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280B1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0280B1 KR820000280B1 KR7502660A KR750002660A KR820000280B1 KR 820000280 B1 KR820000280 B1 KR 820000280B1 KR 7502660 A KR7502660 A KR 7502660A KR 750002660 A KR750002660 A KR 750002660A KR 820000280 B1 KR820000280 B1 KR 8200002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ing
- sewing machine
- cam
- motors
- contro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종래의 바 택킹(bar tacking) 재봉틀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재봉틀의 분해도.
제 3 도 및 4 도는 각각 제 2 도 재봉틀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제 5 도, 6 도 및 7 도는 각각 상기 재봉틀의 클러치 장치의 부분평면도, 부분 단면도 및 분해도.
제 8 도는 상기 재봉틀의 제어 장치의 도식적 선도이다.
본 발명은 재봉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의상이나 구두의 보강접합에서와 같은 작은 봉재형에 사용되는 재봉틀로서는 바 택킹(bar tacking)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재봉틀은 통상적으로 왕복 재봉침(針)을 포함하는 봉재기구와 재봉침 구동축을 포함하는 구동장치, 봉재기구에 실을 공급하는 재봉사 공급장치 및 봉재물을 제거 가능하게 고정하는 봉재물 고정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재봉틀 사용중에 고정된 봉재물은 봉재기구에 대해 연속적으로 상대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봉재물이 원하는 모양으로 재봉되도록 되어 있다. 그밖에도 종래의 재봉틀은 작동위치(절단날이 재봉사의 반대쪽에 있게 되는 위치)의 안팎으로 움직이는 재봉사 절단장치를 가지며, 재봉사 공급장치에는 재봉사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봉재기구에 공급될 차위(次位)의 재봉사를 봉재 기구와의 조합작용에 의하여 고정유지함으로써 재봉사 절단시, 또는 다음번 작동 싸이클의 초기, 즉 재봉사가 재봉침 밖으로 당겨질 염려가 있을 때에 재봉사를 고정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봉재물 고정장치의 운동을 제어하여 원하는 형태의 재봉을 이루기 위하여, 종래의 바텍킹 재봉틀은 소위 스타일 캠(style cam)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는데, 이 스타일 캠은 두 개의 트랙(cam track) 및 이들 캠트랙에 각각 한개씩 연결된 2개의 링크를 가진 회전캠으로서, 이때 이들 링크가 제1 및 제2직교축을 따라 봉재물 고정장치를 운동시키는 형태의 것이다. 이 회전 캠은 기어 열(列)을 통하여 재봉침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는 캠축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봉재물 고정장치는 재봉침의 왕복 운동과 예정된 시차(時差)를 가지고 움직인다.
작동위치 안팎으로 움직이는 재봉사 절단장치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소위 나이프 캠(knife cam)이 또한 설치되어 있는데, 이 캠도 역시 회전 캠으로서 스타일 캠이 설치되어 있는 캠축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작동 싸이클이 끝났을 때 재봉사를 절단하는 재봉사절단장치는 발판에 의하여 작동된다.
