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118B1 - 다수(多數)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多位置) 정지콕 밸브 - Google Patents

다수(多數)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多位置) 정지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118B1
KR810002118B1 KR7803448A KR780003448A KR810002118B1 KR 810002118 B1 KR810002118 B1 KR 810002118B1 KR 7803448 A KR7803448 A KR 7803448A KR 780003448 A KR780003448 A KR 780003448A KR 810002118 B1 KR810002118 B1 KR 81000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rug
tube
patient
dr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 핑크 죠셉
Original Assignee
엘 핑크 죠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 핑크 죠셉 filed Critical 엘 핑크 죠셉
Priority to KR780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多數)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多位置) 정지콕 밸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색별표식(色別標識)된 다위치 밸브의 사시도.
제2도는 선이 전부 열린 상태의 본 밸브를 나타내 보여주는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와 유사한 것이나, 선이 전부 닫힌 상태의 본 밸브를 나타내 보여주는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와 유사한 것이나, 선이 하나만 열린 상태의 본 밸브를 나타내 보여주는 평면도.
제5도는 제2도와 유사한 것이나, 다른 선이 하나만 열린 상태의 본 밸브를 나타내 보여주는 평면도.
제6도는 본 밸브의 부분 측면도.
제7도는 본 밸브의 밸브코어(valve core)와 핸들부를 나타내 보여주는 사시도.
제8도는 첵밸브(check valve)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9도는 2개 이상의 밸브를 나타내 보여주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서 사용되는 주사캡(injectioncap)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첵밸브의 변형된 형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2도는 분리 가능한 보호 덮개로 덮인 주사캡의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측면 확대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맥투여 기구의 사시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정맥투여에 사용되는 다위치밸브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멀리 떨어져서도 밸브의 위치와 이를 통하는 액체의 흐름을 알수 있는 새롭고 개량된 형태의 색별표식이 가능한 다수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 정지콕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 또는 응급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환자를 치료할 때 일반적으로 정맥투여기구(IV set)로 알려진 기구를 사용하여 약물을 정맥투여하는 것이 통례(通例)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구들은 전형적으로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 바늘을 통해 직접 투여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액체 약물통에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연성 플라스틱 튜우브를 가진다.
단일 약물을 투여할 경우에 있어서는 단지 약물의 흐르는 양만 조절해 주면 된다.
그러나, 여러 경우에 있어서, 특히 수술을 할 경우에 있어서는, 한정맥투여기구를 통해 때에 따라 여러 약물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투여하여도 한다.
이러한 여러 약물들을 투여하기 위해, 본 정맥투여 기구에는 각가 특수 약물로 채워진 여러 용기에 연결되는 다위치밸브가 있으므로써 이들 약물들은 밸브에 조절로 투여된다.
밸브에는 회전가능한 코어(core)가 있어 밸브의 위치에 따라 환자에게는 다른 약물 투여관들이 연결된다.
이러한 형태의 밸브에 있어서 주 문제점은 어느 약물이 흐르는지 또는 어느 약물의 흐름이 중단되었는지를 즉시 알수 없는 점이 있다. 이러한 밸브는 통상적으로 화살표 또는 직접 눌러 찍거나 성형된 방향표시가 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들은 보통 너무 작거나 혼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주 그리고 일정하게 같은 형태의 밸브를 사용하지 않는 다면 특히 위험상태의 압력하에서는 잘못을 야기시킬지도 모를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몇가지 목적들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정맥투여기구에 사용되는 밸브를 개량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다위치 밸브 장치에 있어서 밸브의 위치와 약물의 흐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환자에게 여러 약물을 선택적으로 투여할뿐 아니라 기구를 변조하지 않고도 정맥혈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일로 혹은 여러 조로 사용될 수 있는 색별표식 다위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정맥투여기구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색별표식 정지콕 밸브는 정맥투여기구에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유입구와 한개의 유출구를 가지는 밸브 본체, 회전시킴에 따라 밸브 본체에 있는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결되는 통로와 함께 형성되는 회전가능한 밸브 코어(valve core) 및 밸브코어에 연결된 밸브 핸들을 포함한다.
