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168B1 - 핀쿠숀 교정회로 - Google Patents

핀쿠숀 교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168B1
KR820000168B1 KR7602915A KR760002915A KR820000168B1 KR 820000168 B1 KR820000168 B1 KR 820000168B1 KR 7602915 A KR7602915 A KR 7602915A KR 760002915 A KR760002915 A KR 760002915A KR 820000168 B1 KR820000168 B1 KR 82000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vertical
capacitor
horizontal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드워드 하펠 피터
Original Assignee
죤 부이. 리간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부이. 리간,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죤 부이. 리간
Priority to KR760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핀쿠숀 교정회로
제 1 도는 내측 핀쿠숀 찌그러짐을 도시하는 텔레비죤 라스터의 대표적인 도면.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핀쿠숀 교정회로를 실시하는 텔레비죤 수신기의 부분의 다이아그램, 부분개통도 및 부분개략도.
제 3 도는 한 수직기간 이상 동작중 제 2 도의 핀쿠숀 교정장치 내에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제 2 도의 핀쿠숀 교정장치의 일부분의 제1실시예의 개략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핀쿠숀 교정장치의 일부분의 제2실시예의 개략도 및 개통도.
본 발명은 키네스코오프 핀쿠숀 찌그러짐 교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죤 수신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키네스코오프상의 라스터의 측면 혹은 좌우측 핀쿠숀 찌그러짐은 수직 주사비에서의 실제 포물선 전류 성분에 의해 수평 편향 코일을 통해 수평비 편향전류진폭을 변조함으로서 실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은 종래에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그 바람직한 변조는 적당한 리액터 혹은 변압기의 제어 혹은 일차권선이 수직비 에너지에 의해 동력화되고 제2권선은 회로 내에서 수평 편향 권선이다. 그 수평 편향 전류 진폭은 라스터 폭이 상하부에서 감소되는 그러한 수직 편향 전류에 의해 변조된다.
또 다른 공지된 측면 핀쿠숀 찌그러짐 교정 장치는, 수직 편향 권선과 평행하게 결합된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동시출원중인 피터 이이. 하펠씨의 영국특허원 제 07161/75호, 제목 "수직 편향 시스템"에 명시된 바와 같이, 그 캐패시터는 스위치 제어하에서 수평 귀선 펄스로부터 나오는 에너지에 의해 충전된다. 적당한 두 수동 리액터 회로들 내에서 그리고 전술한 동시 출원서에 의해 개패되는 수직편향회로내에서, 측면 핀쿠숀 교정은 수평 귀선 시간 동안 수평 편향 시스템의 고압 변압기를 부하 시킴으로서 얻어진다. 교정형 측면 핀쿠숀 교정을 얻기 위해, 고압 변압기의 부하를 수직 편향 전류에 의한 것 같이 수직 편향비에서 변조된다. 따라서, 최대 부하는 화면의 상부 및 하부에서 발생하며, 최소 부하는 그 화면에 중앙에서 발생한다.
수직비에서 수평 귀선 펄스의 가변 부하는 통상적으로 인용되는 외측 혹은 외연부 핀쿠숀 찌그러짐과 분리시키도록 내측 핀쿠숀 찌그러짐으로서 알려진 다른 핀쿠숀 찌그러짐의 발생에서 야기된다. 또한 이 핀쿠숀 찌그러짐은 수직비 부하에 의해 원인이 되는 수평 주사의 시초의 시간 변조 결과로서 그 라스터내에 발생한다. 수직 주사의 상부 및 하부에서 수평귀선 펄스의 시간변조로부터 야기되는 증가된 소인선 지연은 소인선 기간 동안 대하는 S교정 캐패시터 28로서 편향코일 26의 공진 기간의 부분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그 내측 핀쿠숀 찌그러짐은 불완전한 핀쿠숀 교정으로서 화면의 최 좌측 및 우측과 중앙선간의 영역에 나타난다.
내측 핀쿠숀 교정의 정도는 교정을 요하는 외측 핀쿠숀 찌그러짐의 정도와 수상관의 가하학에 달려 있다. 광각 대형 스크린 수상관의 출현으로서 그 내측 핀쿠숀 찌그러짐이 교정을 요한다는 반대할 만한 점을 발견하였다.
