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745Y1 - 차단기용 유압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용 유압 완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10001745Y1 KR810001745Y1 KR777703916D KR7703916D KR810001745Y1 KR 810001745 Y1 KR810001745 Y1 KR 810001745Y1 KR 777703916 D KR777703916 D KR 777703916D KR 7703916 D KR7703916 D KR 7703916D KR 810001745 Y1 KR810001745 Y1 KR 8100017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face plate
- taper
- cylinder
- shock absor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유압완충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스트록크 곡선도.
제3도는 종래의 다른 유압완충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스트록크 곡선도.
제5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의한 유압완충장치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스트록크 곡선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압완충장치의 종단면도.
본 고안은 주로 차단기에 사용되는 유압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장치로서 제1도에 표시한 것이 있었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피스톤, (2)는 좌판으로서, 고정금구(3)에 의하여 피스톤(1)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4)는 면판(面板)으로서, 유도피공(5)이 천설되어 있고, 고정금구(3)와 좌판(2) 사이에 가동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6)은 원통상 실린더로서, 내부에 완충유(7)가 주입되었다.
(8)은 뚜껑으로서 실린더(6)에 관착되어 있고, 피스톤(1)이 통과하는 관통부에는 패킹(9)가 감합되어 있다. 면판(4)의 위치 A에서 피스톤(1)이 동작하게 되면 완충유(7)가 압축되게 되는데, 이때 완충유(7)는 면판(4)과 실린더(6)사이로 누출하게 되지만 면판(4)에 의해서 압축되므로 유압은 점차 상승하게 된다.
면판(4)의 위치가 B에 도달하게 되면, 상승한 유압에 의한 반항력이 면판(4)에 가해지며, 이 반항력에 의해서 피스톤(1)의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 상태를 제2도 a부분에 표시하였다.
면판(4)의 위치가 C에 도달하게 되면, 차단기본체에 설치한 스톱퍼에 의해 피스톤(1)의 동작이 정지된다. 그러나, 피스톤(1)의 에너지는 유압완충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흡수되지 못하게 되며, 흡수되지 못한 에너지에 의한 비뚤어짐, 스톱퍼의 스프링탄력에 의해 제2도 c,d의 곡선으로 된다.
이와 같이 제1도의 경우는, 피스톤(1)이 아랫방향으로 내려갈 때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지만 이를 차단기(도시를 생략함)에 착설하여 작동시키면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스트록크 특성이 된다.
즉 제1도에 있어서의 피스톤(1)을 실린더(6)의 상단으로 올린 상태에서 힘 P로 내려밀면 제2도의 스트록크 곡선 S1이 얻어진다.
제3도는 종래의 다른 예시도로서, 제1도의 완충장치를 약간 개량하여 반항력을 적게한 것이다.
제3도의 위치 A에 있어서의 면판(4)과 실린더(11)과의 간격은 제1도의 것보다 크며, 위치 A에서 피스톤(1)이 동작을 개시하게 되면 면판(4)과 실린더(11)와의 사이가 크므로 유압은 그렇게 많이 상승하지 않는다.
위치 D에 도달하게 되면, 면판(4)과 실린더(11)와의 간격이 좁아져, 완충유(7)는 급격하게 압축되어 그 압력이 상승한다.
이 압력은 면판(4)에 반항력으로 작용하여 피스톤(1)의 속도를 급격히 감소시킨다.
이 부분을 제4도 a부분에 표시한다.
면판(4)의 속도가 감소하게 되면, 면판(4)이 받는 반항력도 감소되므로 피스톤(1)의 잔류에너지에 의해 재차 가속된다.
이 부분을 제4도 b부분에 표시한다.
위의 종래의 유압완충장치에서는 차단기의 완충장치로서 사용할 경우에 피스톤의 반발력이 커지고 또한 감속 스트록크 곡선 S1, S2이 도중에서 단(段)이 져서 변화하는 특성으로 나타나므로 원활한 완충성능을 얻을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배재하고져 고안된 것으로서 원활한 완충스트록크 곡선의 특성을 갖게 함으로서 차단기의 작동특성에 적합한 유압완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기호 (1)-(5), (7)-(9)는 제1도의 종래장치와 동일하며 (13)은 실린더로서, 내측면의 상방부에는 원통상부(13a)가 그리고 중간부에는 제1테이퍼부(13b)가 각각 형성되어 내경(內徑)이 점차로 좁혀지며, 계속하여 하방부에 제2테이퍼부(13c)가 형성되어 있어 내경이 완만하게 점차 좁혀진다.
즉, 제1테이퍼(13b)의 경사는 제3도의 것보다 크고 제2테이퍼(13c)의 경사는 제3도의 것보다 작다.
피스톤(1)의 동작이 위치 A에서 개시되면, A~E간에서는 면판(14)과 실린더(11)와의 간격이 커지므로 유압은 그렇게 상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압의 상승은 적당한 범위내에서 제한되어 유압의 상승과 피스톤(1)의 감속이 서로 균형을 맞추어 이루어진다.
피스톤(1)의 감속으로 인하여 유압의 반항력이 약해졌을 때 위치 E에 도달하여 제2테이퍼(13c)에 진입하게 된다.
이를 제6a도에 표시한다.
제2테이퍼(13c)에서는 면판(4)과 실린더(13)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유압상승에 의한 반항력을 높혀 감속된 피스톤(1)의 잔류에너지를 흡수한다.
