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40B1 - 압연기(壓延機)의 로울 벤딩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기(壓延機)의 로울 벤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40B1
KR810001840B1 KR7701765A KR770001765A KR810001840B1 KR 810001840 B1 KR810001840 B1 KR 810001840B1 KR 7701765 A KR7701765 A KR 7701765A KR 770001765 A KR770001765 A KR 770001765A KR 810001840 B1 KR810001840 B1 KR 81000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ers
roll bending
rolling mill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1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라 도시 유끼 가지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7701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9/00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e.g. backing rolls ; Roll bending devices, e.g. hydraulic actuators acting on roll shaft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연기(壓延機)의 로울 벤딩방법
제1도는 종래의 4단 압연기의 특성을 나타낸 상세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압연기의 특성을 나타낸 상세도.
제3도는 그 일부 상세도.
제4도는 로울 벤딩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압연기(壓延機)의 로울벤딩(Roll Bending)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간로울이나 보강로울을 축 방향으로나, 상하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압연기의 로울 벤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연제품의 두께의 정밀도에 대한 요구는 엄격한 것이며 종래부터 흔히 사용되고 있는 4단 압연기에 있어서의 작업로울 벤딩방법으로서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상태에 와 있다.
제1도에 종래의 4단 압연기의 특성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압연재(壓延材)(1)는 상하작업로울(2),(3) 및 상하보강로울(4),(5)에 의해 소정의 판두께로 압연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두가지의 결점을 갖는다.
(1) 일반적으로 상하 작업로울(2),(3) 및 상하 보강로울(4),(5)의 몸통길이(ㄴ)는 압연재의 판폭(B)보다 크기 때문에 그 넓은 부분(a)의 접촉압력(q)이 로울간 접촉의 스프링 특성을 통하여 작업로울(2),(3)을 크게 휘어지게 하는 점, 즉 작업로울(2),(3)의 축선은 A와 같이 만곡하는 점.
(2) 공지의 작업로울에 벤딩력FW와 FD를 가하면 여분의 접촉부(a)가 지렛대 작용을 하여 압연재의 끝에 가까운 부분에서 로울축이 솟아 올라 소위 복합크라운이 되는점, 즉 작업로울(2),(3)의 축선은 B와 같이 만곡되는 점.
이 때문에 스트립(strip)의 평탄도나 판크라운(板 Crown)의 품질면상 대단히 바람직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이와 같은 상황에 대처하는 것으로서 작업로울과 보강로울간에 배치된 상하 한쌍의 중간로울을 압연재의 판폭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 조절함과 동시에 상하의 작업 로울에 작용시키는 동일의 벤딩력을 조절함으로써 압연재의 판폭이 각종으로 변하여도 압연제품의 두께의 정밀도에 대한 것은 심하게 요구되고 있음에도 종래부터 흔히 쓰여지고 있는 4단 압연기에 있어서의 작업로울 벤딩방법에서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상태에 와 있다.
제1도는 종래의 4단 압연기의 특성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압연재(1)는 상하작업로울(2),(2) 및 상하보강로울(4),(5)에 의해 소정의 판두께로 압연된다. 그런데도 하기한 2가지의 결점을 가진다.
(1) 일반적으로 상하 작업로울(2),(1) 및 상하 보강로울(4),(5)의 몸통길이(L)는 압연재 판폭(B)보다도 크므로 그 넓은 부분(a)의 접촉압력(q)이 로울간 접촉의 스프링 특성을 통하여 작업로울(2),(3)을 크게 휘여지게 하는 점, 즉 작업로울(2),(3)의 축선을
Figure kpo00001
와 같이 만곡하는 점.
