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094B1 - 연속 주조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094B1
KR810002094B1 KR7803245A KR780003245A KR810002094B1 KR 810002094 B1 KR810002094 B1 KR 810002094B1 KR 7803245 A KR7803245 A KR 7803245A KR 780003245 A KR780003245 A KR 780003245A KR 810002094 B1 KR810002094 B1 KR 81000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embers
groove
annular groov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알 프란시스 죠셉 후츠
Original Assignee
알 씨 윈터
웨스턴 일렉트릭 컴페니,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801936A external-priority patent/KR810002020B1/ko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윈터, 웨스턴 일렉트릭 컴페니,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 씨 윈터
Priority to KR780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 주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연속주조 장치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의 확대수직단면도.
제3도는 스크레이퍼(scraper)장저의 확대수직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일부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도식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도식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수직단면도.
제8도는 제5실시예에 사용되는 냉매순환장치의 도식도.
본 발명은 금속과 같은 용융물질을 연속적으로 주조하기 원한 장치, 특히 한면에 홈을 가진 회전부재를 사용하여 금속과 같은 용융물질을 연속적으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과 같은 용유물질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기술분야에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둘레 홈부분은 전형적으로 다만 둘러싸인 홈부만을 따라서 회전부재의 둘레와 접촉하면서 회전부재의 홈내로 인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 및 그와 동일방향으로의 밴드의 동시운동에 의해 둘러싸인 홈부를 통해 운반된다. 용융물질은 둘러싸인 홈부내에서 고체상태로 냉각되며, 둘러싸인 홈부를 지나 홈으로부터 방출된다. 이와 같은 연속 주조기술의 대표적인 장치들은 미합중국 특허 제2,710,433호, 제2,865,067호, 제2,928,148호, 제3,284,859호, 제3,318,369호 및 제3,528,479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특허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이동 가능한 밴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회전부재의 원주홈 내에서 용융물질의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기술은 연속적인 응고제품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그러한 기술에 있어서는 용융물질의 응고에 요구되는 대체로 모든 냉각이 회전부재로의 열전달을 통해 발생해야 하므로, 이동가능한 밴드를 용융물질 냉각에 큰 비중을 두게하는 것은 비실제적이기 때문에 사용된 장치의 기하학적인 설계에 있어서 용량이 제한되게 된다. 더우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밴드를 상승된 온도레벨에서 팽팽하게 유지시키게 하는 밴드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정도보다 낮게 된다.
본 발명은 홈이 형성된 회전부재를 사용하여 금속과 같은 용융물질을 연속적으로 주조하기 위한 장치를 시도하고 있다. 홈은 회전부재의 둘레보다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표면에 형성된 환상홈으로 구성되며, 이동가능한 제2부재상의 제2표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혀 싸여, 덮혀싸인 환상홈부분에서 상기 두 부재사이에 냉각지역을 형성하게 된다. 회전부재의 회전과 제2부재의 동시적인 운동시에, 용융물질은 이송스테이션(station)에서 회전부재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표면의 환상홈내로 인입되고, 덮혀싸인 환상홈부에 의하여 형성된 냉각지역을 통해 운반되며, 방출스테이션에서 응고된 상태로 환상홈으로부터 방출된다. 바람직하게, 이동가능한 제2부재는 제2회전 부재로서, 제2표면은 제2회전부재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표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회전부재는 서로 다른축에 대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연속주조 장치의 제1실시예(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0)는 두개의 주요부재(11 및 12)를 포함하고 있다. 두부재(11 및 12)중 하부에 위치하는 제1회전부재(11)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1상면(14)에 형성된 환상홈(13)을 포함하고 있다. 이동가능한 제2회전부재(12)는 제1부재(11)의 상기 제1상면(14)과 제2부재(12)의 제2하면(16)(제2도)의 접촉으로 인하여, 제1부재(11)의 환상홈(13)의 일부를 덮어싼다. 덮혀싸인 환상홈은 용융물질이 응고되는 냉각지역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부재(11 및 12)는 원형 외주를 갖는데 제2부재(12)의 직경보다 제1부재(11)의 직경이 더 크게 되어 있다. 두부재(11 및 12)는 고정된 허브(17)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되는데, 제2부재가 환상홈(13)의 냉각지역부분만을 덮어싸고 환상홈(13)의 다른 부분은 덮어싸지 않은 채로 둘 수 있게끔 제2부재(12)의 수직축은 제1부재(11)의 수직축으로부터 다소 편심되어 있게 된다. 허브(17)는 볼트(19)와 같은 통상적인 장치에 의해 하우징(18)에 고정된다.