밸브 핸들과 밸브 본체에는 각 유입구와 유출구에 특이한 뚜렷한 색별표식이 있어 밸브 본체에 대한 핸들의 색깔 대조로 밸브의 위치와 약물의 흐름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위치 색별표식 정지 콕 밸브는 한가지 혹은 그 이상의 약물들을 환자에게 정맥투입시킬수 있을뿐 아니라 혈액을 역류시키거나 희석시키지 않고도 혈액 채취를 가능하게 해준다.
제1의 밸브는 정맥 약물통에 연결되며, 제2의 밸브는 주사 위치에 가까이 있으며 유입연결구들 중의 하나는 고무덮개로 세워져 있으며 첵밸브가 있어 약물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해준다.
밸브를 틀어 약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캡을 관통한 주사기를 사용하므로써 정맥혈을 채취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10은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액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주로 정맥투여기구에 사용되는 사방형 정지콕 벨브를 표시한다. 정맥투여기구는 전형적으로 병 또는 플라스틱 주머니와 같은 용기를 가진다. 이때의 용기는 드롭쳄버(dropchamber)를 통해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 바늘에 연결되는 건 플라스틱관을 통하는 정맥투여용 약물을 포함한다.
환자에게 투입되는 약물의 흐르는 속도는 죔쇠와 같은 것을 사용해 관을 다소 집어 주는 장치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조절된다.
약병에는 고리가 있어 환자위의 높은 위치에 적절히 매달아 두므로써 약물은 중력으로 인해 정맥투여기구를 통해 흐른다.
여러 경우에 있어서 환자를 치료할때 두가지의 액체 약물을 투여할 필요가 있다. 이때는 바늘을 하나 더 사용하여 환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보다 제2의 정맥투입약물이 다위치밸브를 통하는 제2의 장치에 의해 주정맥투입기구에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밸브로 환자에게 투입되는 약물의 흐름을 조절하며 주정맥투입기구 및 제2의 정맥투입기구로 흐르는 약물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開閉)할 수 있어, 환자에게 이들 약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투여하거나 약물 투입을 중지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정맥 약물을 투여하는 의사와 간호원들에게 있어서 각기 다른 약물들의 흐름을 확실이 알기란 어려운 일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밸브에 있어서는 방향표식 또는 다른 표식들이 확실치 않아 밸브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잘 이해하고 사용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여하튼, 밸브를 통하는 약물의 흐름이 확실치 않았기 때문에 오류가 자주 생기곤 한다.
또한, 이런 형태의 다위치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를 닫았을때 뜻하지 않게도 약물들이 서로 섞이게 되는 난점이 있었다.
두 장치사이에 압력의 차이가 생겨 한쪽 장치로 부터의 약물이 다른 장치로 흘러 들어가므로써 서로 섞이게 된다.
제1의 밸브(10)를 사용하므로써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밸브(10)는 대체로 고정된 밸브본체(12)와 제6도 및 제7도에 잘 나타난 회전 밸브코어(rotatable valvecore)(14)를 포함한다. 회전밸브코어(14)는 밸브본체(12)안에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위치는 밸브핸들(16)에 의해 조정된다.
밸브핸들(16)에는 반지름상 길게 뻗치는 세 아암(arm)(18)(20)(22)과 반지름상의 돌기물(24)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다음에 설명할 색별표식과 함께 밸브(10)의 위치와 약물의 흐름을 알려주는 구실을 할뿐 아니라 밸브(10)를 돌릴때 손잡이 구실을 한다.
밸브 부분품들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고비중의 폴리에틸린, 고중합 탄산염 또는 다른 고중합물질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면 아주 잘 맞는 조립체가 되어 밸브코어(14)는 부분품들 사이의 비교적 큰 마찰개수를 가지고 돌아가기 때문에 밸브(10)가 뜻하지 않게 틀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밸브본체(12)는 속이 비어 있고 그 단면은 원통형이며, 그 아랫끝은 막혀 있다.