이러한 종래의 바 택킹 재봉틀에 있어서는 스타일 캠이 재봉사 고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나이프 캠이 봉재물 고정장치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캠의 형태에 따라 재봉형태의 다양성이 제한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각의 작동싸이클은 캠축의 1회전에 따라 결정되며 캠의 회전은 캠축과 재봉침 구동축 사이에 존재하는 기어열의 비율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재봉 형태가 바뀌어지면 스타일 캠을 교환해야할 뿐만 아니라, 재봉 형태에 있어서의 재봉수(stitch number)를 바꾸려면 기어열까지도 교환해야 하는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재봉 형태를 바꾸려면 아무리 숙련된 기술자라 할지라도 2-8시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사실은 숙련된 기술자의 인력을 자주 낭비할 뿐만 아니라, 그 교환시간 동안의 생산 손실도 상당히 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봉형태에 있어서의 재봉수는 보통 10 내지 100에 국한되며 따라서 재봉 면적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종래 재봉틀의 결점을 제거하고 생산능률의 감소가 없이도 재봉형태를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개량된 바 택킹 재봉틀을 제공하려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 택킹 재봉틀(이하, 단순히 "본 발명의 재봉틀"이라함)이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재봉틀은 종래의 바택킹 재봉틀을 개량하여 최소 부품의 교환만으로도 종래 재봉틀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즉 스타일 캠과 나이프캠을 제거하고 이들 대신에 상호 고착되어 있으며 각각 제1 및 제2링크를 통하여 봉재물 고정장치를 재봉틀의 폭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각각 운동시키는 제1 및 제2 스테핑 모우터(stepping motor), 그리고 재봉침의 왕복운동과 예정된 시차를 가지고 구동되며 또한 작동위치의 안팎으로 움직이는 재봉사 절단장치의 운동을 제어하는 회전 캠장치로 대체한 것으로서, 이때 이 회전 캠 장치는 재봉 형태에 있어서 예정된 만큼의 재봉수가 남아있을때 재봉틀의 작동싸이클을 끝내기 위하여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재봉틀에는 또한 재봉사 공급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재봉사 고정장치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재봉사 고정장치는 봉재기구에 공급될 차위의 재봉사를 상기 봉재기구와의 조합 작용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 캠 장치에 의하여 작동되어 작동위치쪽으로 움직이는 재봉사 절단장치의 운동과 예정된 시차를 가지고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 재봉틀의 회전 캠 장치는 재봉틀의 작동 싸이클을 종료시키게 된다.
본 발명 재봉틀의 회전 캠장치는 1번의 작동 싸이클마다 단지 1회전 하지만, 이것이 재봉형태에 있어서의 재봉수를 제한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 회전 캠 장치는 재봉침 구동축으로부터 기어열을 통하여 구동되며, 캠축상에서 지지되고 클러치에 의하여 이 캠축과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재봉틀의 작동중에는 재봉침 구동축이 회전할 때마다 캠축이 따라 회전하지만, 회전 캠 장치는 단지 각 작동 싸이클의 초기에 그리고 작동 싸이클을 끝낼 때에만 회전하는 것이다.
본 발명 재봉틀의 각 부분의 작동은 상호 연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봉틀에는 재봉 형태를 결정하는 제1 및 제2 스테핑 모우터를 제어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캠 장치를 작동시켜 작동 싸이클이 종료 될 수 있도록 하고, 클러치를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로 만들어주기 위한(따라서 작동위치의 안팎으로 움직이는 재봉사 절단장치의 운동을 제어하며, 재봉사 고정장치를 작동시키고, 또한 재봉틀의 작동 싸이클을 종료시키기 위한)제어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제어장치는 재봉침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는 펄스(pulse) 발생장치로부터 제어 펄스를 공급받은 후, 이 제어장치의 회로내에 삽입된 프로그램 지시에 따라 구동펄스를 발생시켜 스테핑 모우터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 프로그램 지시는 재봉이 이루어질 재봉형태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제어장치는 회전 캠 장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시키고 클러치를 결합 상태 및 분리상태로 만들어주기 위한 또 하나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제어장치는 재봉침 구동축과 예정된 시차를 가지고 공급되는 제어 펄스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이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아 발생하는 각 부분의 작동이 재봉침과 예정된 시차로써 이루어지게 됨은 명백한 일이다.
본 발명 재봉틀의 재봉사 절단장치는 작동 싸이클의 종료시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 캠 장치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는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이와 동시에 이 유압장치는 봉재물 고정장치를 분리시켜 작업 완료된 봉재물이 봉재물 고정장치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재봉틀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지시는 소위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라고 불리어지는 것으로 제어장치의 회로내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필요한 재봉 형태에 따라 새로운 PROM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는 것이다.
