임 공기압력, 기관 배기연동 온도, 분리기 기능, 분리기 돔위치, 및 유조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의 기능은 대개의 경우 솔리드 스테이트 일렉트론닉스(solid state electronics)를 최대한으로 이용하게 설계할 수 있는 소형의 고효율이 좋은 장치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또는 전기 기계적으로 검지된다. 빌지수가 높은 빌지 조건하에서 자동적으로 펌프로 퍼내어져 기름이 물부터 분리되어서 정기적인 시간간격으로 자동적으로 저장조에 보내지고 기관이 전출력으로 운전되어서 연돌이 그것에 흐르는 물의 순간 플래시 증발을 생기는데 충분히 고온인 경우에만 처리수가 증발때문에 연돌에 보내진 것을 보증하게 제어장치는 되어 있다.
본 발명과 함께 처리수의 배 밖에 배출의 수동선택이 이용가능하고 또 장치는 그 자신의 작동을 연속적으로 간시하게 설계되고 인터록, 지시기 및 경보장치가 장치를 정치하고 동작불량 부분을 지시하고 동작불량이 일어났을때 보수요원이 음향적으로 경고하기 위하여 구비되어 있다.
뒤에 더 완전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장치는 돔이 그 높이 한계(돔하에 최대로 기름이 축적된다)로 올때까지는 빌지수 처리조작동안 처리수를 분리기부터의 물의 펌프이송을 중지하고 한편 돔하의 기름을 저장조로 토출하는 것과 분리기내에 구비되고 그 위에 기름입자가 포획되어서 붙은 스크린을 청소하기 위하여 분리기가 정압력하에 있는 물로 역세된다. 분리기가 물로 채워지면 기름이 돔부터 배출되어 그 돔이 그것의 낮은 한계로 강하하고 그것이 만약 빌지레벨이 높으면 자동적으로 펌프동작을 재개시한다. 처리수는 만약 조건이 플래시 증발에 대하여 정돈되고 처리의 이방식의 선택이 되어 있으면 증기연돌 닥트로 갈수가 있고 혹은 배밖으로 배출되는 일도 있다.
여기에 기술한 빌지 처리장치는 더욱 적당한 플루우프와 회로의 장치를 포함하고 장치의 운전기록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당한 시간 그래프에 따른 여러 운전조건 특히 물이 연돌을 통하여 토출되었을 때의 기록채취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이점과 우수한 특성은 이하에 기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부터 더욱 명백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를 만들어내는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적 관계의 개시를 알 것이다. 이 도면은 장치가 작동하는 방법의 시각적 개념 및 관여하는 여러 구성요소의 개념을 전달하는 것을 의도한 것으로 명백하게 실제의 구조적 설비의 묘사를 의도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2a도와 제2b도는 장치의 제어품을 더욱 상세하게 위해서는 개략적으로 나타내나 제3도는 이 장치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제어반과 같은 양호한 제어반 배치를 도시하는 것을 의도하였다.
제1도를 참조하여 제어반 장치 10은 회로를 포함하는 상자(도시안됨)를 반의 배후이 포함하고, 그 반자체의 상에 방식선택기 노브 11을 포함하고 그것은 장치의 조작원에 본 발명의 빌지수처리장치의 조작의 특정한 방식을 선택시킬 수가 있다.
주전원 스윗치 13이 장치전체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한다. 설명을 계속하기 위하여 그리고 별기가 없는한 “자동” 즉 자동방식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반 10은 또 물 배출방식 선택기 노브 14를 포함하지만 그것은 보이는 바와 같이 처리수의 배기닥트 또는 배밖에 배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잠시동안 노브 14는 연돌배출 방식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설명 및 특허청구의 범위의 난에 있어서 “빌지수”라는 용어는 배의 빌지영역에 있는 모든 유체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배이외의 차량 및 고정 설비환경에서도 사용될 것은 기술에 정통한 사람들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배이외의 장소에서 이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빌지수”라는 용어는 더우기 먼저의 처리를 위하여 분리기내로 흡입되는 모든 혼합물을 의미한다.
배의 유체빌지내용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빌지수”라는 용어는 더우기 기름과 물의 혼합물의 모든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배기 빌지내로 기름탱크 세정수를 포함하는 유조선이 아니라고 가정하여 통상 양호하게 유지된 배에 있어서는 빌재내의 10내지 25% 기름의 범위는 정상으로 생각된다. 다른 한편 빌지수의 기름 함유량은 빌지의 함유물이 거의 전부 기름이라는 점까지 대단히 높은 레벨로 상승된다. 어느 경우에는 기름대 물의 비율이 비교적 단시간내로 대단히 극단으로 변화할지도 모른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이와 같은 극단에 유의하면서 설계되어 연속적인 기준으로 사실상 어떤 기름의 비율을 갖는 빌지수라도 처리할 수가 있다.
“기름”이라는 용어도 또 물보다 적은 비중을 가지고 중력적으로 물부터 분리되는 모든 유체로서 넓게 생각하는 것으로 한다. “처리수” 또는 단순히 “물”이라는 용어는 그것부터 기름이 제거된 물 또는 그 자체의 기름이 없는 물을 의미하고 일반으로 10ppm보다 적은 기름을 가진 물을 말하나 이것은 이 경우의 한계로 하는 것은 아니다.
노브 11, 13 및 14가 모두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경우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여 기관 15가 시동되어 배의 운전중의 어느 점에서 조임 공기압 제어기 16의 설정, 지금의 경우 그것은 선박용 디젤기관 15의 조임판을 조임레버 제어기설정에 정비례하여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출력으로 올려진다. 디젤기관 15의 시동때 펌프 17 부터의 연료유 펌프압력은 급속히 운전레벨로 상승한다. 그동안 연둘배기 18은 기관 15가 전출력으로 운전되어 있을때의 비교적 예측 가능하고 안정한 치로 증가한다. 이들의 조건하에서의 연돌온도는 통상 260℃를 넘는다.