종래의 핀쿠숀 교정을 위해 이용되는 구성장치 이외에 그 내측 핀구숀 교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회로배열은 수평 편향 권선과 직렬로 개별적인 포화 가능 리액터 혹은 변환기를 사용한다. 그 포화 가능 리액터의 제어권선은, 수직 편향비 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S"형 내의 변동에 대해 교정하도록 수직 편향 회로의 인덕턴스 변조됨으로서 내측 핀쿠숀 찌그러짐을 교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해결은 포화 리액터의 설계에 있어서 한 개, 포화 리액터의 비용 그리고 제어 범위가 너무 제한되어 있어 구조 공차들에 대한 보상의 불충분함과 같은 단점들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핀쿠숀 교정회로는 수평 편향 권선과 직렬로 결합된 임피던스를 포함한다. 그 임피던스 회로는 두 개의 지로를 갖고 있는데, 제1의 지로는 제1 및 제2 단자들간에 연결되며, 제2지로는 제1 및 제3 단자들간에 연결되며 그 중 한 지로는 항상 편향 권선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임피던스 회로의 제2지로는, 제어 가능 스위치에 대해 제1지로와 병렬로 연결된다. 그 제어 가능 스위치는 수평 귀선 기간의 처음 반주기 중 어떤 시간에 게이트 온 된다. 그 스위치가 게이트 온되는 수평 귀선 기간의 다음 반주기 중의 시간은 그 수직주사기간의 처음 반주기 부분 동안 점진적으로 전진되며 그 수직주사 기간의 다음 부분 동안 점진적으로 후회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일반적으로 표시된 크로스해치라인 패턴을 표시하는 텔레비죤 라스터상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내측 핀쿠숀 찌그러짐을 예시한다. 그 크로스해치 패턴의 우측 및 좌측은 수직선 12 및 14에 의해 한정된다. 선 12 및 14는 하기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그 라스터가 본 발명에 의해 교정되는 좌우 외측 핀쿠숀임을 나타내는 직선이다. 그 라스터의 측면들과 중앙간에 있는 수직 그리드 선들 16 및 18은 내측 핀쿠숀 찌그러짐의 출현을 표시하는 곧은 점선들로부터 그들의 이탈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다.
제 2 도는 영상 검파기(도시안됨)로부터 합성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동기 신호분리기 20을 포함하는 텔레비죤 수신기의 편향 시스템을 도시한다. 분리기 20은 합성 비데오로부터 수직 합성 신호를 분리하여 그들을 수직 편향 발생기 22의 입력단자에 인가한다. 수직편향 발생기 22는 발생기 22의 출력단자 Y-Y에 연결되는 수직 편향 권선(도시안됨)에 응용하기 위한 수직 편향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수직 동기신호를 사용한다.
동기 신호 분리기 20은 또한 합성비데오로부터 수평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그들을 수평 편향 발생기 24의 입력단자에 인가한다. 수평 발생기 24는 수평 편향 권선 26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톱니파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수평 동기신호를 처리한다. 수평 편향 전류의 "S"형은 수평 편향 권선 26과 직렬로 결합된 캐패시터 28에 의해 생성된다. 귀선 펄스들 35를 갖는 파형 34로서 예시된 수평 주사 비전압은 직렬 연결된 수평편향 권선 및 S캐패시터 양단에 동작중에 나타난다. 귀선 캐패시터 13은 캐패시터 28과 수평발생기 24의 접합으로부터 접지나 동일한 기준전위에 결합된다.
수평 편향 권선 26은, 또한 핀쿠숀 교정회로,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30으로 표시되며 임피던스 회로 31과 스위치 40을 포함하는 특히 내측-외측 핀쿠숀 교정회로와 직렬로 결합된다. 임피던스 회로 31은, 수평 편향 권선 26, 제1단자 32a와 접지간의 제1지로 내에 결합되는 권선 32b, 제3단자 37 그리고 제1단자 32a와 제3단자 37간의 제2지로에 연결되는 인덕터 32a와 코일 36을 포함하는 결합회로에 도체 27에 의해 연결되는 제1단자 32a를 갖고 있다. 탭 32c는 상부 권선 32a와 하부 권선 32b로 나뉘어진 인덕터 32를 자기적으로 결합한다. 누설 인덕턴스는 권선 32a와 32b에 연관된다. 이 누설 인덕턴스는, 권선 32a와 32b를 감결합시켜, 상이한 파형을 갖는 전류들은 권선들을 통하여, 탭 32c로부터 흐를 수 있다. 저항 33은 고저항을 가지며 변압기 32를 바람직하지 못한 발진을 방지하도록 감폭시킨다.
40으로 표시된 제어가능 스위치는 캐패시터 36을 포함하는 임피던스 회로 31의 지로와 직렬로 결합된다. 이 제어가능스위치는 다이리스터 44와 병렬로 결합되는 다이오드 42를 갖는, 양방향 다이리스터 다이오드 스위치이다. 스위치 40은 집적된 다이리스터-정류기(ITR)일 수 있다. 다이오드 42의 캐소드와 다이리스터 44의 아노드는 함께 캐패시터 36에 결합되며 반면 다이오드 42의 아노드는 다이리스터 44의 캐소드에 결합되며 그리고 그들 둘은 기준전위에 결합된다.
