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92B1 -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92B1
KR810001892B1 KR1019810003404A KR810003404A KR810001892B1 KR 810001892 B1 KR810001892 B1 KR 810001892B1 KR 1019810003404 A KR1019810003404 A KR 1019810003404A KR 810003404 A KR810003404 A KR 810003404A KR 810001892 B1 KR810001892 B1 KR 81000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oxy
group
phenyl
ethyl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베르라인 볼프강
하이데르 요아힘
아우스텔 폴크하르트
뎀겐 위르겐
카다츠 루돌프
Original Assignee
닥터. 칼토메 게젤샤프트
하인쯔 쉐플러
프리츠 좀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701955D external-priority patent/KR810001886B1/ko
Application filed by 닥터. 칼토메 게젤샤프트, 하인쯔 쉐플러, 프리츠 좀머 filed Critical 닥터. 칼토메 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1981000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24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저혈압작용 및 심박동수 감소작용을 갖는 다음 일반식(Ⅰ)인 신규의 페닐에틸아민 및 그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에서 상기 일반식에서 R1, R2, R5및 R6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저급알킬 그룹이거나 R5는 또한 벤질그룹일 수도 있으며, R3는 저급알콕시그룹이며, R4는 저급알콕시그룹을 나타내거나 R3와 함께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그룹이며, R7은 수소 또는 저급알콕시그룹이며, R8은 저급알콕시그룹이거나 R9와 함께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그룹이며, m은 1 또는 2이며, n은 2 또는 3이다.
R1, R2, R5및 R6에 사용되는 "저급알킬그룹"이란 특히 탄소수 1내지 3인 알킬그룹이며, R3, R4, R7및 R8에 사용되는 "저급알콕시그룹"이란 탄소수 1내지 3인 알콕시그룹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R1, R2, R5및/또는 R6은 수소원자,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그룹이며 R5는 또한 벤질그룹일 수 있으며, R3, R4, R7및/또는 R8은 특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이소프로폭시 그룹이며, R7은 또한 수소원자이거나 R3는 R4와 함께 및/또는 R7은 R8과 함께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그룹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기를 갖는 일반식(Ⅰ)화합물이다.
R1, R2및 R5는 같거나 또는 다르며, 수소원자 또는 메틸그룹이며, R3는 메톡시그룹이며, R4는 메톡시 그룹이거나 R3와 함께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그룹이며, R6는 수소원자이며, R7은 수소원자 또는 메톡시그룹이며, R8은 메톡시그룹이거나, R7과 함께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그룹이며, m은 1 또는 2이며, n은 2 또는 3이다.
일반식(Ⅰ)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음 일반식(Ⅱ)의 아르알킬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Ⅲ)의 아민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에서
R1, R2, R3, R4, R5, R6, R7, R8, m 및 n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Z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원자, 알킬설포닐옥시 또는 아릴설포닐옥시그룹 같은 이탈그룹이며, Y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원자, 알콕시 또는 아릴옥시기 같은 이탈그룹이다.
반응은 임의로 아세톤,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같은 용매 존재하에 적당히 상승된 온도 예를 들면 50°내지 150℃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알코올레이트,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수산화물, 알칼리탄산염 또는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과 같은 3급 유기염기와 같은 산결합제, 또는 요오드화 칼륨과 같은 반응촉진제를 사용하면 이롭다.
이때 생성된 다음 일반식(Ⅳ)의 벤즈아마이드 유도체는 임의로 분리시켜 계속해서 더욱 반응시킬 수 있다.
Figure kpo00003
상기 일반식에서,
R1에서 R4및 m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A 또는 B 그룹 중 하나는 Z 또는 Y와 같으며 다른 하나는 다음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4
이때, R5에서 R8및 n은 전술된 바와 같다.
만일 R5가 벤질그룹인 구조식(Ⅰ) 화합물이 본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지면, 이 화합물을 탈벤질화시킬 수 있거나 R5가 수소원자인 일반식(Ⅰ) 화합물이 얻어지면, 이 화합물은 알킬화반응에 의해 상응하는 일반식(Ⅰ)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탈벤질화는 촉매적 수소첨가반응 예를 들면 에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같은 용매중에서 팔라듐/탄소같은 촉매존재하 수소를 사용하여 25내지 75℃사이의 온도에서 1내지 7기압의 수소압하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화반응은 알킬할라이드 또는 디알킬설페이트, 이를테면 요오드화메틸, 요오드화에틸, 이소프로필브롬화물 또는 디메틸 설페이트와 같은 알킬화제를 무기 또는 3급 유기염기 존재하에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과 같은 용매중에서 0°내지 50℃사이의 온도에서 사용하여 수행시킨다. 그러나 메틸화 반응은 또한 포름알데하이드/포름산과 바람직하기로는 이 혼합물의 비점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일반식(Ⅰ) 화합물은 생리학적으로 무독한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의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산은, 예를 들면 염산, 인산브롬화수소산, 황산, 젖산, 주석산 또는 말레산이 적합하다.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일반식(Ⅱ) 에서 일반식(Ⅳ) 화합물은 문헌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실시예 참조)될 수 있거나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에 상술한 바에 따라 신규의 일반식(Ⅰ)화합물 및 그의 산부가염은 가치있는 약리적성질 특히 완화한 저혈압효과외에도 심박동수를 감소시키는 선택적인 작용을 갖는다.