본 발명은 기관의 운전을 감시하여 처리수의 연돌증발이 허용될때와 안될때를 검출한다. 이것은 검출기에 의하여 되고 그 검출기는 전설 19를 통하여 16에서의 조임공기압을 전선 20을 통하여 17에서의 기관연료압력을 전선 22를 통하여 21에서의 연둘온도를 설정한다. 기관 및 연둘 검출기는 전기 기계적 혹은 기계적이여서 기술에 정통한 사람들에 의하여 잘 알려진 어떤 적당한 회로가 검출기의 기능발휘와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을 사용될 수가 있다.
기관이 전출력설정으로 운전되고 소정의 유량으로 연돌에 공급되는 처리수의 플래시 증발을 보증하는 최소 소정치로 연돌온도가 있을 때에 물 펌프 전동기(23)와 그것에 연결된 펌프 유닛 24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펌프 이송되는 처리수가 없든지 또는 펌프의 운전을 요구하지 않은 다른 장치의 작동이 실행되고저 되어 있으면 펌프는 아직 필히 온(on)으로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펌프의 운전이 요구되면 예로서 빌지레벨이 높을때 상기의 기관 및 연돌 감출기는 연돌증발에 대하여 제조건이 정돈되어 있다는 것을 장치에 통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렇치 않고 만약 조건이 정돈 안되어 있으면 물 배출방식 선택 노브 14가 연돌배출에 설정되어 있으면 높은 빌지레벨에 무관계로 펌프전동기 23의 운전은 가능으로 되지 않는다.
이것은 물론 냉각된 연돌로 또는 기관이 저속운전 또는 뜨거운 배기의 흐름이 불충분한 연돌에 물이 펌프로 보내지는 것을 방지한다. 명백하게 이와 같은 상황은 연돌 및 기관을 손상하는 우려가 있다. 장치방식노브 11의 “자동”과 다른 위치로의 이동은 기관과 연돌의 조건의 펌프운전으로의 영향을 뒤의 이설명으로 아는 바와 같이 변화시키나 편재는 노브 11은 자동장치운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관 기능검출기와 연돌검출기가 모두 처리수의 연돌증발때문에 펌프운전을 기능으로 하고 있을때 전선 26을 통하여 제어유닛 10에 접속된 고빌지 레벨 검출기 25가 빌지유체가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검출할때까지는 처리장치는 정지하고 있다. 이것이 일어나면 검출기 25는 펌프 24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전동기 23으로의 회로를 닫고 그것이 즉시 만약 기관과 연돌의 조건이 정돈되어 있으면 빌지부터 유체를 당기게 운전을 개시한다. 펄프전동기 23이 운전중 언제라도 “펌프운전중”등 23′가 살고 있다. 펌프전동기 23이 운전되지 않고 검출기 25가 소정레벨을 넘는 빌지레벨을 검출하면 “고빌지”등 25a가 산다. 전동기 23은 전선 23″을 통하여 제어 유닛 10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 24는 빌지내의 유체 레벨이 소정레벨 이하로 강하한 것이 전선 26′를 통하여 제어 유닛 10에 접속된 저빌지 검출기 25′에 의하여 검지될때까지는 작동을 계속한다.
연돌증발지시기는 신호등 27,28을 포함한다. 연돌이 적정한 플래시 증발온도에 있고 기관 조건이 적정이면 “연돌증발기”등 28이 산다. 만약 조건이 적정치 않으면 이것은 뒤에서 더 충분히 설명하는 “연돌증발불가”등 27이 산다.
장치내의 유수분리기 29는 처리수관로 31,31′를 통하여 펌프 24의 취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분리기 29의 취입측은 배의 빌지구획 30′내로 연장하는 빌지관 30에 접속되어 있다. 통상 최초로 장치의 펌프와 빌지의 사이가 전부호출 물로 채워지게 적당한 공급원부터의 물로 분리기 29, 관로 30과 31 및 펌프 24가 전부 채워진다. 그러므로 펌프 24의 작용은 처리수를 분리기 29부터 당기는 것과 동시에 빌지수가 관로 30를 통하여 분리기 29속에 펌프와 빌지의 사이에 펌프에 의하여 일으켜진 압력차에 의하여 일으켜진 압력차에 의하여 흡상되는 것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분리기 29중에 파편이나 고체가 들어가지 않게 관 30의 다리에 적당한 여과수단이(도시안됨) 통상구비된다. 또 장치의 호출물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역지밸브가 통상관로 30과 31에 구비된다.
펌프 24의 출구측은 관로 32,32′로 접속되어 그들은 연돌 18내의 연돌 분무장치 33에 달한다. 흐름조정기 34가 연돌분무장치 33으로의 일정한 소정의 유량을 보증한다. 연돌내에서 처리수는 순간적으로 플래시 증발되어 그리고 증기는 기관 배기유출물과 같이 연돌부터 유출된다.
한쌍의 수류량 제어밸브 35,36의 각각 처리수 흐름관로 31,31′및 32,32′중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35,36의 흐름을 3방향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3개의 관로로 각각 접속된 2위치 밸브이다. 이들의 밸브는 막연하게 3방향으로 밸브라 불려져 각각 전동기 유닛 37,38을 가진 종래의 정기적으로 조작되는 밸브로서 제어유닛 10내의 전기회로 및 스윗치에 의하여 전선 39,39′경유로 조작 가능하다. 밸브유닛 35,36은 하나의 유체관로와 다른 2개중 어느 것과의 사이에 연통을 확립하게 조작 가능하다. 밸브 35의 경우 유체관로 31과 수압공급관로 40 또는 펌프입구관로 31′중이 어느것과의 사이에 연통이 확립된다. 수압공급관로 40은 통상 배의 청수공급원으로 접속되어 그리고 전선 42에 의하여 제어 유닛 10에 접속된 상시 폐전자 차단밸브 41을 포함하고 있다. 유체관로 40의 목적은 이하에 어떻게하여 분리기부터 기름의 배출이 행하여지느냐의 설명과 관련하여 더 충분하게 논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35는 관로 31,31′간의 연통이 확립되는 위치로 작동되었다.