스위치 구동 제어회로 46은 수평 편향비에서 동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평 편향 발생기 24의 출력단자에 결합된다. 그러한 정보는 파형 34의 도해 부분 35와 비슷한 주기적인 수평 귀선 펼스의 형이다. 스위치 구동 제어 회로 46은, 또한 수직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직 편향 발생기 22의 출력단자에 결합된다. 스위치 구동 제어회로 46은 수직 및 수평비 동기정보를 처리하여 후술되는 식으로 48과 같이 도해된 펄스 50을 연속 되풀이하여 발생한다. 연속 펄스는 수직편향비에서 반복한다.
펄스 50은 각 수평 귀선 펄스 기간의 제2의 절반 동안 발생한다. 연속 펄스 48의 각 펄스들 50의 말단 부분은, 귀선 펄스의 단말의 시점에서 발생한다. 수직 주사의 상부와 상응하는 각 반복 연속 48의 시초에서, 각 펄스 50의 선단부는 말단부의 바로 앞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펄스들 50은 지연이 짧다. 수직 주사의 중심 이전에 그러나 수직주사의 시초 후에 발생하는 펄스들 50은 말단부에 비하여 시간상 점진적으로 앞서는 선단부를 갖는다.
수직 주사의 중간 및 하부와 각각 일치하는 펄스 연속 48의 중앙으로부터 각 연속의 단부까지 펄스 50의 선단부는 귀선의 중심시간에 비해 점진적으로 후퇴되며 수직주사의 하부까지 선단부의 최대 후퇴가 이뤄지며, 펄스 50의 지연은 다시 짧아진다. 따라서 펄스 50이 수직 주사의 시초부터 중간까지 점진적으로 지연이 증가하며, 수직 주사의 중간부터 말단까지 점진적으로 지연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펄스 50의 반복 연속 48은 스위치 구동 제어회로 46으로부터 다이리스터 44의 게이트 45에 연결된다.
핀쿠숀 교정회로 30은 편향 권선 26과 직렬로 결합되는 스위치 가변 임피던스를 포함한다. 스위치 40이 개발될 때 핀쿠숀 교정회로 30은 편향 권선과 직렬로 연결된 권선 32b의 고인덕티브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스위치 40이 폐쇄될 때 회로 30은, 편향 권선 26과 직렬로 연결된 저 캐패시티브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이 배열은 내측 및 외측 핀쿠숀 찌그러짐을 교정한다.
라스터의 상하부에서 핀쿠숀 교정회로 30에 의해, 편향권선 26에 나타나는 평균 임피던스는, 스위치 40이 펄스 50에 의해 비교적 늦게 폐쇄되기 때문에 높다. 수직 주사 기간의 중심과 일치하는 라스터의 중심에서, 핀쿠숀 교정회로 30에 의해 나타나는 평균 임피던스는, 스위치 40이 수평 귀선 기간의 제2절반 동안 비교적 빨리 폐쇄되기 때문에 비교적 낮다.
라스터의 상하부에서, 수평 귀선 기간의 제2절반동안 스위치 40의 늦은 폐쇄와 편향 권선 26과 직렬 연결되는 높은 평균 임피던스는 편향 권선 26에 흐를 편향 전류 I26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라스터의 상하부에서 혹은 외측 핀쿠숀 찌그러짐 교정에서 수평소인선 폭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핀쿠숀 교정회로 30과 직렬 연결되는 편향 권선 26의 증가된 임피던스는 수평 귀선 펄스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 감소된 부하는, 수평 귀선 펄스의 지연을 증가시키며, 이것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핀쿠숀 교정 배열로부터 야기되는 수평 귀선 펄스의 시간 변조에 의해 원인이 되는 "S"형에서의 변형에 대해 보상해주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탭 32에서 나타나는 핀쿠숀 교정 30의 임피던스에서의 변동은 내측 및 외측 핀쿠숀 찌그러짐에게 교정한다.
수평 귀선 기간의 제2절반 동안, 귀선 캐패시터 13은 핀쿠숀 교정회로 30과 직렬로 연결된 편향 권선 26으로 전류 I26의 형으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수평 귀선 기간의 제2절반 부분 동안 스위치 40이 개방될 때 캐패시터 36을 포함하는 임피던스 회로 31의 지로 내로 전류가 흐를 수 없다. 따라서, 편향전류 I26에 대한 통로는 오직 권선 32b의 높은 인덕티브 임피던스를 통하는 길 뿐이다. 이것은 수평 귀선 기간의 제2절반 동안 탭 32c에 나타나는 비교적 높은 전압을 야기시킨다. 제 3e 도를 참조하면 이것은 펄스 56에 의해 도해되어 있다. 스위치 40이 다이리스터 44의 게이트 45로 펄스 50이 출현함으로서 폐쇄되는 순간 탭 32c에서의 임피던스는 편향전류 I26이 권선 32b를 통하는 전류 I26일부분과 권선 32a와 캐패시터 36을 통해 흐르는 나머지 전류 I36으로 나뉘는 것과 같이 급작히 감소된다. 임피던스에서 이러한 감소는 펄스 50이 인가되는 순간에 탭 32c에서의 전압을 갑작스럽게 감소시키는 결과가 되며 이는 탭 32c 전압파형 54의 펄스 56의 지체되는 연부에 의해 제 3e 도에서 볼 수 있다.