밸브본체(12)에는 두개의 유입관(26)(28)과 하나의 유출관(30)이 있다. 유입관(26)은 첵밸브(32)와 유연성의 관(34)을 통해 제1의 정맥투여기구에 있는 제1의 액체 약물 용기로 이어진다.
한편 유입관(28)은 첵밸브(36)와 유연성의 관(38)을 거쳐 제2의 정맥투여기구에 있는 제2의 액체약물 용기로 이어진다.
유출관(30)은 첵밸브(40)와 유연성의 관(42)을 거쳐 환자의 정맥에 삽입되어 테이프 또는 다른 물질로 고정된 바늘에 의해 환자의 정맥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12)는 속이 비어 있고 그 단면은 원통형이며 그 아랫끝은 막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관(26)(28)과 유출관(30)은 각각 독특하게 색별표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훌륭한 구체화 방안에 있어서, 제1의 정맥투여기구에 연결된 유입관(26)은 전체적으로 녹색이며, 제2의 정맥투여기구에 연결된 유입관(28)은 푸른색인 반면, 환자에게 연결된 유출관(38)은 빨간색으로 되어 있다.
회전 가능한 밸브 핸들(16)도 색별표식 되어 있다. 즉 아암(20)은 흰색, 아암(22)은 녹색으로 되어 있는 반면, 돌기물(24)은 빨간색으로 되어 있다.
아암(18)(20)(22)는 각각 밸브코어(14)에 형성된 과멍(50)(52)(54)와 일렬로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흰색의 아암(20)은 빨간 돌기물(24)의 맞은편에 있는 반면, 파란색의 아암(18)은 녹색 아암(22)의 맞은편에 있다.
아암(18)(20)(22) 및 돌기물(24)뿐 아니라 유입관(26)(28)과 유출관(30)도 독특하게 색별표식 되어 있다. 제2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이들은 각각 다른 작동상태에 있으며 색별표식 가능한 상태의 밸브를 나타내 보여준다.
제2도에서는 유출관(30)뿐 아니라 제1의 유입관(26)과 제2의 유입관 두 유입관(26)(28)와 하나의 유출관(30)은 각각 90도 떨어져 있으며,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12)의 중앙으로 열려 있는 구멍들을 통해 밸브본체(12)의 내부와 연결된다.
밸브코어(14)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며 약간 테이페(taper)상으로 되어 있어 밸브본체(12)내에 잘 들어 맞는다.
밸브 본체(12)의 윗끝 가까운 곳에서는 환상홈(44)이 있어 밸브코어(14)의 윗끝 가까이에 있게 되는 환상리브(46)를 끼울 수 있다. 환상리브(46)는 밸브코어(14)와 밸브본체(12) 사이에서 밀폐 및 고정연결의 구실을 해 준다.
밸브코어(14)의 아랫부분에는 서로 90도 떨어진 구멍(50)(52)(54)과 통하는 원형홈(48)이 있어 밸브코어(14)의 각위치(角位置)에 따라 유입관(26)(28) 및 유출관(30)과 연결된다.
밸브코어(14)를 회전시킴에 따라 유입관(26)(28)중 하나 혹은 둘 다 유출관(30)에 연결되거나 둘다 차단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의 정맥투여기구를 통해 투여되는 약물을 지켜보는 간호원이 밸브의 위치와 약물의 흐름을 정확히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밸브본체(12)와 밸브핸들(16)은 색별표식되어 있다. (30)를 거쳐 환자에게 투여된다. 빨간 돌기물(24)이 파란색의 제2의 유입관(28)과 일렬상에 있게되면, 제2의 유입관(28)은 닫힌 상태이어서 제2의 약물이 흐르지 않는 반면, 푸른색과 푸른색이 겹쳐 있기 때문에 제1의 약물만이 환자에게 투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5도에서는, 밸브핸들(16)은 또 90도 회전하여 제1의 약물투여기구는 닫힌 반면, 제2의 약물투여기구는 열린 상태이다.