밸브의 다른 위치는 관로 40과 31을 접속하여 관로 31′를 차단한다. 밸브 36은 연돌증발을 허용하기 위하여 수관로 32를 펌프 24의 배출측에 있는 관로 32′에 접속하게 또는 관로 32가 차단되어 있는동안 관로 32′와 선외 배출관 43을 접속하게 조작가능하다. 유량조정기 43′가 도시와 같이 관로 43내에 구비되어 있다. 밸브 36은 수동으로 수관로 32와 32′가 연통하고 있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제1위치(연돌배출)나 또는 관로 32′와 43이 연통하고 있는 제2위치(선회배출)와의 어느것에 설정된다. 희망하는 물처리방식 연돌증발이나 선외방출의 어느것을 얻기 위하여 밸브 36의 위치를 제어하는데 수동선택기 14가 사용된다. 장치 운전중에 제어노브 14를 선회배출에 설정하면 선회배출 신호등 44가 사는 결과를 낸다.
밸브위치 비교기 검출기 45와 46은 밸브 35와 36에 또는 그들의 전등기 37,38에 접속되어 그리고 또 전선 47,48 경유로 제어유닛 10에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 45와 46과 그들의 관련회로는 밸브 35와 36의 실제의 위치를 장치의 운전의 각 사이클동안 밸브의 명령위치와 비교한다. 만약 밸브 35 또는 36의 어느것의 실제위치가 제어유닛 10에 의하여 명령된 위치로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전 시스템이 차단되어 밸브 불가동 49가 살고 장치동작 불량경보가 울리게 된다. 실제로 장치차단은 펌프전동기 23을 차단하고 밸브 41이 그것의 상시 폐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된다. 기관은 명백하게 차단되지 않는다.
운전적으로는 이점에서 장치는 자동방식으로 설정되어서 기관은 전출력으로 작동을 계속하여 25로 높을 빌지가 검지되면 펌프 24는 관로 30을 통하여 분리기 29내로 빌지수를 당기게 기동되어 다른 한편으로 그 펌프는 관로 31,31′를 통하여 분리기부터 처리수를 연돌내의 플러시 증발때문에 수관로 32,32′중에 당기는 것은 명백하다. 그대신으로서 처리수는 수동선택기 노브 14에 의하여 선외(船外) 배출위치로 밸브 36을 돌리는 것에 의하여 임의때에 선외로 배출될 수가 있다.
도립(倒立)돔 분리기 29는 일반으로 닫은 용기 60을 포함하고 그 용기는 그 속에 도립돔 즉 밸부재 61을 가지고 그 부재는 통상 그것의 최저위치에 있는 하방 정지요서 62에 닿아서 정지하고 있다. 링크 63이 돔의 정부에 단단하게 접합되어 그 링크는 용기 60의 외측에서 평형추아암 64에 접속되어 그 아암은 60에 부착된 용기 구조물 65로 추지되어 있다. 링크 63은 용기 60을 수밀(水密)한 취부구를 통하여 관동하고 있다. 그것은 분리되어야 할 액보다도 무거운 비중의 액(이 경우는 물) 중에서의 돔 61의 중량과 균형잡기 위하여 그리고 돔하에 축적된 기름에 대한 돔 응답의 감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절가능하다.
공기 제거기와 압력/진공계와의 조립물 67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분리기 29는 운전중 액체로 완전히 채워진 채이다.
실제로는 공기분리기는 용접 밀봉된 탱크 60의 최고점에 접속되어 있다. 유착제(Sieve) 68이 탱크 60의 내부를 두 개의 실로 분리하여 처리되어야 할 또는 처리를 받고 있는 물은 60′내의 체의 내측에 있고 처리수는 실 60″내의 체의 다른 측에 있다. 공급관 69는 빌지관로 30을 돔 61의 내부의 탱크 60의 내방영역까지 연장하여 돔 61이 그것의 최저 한계위치에 있을때의 그것의 정부의 하측에 대단히 가깝게 위치된 입구 71을 기름 배출관 70이 가지고 있다. 분리기가 돔 61의 밑에 수집된 기름 72를 배출하기 위하여 작동하고 있을때에 관 70은 기름 배출관로 70′중에 기름을 배출한다. 관로 70′는 저장조 73중에서 끝나고 그 저장조는 전선 75에 의하여 제어반음닛 10에 접속된 고저장유 검지기 74를 구비하고 있다. 표기기동 75′는 저장조 73내의 기름레벨이 안전 한계를 초과하면 점동한다.
돔 61의 위치는 돔 밑내 수집된 분리된 기름의 양에 따라 변화하고 가벼운 촉의 기름이 무거운 촉의 돔을 상방으로 누름에 따라 상승한다. 기름이었을때는 물론 돔은 하방한계 위치로 낙착한다. 돔 위치는 유닛 76에 의하여 검출되어 그 유닛은 적당한 회로를 개폐하여 전선 77경유로 제어유닛 10에 돔 61의 높이 및 저한계위치의 신호를 부여한다. 드레인 모이기 78은 슬러지를 탱크의 바닥부터 제거하는 것을 가능으로 한다.