스위치 40이 폐쇄되는 순간에, 캐패시터 36을 포함하는 임피던스 회로 31의 지로 내에 전류가 흐르기 시간한다. 전류 I36은 수평 귀선 기간의 제2의 절반 나머지 부분 동안 증가하도록 연속된다. 스위치 40이 라스터의 중앙과 비교하여 라스터의 상하부에서 비교적 늦게 폐쇄되기 때문에, 수평귀선 기간의 단부에서의 전류 I36은 라스터의 중앙에서보다 라스터의 상부 및 하부에서 더 작다. 따라서 편향 전류 I26이 상부 및 하부에서 보다 라스터의 중심에서 캐패시터 36을 포함하는 임피던스회로 31의 지로내에 더 많이 흐른다. 이것은 제 3f 도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데 여기서 좌우측 파형은 제각기 라스터의 상하부와 일치한다.
변압기 32에 기인하는 편향 전류 I26과 캐패시터 전류 I36간의 결합으로 인해, 편향전류 I26및 캐패시터 전류 I36은 소인선 기간동안 공명으로 증감한다. 그러나 소인선 기간 동안 I26과I36의 상대적인 크기는 귀선 기간동안 스위치 40의 폐쇄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전류 I26과I36간의 결합 때문에, 수평 소인선 기간의 중앙에서 제로로 감소하여 수평 소인선 기간의 제2절반 동안 부의 방향으로 증가하기 시작한다. 수평 소인선 기간의 제2절반 동안 스위치 40의 다이오드 42는 전류 I36을 도통시키며, 다이리스터 44는 개방된다. 수평 소인선 기간의 말단에서, 편향 전류 I26및 캐패시터36 전류 I36은 제로가 되는데 제 3g 도의 편향 전류 파형 58과 제 3f 도의 전류I36을 비교함으로서 볼 수 있다. 다이오드 42는 개방되며 다이리스터 44는 게이팅펄스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개방되며 따라서 스위치 40은 새로운 싸이클에 대한 준비에서 수평 귀선 기간의 제1절반 동안 개방된다.
캐패시터 36은 전 소인선 기간 동안 편향 전류 I26의 일부분 I36과 직렬이다. 캐패시터 36은 전류 I36의 S교정의 원인이 된다. 캐패시터 36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 전류I26의 추가 S교정의 정도는 편향 전류대 캐패시터 전류I36의 비에 달려 있다. 라스터의 상부 및 하부에서, 캐패시터 전류 I36스위치 40이 늦게 폐쇄되기 때문에 비교적 작다. 결국 캐패시터 36은 라스터의 중심에서 보다 라스터의 상부 및 하부에서 편향 전류 I26의 더 적은 S교정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스위치 40의 조기 폐쇄는 캐패시터 36에 더 큰 전류의 흐름을 허용한다. 따라서 제 3g 도의 파형 6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40의 제어는 수직주사의 합수로서 S교정 내에 변동을 준다.
캐패시터 36의 크기의 조정은 주어진 S교정의 성질로 결정된다. 캐패시터 36이 편향전류 I26과 동일한 주파수의 캐패시터 전류 I36을 만들도록 조정될 때 핀쿠숀 교정회로 30은 외측 핀쿠숀 찌그러짐 교정을 증강시킨다. 캐패시터 36이 좀더 작게 제조될 경우 캐패시터 전류 I36은 편향 전류 I26보다 더 높은 주파수성분을 포함하여 내측 핀쿠숀 찌그러짐 교정이 제공된다. 캐패시터 36은 임의로 작게 만들 수 없다. 왜냐하면, 라스터의 외부선 혹은 좌측에서 영상 압축이 핀쿠숀 찌그러짐을 수반하기 시작한다. 이 압축은 소인선 동안 캐피시터 전류I36의 도전각이 약 220° 즉, 12KHz의 주파수와 상응하는 곳에서 발생하기 시작한다.