(2) 공지의 작업로울 벤딩력FW와 FD를 가하면 여분의 접촉부(a)가 연자(延子)의 작용을 하여 압연재의 단에 가까운 부분에서 로울축이 부풀어 올라 소위 복합 크라운이 되는점, 즉 작업로울(2),(3)의 측선을
Figure kpo00002
와 같이 만곡하는점. 이 때문에 스트립의 평탄도나 판크라운의 품질상 대단히 바람직 하지 못하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상황에 대처하는 것으로써 작업로울과 보강로울 간에 배치된 상하 한쌍의 중간로울을 압연재의 판폭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 조절함과 동시에 상하의 형상 제어능력을 높이게한 압연기를 개발하였다. (일본특공소 50-19510호 공보참조)
그리고 또 본원출원인은 상기한 중간로울 대신 보강로울을 로울측 방향으로 이동조절하는 형의 4단 압연기(일본특개소 49-29263호 공보참조)도 개발하였지만 이 보강로울이 상기 중간로울에 의해 변할 정도이며 형상 제어에 대한 방법은 거의 같은 것이므로 이하 전자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이와 같은 압연기에 있어서는 예컨대 상 중간로울을 좌측으로, 하 중간 로울을 우측으로 판폭에 따라 이동한 경우, 상 작업 로울의 우측에 관해서는 하 중간로울을 개재하여 보강로울에 접촉하는 것의 하작업로울의 우측부분에 작용하는 접촉압력을 적게할 수 있다.
한편 작업로울의 좌측에 관해서도 같다고 말할수 있다.
따라서 상하 작업로울을 합친때 로울간극의 판폭방향의 변화가 적어지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작업로울 벤딩력 효과도 로울간의 여분의 접촉을 단접해 줌으로써 커지기 때문에 종래의 4단 압연기에 비해 대폭적으로 형상제어능력을 증가시킬수 있다. 그렇지만 이 압연기에서는 중간 로울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측의 작업로울에 관해서는 종래의 압연기와 같은 여분의 로울끼리의 접촉이 있어 복합 크라운을 발생할 우려가 문제로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점을 감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더욱 형상제어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신규한 로울벤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하 작업로울의 각각에 접하는 중간로울 또는 보강로울을 로울축 방향으로 또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로울축 방향 이동조절 및 작업로울 벤딩조절에 의해 압연재의 형상제어를 하는 압연기의 로울벤딩 방법에 있어서 상하 작업로울에 부여하는 로울벤딩력을 상하 별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압연기의 특성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압연기는 작업로울(2),(3)과 보강로울(4),(5)사이에 중간로울(6),(7)을 배치하여 이 중간로울(6),(7)을 로울 축방향으로 또한 상하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F1,F2는 작업로울 벤딩력으로 상하 별개의 힘을 작용시키도록 되어있다.
제3도는 제2도의 일부 상세도면으로서 상하 작업로울(3)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4단 압연기에서와 같이 복합 크라운을 발행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도면에 있어서 작업로울(2),(3)과 중간로울 (6),(7)의 접촉부에는 편평(扁平)변형에 의한 탄성이 있으므로 탄성의 존재를 도시하여 이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하작업로울(3)에 로울벤딩(F2)을 가하지 않고 상작업로울(2)에만 로울 벤딩(F1)을 가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이로인해 하작업로울(3)에 복합 크라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작업로울(2)에는 여분의 로울끼리 접촉(F2)도지 않기 때문에 작은 로울벤딩력(F1)에 의해 곧은 곡선 B1과 같이 변형한다. 따라서 상하의 작업로울을 합친 곡선도 곧게되어 양호한 형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좌측절반부분에 관해서는 상기한 바와는 반대라고 할 수 있다. 압연시에 이르러서는 하작업로울에만 강한 로울 벤딩력을 가하고 상작업로울에 관해서는 로울벤딩력을 가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양호한 형상을 얻는 것이다.
한편 압연재의 상태에 따라서는 단순한 크라운 컨트롤로서는 복합크라운이 발생하여 복합크라운을 수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하작업로울(3)의 로울벤딩력(F2)을 가해줌으로써 B2와 같은 곡선으로된 휘어짐을 주어 복잡한 복합 크라운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하여 상작업로울(2) 및 하작업로울(3)에 가해지는 로울 벤딩력(F1),(F2)을 적당하게 가해줌으로써 중(中)신장, 단(端)신장 등의 단순한 형상불량이나 복합신장을 수반하는 보다 복잡한 형상불량에도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작업로울(2)에 가해지는 로울 벤딩력(F1)의 방향은 압연하중에 의한 로울의 휘여짐만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바깥쪽으로만 작용시키고, 하작업로울(3)에 가해지는 로울 벤딩력(F2)은 복합크라운의 수정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도 안쪽이나 바깥쪽 양방향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바랍직하다.