분리기실 60′내의 분리기능 검출유닛 79는 전선 80을 통하여 제어유닛 10에 접속되어 돔 61의 하연의 하방영역에서 처리를 받고 있는 빌지수의 전도율을 끊임없이 감시한다. 실 60′내의물의 기름함유량이 검출기의 영역내에서 어느 소정 온도를 초과하고 있으면 검출기 79는 제어유닛 10에 이 사실을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분리기동작 분량에 기인하여 장치를 정지시킨다. 이것이 일어나면 분리기 불가동 81이 붙고 그와 동시에 경보가 울린다. 검출유닛 9는 탱크 60의 정복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또 동작 불량에 대한 감도가 최량인것 같은 다른 임의의 위치로 놓는 것도 가능하다.
기름 분리운전은 다음과 같다. 처리수출 구관로 31,31′를 경유하여 실 60″부터 펌프로 인출됨에 따라 펌프 24의 작동이 관 30과 69를 통하여 분리기 탱크 60의 돔 61의 밑에 빌지수를 당긴다. 빌지수중의 기름은 돔 61의 밑의 물 돔계면에 부상하든지 혹은 기름이 빌지수중의 세밀한 혼탁물이면 제 68상에 모여서 보다 큰 기름의 소구로 되어 그 유구가 기름과 물의 비중의 차이에 기인하여 돔 하측의 정부로 상승한다. 분리가 진행함에 따라 기름 72의 층이 형성되어 돔 61을 서서히 유닛 76에 의하여 검출되는 상방한계로 향하여 상승시킨다. 장치가 “자동”방식으로 운전되어 이 한계로 달할때까지는 처리수는 분리기로부터 운반되가고 그 사이에 기름 72의 레벨이 증가하여 돔 61이 상승한다.
돔이 그 상방 한계에 달한것이 유닛 76에 의하여 검출되면 장치운전은 “기름배출” 방식으로 변경된다. 이때에 펌프전동기 23은 정지되어 수류제어 밸브 35는 자동적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어서 유체관로 40과 31간의 연통을 확립하고 전자밸브 41은 열려져 압력수를 실 60″도입한다. 역시 밸브 82는 물이 별지영역 30″에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기름 72는 관로 31을 통하여 유입하는 물의 작용하여서 관 70과 70′부터 유출하기 시작한다. 유출 72가 감소하면 돔 61은 그것의 하방 한계에 향하여 강하한다. 하단 위치에서 검지기 유닛 76은 신호를 제어유닛 10에 전달하고 밸브 41의 작동을 해제시켜 그것을 상시 폐위치로 복귀한다. 밸브 35는 제1도에 표시된 위치로 복지되어 펌프 24는 센서 25로 고빌지 레벨가 검지되면 다시 작동된다.
장치는 그것이 “입”에 놓여져 있고 모든 기능감시기가 장치의 여러 요소의 만족한 작동을 검지하는 동안은 이 방법으로 사이클을 계속한다. 기름 배출 신호등 83은 장치가 “기름배출”방식으로 운전되고 있을때는 언제나 점등하고 있다.
그래프식 시간기준 기록기 유닛 90이 제어유닛 10 내에 구비되어 있다. 장치내의 여러유닛 10 내에 구비되어 있다. 장치내의 여러유닛부터의 신호는 유닛 10 내에서 포함되어 방식 선택기 노브 10이 “절” 위치로 있을 때 장치는 펌프가 동작하여 있고 “연돌” 물 배출 방식에 있을 때 ; 펌프가 동작치 않고 있을 때 및 펌프가 동작하고 장치가 “선외” 배출방식에 있을 때의 기록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1도에서 전선 39′와 23″에 부착된 “기록계로”의 부호는 기록작업 때문에 처리되어야할 신호의 두 개의 근원을 표시한다. 제3도 신호는 제어유닛 10의 반상의 방식 스윗치 11의 위치 부터 인출된다. 펌프 운전중신호, 방식 스윗치 신호 및 연돌 또는 선의 신호부터 상기 4개의 기록 작업은 종래의 방식으로 인출할 수가 있다.
제어반 10은 경보 음을 절로하는 “경로증인” 단추 91을 포함하고 한편 “경로 재설정” 단추 92가 고장이나 동작 불량이 수정된후 장치내의 여러 경고 및 검출기구를 재설정한다.
제어노브 11의 설정을 “자동”이 아니고 별지 취입 “방식으로 설정하고 물 배출제어 노브 14를 “선외”로 설정한 상태에서 장치는 기관운전 또는 연돌 온도와는 독립으로 처리수를 연속적으로 선외로 방출하게 작동한다. 노브 11을 “기록배출”로 설정하면 밸브 41에 체 68을 통하여 물의 복류(復流)와 분리기 29부터 저장로 73으로의 기름 72의 유출이 생긴다. 돔 61이 그 하한 위치로 강하하면 밸브 41은 자동적으로 닫혀진다. 노브 11은 또 “절”로도 설정되어 그것은 장치의 대부분을 작동해져 한다. 그러나 노브 11이 “절” 위치로 있어도 고빌지레벨이 생겼을 때에 등 25a에 그것이 표시되어 적당한 다른 신호도 활동상태에 있게 준비할 수도 있는 같이 되어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표시하는 제2a도와 제2b도를 참조하면 그중에서 유사요소는 제1도와 같은 번호가 부여되고 연돌, 연돌불가, 선외 회로가 상자 100중에 도시되어 있다. 회로 100으로의 입력신호는 연료 유압력 검출기, 기관죠임 공기압력 검출기 및 연돌온도 검출기 부터 모두 각각 전선 20,19,22를 통하여 얻어진다. 연돌, 선외 스윗치 위치는 콘넥터 101을 통하여 검출된다. “선외배출” 등 27과 “연돌증발기”등 28은 각각 도선 102, 103, 204를 통하여 상자 100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윗치 14의 연돌증발 또는 선회배출선정을 표시하는 출력 신호는 도선 105 경유로 기록계 90으로 공급된다. 연돌출발 불가신호는 원격유닛 경보회로상자 110에 전선 106경유로 전달된다. 연돌 증발기 또는 가능 신호는 전선 107을 통하여 밸브위치 명령 신호가 밸브 36으로 전선 39′을 통하여 전달된다.