특히 바람직한 형의 핀쿠숀 교정회로 30은 탭 32c가 변압기 32상의 중앙 탭일 때 발생한다. 이 회로 배열에서, 스위치 40이 폐쇠될 때 탭 32c에서 나타나는 임피던스는, 변압기 32의 손실 인덕턴스와 직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 36의 리액턴스이다. 왜냐하면, 권선 32a 및 32b 내에서 실제 자속 쇄교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상 캐패시터 36의 리액턴스는 스위치 40의 도통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분명한 크기로서 소인선 기간 동안 편향 권선 26과 직렬로 나타난다.
임피던스 회로 31의 다른 실시예들도 또한 핀쿠숀 교정을 제공해 준다. 외측 핀쿠숀 교정은 저항, 인덕터 혹은 제 1단자(32b)로부터 제 3단자(37)로 직결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제어스위치(40)에 의해 병렬연결된 편향 권선과 직렬연결된 제 1단자(32c)와 제2단자 (접지:GND) 간에 결합된 캐패시터와 같은 임피던스로 구성되는 임피던스 회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임피던스가 제1 및 제3단자간에 직렬로 그리고 스위치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및/혹은 에너지 소비를 피하도록 그 스위치와 직렬로 놓여질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임피던스 회로 31에서와 같은 다른 임피던스가 두 임피던스들,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제 4 도는 종래의 수직 편향 시스템과 관련하여, 스위치 구동제어 회로 46으로서 사용 적합한 회로의 개략형을 도시하고 있다. 회로 46은 제 2도의 스위치 게이트 45의 사용에 대해 수직소인선 기간의 처음 절반동안 제 시간에 점차 전진하며 소인선 기간의 다음 절반 동안 점차 후퇴하는 펄스들 50을 갖는 전압파형 48을 발생하도록 수평비톱니파의 수직비 포물선을 비교한다.
수직 편향 발생기 22는, B급 푸슈풀 수직 편향 증폭기 106과 수직편향 코일과 편향코일 결합 캐패시터 110과 직결합되는 상하부 핀 교정회로 108 그리고 전류 샘름링 저항 112를 궤환 경로는 캐패시터 110과 저항 112의 접합으로부터 편향 증폭기 106에 결합된다.
수직비 포물선은 동작 중 캐패시터 110과 저항 112 양단에 알려진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 수직비 포물선은, 핀쿠숀 진폭 제어 저항 114와 저항 116을 경유하여, 스위치 구동 제어회로 46의 차동 증폭기 100의 트랜지스터 104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수평비 귀선 펄스 35는 다이오드 118 및 저항 120을 경유하여 수평 편향 발생기 24로부터 차동 증폭기 100의 트랜지스터 102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102의 베이스는 또한 기초 형성 저항 126을 통해 톱니파 형성 캐패시터 122 및 충전 저항 124에 결합된다.
동작에 있어서, 수평 소인선 기간 동안 다이오드 118은 도통하며 그에 의해 트랜지스터 102의 도통과 캐패시터 122 방전이 유지된다. 트랜지스터 104는 저항 128에 의한 바이어스 때문에 비도통 된다. 트랜지스터 104가 비도통되므로서 에미터플로워 트랜지스터 132를 통해 다이리스터 44의 게이트 45에 결합시키기 위한 저항 130 양단에 전압이 나타나지 않는다.
수평 귀선 기간 동안, 다이오드 118의 캐소드에 결합되는 포지티브 고잉 전압 펄스는 그것을 비도전성 으로 만든다. 이것은 캐패시터 122의 방전 경로를 개방하여 이것은 그 다음 제 3b 도의 전압파형 132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되기 시작한다. 또한 저항 126을 통하여 흐르는 정전류는 다이오드 118의 비도통으로 인하여 정지되며, 트랜지스터 102의 베이스 전압은, 급작히 상승한다. 제 3c 도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 102의 베이스에서 수평 귀선 기간 동안 발생하는 펄스는, 일반적으로 134에 의해 표시된다. 각 개별적인 전압 펄스는, 저항 126에 의해 발생되는 기초와 저항 124를 통해 캐패시터 122의 충전에 의해 발생되는 중첩된 경사부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다이오드 118, 저항들 120, 124 및 126 그리고 캐패시터 122의 배열은 경사상에 펄스 발생기를 구성한다.
제 3c 도는 또한 수직편향 발생기 22로부터 차동증폭기 100의 트랜지스터 104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을 나타내는 얕은 포물선 136을 도시한다. 그 포물선 136은 펄스들 134의 경사부분과 교차한다. 포물선 136이 베이스 102에 인가되는 펄스 134보다 더욱 음일 때 트랜지스터 104가 도통되어 에미터 폴로워 132를 경유해 다이리스터 44에 출력 펄스를 제공한다. 포물선 136이 펄스들 134보다 더욱 양일 때 다이리스터 44의 출력은 없다.