다음 화합물은 그의 생물학적 작용에 관하여 실험되었다.
A=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 프로판-염산염,
B=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 프로판-염산염,
C=1-[4,4-디메틸-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D=1-[4,4-디메틸-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및
E=1-[7,8-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5H-2-벤즈아제핀-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문제의 물질의 심박동수에 대한 작용은 투여량에 대해 2.5내지 3.5kg의 체중을 갖는 암수 2-4 마리의 고양이를 사용하여 실험된다. 고양이를 넴부탈(30mg/kg, 복강내 주사)과 클로랄로즈-우레탄(클로랄로즈 40mg/ml+우레탄 200mg/ml)으로 마취시킨다. 시험물질을 수용액 상태로 복재정맥 또는 십이지장내에 주사한다. 그래스식속도 묘사기(Grass-tachograph)로 화합물을 투여하기 전후에 그래스식 다원그래프(Grass-polygraph) 상에 심전도로부터 심박동수를 기록한다.
다음 표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05
시험에서 물질의 모든 투여용량은 독성부작용이 없이 사용된다. 이를테면 A 화합물의 쥐에 대한 LD50은 정맥주사로 53mg/kg이다(관찰시간 : 14일).
그러므로 일반식(Ⅰ) 화합물은 심장질환, 특히 만성관상 폐쇄 부전중의 치료에 적합하다. 또한 정제, 코팅된 정제, 산제, 현탁제, 액제 또는 좌제와 같은 보통의 갈렌식 조성물에 기타 활성성분과 병용하여 넣을 수 있다. 단일 용량은 50내지 250mg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술하는 것이다.
[실시예 1]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2-(2-클로로에틸)-4,5-디메톡시-벤조일 클로라이드 6.6g(25밀리몰)을 아세톤 20ml에 녹이고, 이 용액을 1-L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3-아미노-프로판 6.3g(25밀리몰)과 수산화칼륨 7.0g을 아세톤 100ml에 녹인 혼액에 실온에서 적가한다. 반응혼액을 4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냉각 후 불용성물질을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조생성물은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 그래프(클로로포름/메탄올=19 : 1)하여 정제된다.
염산염은 에테르성 염산을 가해 침전시켜 얻는다.
수 율 : 2.6g(이론치의 22%)
융 점 : 178내지 179℃
[실시예 2]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메탄올 50ml 중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베질-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 2.17g(4.2밀리몰을 녹인 용액에 팔라듐/탄소(30%) 1g을 가한후 실온에서 수소를 4시간 이내에 주입시킨다. 수소를 흡수시킨 후 촉매를 여과하고 용액을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에테르성 염산을 가해 염산염으로 침전시킨다.
수율 : 0.62g(이론치의 32%)
융점 : 132 내지 134℃
[실시예 3]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5.0g(10.7밀리몰)을 포름산 1.38g(30밀리몰)과 포르말린 1.5g(20밀리몰) 혼액중에서 1시간 동안 100℃까지 가열한다. 냉각시킨 후 반응액에 2N 수산화 나트륨액을 가해 알칼리성으로 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 후 모은 유기층을 물로 세척, 건조하고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잔사를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프(클로로포름/메탄올=50 : 1)하여 정제시키고 주 분획물을 증발시킨 후 염기를 에테르성 염산으로 염산염 상태를 만들어 침전시킨다.
수율 : 2.7g(이론치의 52%)
융점 : 178 내지 179℃
다음 화합물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되어진다.