일이 특정한 순서로 일어나고 특정의 일조의 운전 조건이 유지되어 있을 때만 연돌 증발이 허용되게 회로 100은 들어오는 신호를 처리하고 회로와 회로 100 내의 여러 리져이의 내부동작을 감시한다. 기관이 시동하면 연료 유압력(FOP) 검출기가 거의 즉각닫혀(“닫힌다”라는 용어는 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되어야할 조건이 생긴 것을 표시하는 회로의 완성을 의미한다) 기관이 운전중인 것을 표시한다. 회로 100은 다음에 즉시 죠임 공기압력(TAP) 검출기의 조건을 조사한다. 선박용 기관은 전죠임 위치에서는 통상시 동안되므로 TAP 검출기의 조건은 “개”(회로 개조건이 검출안됨)이어야 한다. FOP가 닫힐때에 만약 TAP 검출기가 닫혀있으면 동작 불량이 표시되어 회로가 작용하지 않게하여 조건이 수정될때까지는 펌프 작동 가능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전출력보다 적은 죠임 위치에서 회로가 작용하지만은 대로 있으면 검출기 또는 회로 동작 불량이 표시된다. 그러나 조건이 정돈되어 있으면 FOP 검출회로가 닫혀 그리고 죠임이 전출력 선정으로 진행될 때까지는 TAP 회로는 열린대로이다. 죠임이 전출력 선정으로 되면 FOP 회로가 닫혀서 적정한 순서로 TAP와 TAP 양쪽의 회로가 닫혀진다. 배기연돌 온도(EST)는 서서히 희망의 최소 플러시 증기온도까지 올라온다.
회로 100 내지 소정 기간의 시간지연은 일시적인 상태가 펌프운전을 개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연돌 온도가 안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이시간 기간이 생길때까지는 연돌증기 가능신호가 펌프가제어 회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시간 지연이후 펌프 운전과 연돌 증발이 도선 107 경유로 회로 100에 의하여 되게끔한다. 물론 만약 스윗치 14가 선의 배출 위치에 있으면 도선 107에서의 연돌 증발 신호는 펌프운전 가능 신호가 되어 기관 또는 연돌 조건은 신호에 영향한다. 연돌 증발은 이와 같이 하여 동작불량이 회로 100을 작용시킬때 까지는 또는 운전 조건이 기관 전력운전이 존재하는 것을 중지한 것을 표시할 때까지는 가능하게 된다. 만약 FOP, TAP 또는 EST 회로의 어느것이 열리면 연돌증발과 펌프전동기운전은 즉시 불가능하게 된다.
ESP 검출기를 고착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EST 검출기가 소정의 시간지연후 열린 후 EST 검출기가 닫혀진대로 있는 것이 아니냐, 회로 100 내에서 더욱 점검이 된다. TAP 검출기가 열린후 어느시간내에만 약검출기가 열리지 않으면 회로는 작용하지 않게되어 열돌증발은 도선 107경유로 가능으로 되지 않는다.
어느 것의 연돌증발이 고장나면 항시 연돌증발 불가동 27이 켜진다. 연돌증발이 가능이면 “연동증발가”등 28이 켜진다. 고장이 일어나면 원격 경보장치는 연돌고장신호를 받아서 경보기를 울려 동작불량을 표시한다. 스윗치 14가 선의 위치로 있을 때 선외배출등 44가 켜지고 밸브 36에 있는 밸브전동기 38은 회로 100에 의하여 스윗치 14의 위치에 따라 도선 34′경우로 명령되어 제어된다.
원격 경보장치회로 110은 고유(高由)레벨회로상자 115부터 도선 116 경유로 저장조내 고유레벨의 동작불량 즉 경고신호 : 고장 검출회로상자 160부터 도선 161을 통하여 분리기 동작불량신호 : 및 밸브위치 비교기 회로 130에 접속된 도선 131부터 밸브불가신호를 받는다. 원격유닛장치 110은 또 출력선 112를 통하여 원격경보기장치 111에 접속되어 원격유닛은 제어반 유닛 10부터 먼 선내의 임의의 장소에서 분리기 동작불량을 경고하는 음향경보기가 바라볼 수 있는 예를 들면 키잡는 실이나 선교등에 놓여질 수가 있다. 기관실 경적(警笛)은 도선 113을 통하여 원격 유닛 경보회로상자로 접속되게 된다. 회로 110은 들어오는 경보나 불가신호를 제26도에 표시하는 원격경보기 및 원격유닛 113, 111에 전달하게 처리한다. 경적이나 표시기는 원격경보 유닛 111에 조립되어있다.
고유저장 레벨회로 115는 도선 75를 통하여 저장유조 73 내의 고유레벨 검출기 74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신호를 처리하여 도선 116을 통하여 고유레벨신호를 출력하여 그리고 고유레벨상태가 일어났을 때 도선 117을 통하여 표시등 75′를 키게한다.
밸브 위치 비교회로 130은 입력신호를 밸브 명령부호 도선 39와 40 및 밸브위치 신호도선 47과 48부터 받는다. 이들의 입력신호는 만약 밸브 35,36의 실제의 위치가 그들의 명령위치와 일치하지 않으면 도선 131내에서 밸브를 가경보신호를 발생하게 처리된다. 밸브불가등 49는 이와 같은 밸브불가가 일어날 때에 도선 132 경유로 켜진다.