포물선 136의 최대 음의 부분은 수직 소인선의 중간 지점에서 발생한다. 결국, 그 포물선은 톱니파와 교차하게 되어, 수직 주사의 중심에서 수평 귀선 펄스들에 비해 가장 전진된 시간에서 제 3d 도 출력의 펄스 50을 제공한다. 수직 주사의 상하부에서 포물선 136이 가장 양이며, 비교적 짧은 지연의 펄스 50출력을 발생시키는 비교적 늦은 펄스 134와 교차한다.
펄스 134와 포물선 136의 교차점은 저항 138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저항 138은 트랜지스터 104의 베이스 바이어스를 조종하며 따라서 트랜지스터 102의 베이스에서 펄스들에 대하여 포물선 136을 이동시킨다. 그 다음 이것은 동일량에 의해 모든 게이팅 펄스들 50이 전진 혹은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영상폭의 정수 변동의 원인이 된다. 영상폭 내의 변동은 회로 30이 대형 핀쿠숀 교정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때 발생되며 이 경우에 라스터 교정은 귀선의 다음 절반의 모든 기간을 요하지 않는다. 수직 포물선의 오프세트는 소인선의 시초에 편향권선 내의 에너지를 변동시키는 귀선의 다음 절반 기간 내에 스위치 40의 터언은 시간을 이동시킨다. 저항 142와 접속되는 저항 140은 트랜지스터 104에 대해 기본 베이스 바이어스를 설정한다.
저항 116과 접속되는 저항 114는 트랜지스터 104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수직포물선 136의 크기를 결정해준다. 라스터의 사다리꼴 찌그러짐 교정이 저항 114 및 116의 접합점으로부터 접지로 캐패시터 117을 연결함으로서 혹은 저항 116 양단에 적당한 캐패시터 115를 연결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저항 116 양단에 캐패시터를 연결하면 트랜지스터 104의 베이스에서 수직 포물선의 위상이 앞서며 반면 저항 114 및 116의 접합부로부터 접지까지의 캐패시터는 포물선을 지연시킨다. 앞서는 위상은 라스터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상향 최대 핀쿠숀 교정의 지점을 이동시키며, 위생지연이 저부를 향해 최대 지점을 이동한다. 그래서, 이것은 사다리꼴 교정을 초래한다.
제 5 도에는 전술한 동시 출원서에 설명된 것과 같은 스위치된 수직 편향회로와 접속하여 사용하기 위한 스위치 구동 제어회로 46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 2도의 스위치 구동회로 46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0으로 표시된 포물선 발생기와 320으로 표시된 펄스 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다. 포물선 발생기 300 및 펄스 발생기 320은 변압기 권선 208d를 경유하여 수평편향 발생기 207로부터 예시된 귀선펄스를, 그리고 스위치된 수직편향 변조회로로부터 펄스 파형 330을 수신한다. 펄스 발생기 320은 핀쿠숀 교정회로 30의 다이리스터 44에 대한 응용하기 위한 스위치 게이트 전압 파형 48을 생성한다.
전술한 동시 출원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 발생기 207은 키네스코프 210은 주위에 전개된 편향 권선 26 내에서 톱니파 수평 편향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수평동기 펄스들 205에 반응한다. 권선 26은, 제 2 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핀쿠숀 교정회로 30과 직렬 결합된다. 수평편향 발생기 207은, 또한 수평출력변압기 208을 구동시킨다. 변압기 208은, 두 개의 이차권선 208b 및 208c를 갖는데, 이 권선은 캐패시터 215를 충전시키기 위한 반대극성의 수평귀선 펄스들을 발생한다. 다이리스터 213과 코일 214와 직렬로 결합되는 변압기 이차권선 208b는, 각 수평귀선펄스기간 동안 톱니파 캐패시터 215를 충전시키기 시작한다. 다이리스터 213은 수직주사의 상부에서, 각 수평귀선 펄스의 최대 기간 동안 게이트은 된다. 주사의 제 1 혹은 상부 절반동안 상부주사펄스폭 변조기 273에 의해, 다이리스터 213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게이팅펄스들 231은, 다이리스터 213의 도통시간을 점차 감소시킨다.
결국, 감소하는 전압파형 227은 캐패시터 215 양단에 나타난다.
수직주사의 제2절반동안, 하부 주사 펄스폭 변조기 281은 지연시에 점차 증가하는 게이팅 펄스들 232로서 다이리스터 217을 게이트한다. 결국, 수지 주사의 제2절반 동안 변압기 이차권선 208c와 코일 216과 접속하는 다이리스터 217은, 증가하는 부의 전압으로서 캐패시터 215를 충전시킨다. 캐패시터 215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 227은, 실제 톱니파 편향 전류를 형성하도록 수직 편향코일 218에 의해 통합된다.