제1부재(11)를 허브(17)에 대하여, 예를들면 화살표(21)(제1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적당한 장치가 샤프트(23)를 가진 유체모터 또는 다른 모터(22)(제2도)에 의하여 제공된다. 샤프트(23)는 제1부재(11)에 부착된 환상기어(26)와 맞물리는 피니언(24)을 구동시키도록 하우징(18)을 통해 돌출된다.
제2부재(12)는 두 부재(11 및 12) 사이의 마찰 접촉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편심축을 따라 제1부재(11)의 회전과 동시에 허브(17)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마찰접촉은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링(27)에 의해 증가된다. 두부재(11 및 12)들을 허브(17)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허브(17)와 환상기어(26)사이, 그리고 허브(17)와 제2부재(12)사이에 각각 적당한 베어링(28 및 29)이 설치된다.
제1부재(11)은 볼트(33) 및 나사(34)와 같은 통상적인 장치에 의하여 함께 결합되는 두개의 절반부(31 및 32)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부재(12)는 볼트(38) 및 나사(39)와 같은 통상적인 장치에 의하여 함께 결합되는 두개의 절반부(36 및 37)로 구성된다. 30°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제1내부통로(41)(제1도)는 환상홈(13) 아래에서 제1부재(11)내에 즉 두 부절반부(31 및 32) 사이에 위치한 제1환상챔버(43)(제2도)와, 허브(17)에 인접한 제1부재(11)의 방사상 최내측면(42)을 연결시킨다. 마찬가지로, 30°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제2내부통로(44)(제1도)는 제2부재(12)의 내부중 방사상 최외측부를 따라서 제2부재내에 즉 두절반부(36 및 37) 사이에 위치한 제2환상챔버(47)(제2도)와, 베어링(29)에 인접한 제2부재(12)의 방사상 최내측면(46)을 연결시킨다.
냉각유체인입통로(48)(제1도)와 냉각유체 방출통로(49)는 일반적으로 허브(17)의 상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냉각유체인입통로(48)는 제1부재(11)의 방사상 최내측면(42)에 냉각유체를 공급하도록 허브(17)를 통과하는 제1연결통로(51)와 연결되고, 또한 제2부재(12)의 방사상 최내측면(46)을 따라 베어링(29)내에 제공되는 작은 제1 아아치형 분배실(53)에 냉각유체를 공급하도록, 허브(17)를 통과하는 제2연결통로(52)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냉각유체 방출통로(49)는 제1부재(11)의 방사상 최내측면(42)으로부터 냉각유체를 받을 수 있도록 허브(17)를 중심으로 하여 제1연결통로(51)로부터 약 180°이격되어 허브(17)를 통과하는 제3연결통로(54)와 연결되고, 제2부재(12)의 방사상 최내측면(46)을 따라 베어링(29)내에 형성된 작은 제2아아치형 분배실(57)로부터 냉각유체를 받을 수 있도록, 허브(17)를 중심으로 하여, 제2연결통로(52)로부터 약 180°이격되어 허브(17)를 통과하는 제4연결통로(56)와 연결된다.
본 장치는 냉각유체가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의 동시 회전시에 두 부재(11 및 12)의 내부에서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제1부재(11)내에서의 순환은 냉각유체 인입통로(48), 제1연결통로(51), 제1연결통로(51), 제1연결통로(51)를 지나가는 각각의 연이은 방사상 연장통로(41) 예를들면 제1도의 방사상 연장통로(41A), 제1환상챔버(43), 제3연결통로(54)를 지나가는 각각의 연이은 방사상 연장통로(41), 예를들면 제1도의 방사상 연장통로(41B), 제3연결통로(54), 그리고 냉각 유체방출통로(49)를 거쳐 이루어질 것이다.