유출관(30)은 열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유입관(28)을 통해 흐르는 제2의 약물은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 상태에서는 빨간 돌기물(24)이 녹색으로된 제1의 유입관(26)과 일렬로 되어 있어 제1의 정맥투여기구는 닫힌 반면, 푸른색의 아암(18)은 푸른색의 유입관(28)과 일렬로 되어 있어 제2의 정맥투여기구는 열려 있다.
각각의 도시에서 화살표를 사용해 각각 다른 밸브위치에서의 약물의 흐름을 나타냈다.
환자로부터 또는 한 정맥투여기구로부터 다른 정맥투여기구로 약물 또는 혈액의 뜻하지 않은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첵밸브(32)(36)(40)가 (28)까지 전부 열려 있어 제1의 약물과 제2의 약물이 모두 환자에게 투여되는 상태의 밸브핸들(16)을 나타내 보여준다.
밸브핸들(16)이 이러한 상태로 되었을 때는 빨간색, 흰색 및 푸른색을 일렬로 있게 된다. 즉, 빨간둘기물(24), 휜색의 아암(20)과 푸른색의 유입광(28)은 일에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빨간색, 흰색 및 푸른색이 일렬로 되어 있을때는 유입관(26)(28)과 유출관(30)이 모두 열려 있어 제1 및 제2의 약물 모두가 환자에게 투여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제3도에서는, 밸브핸들(16)은 90도 회전하여 빨간 둘기물(24)은 빨간 유출관(3))과 일렬로 되어 밸브는 닫혀진 상태로 되어 제1 및 제2의 약물은 환자에게 투여되지 않는다.
이렇게하여 빨간색과 빨간색이 일렬로 겹쳐 있을때는 밸브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제4도에서는 밸브핸들(16)이 또 90도 회전하여 녹색의 아암(22)은 녹색으로 된 제1의 유입관(26)과 일렬로 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는 제1의 정맥투여기구로 부터 흐르는 약물은 유출구 설치되어 있다.
이들 첵밸브(32)(36)(40)들은 정상 또는 정(正)방향으로는 열리며 액체가 역류할 때는 닫히도록 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첵밸브(32)(36)(40)는 원통형틀(56)로 되어 있으며 이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원통형틀(56)내에 한쪽편은 평면(平面)(60)을 가지며 다른쪽면은 원형돌출부(62)들을 가지는 원반(58)이 설치되어 있다.
각 첵밸브(32)(36)(40)의 양끝은 열려 있으며 평면(60)의 맞은편에는 내부평면(64)이 형성된다.
정상적인 흐름 상태하에서는 예로, 제1의 정맥투여기구로 부터 관(34)을 통해 흐르는 약물은 원반(58)을 내부평면(64)으로 부터 밀어주므로써 첵밸브(32)(36)(40)는 열리게 된다.
이때 원형돌출부(62)는 첵밸브(32)(36)(40)내의 평면(66)에 맞대고 있어 첵밸브(32)(36)(40)의 반대편 끝도 열리게 되어 약물은 흐르게 된다.
약물이 역류할 경류할 경우에는 원반(58)의 반대편에 작용하는 압력을 원반(58)을 평면(66)으로 부터 밀어 평면(64)에 맞대이게 하므로써 흐름은 차단된다.
원반(58)은 아주 가볍고 작은 압력 변화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유체의 흐르는 방향에 따라 즉시 열리고 닫히게 된다.
유입관(26)(28)과 유출관(30)에는 모두 첵밸브(32)(36)(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로부터 구멍(50)(52)(54)로 또는 한정맥투여기구로 부터 다른 정맥투여기구로의 역류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다른 약물들은 각각 분리되어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유입 첵밸브(32)(36)에 있어서는 원반(58)의 돌출부(62)가 밸브(10)를 향하도록 하므로써 밸브(10)로 향해서만 약물이 흐르며, 역류가 일어날 때 첵밸브(32)(36)는 닫히게 된다.
유출 첵밸브(40)에 있어서는, 이와는 반대로 돌출부(62)가 환자를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약물이 환자를 향해 흐를때는 첵밸브(40)가 열리며, 밸브(10)를 향해 역류할때는 닫히게 된다.