수직 톱니파 발생기 220은 서로 상반된 극성의 수직비 파형 269와 270을 발생시키도록 편향코일 218을 통하는 전류와 수직동기펄스 221에 반응한다. 변조기 273과 281은 발생기 220으로부터 전압 269와 270에 의해 구동된다. 제 4 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 경사 기초펄스 발생기와 비슷한 상의 결사펄스전압파 발생기 335는, 변압기 이차 권선 208d로부터 수평 귀선 펄스 35에 의해 구동된다. 변조기 273 및 281은 발생기 335로부터 전압파형 334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입력들을 갖는다. 펄스 334는 제 3c 도의 반전 펄스들 134와 비슷하다. 펄스폭 변조기 273 및 281은, 다이리스터 213과 217에 대해 각각 적용하기 위한 폭펄스들 231과 232를 점차 변화시키는 제1의 출력신호들로서 생성된다.
펄스폭 변조기 273과 281은 트랜지스터 272 및 280으로부터 얻어지는 제2 출력신호를 가지며, 그의 콜렉터들은 저항 336을 통해 접지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272 및 280의 출력전압파형의 총합을 나타내는 전압 330은 포물선 발생기 300에 대한 입력파형으로서 나타난다.
펄스파형 330은 정상적으로 포화되는 증폭기 트랜지스터 301에 인가된다. 펄스들 330의 팁들은 트랜지스터 301을 트랜지스터 301의 콜렉터에서 양의 펄스를 창출하는 포화상태로부터 빠져 나오게 한다. 트랜지스터 301의 콜렉터로부터 베이스로 결합되는 다이오드 302는 트랜지스터 301의 과도 응답을 개선한다. 검파기 다이오드 303은 트랜지스터 증폭기 301의 양의 펄스 출력을 통합하는 캐패시터 304로 결합시킨다. 포물선 전압 306은 파형 330의 펄스팁들의 최대 지연에 반응하는 수직 주사의 중심에서 발생하는 포물선의 최대치로서 트랜지스터 301의 통합된 출력을 표현하는 캐패시터 304의 양단에 나타난다. 가변 저항 308은 통합되는 캐패시터 304의 의 방전비를 조종한다. 수직비 포물선 파형 306은 310으로 표시되는 에미터 플로워단에 의해 캐패시터 304로부터 결합된다. 312로 표시되는 저역통과 필터는 포물선 파형 306의 수평주파수 전류를 감쇄시킨다. 형 제어 저항 314는 포물선 전압 306에 반응하는, 펄스 처리기 306에 반응하는, 펄스 처리기 320으로 포물선형으로 변동저전류 316을 결합한다.
펄스 처리기 320은, 반전 증폭기 322의 베이스에 응용하기 위한 변압기 이차권선 208d로부터 수평귀선 펄스들 35를 수신한다. 반전 증폭기 322의 부행펄스출력은, 캐패시터 328과 다이오드 326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 32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 324는 또한 포물선형으로 변동하는 전류파형 316을 그의 베이스에 인가받는다. 전류파형 316은 수평 귀선 펄스들 간에서 트랜지스터 324를 도전성으로 유지시키는 경향이 있다. 반전기 322로부터 부행 수평 비펄스가 출현할시 트랜지스터 324는 트랜지스터 324를 다시 순방향 바이어스시키도록 전류가 캐패시터 328에 충전시키는데 요하는 기간동안 도통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 324의 비도통기간은 시간전류 316이 최대인 수직주사의 중심에서 가장 짧을 것이며, 트랜지스터 324의 비도통은, 수직 주사에서 최대 지연을 가질 것이다.
트랜지스터 324의 양행 펄스출력은 저항 342를 통해 트랜지스터 340의 베이스에 인가되며 그 콜렉터로부터 취해 진다. 트랜지스터 340의 베이스의 또다른 입력신호는, 저항 344를 통해 증폭기 322의 출력단자로부터 취해진다. 트랜지스터 340의 콜렉터에서 양의펄스 출력은, 증폭기 322와 트랜지스터 324의 출력신호가 낮을 때만 발생한다. 한쌍의 반전 증폭기는 트랜지스터 340의 펄스출력을 다이리스터 44의 게이트에 결합된다.
증폭기 322의 펄스출력의 지연 연부가 귀선 펄스 기간의 말단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340으로부터의 출력펄스는, 귀선 펄스 기간의 말단에서 끝난다. 트랜지스터 340의 펄스출력은, 수직 주사의 중앙에서 최대이며 수직 주사의 상하부에서 최소인 지연을 갖는다.