펌프 제어회로 120은 도선 107을 통하여 회로 100부터 연돌증발 가능신호를 도선 131을 통하여 밸브위치 회로 130부터 펌프운전가능신호를 도선 161을 통하여 분리기 불가검출회로 160부터 분리기 불가신호를 받는다. 펌프 제어회로 120부터의 출력은 펌프전동기 23의 운전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도선 23′에 의하여 전달되는 펌프 제어신호와 펌프 운전중 신호를 회로 140과 150에 전달하기 위하여 도선 123에 의하여 전달되는 펌프 운전중신호와를 포함한다.
만약 수동방식 스윗치 11이 “빌지취입” 위치나 “자동”위치의 어느것에 있고 전력 스윗치가 들어가 있어서 각 운전방식에 요구되는 펌프 가능신호가 모두 펌프 제어회로 120으로 검출되면 펌프전동기 23은 작동할 것이다. 그렇지않으면 펌프의 작동은 가능하게 안되고 빌지 또는 처리수는 장치를 통하여 순환하지 않을 것이다.
“빌지취입” 방식에 있어서 기관 혹은 배기연돌의 운전 조건은 불합리하다. 왜냐하면 이 방식을 선택한 목적은 기관이 정지하든지 또는 배기 닥트가 적당한 플러시 증발조건이 아닐때에 처리빌지 수의 선외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빌지취입” 방식이 선택되어 있을 때는 선택기노브 14는 통상 “선외배출 위치”에 있을 것이다.
장치운전의 “자동” 방식에 있어서는 상술한 가능신호에 부가하여 도선 107 경유의 연돌불 가회로 100부터의 가능신호를 펌프 운전이 요구하지만 이 신호의 원천과 그것의 성질은 상술하였다.
빌지제어회로 150은 배의 빌지내의 검출기 25,25′부터의 고 및 저 빌지레벨신호를 도선 26,26′를 통하여 받는다. 고 빌지레벨이 검출될 때는 항상 회로 152에 의하여 고 빌지신호 등 25a가 점등되어 고 빌지 신호 도선 153을 통하여 원격경보유닛 111에 전달되어 그리고 펌프운전중 신호는 도선 123을 통하여 펌프제어상자 120부터 전달안된다. 빌지제어회로 150은 빌지검출신호를 처리하여 펌프운전가능신호를 출력하여 도선 151을 통하여 펌프제어회로 120에 전달한다.
상자 140에 있는 취입 배출제어회로는 도선 77을 통하여 고 및 저 분리기 돔 레벨의 입력정보신호와 도선 115를 통하여 고유저장조 레벨신호를 받는다. 스윗치 11은 도선 142를 통하여 회로 140에 접속되어 있다. 취입 배출제어회로 140은 더우기 적당할 때는 도선 42을 통하여 전자밸브 41에 개밸브명령신호를 전달한다. 밸브 41이 기름배출위치로 돌려져 전자밸브 41이 열려있을 때는 항상 기름배출신호 등 82가 도선 143 경유로 점등된다. 회로 140이 펌프전동기 23을 차단하여 전자밸브 41을 여는 돔레벨검출기 76부터의 입력정보를 회로 140이 처리할 때에 자동적이든지 혹은 수동스윗치 11이 제1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름배출”로 설정되어 있는(그것은 전동기펌프 유닛 23, 24를 만약 그것이 운전중이면 자동적으로 차단하여 전자밸브 41을 연다) 때에 이것이 생길 것이다. 전자밸브 41이 열리는 일이 생기는 각 경우에 밸브 35는 회로 14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기름배출위치로 돌려져 그것이 수관로 40과 31을 연통시킨다. 밸브 35가 “빌지취입” 위치로 돌려져 있을 때는 항상 도선 145 경유로 회로 140에 접속된 빌지수 취입등 144가 커져있다. 회로 140은 적당할 때 도선 123을 통하여 펌프운전중 신호를 받는다.
상자 160에 있는 장치고장검출기와 경보회로는 분리기 29의 운전조건을 도선 80 경유로 플로프유닛 79에 의하여 검출한다. 돔의 직하에서 분리기 29의 분리기 키의 바로 위의 영역내의 물은 분리기가 적당히 작용하고 있으면 그들중에 있는 일정 퍼센트 이상의 기름은 포함하지 않은 것이 틀림없다. 분리기의 이 영역에서의 빌지수내의 어느범위를 초과한 기름함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전도율 플로프 또는 다른 적당한 수단이 펌프 23, 24의 운전을 불작동으로 하는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기시스템 동작 불능 또는 불가를 지시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전달하고 그리고 도선 162 경유로 신호등 81을 점등하기 위한 160에 있는 적당한 회로와 동시에 사용된다. 물론 플로프 79는 또 돔 61의 하연의 주위부터 도망가는 처리되어가고 있는 물중의 과잉유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기록계 90은 장치가 “연돌” 또는 “선회”물 배출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느냐에 대한 정보를 연돌 및 선외회로 100에 접속된 배선 105부터 받는다. 그리고 또 펌프운전중 신호 및 제2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동방식 스윗치 11의 위치신호도 받는다. 전기와 같이 적당한 회로가 임의의 시각에 있어서의 4개의 기능 즉 1) 방식 스윗치 “절”, 2) 펌프운전중에서 연돌배출, 3) 펌프가 운전되어 있지않다. 4) 펌프운전중에서 선외배출, 중의 하나의 기록 채취를 가능으로 하기 위하여 들어오는 신호를 처리한다.
제3도에 제1도의 제어유닛 10에서 사용하기 위한 계획된 바람직한 제어반면 170이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물론 특별주문품이 입수가능하고 죠임공기압가, 기관연료압력가등과 같은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부가적인 표시등 및 다른 표시도 구비할 수가 있다. 반대의 전등단선의 점검에 동시험단추 180도 또 구비되어 있지만 이것은 이형식의 제어반에 있어서는 있을 만한 것이다. 다른 표시기 및 제어기에는 제1도, 제2a도, 제2b도의 상등품과 동번호가 붙혀져 있다.