이 PROM을 프로그램할 경우에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 종래의 X-Y축 배열에 있어서는 봉재물 고정장치를 X-모우터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봉재물 고정장치와 X-모우터를 모두 Y-모우터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상에 장착시킴으로써 스테핑 모우터와 봉재물 고정장치가 선형으로 직접 연결되었으나, 본 발명 재봉틀의 각 스테핑 모우터는 이와 달리 2개축 방향의 운동이 가능한데, 이러한 상호작용은 양측 모우터가 고정적인 상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모우터와 봉재물 고정장치의 연결은 2개의 링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바꾸어 말하면 모우터가 봉재물 고정장치의 운동에 대해 직접적인 선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셋째, 봉재물 고정장치의 운동은 종래와 같은 X-X축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X-θ 배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바꾸어 말하면 모우터가 양 축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독립하여 작동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 신호를 작성하여 본 발명의 재봉틀에 사용하기 위하여서는, 재봉 형태를 숫자화하기 위한 종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모우터, 링크 및 X-θ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개조하여 이와 같이 개조된 정보를 PROM에 넣어 주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재봉틀은 바 택킹 동작을 더욱 간편하고 더욱 자동화시킨 것으로서 재봉형태에 있어서의 변환이 용이하고, 재봉형태의 다양성을 높여주며 재봉틀의 휴지(休止)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종래의 바 택킹 재봉틀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종래의 재봉틀은 구동축, 캠축, 이 구동축과 캠축을 연결하는 기어열 및 재봉침 구동링크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1) 및 이에 장착된 기부(基部)(2)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하부로는 봉재물 고정장치(4)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기구를 가진 중공(中空) 베드(3)가 기부(2)로부터 뻗어 있는데, 상기 봉재물 고정장치의 운동은 내측 및 외측의 2개 캠 트랙(8)(9)을 갖는 소위 스타일 캠(7)에 의하여 2개의 비링크식(non-linkage)장치(5)(10)(11)를 통하여 제어 되는데, 내측 캠 트랙(8)은 길이방향의 운동(Y)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외측 캠트랙(9)은 종방향의 운동(X)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재봉사가 재봉침에 연속적으로 확실하게 걸려 있도록하기 위하여, 스타일 캠(7)은 또한 레버(6)를 작동시키며, 이 레버는 재봉사를 재봉침 바(bar)에 대해 고정시키는 재봉사 고정장치를 작동시켜서 재봉사의 절단시 그리고 작동 싸이클의 초기에 재봉사가 당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소위 나이프 캠(도시하지 않았음)음 작동 위치의 안팎으로 움직이는 절단기구(도시하지 않았음)의 운동을 제어하며, 봉재물 고정장치(4)의 개폐를 제어한다. 나이프 캠과 스타일 캠(7)은 캠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발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중 하나는 재봉틀을 시동 및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절단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2 도-8 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재봉틀은 왕복운동을 하는 재봉침 바(bas)(19)에 장착되어 있는 재봉침(18)을 포함하는 봉재기구 및 재봉침 구동축(12)을 포함하며 벨트(13)와 클러치(14)에 의하여 구동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재봉틀 상에서 선회운동 및 활주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봉재물 고정장치(20)는 2개의 지점(21)(22)에서 링크(23)(24)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봉재물 고정장치는 재봉틀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X-X, Y-Y방향)으로 각각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링크(23)(24)는 지점(27)(28)에서 각각 선회운동하도록 장착된 벨 크랭크 레버(bell crank lever)(25)(26)에 연결되는데, 이들 레버(25)(26)의 일단에는 기어부분(32)(33)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기어부분(32)(33)은 스테핑 모우터(36)(37)(제 3 도)에 의하여 각각 구동되는 구동기어(34)(35)와 각각 맞물린다. 스테핑 모우터(36)(37)는 재봉틀 프레임상에 상호 고정된 관계로 장착되어 있어, 이들은 각각 재봉물을 원하는 재봉형태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펄스를 발생시키는 디지탈 제어장치(38)(제 8 도 참조)로부터 구동 펄스를 한번씩 받을때마다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운동을 한다.