따라서, 제1피스톤(13b)에서는 피스톤(1)의 속도가 빨라져 이로 인해 생기는 완충유(7)의 반항력으로서 제동되며, 위치 E에 도달하여 속도가 느려지면, 면판(4)과 실린더(11)와의 간격이 좁아져 실린더(11)내부의 유압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피스톤(1)을 제동하게 된다.
제5도에 있어서 피스톤(1)이 실린더(13)의 상단측에서 P의 힘으로 내려밀면 면판(4)이 좌판(2)측에 압착되면서 완충유(7)상면에 도달된다.
여기서, 면판(4)과 완충유(7)에 의하여 완충작용이 생기게 되는데, 제1테이퍼부(13b)의 테이퍼는 비교적 크며 또한 면판(4)과의 간격이 어느 정도 넓게 구성되어서 서서히 피스톤(1)의 속도가 떨어진다.
그리고 면판(4)이 제2테이퍼부(13c)에 오게 되는데 제2테이퍼부(13c)는 테이퍼가 적으므로 면판(4)과의 간격을 완만하게 점차 좁아지도록 변화시켜 제6도에서 표시한 스트록크곡선 S3의 특성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즉 제1테이퍼부(13b)에서 완만하게 속도를 감속시키고 다시 제2테이퍼부(13c)에서 급격하게 속도를 감속시켜 제6도에서 표시한 스트록크곡선 S3과 같은 반항력이 극히 적은 차단기의 유압 완충장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3)의 내측면에 제1과 제2의 2단 테이퍼부를 형성시켰으나 테이퍼를 순차적으로 적게 한 2단 이상의 다단테이퍼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제7도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5)의 내측면을, 면판(4)과의 간격을 포물선상의 테이퍼부(15a)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스톤의 하강방향에 완충작용을 하게 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좌판(2)과 면판(4)과 서로 바꾸어 배치하고 실린더의 내측면에 테이퍼부의 방향을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게 형성하고 피스톤의 완충스트록크를 상승방향으로 한 완충장치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실린더의 내측면을 피스톤의 완충스트록크 방향에 대하여 면판과의 간격이 점차로 좁아지는 직경으로 형성하여 감속 도중에서 단층이 형성되는 변화가 없는 감속스트록크 특성을 가진 원활한 완충성능이 있고 피스톤의 반항력이 극히 작아서 차단기용으로 이상적인 스트록크 곡선을 갖는 유압완충장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피스톤(1)단부에 착설된 면판(4)이 실린더(11)내에 주입된 완충유중을 이동하므로서 피스톤(1)의 스트록크를 완충할 수 있게 된 유압완충장치에 있어서, 실린더(1)의 내측면을 피스톤(1)의 완충스트록크의 방향에 대하여 면판(4)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제1테이퍼(13b)와 제2테이퍼(13c) 또는 포물선상 테이퍼(15a)와 형성하여서 된 차단기용 유압완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77703916D KR810001745Y1 (ko) | 1977-06-18 | 1977-06-18 | 차단기용 유압 완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77703916D KR810001745Y1 (ko) | 1977-06-18 | 1977-06-18 | 차단기용 유압 완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10001745Y1 true KR810001745Y1 (ko) | 1981-10-27 |
Family
ID=1920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77703916D KR810001745Y1 (ko) | 1977-06-18 | 1977-06-18 | 차단기용 유압 완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10001745Y1 (ko) |
-
1977
- 1977-06-18 KR KR777703916D patent/KR810001745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702907A (ko) |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breakthrough buffer for press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3619110B2 (ja) | 昇降機用緩衝器 | |
US20050139440A1 (en) | Damper | |
US20220018081A1 (en) | A pile driving system | |
KR810001745Y1 (ko) | 차단기용 유압 완충장치 | |
CN112855829B (zh) | 一种减振器的复原液压缓冲结构及减振器 | |
CN210599666U (zh) | 一种缓震液压油缸 | |
JPS585760B2 (ja) | プレスにおける除荷衝撃緩衝装置 | |
US5743516A (en) | Shock absorbing device for running trolleys for film stretching plants in particular | |
US1873807A (en) | Elevator buffer | |
KR920008194B1 (ko) | 피스톤 실린더식 오일 댐퍼 | |
KR200166578Y1 (ko) | 쇽업소버 | |
JPS6137880Y2 (ko) | ||
KR100277271B1 (ko) | 가변스티프니스장치를갖는하이드로엔진마운트 | |
KR100286855B1 (ko) | 유압실린더를사용하여승강체를승강시키는승강장치 | |
KR100272453B1 (ko) | 피스톤 속도에 따라 완충작동을 다단계로 콘트롤 할 수 있는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 |
CN118293178B (zh) | 一种组合式弹簧减震器 | |
KR100428119B1 (ko) | 차량의 브레이크 부스터 구조 | |
CN220336576U (zh) | 载车板用上升末端液压缓冲装置及具有其的立体车库 | |
KR20000067231A (ko) | 쇽 업소버 | |
KR940007884Y1 (ko) | 차량용 쇽업소오버의 베이스밸브 | |
KR100489369B1 (ko) | 쇽 업소버의 노이즈 방지장치 | |
JPS6037472Y2 (ja) | シリンダ装置 | |
KR200181042Y1 (ko) | 차량용현가장치의쇽업소버 | |
KR0129077Y1 (ko) |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실린더 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