첵밸브(32)(36)(40)의 이러한 배열은 여러가지 이점들을 가진다. 특히 밸브(10)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 있을때는 약물들의 혼합을 방지해 주는 이점이 있다.
첵밸브(32)(36)(40)가 없다면, 제1 및 제2의 정맥투여기구에 있는 약물들은 압력차이로 인해 서로 쉽게 혼합될 것이다.
한 약병을 다른 약병보다 높이 매달아 둘때는 항상 이런 압력 차이가 일어날 것이다.
제9도에 대해 언급하면 본 발명을 보다 복잡하게 이용한 형태이며, 관(70)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한쌍의 다위치 색별표식 정지 콕 밸브(10)(10')를 나타내 보여준다.
밸브(10)는 상기한 밸브(10)와 같은 형태이며 같은 색별표식되어 있는 반면, 밸브(10')는 유사한 형태이나 색별표식은 같다. 그러나 밸브(10')에는 제1도의 첵밸브(32)(36)(40)가 없으나 이와 유사한 구조이다.
밸브(10')에는 제1도의 밸브핸들(16)과 같은 형태 및 색별표식을 가지는 밸브핸들(72)이 있으며 밸브본체에는 제1도의 유입관(26)(28) 및 유출관(30)에 각각 해당되는 유입관(74)(76) 및 유출관(78)이 있다.
밸브(10')의 색별표식에 있어서는, 제1의 밸브(10)와 마찬가지로 유입관(74)은 녹색, 유입관(76)은 푸른색, 유출관(78)은 빨간색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밸브(10)와 마찬가지로 밸브핸들(72)의 빨간 부분과 흰부분이 푸른색의 유입관(76)과 일렬상에 있을때는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는 반면 핸들과 관 사이에 빨간색과 빨간색이 겹치게 될 때는 밸브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된다.
또한 밸브핸들(72)의 각 색별표식된 부분이 이와 비슷한 색별표식의 관과 일렬상에 있게 하므로써 유입관(74)(76)을 선택적으로 열 수 있다.
제9도에 있어서, 유입관(74)은 관(70)을 통해 밸브(10)의 유출관(3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핸들(16)의 위치에 따라 한가지 혹은 두가지 약물이 관(70)을 통해 흐르거나 밸브(10)가 완전히 닫혀 약물이 흐르지 않을 수도 있다.
밸브(10')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는 관(70)을 통해 흐르는 약물은 유입관(74)을 통해 흐를 것이며, 밸브핸들(72)이 유입관(74)을 유출관(78)에 연결시켜 주는 위치에 있을 때는 약물은 밸브(10')와 관(80)을 거쳐 환자에게 투여될 것이다.
유입관(76)에는 주사캡(82)이 부착되어 있어 환자의 살갗을 더 뚫지 않고도 다른 약물을 투여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다른 주사기를 삽입하지 않고도 정맥혈을 채취할 수 있다.
제10도에 가장 잘 도시된 주사캡(82)에는 연결구(84)와 고무막이판(86)이 있어 유입관(76)의 끝에 부착된다. 유입관(76)의 외부끝에는 나삿니(88)가 있어 연결구(84)가 연결된다. 연결구(84)는 성형 플라스틱 제품이며 외부 스커어트(skirt)(90)가 있다.
외부 스커어트(90)의 내부면은 나삿니로 되어 있어 두부분을 서로 결합시키면 나삿니(88)와 맞물리게 된다.
연결구(84)에는 또한 중앙접관(92)이 있다.
중앙접관(92)은 외부 스커어트(90)을 지나 길게 뻗쳐 있으며 유입관(76)의 끝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중앙접관(92)에는 중앙통로(94)가 있어 환상부(96)가 있는 연결구(84)의 외부끝과 통한다.
주로 고무로 제조되는 막이판(86)에는 외부환상 스커어트(98)와 내부환상스커트(100)가 있다. 외부환상스커어트(98)는 연결구(84)의 외부끝에 부착되며, 내부 환상스커어트(100)는 환상부(96)내에 부착된다.