설명된 핀쿠숀 교정회로는 내측 좌우 핀쿠숀 찌그러짐과 외측 좌우 핀쿠숀 찌그러짐을 동시에 교정한다. 수평 출력 변압기의 부하가 없기 때문에 또한 아주 효율적이다. 설명된 회로는 종래의 핀쿠숀 교정회로들과 접속하여 사용된다.
전술한 동시 출원서에 명시된 바와 같은 스위치형 수직 편향 시스템과 접속하여 사용할 때, 기술된 핀쿠숀 교정회로는 특히 이롭다. 스위치되는 모오드 수직 편향 회로가 수평 귀선 변압기의 부하에 의해 측면 핀쿠숀 찌그러짐을 제공하지만 어떤 응용면에서는 충분한 고유의 핀쿠숀 찌그러짐을 달성시키도록 수직주사의 중앙에서 제 5 도의 213과 217같은 제어 스위치들을 동시 도통시켜 주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 된다. 스위치 213 및 217의 그러한 동시 도통은 수평 귀선 에너지용 소비 전류 통로를 창출한다. 스위치 모오드 수직 편향 시스템과 접속하여 본 발명을 사용하면 방출 에너지 손실은 없고 대단히 낮은 총 전력 소비가 이루어진다.
다음은 RCA 코오포레이숀 모델 번호 A 67-610X와 같은 110。 대형 스크린 키네스코프에 대한 핀쿠숀 교정을 제공하는 회로 소자 값의 목록이다.
L 26 0.28mH
L 32 코어
Figure kpo00001
10X, 45mm,0.8MM 동선 및 34권회한 한층의 절반N22, 각절반 60μH, 손실 1μH
C 36 1μF
C 122 0.015μF
C 304 4700pF
C 328 470pF
R 33 680
R 114, 116, 120, 124 4 K 7
R 126 1 K
R 128 3 K 3
R 130 10 K
R 138 4 K 7 가변
R 140 3 K 9
R 142 4 K 9
R 308 100 K
R 314 22 K
R 342,344 4 K 7
상기 값들과 키네스코오프에 대해 S캐패시터와 편향 권선의 공진으로 인해 편향 권선내의 전류성분이 약 6.5KHz에서 관측되며 반면 핀쿠숀 교정회로로 인한 성분은 약 12에서 관측된다.

Claims (1)

  1. 수직편향발생기(22)와, 수형편향방생기(24)와, 수평편향권선(24)과, 임피던스회로(31)와, 제 1결합장치(32a,36) 및, 제 2결합장치(27)를 구비하고 있는 텔레비전 키네스코프 편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32a,36) 및 제 2결합장치(27)를 거쳐 편향권선(26)에 결합된 제어가능한 스위치장치(40)와,
    수직(22) 및 수평편향발생기 (24)에 결합되고 또 상기 제어가능한 스위치장치 (40)에 결합되어 수직주사기간의 제 1부분동안 점차로 빨라지고 수직주사기간의 제 2부분동안은 점차로 늦어지는 수평귀선기간중에 제어가능한 스위치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의해 주사전류를 변경시켜 핀쿠숀의곡을 감소시키는 제어장치(46)를 특징으로 하는 핀쿠숀 교정회로.
KR7602915A 1976-11-24 1976-11-24 핀쿠숀 교정회로 KR820000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915A KR820000168B1 (ko) 1976-11-24 1976-11-24 핀쿠숀 교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915A KR820000168B1 (ko) 1976-11-24 1976-11-24 핀쿠숀 교정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168B1 true KR820000168B1 (ko) 1982-02-23

Family

ID=1920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915A KR820000168B1 (ko) 1976-11-24 1976-11-24 핀쿠숀 교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16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3143C (fi) Kuddsiddistorsionkorrigeringskrets
US4088931A (en)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KR920005869B1 (ko) 동-서 핀쿳션 보정 수평편향회로
US3825793A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utilizing a parabolically varying load circuit
US4041354A (en)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KR820000168B1 (ko) 핀쿠숀 교정회로
US4118656A (en) North-south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US4234826A (en) Synchronous switched vertical deflection driven during both trace and retrace intervals
US3349279A (en) Electronic circuit
JPS63169176A (ja) ビデオ装置
CA1082354A (en)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US4130783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with low dissipation damping
GB1198209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US4179642A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with low dissipation resistive damping
US4169988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US4181874A (en) Television S-correction circuit with improved linearity
US4220898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JPH07264433A (ja) 内側のラスタ歪み補正回路
US4161675A (en) Line output stage
IE44539B1 (en)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KR800000957B1 (ko) 핀 쿠숀 교정회로
US4117380A (en) Transformer arrangement for synchronously switched vertical deflection system
JPS596672A (ja) 水平偏向電流発生回路配置
KR800000274B1 (ko) 측면 핀쿠션(Pincushion)찌그러짐 교정회로
NO136732B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