제2부재(12)내에서의 냉각유체의 순환은 냉각유체인입통로(48), 제2연결통로(52) 제1아아치형 분배실(53), 제1아아치형 분배실(53)을 지나가는 각각의 연이은 방사상 연장통로(44), 예를들면 제1도의 방사상 연장통로(44A 및 44B), 제2환상챔버(47), 제2아아치형 분배실(57)을 지나가는 각각의 연이은 방사상 연장통로(44), 예를들면 제1도의 방사상 연장통로(44C 및 44D), 제2아아치형 분배실(57), 제4연결통로(56), 그리고 냉각유체방출로(49)를 거쳐서 이루어질 것이다. 냉각유체인입통로(48)와 방출통로(49)는 물론, 펌프와 같은 압력을 사용한 통상적인 냉각유체 공급원과 기름통과 같은 통상적인 냉각유체용기(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하에 상술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도면인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을 갖는다)에 각각 연결된다.
턴디쉬(turn' dish)(58)(제1도)는 이송스테이션(59)에서 제1부재(11) 위에 위치한다. 턴디쉬(59)는 통상적인 형으로 하부구멍(61)과 구리, 알루미늄, 땜납과 같은 용융금속을 제1부재(11)의 상면(14)의 환상홈(13)내로 이송하기 위한 만곡튜브(62)를 포함한다. 환상홈(13)내의 용융금속의 높이를 시각적으로 감시해야 할 경우에는, 만곡튜브(62)를 환상홈(13)으로부터 약각 벗어나게 해 환상홈(13)의 상류부에서 용융금속에 대한 댐으로서 작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송스테이션(59)은 두부재(11 및 12)가 화살표(21)방향으로 회전할때, 응용물질을 제2부재(12) 아래에 위치하는 냉각지역내로의 환상홈(13)의 진입부 부근에서 환상홈(13)내로 이송할 수 있게끔 위치된다.
방출스테이셋(63)(제1도)은 환상홈(13)이 제2부재(12) 아래의 냉각지역으로부터 나오기 시작하는 위치부근에서 제1부재(11)를 따라 위치된다. 스크레이퍼(64)(제3도)와 상기 스크레이퍼(64)를 지지하는 지지체(66)(제1도)가 방출스테이션(63)에 장착된다. 스크레이퍼(64)는 제1부재(11)의 환상홈(13)내로 연장되며 냉각지역내로 되돌아가는 만곡된 날로 구성된다. 스크레이퍼(64)의 상부표면(67)에 의하여 제공된 경사로는 응고되 물질(68)이 제1부재(11)의 더이상의 회전으로 인하여 냉각지역으로부터 운반될때에 환상홈(13)으로부터 응고물질(68)을 긁어서 방출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의 제1 내지 도3의 장치(10)의 작동은 이하에 상술된다. 장치(10)의 초기작동상태에 있어서, 모터(222(제2도)는 샤프트(23)(제2도), 피니언(24) 및 환상기어(26)를 통해 화살표(21)(제1도)방향으로 제1부재(11)를 구동시키도록 작동한다. 가압링(27)의 가압하에서 이루어지는 두부재(11 및 12) 사이의 마찰접촉으로 또한 화살표(21) 방향으로 제2부재(12)가 회전하게 된다. 용융물질은 일반적으로 이송스테이션(59)에서 통상적인 방식원로 턴디쉬(58)내로 계속 주입된다. 압력냉각유체는 상기한 바와 같은 순환 경로를 따라 두부재(11 및 12)의 내부를 통해 순환된다.
용융물질은 이제 통상적인 방식으로 구멍(61)과 만곡튜브(62)를 통해 제1부재(11)의 상면(14)에 형성된 환상홈(13)내로 인입되게 된다. 용융물질은 제1부재(11)의 회전으로 인하여 환상홈(13)내에서 제2부재(12)의 하(16)면(제2도) 아래의 냉각지역을 통해 운반된다.