내부환상스커어트(100)는 통로(94)와 일렬상에 있으며, 고무캡의 외부벽 가까이까지 계속되는 축상의 중앙홈(102)을 형성한다. 주사기(104)를 사용하여 약물을 투여할 수도 있고 정맥형을 채취할 수도 있다.
주사기 바늘(106)은 주사캡(82)의 중앙과 일렬상에 두고 주사캡(82) 속으로 눌러주면 주사기 바늘(106)은 고무막이판(86)을 뚫고 중앙홈(102)과 통로(92)를 통하게 된다.
약물이 다른 약물과 혼합되지 않게 하거나 혈액을 채취할 때는 밸브핸들(72)을 들려 관(70)으로 부터 흐르는 약물을 차단시켜 준다. 이것은 밸브핸들(72)의 빨간색 부분이 녹색의 유입관(74)과 일렬상에 있게 하고 밸브핸들(72)의 푸른색 부분이 푸른색의 유입관(76)과 일렬상에 있게 하므로써 될 수 있다.
약물만을 투여코저 할 때는 바늘(106)을 삽입하여 주사기(104)의 플린저(plunger)를 필요한 만큼 눌러준다. 그러나 정맥혈을 채취코자 할때는 변주사기의 바늘을 주사캡(82)을 통해 삽입하여 처음 한두번째 채취한 것은 버리므로써 밸브(10')와 환자 사이에 있는 정맥투여기구에 있는 약물을 제거한 상태로 정맥혈을 채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약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약물이 혼합되지 않고 관(80)과 밸브(10')를 통해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제11도에 대해 설명하면 제8도의 첵밸브(32) 대신으로 정지 콕 밸브(10)에 쓰기 위해 개량한 형태의 첵밸브(110)을 나타내 보여준다.
제11도의 첵밸브(110)에는 주로 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원통형 본체(112)로 되어 있으며 양끝에는 축상의 구멍(114)(116)이 있어 유연한 플라스틱관(118)(120)을 끼우거나 앞의 경우와 같이 밸브(10)의 유입관(26)(28) 또는 유출관(30)에 바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본체(112)에는 또한 중간실(122)이 있다.
중간실(122)에는 작은 금속보올(ball)(124)이 있어 제한구멍(126)과 여러재의 반지름상의 돌기물(128)들 사이에서 제한된 운동을 한다.
여기서 제한구멍(126)은 구멍(114)과 통하며 돌기물(128)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구멍(116)으로 통로를 형성한다. 보올(124)은 돌기물(128)들 사이의 틈과 구멍(126)보다 크다. 통상의 흐름방향은 화살표 방향이며, 통상의 흐름 조건하에서는 보올(124)은 돌기물(128)들에 맞대고 있어 관(118)과 관(120)사이에 열린 통로를 유지한다.
그러나 관(120)으로부터 역류가 일어날 경우에는 보올(124)은 즉시 구멍(126)주위의 가장자리에 맞대게 되어 관(118)으로의 흐름을 차단해 준다.
제12도와 제13도에 대해 설명하면, 주로 주사캡(82)에 쏘이는 분리 가능한 보호덮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보호덮재(130)는 주사기로 혈액을 채취하거나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주사캡(82)을 뚫을때까지 주사캡(82)을 살균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보호덮재(130)는 박테리아가 침투 못하는 재료인 얇은 플라스틱 두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실제로 열수축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보호덮재(130)을 주사캡(82) 위에 씌워 가열하면 끝이 오그라들면서 유입구(76)에 단단히 밀착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덮재(130)에는 홈(134)으로 부터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뻗치는 태브(tab)(132)가 있다. 태브(132)를 잡아 뒤로 젖히므로써 보호덮재(130)는 전 길이를 따라 찢어져 유입관(76)을 고무막이판(86)에 끼울 수 있도록 된다.