제4도는 이로울 벤딩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있어서, 상하작업로울(2),(3) 및 상하 중간로울(6),(7)은 각 축수상(軸受箱) (8),(9),(10),(11)에 의해 축지되어 하우징(12)에 상하동(上下動)자재로 지지된다. 작업로울의 축수상(8),(9)에는 각각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절결부에는 하우징(12)이 설치된 돌기부(13),(14)와 감합한다.
돌기부(13),(14)에는 각각 실린더 (15),(16)가 있고, 실린더(15)에는 윗쪽으로만 가압하는 피스톤(17)이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16)에는 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가압 가능한 피스톤(18)을 삽입하여 축수상(8),(9)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실린더(15),(16)에는 각각 압유(壓油)가 따로따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로울 벤딩력은 중간 로울(2),(3)의 로울 축방향의 이동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작된다.
이상과 같은 로울 벤딩장치는 구동축(또는 조작축)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른 조작축(또는 구동축)에 있어서는 상항 작업 로울(2),(3)의 축수상에 설치되는 실린더, 피스톤, 압유 공급 장치가 그 어느쪽인가 구동축(또는 조작축)의 반대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기술해 온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든 압연로울이 평탄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들이 압연로울에는 필요에 따라서는 凸크라운이나 凹크라운을 미리 부여해 둘수도 있다. 그로인해서 본 발명의 형상제어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 다는 것은 말할 필요조차 없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재의 형상을 매우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압연재의 제품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점이 크다.

Claims (1)

  1. 상하 작업로울(2),(3)의 각각에 접하는 중간로울(6),(7)니아 보강로울(4),(5)을 축방향으로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로울축방향 이동조절 및 작업로울 벤딩조절에 의해 압연재의 형상제어를 행하는 압연기의 로울 벤딩 방법에 있어서, 상하작업로울(2),(3)에 가하는 로울 벤딩력을 상하 별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압연기의 로울 벤딩방법.
KR7701765A 1977-08-01 1977-08-01 압연기(壓延機)의 로울 벤딩방법 KR81000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765A KR810001840B1 (ko) 1977-08-01 1977-08-01 압연기(壓延機)의 로울 벤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1765A KR810001840B1 (ko) 1977-08-01 1977-08-01 압연기(壓延機)의 로울 벤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40B1 true KR810001840B1 (ko) 1981-11-17

Family

ID=1920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1765A KR810001840B1 (ko) 1977-08-01 1977-08-01 압연기(壓延機)의 로울 벤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987A (ko) * 2014-12-16 2016-06-24 정승돈 치형 스틸 I―bar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987A (ko) * 2014-12-16 2016-06-24 정승돈 치형 스틸 I―bar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3810A (en) Six-high rolling stand
JPS649084B2 (ko)
US5924319A (en) Roll crossing, offsetting, bending and shifting system for rolling mills
US4348952A (en) Cross axis mechanism
JPH03174905A (ja) 多段圧延機及び圧延方法
US4712416A (en) Six-high roll stand with offset inner backup rolls
KR810001840B1 (ko) 압연기(壓延機)의 로울 벤딩방법
JPS6313603A (ja) 圧延機
JPS6232001B2 (ko)
US4539833A (en) Rolling mill with flatness control facility
JPS6232002B2 (ko)
JPS608883B2 (ja) 形状制御機能を有する多段圧延機
JPS642443B2 (ko)
SU937068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ое н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850000282B1 (ko) 압연기(壓延機)
JPH0735602Y2 (ja) 圧延スタンド
JP2649292B2 (ja) 圧延機
US5209095A (en) Mill for producing strip and use thereof
JPH05228518A (ja) 圧延装置
JP2528081Y2 (ja) 圧延機のロールオシレーション装置
JP2521617Y2 (ja) 圧延機
JPH03207506A (ja) 板圧延機
JPS6355364B2 (ko)
SU1388129A1 (ru) Прокатна клеть кварто
JPH0639413A (ja) 圧延機のロールマーク防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10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