본 발명의 재봉틀에는 또한 봉재기구에 공급된 재봉사를 절단시키는 절단장치(29)가 있으며, 재봉사 고정장치를 이루는 니퍼 바(inpper bar)(30)가 재봉 두부(頭部)(31)내에 장착되어 있어, 재봉사 절단시 그리고 재봉작업이 초기에 봉재기구에 공급된 재봉사를 재봉침 바(19)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서 재봉사가 풀려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재봉틀의 구동축(12)은 워엄(worm)(15) 및 기어(16)를 통해 캠측(17)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캠축(17)상에는 회전캠(39)이 클러치(40)를 통해 제거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전캠(39)에는 종동아암(follower arm)(54)(제4도 참조)을 통해 절단장치(29)에 연결된 종동장치(follower)(42)를 수용하는 트랙(4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캠은 작동 위치의 안팎으로 움직이는 절단장치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캠에는 캠 종동장치(45) 및 링크(44)(제5도 참조)를 통하여 니퍼 바(30)의 작동은 제어하는 캠면(43)이 있다.
클러치(40)는 코어(47)를 가진 솔레노이드(46)에 의하여 작동되는데, 제어장치(38)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가 여기되면 코어가 클러치(40)의 표면과 결합되어 클러치를 분리시키는 동시에 캠(39)의 회전을 막게된다. 솔레노이드를 탈여기시키면 클러치가 재결합되어 캠축과 함께 회전한다. 작동중에는, 봉재시작 비땀후에 클러치를 분리시켰다가 봉재종료 세땀째전에 이 클러치를 재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40)에는 축(17)에 설치되어서 캠(39)에 연결되어 있는 칼라(66)(제 7 도 참조)가 있다. 잠금핀(68)이 캠면(65)에 고정되어 있어 칼라 구멍(71)내에서 섭동되며, 스프링(69)은 캠축(17)에 고정되어 있는 절취 허브(67)에 핀(68)이 결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동중 솔레노이드(46)가 탈여기되면 스프링(69)이 허브(67)에 결속되고 이에따라 클러치(40)가 결합된다. 솔레노이드(46)가 여기되면 핀(68)이 허브(67)로부터 빠져나와 클러치(40)를 분리시킨다.
봉재작동이 종료되면, 봉재기구에 공급된 재봉사가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어야 하고 또한 봉재물이 봉재물 고정장치로부터 빠져나와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참조부호(50)의 지점에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레버 아암(49)이 재봉 두부(31)내의 인양(引揚)기구(51)에 결합됨으로써 봉재물 고정 집게를 분리시킨다. 레버 아암(49)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공기 실린더(52)의 피스톤 봉(53)이 레버 아암과 결합되어 있다. 이 레버 아암은 또한 두개의 링크(62)(63)에 의해 절단장치의 종동아암(5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레버 아암의 운동에 의해 절단장치의 재봉사 절단동작이 이루어진다.
제어장치(38)은 자기(磁氣)펄스 발생기(48)로부터 절단되는 제어 펄스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한개의 자석을 구동축(12)에 설치하여 상기 자석이 펄스 발생기의 감지장치를 통과할때마다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제어 펄스가 재봉침의 왕복운동과 일정한 시차로써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 재봉틀의 제어장치(38)를 프로그램 하기 위하여서는, 제어장치(38)내의 회로에 삽입되어 원하는 형태에 적합한 구동펄스를 발생하는 소위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100) 형태의 프로그램 지시를 사용한다. 형태를 변화시키기 위하여서는 단지 PROM만을 교환하여 주면된다. PROM(100)은 구동신호 뿐만이 아니라 제어신호도 발생하여 솔레노이드(46)를 작동시키고 따라서 클러치(40)를 결합 및 분리시키게 되는데, 클러치가 결합되면 이에 연속하여 절단장치가 작동위치로 이동하게될 뿐만 아니라 클러치칼라(66)에 형성된 돌출부(70)에 의하여(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겠음) 여러가지의 보조작동이 행하여지게 된다.
PROM(100)으로부터의 신호는 연속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포함된 후, 지연 오실레이터(101)(제 8 도)를 거쳐 PROM(100)을 통과하는 펄스 발생기(48)의 제어 신호를 받아 각각 "판독(read)"되며, PROM으로 가는 신호는 이 PROM을 작동시켜 재봉침이 봉재물로부터 빠져나와 멀어져가는 동안 매 재봉시마다 구동펄스 및 기타 보조작동 신호를 발생 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간격을 두고 보내어진다.