제14도에는 본 발명의 부품들을 사용한 전형적인 정맥투여기구를 도시했다. 제14도의 구체화 방법에서는 한 정맥투여기구가 다른 정맥투여기구에 연결되므로써 한 바늘을 통해 두가지 약물들이 각각 또는 동시에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제1의 정맥투여기구에는 액체약물(142)을 용기(140)가 있으며 액체약물(142)이 중력작용으로 투여되도록 높은 위치에 적절히 매달아 준다. 용기(140)는 거꾸로 매달리게 되며 연결플러그(144)가 용기(140)의 목부분에 부착된다.
연결플러그(144) 아래에는 드립쳄버(drip chamber)(148)와 통하는 관(146)이 있다. 드립쳄버(148)는 또한 관(150)에 의해 Y자 모양의 연결관(152)에 연결되므로써 다른 정맥투여기구를 연결시키거나 다른 즉선(154)을 통해 다른 약물을 투여할 수도 있다.
Y자 연결관(152)으로 부터 관(156)은 색별표식된 밸브(10)에 연결되며 관(70)에 의해 색별표식된 밸브(10')에 연결된다. 밸브(10')로 부터 유연성의 관(80)은 환자에게 삽입될 표준 바늘(160)이 끼워진 바늘 연결관(158)에 연결된다.
관(80)에는 조정가능한 콜램프(162)가 있어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량을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

  1. 유체가 드나들 수 있도록 여러 통로가 서로 각(角)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상되어 있는 밸브본체(12)와 각도에 따라 각각 다른 흐름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간 간격을 두고 떨어진 코어(core)통로들을 가지며 밸브본체(12)내에서 각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밸브코어(14) 및 각각 다른 각 위치에 전기의 코어통로들에 해당되는 아암(18)(20)(22)들을 가지는 밸브핸들(16) 그리고 상기의 아암(18)(20)(22)들과 밸브본체(12)의 각부분은 독특하게 색별표식(色別標識) 됨으로서 밸브핸들(16)과 밸브본체(12) 사이의 색깔로 밸브(10)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 정지 콕밸브.
KR7803448A 1978-11-16 1978-11-16 다수(多數)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多位置) 정지콕 밸브 KR81000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448A KR810002118B1 (ko) 1978-11-16 1978-11-16 다수(多數)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多位置) 정지콕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448A KR810002118B1 (ko) 1978-11-16 1978-11-16 다수(多數)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多位置) 정지콕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118B1 true KR810002118B1 (ko) 1981-12-29

Family

ID=1920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448A KR810002118B1 (ko) 1978-11-16 1978-11-16 다수(多數)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多位置) 정지콕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11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9021A (en) Multi-position stop-cock valve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multiple medications
US11040149B1 (en)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for a medical device
US6106502A (en) IV sets with needleless fittings and valves
US4759756A (en) Reconstitution device
US5848994A (en) IV sets with needleless spikeless fittings and valves
US3783900A (en) Stop cock
US4915687A (en) Needleless injection port arrangement
US6457488B2 (en) Stopcock having axial port for syringe twist actuation
US69534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ration of IV liquid medication and IV flush solutions
US5807312A (en) Bolus pump apparatus
JP4063893B2 (ja) 皮下注入セット
US5439452A (en) Limit stop valve infusion device
US4900322A (en) Blood component pooling valve and kit
US7175615B2 (en) Intravenous drug access system
US3057350A (en) Administration set
US5169385A (en) Safety I. V. drug introducer set
FI89008C (fi) Regleringsventil foer intravenoest administrerbara vaetskor
US10960135B2 (en) Valve and a method for administering a plurality of drug fluids
CA1054472A (en) Medicament additive system
BR112016010694B1 (pt) Conector de linha de fluido médico
JPH06509726A (ja) 医療用コネクタ
BRPI0314599B1 (pt) Dispositivo para regular de maneira seletiva a vazão de um fluido, sistema de infusão para distribuir vazões selecionáveis de um líquido terapêutico a um paciente, e, dispositivo para regular o escoamento de um líquido a partir de uma fonte pressurizada
TW201636057A (zh) 輸液組
JP2607192B2 (ja) 受動的薬剤放出ソケット
US6261270B1 (en) Sleeve stop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