장치의 동작은 위의 설명을 고려하여 도면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전력스윗치 13을 살리고 방식 스윗치 11을 “절”을 포함하여 임의의 위치로 넣으면 선저에 있는 빌지수의 소정의 레벨을 고 레벨검출 25기 가검출하면 언제라도 고 빌지등 25가 점등한다. 만약 방식선택기 스윗치가 “절” 위치에 있으면 빌지수의 처리하는 장치에서는 하등의 동작도 되지 않는다. 기록계 90은 그사이 스윗치 11이 “절” 위치에 있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배의 운전원이 빌지를 펌프로 퍼내고 처리수를 선외로 배출하는 것을 바란다면 스윗치 11을 “빌지취입” 위치로 돌린다. 그래서 펌프전동기 23이 작동되어 펌프로 빌지수를 분리기중에 흡입하여 처리수를 분리기나 관로 43을 통하여 선외로 낸다. 물론 밸브 36은 수관로 32′와 선외관로 43간의 연통을 가능하게하도록 돌려진다. 펌프전동기는 저빌지 레벨이 25′로 검출될 때까지 작동을 계속한다. 분리기 29 내의 돔 61의 레벨은 그것의 상한에 달하는 밸브 35 또는 36의 어느것이 적정한 위치에 없는 분리기 불가가 플로프 79에 의하여 검출된다. 밸브 또는 분리기의 불가가 없다고하면 장치의 정상 작동이 단순하게 생겨 빌지펌프로 송출되어 분리기 유닛 내에서 기름이 빌지수부터 분리되어 처리가 끝난 맑은물은 최종여과를 하여 혹은 여과없이 선외로 배출된다.
물이 선외로 배출되는 동안은 표시등 44가 점등되어 기록계 90은 선외배출의 시간을 기록한다. 빌지가 소정의 저 레벨까지 펌프로 퍼내지면 펌프는 자동적으로 차단되어 그리고 고 빌지유체 레벨이 검출되면 다시 시동한다. 만약 충분한 기름이 빌지수부터 분리되면 분리기 29 내의 돔 61의 레벨이 그상한에 달하고 그 경우에는 고 빌지 표시기 25a가 붙지만 펌프운전중 신호 23′는 온이 안될 것이다. 기름 72를 돔 61의 아래부터 배출하는 데는 운전원은 노브 11을 “기름 배출” 방식으로 돌려 그 경우 밸브 35는 관로 40과 31을 연통시키게 회전되어 분리기 유닛 내에 공급청수를 도입하기 위하여 전자밸브 41을 열리게한다. 관로 40부터의 분리기내로의 도입수는 키 68을 역세(逆洗)하여 그리고 돔 61의 아래의 기름 72를 관 70과 관로 70′를 통하여 저장유조 73중에 배출한다. 기름의 대부분이 배출되었을 때에 이것은 돔 61의 그것의 하방한계 위치까지의 강하가 생겨서 기름배출 제어회로 140에 전자밸브 41을 닫게하여 밸브 35를 유체관로 31과 31′간을 연통시키기 위하여 제1도에 표시하는 위치로 돌린다. “기름배출” 운전동안 물은 연돌증발기 또는 선외관로의 어느 것에서도 처리안된다.
장치의 원전의 어느 단계 사이에서 검출기 79로 과잉유가 검출되면 펌프전동기 23과 전자밸브 41이 각각 차단되어 또 닫혀져서 그결과 장치는 정지상태로 돌아간다. 동일하게 저장유조 73의 레벨이 안전레벨을 초과하면 이것은 “고유” 표시기 75′로 표시되어 전자밸브 41이 닫혀져 그리고 밸브 35는 빌지취입 위치로 돌려져 분리기 29 내부부터 기름이 더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로 40과 31의 연통을 차단한다. 장치내의 전력고장은 항상 전자밸브 41을 만약 그것이 열려져 있으며 언제나 닫아서 기름의 배출 또는 분리기의 범람을 방지한다.
노브 11이 “자동위치로 설정되어 있을 때의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전력스윗치 13을 입(入)으로 하여 만약 기관이 이미 운전하고 있지않으면 그것이 시동되어 그리고 기관 죠임이 전출력 위치로 진행되간다. 연돌불가회로 100에 관련시켜서 이전에 설명한 일이 순차 일어난것을 가정하면 배기 연돌온도가 그것의 최저 소망플러시 증기온도로 달할 때에 연돌증발이 허용되어 불가신호는 장치내에서 발생되지 않는다. 고빌지상태가 생기면 펌프가 시동되어 빌지수가 처리 때문에 기름, 물 분리기중에 흡입되어 한편 처리수는 플러시 증발때문에 펌프로 연돌로 보내진다. 저빌지레벨이 검출될 때까지는 펌프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의 모두가 발생되어 있으면 펌프는 작동을 계속하여 저빌지레벨 검출시에 펌프작동과 처리수의 증발이 정지한다.
다음의 고빌지레벨이 일어나면 펌프 작동사이클은 다시 반복된다. 분리기의 동 51이 그 고레벨위치로 달하였을 때는 언제나 펌프는 만약 그것이 운전중이면 작동정지되고 장치는 전술과 같이 기름 배출작동 정지되어 장치는 전술과 같이 기름 배출 작동방식으로 들어가 밸브 35는 돌려져서 전자밸브 41은 열려져 입력하에 있는 공급수가 기름, 물 분리기의 내부로 도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기름의 저장유조로의 배출이 생겨 그리고 최후로 밸브 35와 41의 그들의 최초의 위치로의 복귀가 조건이 연돌증발에 대하여 정돈되어 있을 때에 처리수의 배기연돌로의 연속펌프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물 배출제어요소 14는 방식 선택스윗치를 “자동” 위치로 하여 두고 “선외” 위치로 돌릴 수가 있다. 이것은 기관의 운전조건과 배기연돌의 온도에 변함이 없이 처리수가 수관로 43을 통하여 선외로 펌프로 이송되는 것을 생기게 한다.