PROM의 일정한 장소에 연속적으로 코우드된 형태에 맞추어 진행시키기 위하여, 제어신호 또는 "판독" 신호를 오실레이터(101)로 부터 PROM(100)으로 통과시키는 계수기(102)가 제어장치에 포함되어 있다.
그외에 코우드 해석 회로(10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회로는 PROM(10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를 측단 계수기(axis step counter)(104)(105)를 통해 모우터 구동장치(106)(107)로 각각 전달하며, 모우터 구동장치(106)(107)가 받아들인 이 신호에 따라 스테핑 모우터(36)(37)가 각각 구동된다. 코우드 해석 회로(103)는 또한 제어신호를 솔레노이드(46)에 전달한다. 축단 계수기(104)(105)는 각 스테핑 모우터가 취하여야 할 단계의 수를 합하여 각 스테핑 모우터가 실제로 취한 단계의 수를 조정한다.
작동중, 각 단계에 대한 구동 펄스 또는 신호가 코우드 해석 회로(103)로부터 피이드백(feedback)되어 완료되면 지연 오실레이터(101)의 기능이 정지된다. 펄스 발생기(48)로부터의 펄스가 오실레이터(101)에 접수되면 그 다음번의 "판독" 신호가 발행한다. 또한 코우드 해석 회로(103)를 거쳐 계수기(104)(105)에 전달되는 구동펄스를 준비하기 위해, 오실레이터(101)는 펄스 발생기(48)로부터의 제어 펄스를 받아 각축단 계수기에 "계수기 부하 신호"를 보낸다.
PROM(100)은 예컨대 모노리드 기억식 모델 6330(Monolithic Memory Model 6330)으로 시판되고 있는 32어 8비트(32-word 8-bit)PROM등을 사용하면 된다.
지연 오실레이터(101)는 플립플롭(flip-flop) 및 오실레이터를 포함한다. 번지 순차 계수기(102)는 두개의 계수기로 구성되나, 반면에 코우드해석 회로(103)는 단순한 게이팅 회로이다. 측단계수기(104)(105)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서, 계수기, 스텝 오실레이터 및 모우터 상순기(相順機)로 구성된다. 오실레이터 및 상순기는 모두 모우터 구동장치(106)(107)에 구동 펄스를 발생 공급한다.
PROM(100)을 준비함에 있어서, 각 봉재점의 좌표 값은 컴퓨터에 의해 숫자로 표시된다. 그러나 스테핑 모우터들은 고정적인 상호관계에 의하여 상호 작동되고 또한 비선형 연결장치에 의하여 X-θ 배열을 이루도록 작동되므로, 각 스테핑 모우터의 회전 단계는 봉재물의 이동에 직접 비례하지 않는다. 따라서 숫자로 표시된 각 봉재점의 좌표값은 여러가지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먼저 수학적으로 수정되어야 하며, 이 수정값을 PROM(100)에 코우딩시켜야 한다.
재봉틀의 작동 싸이클은 발판(55)(제 2 도 참조)에 의해 공기 실린더(56)를 작동시킴으로써 시작되며, 이에따라 레버(57)가 선회운동하여 작동 위치로 가서 래칫(ratchet)(58)에 의해 고정된다. 이 동작에 의해 클러치(14)가 결합되고, 따라서 주축(12)이 구동되며 실린더(52)를 제어하는 공기밸브(64)가 작동 됨으로써, 재봉될 봉재물이 봉재물 고정장치(20)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동작에 의해 마이크로스윗치(61)가 레버(60)를 통해 작동되며, 이에 따라 제어장치(38)가 여기된다. 구동축(12)이 회전하면 제어 펄스가 펄스발생기(48)로부터 제어장치(38)로 전달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구동 펄스가 스테핑 모우터(36)(37)에 전달되고, 봉재물 고정장치는 선택된 봉재형태에 따라 봉재물을 이동시킨다. 네번째 땀을 박은후 제어장치(38)가 솔레노이드(46)를 작동시켜 클러치(40)를 분리시키면서 캠(39)의 회전을 막는다.