압력냉각유체는 각각의 부재(11 및 12)의 환상버(43 및 47)(제2도)를 통과하면서 냉각지역으로부터 계속열을 흡수하여 환상홈(13)내에서 이동하는 용융물질을 냉각, 응고시킨다. 내부가 냉각되는 두부재(11 및 12)에 의해 용융물질은 대체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 뒤에,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응고된 물질(68)(제1도)이 방출 스테이션(63)으로 운반된다. 제1부재(11)의 환상홈(13)내로 연장되는 스크레이퍼(64)의 상면(67)(제3도)에 의해 제공된 응고된 물질(68)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하여 응고된 물질(68)은 연속적으로 환상홈(13)으로부터 긁혀서 방출되어, 통상의 수집장치(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즉 화살표(69) 방향으로 환상홈(13)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제4도에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2실시예(7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70)는 제1실시예(10)와 대체로 유사하지만, 제2실시예(70)가 턴디쉬(58)제(1도)로부터 제1부재(11)의 상면(14)의 환상홈(13)내로 이송되는 용융물질로 부터 요구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가늘고 긴 제품(68')을 형성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제1실시예(10)와 다르다.
제2실시예(70)(제4도)는 방출스테이션(63) 근처에 위저되어 환상홈(13)의 냉각지역내로 다소 연장되어 있는 압출다이(71)를 포함한다. 다이(71)는 그의 동체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72)을 가지고 있다. 다이구멍(72)의 형태는 가늘고 긴 치품(68')의 요구되는 단면형상과 일치된다. 제1실시예(10)의 스크레이퍼(64)(제3도)의 상면(67)에 의해 제공된 것과 유사한 경사로는 다이(71)의 인임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사로는 화살표(21) 방향으로의 제1부 재(11)의 회전시에 환상홈(13)으로 부터 응고물질(68)을 긁어서 다이구멍(72)내로 공급한다.
제2실시예(70)의 작동은 제2부재(12)의 하부단면(16) 아래에 위치하는 냉각지역의 환상홈(13)내에서 용융물질을 응고시킬 때까지는 제1실시예(10)의 작동과 동일하다. 응고물질(68)은 경사로와 마주쳐서 다이구멍(72)내로 이동하게 된다. 두부재(11 및 12)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응고물질(68)은 다이구멍(72)을 통해 압출되게 되어, 방출스테이션에서 환상홈(13)으로부터 요구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가늘고 긴 제품(68')으로 연속적으로 방출되게 된다.
제5도에는 연속주조 장치의 제3실시예(80)가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70)와 대체로 유사하지만 제3실시예(80)가 특수한 형태의 즉 로진 심(rosin-cored)땜납과 같은 가늘고 긴 제품(68')을 제조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제2실시예(70)와 다르다.
제3실시예(80)는 제2실시예(70)의 압출다이(71) 대신에 한개 이상의 웨브(74)에 의해 지지되는 맨드릴(79)을 포함하는 압출다이(71')로 대저되어 있다.
한웨브(74)를 통해 맨드릴(73)의 하류단(77)까지 연장되는 통로(76)는 제1로진 저장소(78)로부터 맨드릴 하류단(77)까지 용융로진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펌프(79)는 로진을 제5도의 실선으로 표시되는 경로를 따라서 제1저장소(78)로부터 통로(76)로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로진 이송이 제1장소(78)로부터 펌프(79) 및 통로(76)를 통해 순조롭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도록 로진은 예를들면 79.4℃의 상승된 온도를 갖는 용융된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열교환기(81)는 제1저장소(78)내에 위치한다. 냉각유체는 제2저장소 또는 기름통(82)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두 실시예(10 및 70)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같은 냉각 유체순환방식과 유사하게 펌프(83)에 의하여 두부재(11 및 12)의 내부를 통해 순환된다. 그러한 냉각유체는 두부재(11 및 12)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두 부재를 냉각시킨다. 물과 같은 냉각유체가 로진을 용융상태로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온도보다 약간 높은 예를들면 93.9℃의 온도로 두부재(11 및 12)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끔 냉각유체와 냉각시스템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가열된 냉각유체는 두부재(11 및 12)로부터 열교환기(81)에 전달되어 로진을 요구되는 온도로 유지시키도록 열교환기(81)내에서 충분히 열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유체가 제2저장소(82)와 펌프(83)를 통해 두부재(11 및 12)로 재순환되기 전에 냉각됨에 따라 로진은 이롭게 가열되게 된다.