1-[6,7-에틸렌디옥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40(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6,7-메틸렌디옥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25(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2-[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에탄-염산염
Rf치 : 0.25(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2-[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에탄-염산염
Rf치 : 0.15(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4-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35(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30(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메틸렌디옥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40(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4,4-디메틸-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25(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4,4-디메틸-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20(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계 산 치 : C 62.20 H 7.63 N 5.58
실 측 치 : 62.80 7.95, 5.31
1-[4,4-디메틸-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2-[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에탄-염산염,
Rf치 : 0.40(클로로포름/메탄올=9 : 1)
1-[4,4-디메틸-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2-[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에탄-염산염
Rf치 : 0.20(클로로포름/메탄올=9 : 1)
1-[7,8-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5H-2-벤즈아제핀-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20(클로로포름/메탄올=9 : 1)
IR-스펙트럼(브롬화칼륨) : 1640cm-1에서 >CO
1-[7,8-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5H-2-벤즈아제핀-1-온-2-일]-3-[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Rf치 : 0.10(클로로포름/메탄올=3 : 1)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벤질-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
Rf치 : 0.8(클로로포름/메탄올=19 : 1)
1-[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융 점 : 132 내지 134℃
1-[4,4-디메틸-6,7-디메톡시-3,4-디하이드로-2H-이소퀴놀린-1-온-2-일]-3-[N-메틸-N-(2-(3,4-디메톡시-페닐)-에틸)-아미노]-프로판-염산염
융 점 : 70℃(분해)

Claims (1)

  1. 다음 일반식(Ⅱ)의 아르알킬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Ⅲ)의 아민과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Ⅰ)의 신규페닐에틸 아민 또는 그의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1, R2, R5및 R6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그룹이며, R5는 또한 벤질그룹을 나타내며, R3는 저급알콕시그룹이며, R4는 저급알콕시그룹을 나타내거나 R3와 함께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그룹을 나타내며, R7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콕시그룹이며, R8은 저급알콕시그룹이거나 R7과 함께 메틸렌디옥시 또는 에틸렌디옥시그룹을 나타내며, m은 1 또는 2이며 n은 2 또는 3이며, Z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원자, 알킬설포닐옥시 또는 아릴설포닐옥시그룹 같은 이탈그룹을 나타내며, Y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원자, 알콕시 또는 아릴옥시그룹과 같은 이탈그룹을 나타낸다.
KR1019810003404A 1977-08-26 1981-09-11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KR81000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3404A KR810001892B1 (ko) 1977-08-26 1981-09-11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955D KR810001886B1 (ko) 1977-08-26 1977-08-26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KR1019810003404A KR810001892B1 (ko) 1977-08-26 1981-09-11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1995 Division 1977-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92B1 true KR810001892B1 (ko) 1981-11-20

Family

ID=2662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404A KR810001892B1 (ko) 1977-08-26 1981-09-11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9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0636A (en) Quinazoline compounds
FI63225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armakologiskt vaerdefulla isokinolin-1-oner eller bensazepin-1-oner
JPS6123790B2 (ko)
US4065461A (en) Amino containing pyridyloxy propanols
EP0061149B1 (en) Alkylenedioxybenzene derivatives and acid addition salts thereof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673682A (en) Isoquinoline derivatives, pharmaceutical formulations based on these compounds and the use thereof
US3919242A (en) 1-(Benzodioxanylalkylene)piperidines
FI58329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i 8-staellning substituerade 5-(3'-alkylamino-2'-hydroxi)propoxi-3,4-dihydrokarbostyrilderivat
KR810001892B1 (ko)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CS196357B2 (en) Process for preparing new basic substituted derivatives of xanthine
JPS6047255B2 (ja) 2−アミノ−5−スルフアモイル−安息香酸アミドの製法
US4242347A (en) Hypotensive indolylalkylpiperidyl guanidines and isoureas
US3449357A (en) 2-((2,6-substituted)phenoxymethyl)-2-imidazolines
KR810001889B1 (ko) 페닐에틸아민류의 제조방법
KR810001891B1 (ko)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KR0139201B1 (ko) 아미노벤젠술폰산 유도체
US4118494A (en) Substituted 3,4-dihydro-2H-isoquinolin-1-thiones
KR810001887B1 (ko) 페닐에틸아민류의 제조방법
KR810001886B1 (ko) 페닐 에틸 아민류의 제조방법
KR810001893B1 (ko) 페닐에틸아민류의 제조방법
JPH03120271A (ja) 抗虚血活性を有するフェニルアルキルアミン誘導体
US4143143A (en) Substituted imidazo[5,1-a]isoquinolines
US4185105A (en) 4-Phenyl-8-amino-tetrahydroisoquinolines and antidepressant use
KR810001888B1 (ko) 페닐에틸아민류의 제조방법
KR810001890B1 (ko) 페닐에틸아민류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