Claims (1)
- 물에 대하여 다른 비중을 갖는 여타 혼합불능 액체와 섞여있는 빌지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혼합 불능액체로 부터 빌지수를 분리하여 사실상 상기 액체가 들어있지 않는 정화처리된 물을 생산하는 분리 수단과, 처리된 물의 배출구와, 빌지수를 분리수단으로 운송하는 분리수단 급송도관수단과, 빌지수를 상기한 불리수단 급동도관수단을 통하여 분리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내연기관과, 이 기관의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배출덕트와, 이 덕트안을 흐르는 배기가스의온도를 덕트의 예정된 지역에서 감지하는 수단과, 처리된 물을 분리수단으로 부터 상기한 예정지역에 인접한 그의 측벽 지역을 통하여 배출덕트의 내부로 직접 운송하는 배출덕트 급송도관수단과, 처리된 물을 플래시증발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처리된 물의 배출구로 부터 직접 상기한 배출덕트로 유동시키는 수단과 기관의 배기가스온도가 배출덕트의 예정지역에서 예정된 최소 플래시 증발온도 이하라고 감지되었을 때 상기한 물의 유통수단을 부동작시키는 제1수단과 기관의 가동여부를 감지하는 수단과 기관의 동력 레벨 설정치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과 기관이 비가동시 상기한 물의 유동수단을 부동작시키는 제2수단과 예정된 동력레벨 설정치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 상기 유동수단을 부동작시키는 제3수단과 상기한 기관의 실제 가동상태 및 기관의 예정된 동력레벨 설정치, 예정된 최소 플레시 증발온도등의 각각의 감지수단에 의하여 열거한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감지될 때까지 상기한 처리된 풀의 유동수단을 부동작시키는 제어수단등을 포함하고 처리된 물을 분리장치로 부터 선외로 운송하는 선의 방출도관과, 처리된 물을 상기한 선외방출도관을 통하여 선박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유동수단과 상기한 처리된 물이 배출덕트를 통하여 배수되는 배출덕트 급성모우드 또는 선외방출 도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선외방출 모우드를 선택할 수 있는 배수 모우드 제어수단과 처리된 물의 유동장치가 동작하는 때와 처리된 물이 배출덕트로 공급되는 때를 시간상으로 기록하는 수단등을 포함하고 선외방출도관 및 배출급송도관내의 유동수단이 분리장치의 처리된 물을 배출구로 부터 처리된 물을 인출하여 상기한 배수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배출덕트 급송도관 또는 선외방출도 관으로 교대로 배출시키는 단일 펌프수단과 상기한 분리수단, 펌프수단, 배출덕트 급송도관, 선외 방출도관을 연결하는 도관을 포함하고 최소 플래시 증발온도가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서 감지되고 배출 덕트에서 안정된 온도조건을 지시할때까지 물의 흐름의 진행을 불능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은 선박의 디젤엔진이고 연료유펌프수단과 트로틀수단을 포함하고 엔진의 조작중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이 연료유압감지수단을 포함하고 동력 레벨 설정 감지수단이 트로틀 위치를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수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502680A KR820000455B1 (ko) | 1975-12-08 | 1975-12-08 |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장치 |
KR7700969A KR820000454B1 (ko) | 1975-12-08 | 1977-04-22 |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502680A KR820000455B1 (ko) | 1975-12-08 | 1975-12-08 |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700969A Division KR820000454B1 (ko) | 1975-12-08 | 1977-04-22 |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0455B1 true KR820000455B1 (ko) | 1982-04-03 |
Family
ID=1920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502680A KR820000455B1 (ko) | 1975-12-08 | 1975-12-08 |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0455B1 (ko) |
-
1975
- 1975-12-08 KR KR7502680A patent/KR820000455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060334A (en) | Flash vaporization water disposal system | |
CA1062173A (en) | Oil-water separator with turbidity sensor controlling efflux | |
US5705055A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grease from a grease separator | |
US4828717A (en) |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volume of aqueous waste effluents | |
US7390380B1 (en) | Processing of shipboard wastewater | |
US4197200A (en) | Shipboard blackwater physical/chemical treatment system | |
EP1727730A1 (en) | A method and a plant for purification of oil-contaminated bilge water and ship equipped with a plant for purification of blige water | |
US20140083950A1 (en) | Oil decanting system | |
KR820000455B1 (ko) |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장치 | |
KR820000454B1 (ko) | 기름 회수 수단을 포함하는 빌지수 처리방법 | |
US5507955A (en) | Method of operating hydrocyclone systems by adding water to maintain flow rates | |
US5433842A (en) | Marine sewage treatment system | |
US4836891A (en) | Self-contained oil well salt water concentration system | |
US583036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water on vessel and macerating retained solids | |
US4898678A (en) | Heavy-metal separator for drinking water | |
GB2355211A (en) | Separating oil from water | |
JP2014073819A (ja) | 船舶の機関室ビルジ処理システム | |
US3612143A (en) | Apparatus for liquid waste disposal | |
KR20160003432A (ko) |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 |
RU2222670C2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забора и очистки воды из поверхностных водоисточников | |
JP3707145B2 (ja) | 脱気装置の制御方法 | |
KR102674077B1 (ko) | 선박의 선저폐수 처리 시스템 | |
US2541491A (en) | Oil and water separator | |
JP3237532B2 (ja) | 脱気装置の制御方法 | |
US879236A (en) | Distilling apparat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