제5도에서 냉각유체의 경로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80)의 작동은 물질(68)이 다이(71') 지역으로 인입될 때까지는 제2실시예(70)와 동일하다 상기물질(68)은 제3실시예(80)의 경우에는 땜납이다. 제5도의 쇄선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땜납물질은 용융된 상태로 턴디쉬(58)로부터 제1부재(11)의 환상홈(13)내로 이송되고, 제2부재(12) 아래의 전 냉각지역을 통해 운반되어, 응고된 땜납(58)으로서 제3실시예(80)의 다이(71')에 도달하게 된다. 응고된 땜납(68)이 맨드릴(73)에 도달하게 되면, 관형으로 변형되어 맨드릴(73)의 하류단(77)에서 통로(76)으로부터 유출되는 용융로진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로진심 땜납이 연속적으로 성형될 때, 냉각유체가 두부재(11 및 12)의 내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되어 환상홈(13)의 냉각지역내의 용융땜납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다. 가열된 냉각유체는 열교환기(81)를 통해 계속 순환되어, 로진을 용융시켜 흐를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저장소(78)에서 로진으로 열을 방출한다.
제6도에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4실시예(90)가 도시되어 있다. 제4실시예(90)는 제4도의 제2실시예(70)와 마찬가지로 주조 및 압출설비를 둘다 통합하고 있다. 그러나, 제4실시예(90)는 주조장치(91)와 주조장치(91)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는 분리된 압출장치(92)를 사용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주조장치(91)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10)의 장치일 수 있으며, 반면에 압출장치(92)는 본 출원인에 의해 1977년 3월 8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556/77호에 기재되어 있는 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두 장치들은 제1실시예(10)의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응고물질(68)의 단면형상,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상홈(13)의 형상이 상기 언급된 대한민국 특허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압출장치에 의해 가공되어야할 로드의 요구되는 단면 형성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점에서 특히 함께 잘 작용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4실시예(90)에서 주조장치(91)는 제1실시예(10)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된다. 주조장치(91)가 화살표(93)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응고물질, 즉 조조 바(bar) 또는 로드는 주조장치(91)로부터 압출장치(92)쪽으로 즉, 화살표(95) 방향으로 방출되게 된다. 응고물질(94)은 여전히 매우 뜨거운 채로 압출장치(92)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화살표(96) 방향으로의 압출장치의 회전으로 다이 D를 통해 쉽게 압출된다. 따라서, 압출제품(97), 예를들면 금속와이어 또는 로진심 땜납은 압출장치(92)로부터 화살표(98) 방향으로 예를들면 적절한 권취장치(도시되지 않았음)쪽으로 이송된다.
압출제품(97)은 다이 D의 구멍형상과 일치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임의의 제2 냉각설비(99)가 응고물질(94)의 이송경로중 주조장치(91)와 압출장치(92) 사이에서 냉각스테이션에 위치된다. 상기 제2냉각설비(99)는 구리나 강과 같은 높은 융점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응고물질(94)의 온도를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들을 갖는 압출제품(97)을 제조하는데 보다 적합한 온도로 낮추기에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응고물질(94)의 심부분은 제2 냉각설비(99)내로 인입될 때는 여전히 용융된 상태일 것이며, 개량된 입자구조를 갖는 압출제품(97)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2 냉각시에 심부분의 응고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냉각은 예를들면 고온 압연기와 같은 다른 설비가 냉각스테이션의 하류에서 압출장치(92)와 대치되는 경우에도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제7도에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5실시예(100)가 도시되어 있다. 제5실시예는 이미 상술된 제1실시예(10)와 대체로 유사하다. 따라서, 두 실시예(10과 100)간의 중요한 차이점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제5실시예(100)는 제8도에 도시된 냉매 순환장치(101)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변형된 내부냉각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냉매순환장치(101)는 고압에서 물과 같은 냉매를 인입로(103)에 공급하는 펌프(102)를 포함하고 있다. 인입로(103)는 중심허브(104)(제7도)를 통과하며, 허브(104)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허브(104)를 둘러싸고 있는 두개의 환상인입튜브(106) 및 (107)에 냉매를 이송하도록 작용한다. 인입튜브(106 또는 107)는 각각 두 회전부재(111 및 112)의 속이빈 내부(108 또는 109)에 장착되어 있다. 제1실시예(10)(제2도)의 두 회전부재(11 및 12)에 해당하는 회전부재(111 및 112)는 허브(104)(제7도)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두 회전부재(111 및 112)간의 칫수차, 두 회전부재(111 및 112)의 회전축들간의 편심, 그리고 상기 칫수차와 축의 편심을 보정하는데 요구되는 허브(104)의 정확한 형태들은 제2도에 이미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의 편리함을 위해 제7도에서는 생략하였다.