따라서 캠(39)은 봉재과정의 대부분이 진행되는 동안에 회전하지 않는다. 작동싸이클의 진행에 따라 봉재과정의 끝에서 3번째 땀을 박기 시작될 때 또 하나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46)가 탈여기 되며, 이에 따라 클러치(40)가 재결합된다. 봉재가 완료되면 캠(39)은 완전 1회전하게 되고, 절단장치는 작동위치로 이동된다.
작동 싸이클이 종료되어 절단장치(29)가 작동하여야 할 때에는, 클러치 칼라(66)에 형성된 돌출부(70)가 레버장치(59)에 운동을 전달하는 종동장치와 결합된다. 돌출부(70)가 종동장치(72)와 결합되면 레버장치(59)가 래칫(58)을 풀어주어 레버(57)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오게되며, 이에 따라 구동클러치(14)가 분리되고, 또한 레버(60)가 스윗치(61)를 차단시켜 제어 장치(38)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레버(57)가 되돌아 오면 밸브(64)가 작동되어 공기 실린더를 작동시키고, 이에따라 절단기구가 작동하며, 동시에 봉재물 고정장치(20)가 열려서 봉재물이 풀려나온다.
Claims (1)
- 왕복 재봉침을 포함하는 봉재기구, 봉재물 고정장치, 고정적인 상호 관계를 가지고 설치되어 각각 제1 및 제2연결장치에 의하여 상기 봉재물 고정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스테핑 모우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봉재물 고정장치를 재봉틀의 폭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봉재기구에 대해 상대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상기 스테핑 모우터의 작동을 재봉침의 왕복운동과 예정된 시차로 제어함으로써 재봉틀 사용시 봉재물 고정장치에 물려진 봉재물이 예정된 경로를 따라 봉재기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 이 제어장치에는 이 제어장치의 회로내로 도입될 수 있는 프로그램 지시가 포함되고, 이 프로그램 지시는 숫자로 표시된 각 봉재점의 좌표값에 따라 스테핑 모우터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코우드화 되어 있으며 또한 모우터들의 고정된 상호 관계 및 연결 장치에 의한 모우터와 봉재물 고정장치와의 연결관계에 따른 비선형을 보상하기 위해 수정되도록 되어 있는 재봉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502660A KR820000280B1 (ko) | 1975-12-05 | 1975-12-05 | 재봉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502660A KR820000280B1 (ko) | 1975-12-05 | 1975-12-05 | 재봉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0280B1 true KR820000280B1 (ko) | 1982-03-15 |
Family
ID=1920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502660A KR820000280B1 (ko) | 1975-12-05 | 1975-12-05 | 재봉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0280B1 (ko) |
-
1975
- 1975-12-05 KR KR7502660A patent/KR820000280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01207A (en) | Hole sewing machine | |
GB2111091A (en) | Thread consuming machine with thread colouring device | |
US4133275A (en) | Automatic sewing machine | |
JPS6013714B2 (ja) | ミシン | |
US4169422A (en) | Automatic chain-stitch sewing machine | |
US4187794A (en) | Sewing machine work feeding mechanism | |
US5195442A (en) | Process and sewing machine for producing sewing patterns | |
KR820000280B1 (ko) | 재봉틀 | |
US4325313A (en) | Automatic embroidery sewing machine | |
US3965830A (en) | Assembly for automatic bar tacking | |
GB1474198A (en) | Pattern selection system for sewing machines | |
US5092256A (en) | Method for sewing on buttons and wrapping neck thread in a button sewing machine | |
US405039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bar tacking machine | |
JPS6039393B2 (ja) | ミシン | |
US4031835A (en) | Device for clamping the workpiece in a sewing machine | |
JPH0117397B2 (ko) | ||
US4607585A (en) | Sewing machine having a program carrier | |
US4465002A (en) | Button sewing machine | |
US2938477A (en) | Bar-tacker trimming mechanisms | |
US3448706A (en) | Variable repetitive pattern sewing machine | |
US2253731A (en) | Sewing machine and attachment therefor | |
JP3543374B2 (ja) | 刺繍ミシン | |
JP3254647B2 (ja) | 自動糸切り機構付きミシン | |
JPH03210296A (ja) | ミシンにおける自動刺繍縫追加装置 | |
US4142474A (en) | Sewing machine patterning mea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