인입로(103)와 통하는 환상인입튜브(106 및 107)는 회전부재(111 및 11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각의 인입튜브(106 또는 107)는 고압에서 냉매를,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튜브(113 또는 114)를 통해 주변의 냉각젯트튜브(116 또는 117)로 이송되도록 연결된다. 각각의 냉각젯트튜브(116 및 117)에는 회전부재(112)의 표면(119)에 형성된 환상주조홈(118)과 면하는 냉각젯트튜브(116 또는 117)의 표면을 따라 다수의 작은 구멍들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환상홈(118)의 부근에서 회전부재(111 및 112)에 대해 상당한 냉각효과를 제공하도록, 고속의 냉각젯트가 냉각젯트튜브(116 및 117)의 구멍들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냉매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롭게, 냉각핀(fin)(121 및 122)이 고속 냉각젯트가 분사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위치를 따라서 각각의 회전부재(111 및 112)내에 설치된다. 회전부재(111 및 112)들의 접촉 표면들로부터 떨어져 있는 회전부재(111 및 112)의 벽들내에 형성된 환상홈(118) 부근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전도로 인해 부가적으로 냉각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로(123)는 중심허브(104)상의 다수의 위치로부터 용량이 큰 진공펌프(124)(제8도)로 안내된다. 회전부재(111 및 112)의 각각의 내부(108 및 109)로부터 모든 냉매증기 및 여전히 액체상태로 남아있는 소정의 냉매를 제거하도록 작용하는 진공펌프(124)는 예로, 터어빈 또는 원심펌프일 수 있다. 각각의 회전부재(111 및 112)의 내부(108 및 109)에서의 증기압의 감소는 냉매의 증발율을 증가시킬 것이고, 그럼으로써 냉각율이 증가될 것이다. 냉매증기는 소정의 액체냉매와 함께 진공 펌프(124)로부터 응축기(126)을 통과할 것이고, 그뒤에 펌프(102)에 의해 액체상태로 인입로(103)로 되돌아 올 것이다.
제5실시예(100)와 냉매순환 시스템(101)에 의해 제공되는 냉각장치는 폐쇄시스템을 구성한다. 각각의 회전부재(111 및 112)의 폐쇄된 내부(108 및 109)로부터 물 또는 다른 냉매가 대체로 손실됨이 없이 고속젯트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짐으로써, 물방울을 튀지 않게 하는 설비 및/또는 증기제어설비가 필요없게 된다. 그러나 예로 누출로 인한 냉매손실의 보충 또는 교체를 위하여 보충냉매 인입로(127)가 설치된다.
제5실시예(100)는 알루미늄, 구리 또는 강과 같은 용융물질로부터 가늘고 긴 제품을 주조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10)와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하는데, 상기 형태의 물질에 대해서는 제5실시예(100)의 대용량 냉각시스템이 특히 적합하다. 펌프(102)로부터 고압에서 인입로(103), 환상인입튜브(106 및 107), 방사상 연장튜브(113 및 114), 그리고 주변 냉각젯트튜브(116 및 117)를 통해 펌핑되는 다량의 냉매는 환상구조홈(118) 부근의 각각의 회전부재(111 및 112)내에 위치된 핀(121 및 122)상에 분사되어 대량의 열을 환상홈으로부터 흡수할 것이다. 분사작용으로 냉매는 핀(121 및 122)에 인접한 소정의 수증기 또는 다른 증기층에 침투할 수 있게 된다.
진공펌프(124)는 각각의 회전부재(111 및 112)의 내부(108 및 109)로부터 냉매증기 및 소정의 액체냉매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회전부재(111 및 112)내의 증기압을 감소시켜 증발 냉각을 증진시킨다. 냉매증기와 액체냉매는 배출로(123) 및 진공펌프(124)를 통해 응축기(126)를 통과하며, 그로부터 액체냉매가 펌프(102) 및 인입로(103)로 되돌아 온다.
본 발명는 상술된 실시예들로만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이론에 따라 여러가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홈(13)이 형성된 제1표면(14)을 갖는 제1가동부재(11)와, 상기 제1가동부재의 제1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홈의 일부를 덮어 쌈으로써 덮어 싸인 홈부분에 냉각지역을 형성하는 제2표면(16)을 갖는 제2가동부재(12)와, 이송스테이션(59)에 위치되어 상기 홈내로 용융물질을 주입하는 장치(58)와, 용융물질을 이송스테이션으로부터 홈의 냉각지역을 통해 방출스테이션(63)으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제1, 제2가동부재를 동시 이동시키는 장치(22)를 포함하는 용융물질의 연속 주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지역으로부터 열을 제거하도록 제1, 제2가동부재(11, 12)중 적어도 한부재의 내부에 냉매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102)와, 냉매가 공급된 가동부재의 내부로부터 냉매를 방출하는 장치(124)와, 방출스테이션에 위치되어, 상기홈으로부터 응고된 물질을 방출시키는 장치(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장조치.
KR7803245A 1977-06-27 1978-10-30 연속 주조 장치 KR81000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45A KR810002094B1 (ko) 1977-06-27 1978-10-30 연속 주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045777A 1977-06-27 1977-06-27
KR7801936A KR810002020B1 (ko) 1978-06-26 1978-06-26 연속 주조 방법
KR7803245A KR810002094B1 (ko) 1977-06-27 1978-10-30 연속 주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1936A Division KR810002020B1 (ko) 1977-06-27 1978-06-26 연속 주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094B1 true KR810002094B1 (ko) 1981-12-28

Family

ID=2734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245A KR810002094B1 (ko) 1977-06-27 1978-10-30 연속 주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0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0553A (en) Internally cooled roll
KR20060035768A (ko) 내부 냉각식 빌레트 안내 롤러
US6354359B2 (en) Method for cleaning and lubricating an injection sleeve and plunger in a cold chamber injection unit
RU2553139C2 (ru) Распределяющий элемент, роликовая ли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KR810002094B1 (ko) 연속 주조 장치
US4393917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sting and extruding material
AU2006315072A1 (en) Twin roll caster, and equip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810002020B1 (ko) 연속 주조 방법
EP0000177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US6605250B1 (en) Arrangement in connecting with cooling equipment for cooling billets
US3771587A (en) Continuous centrifugal casting apparatus for hollow shapes
US3537506A (en) Fixed internal guides for cooling water in rotary strip-casting drum
RU2553140C2 (ru) Распределяющий элемент, роликовая ли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RU2550446C2 (ru) Оболочка ролика, роликов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ли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KR100438488B1 (ko) 연속주조용로타리장치
US1223676A (en)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pipes, cylinders, &c.
CN113059134A (zh) 轧制线单元及连续铸造设备
JPH0744360Y2 (ja) 非晶質金属製造用冷却ロール
JP2009227499A (ja) 溶融スラグの冷却処理装置
KR101075912B1 (ko) 냉각능이 향상된 단일롤 주조기의 냉각장치
US441374A (en) Apparatus for making metal tubing
SU997966A1 (ru) Центробежно-литейна машина
SU17137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центробежного распылени расплавов металлов
US3454077A (en) Casting machine with concentric channel shaft
DE2745960A1 (de) Schmiermittelkuehlung fuer schnelllaufende staurohrpum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