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530B1 -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선택위입 장치 - Google Patents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선택위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10001530B1 KR810001530B1 KR7802626A KR780002626A KR810001530B1 KR 810001530 B1 KR810001530 B1 KR 810001530B1 KR 7802626 A KR7802626 A KR 7802626A KR 780002626 A KR780002626 A KR 780002626A KR 810001530 B1 KR810001530 B1 KR 8100015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ft
- cam
- lever
- levers
- driv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8—Weft pattern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면은 본 발명 장치의 1실시예를 제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정면도.
제3∼5도는 작동상태별로 표시한 배면도.
제6도 및 제8도는 작동상태별로 표시한 제1도의 A-A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B-B 사시도,
제9도∼제11도는 작동상태별로 표시한 제1도의 C-C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무저직기에 있어서, 복수의 위사중 임의의 위사를 제직 패턴에 따라서 위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위입수단의 선택기구를 간단하게 한 것이다.
종래의 선택위사 위입장치로는,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개소 52-66766호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위입수단의 선택기구의 동력을 직기와 관련하여서 상시 회전되는 캠에 구하고, 한편 위입지령을 받았을 때에만 운동하는 일련의 기구를 상기 캠의 운동전달 계통에 접촉이탈시켜서 위입 수단을 택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자체의 실용성이 높은 것이지만, 구조, 특히 위사수가 예를 들면 3개까지만 되면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난점을 해소시키는 선택위사 위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하 도면에 따라서 위사수를 3개로한 경우의 실시예로 상술한다. 주로 제1도, 제2도 및 제9도에 있어서 격리시켜서 설치된 프레임(1a), (1b)과 프레임 (1a),(1b)사이에 배치된 베어링(3)에 의하여 피동측(2a), (2b)이 동일축 선상에서 각각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동축(2a)에는 스프로킷(4a)이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양쪽에 캠(5a), (5b)이, 그리고 프레임(1a)의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캠(6a)이 고착되어 있다. 또 피동축(2b)에는 스프로킷(4b)이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양쪽에 캠(5c), (5d)가, 그리고 프레임(1b)의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캠(5b)이 고착되어 있다. 캠(5a)∼(5b)은 저부(10a)와 고부(10b)(제6도)를 가진 동일형상이지만, 캠(5a)과 (5b)의 조 및 캠(5c)과 (5d)의 조는 그 조내에 있어서 서로 위상을 180° 엇갈리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캠(6a),(6b)의 형상은 저부(11a)는 동일하지만, 캠(6a)의 고부(11b)는 캠(6b)의 고부(11c)보다도 낮게되어 있다(제4도).
그리고 캠(6a)의 고부(11b)는 캠(5a)의 고부(10b)와 위상이 맞도록 되어 있으며, 캠(6b)의 고부(11c)는 캠(5c)의 고부(10b)와 위상이 맞도록 되어 있다.
피동축(2a),(2b)의 상방에는 이것과 평행하게 전동축(7)(제2도)이 프레임(1a),(1b)에 의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동축(7)에는 수동레버(12a),(12b),(12c)(제6도)의 상단부가 각각 회전자재하게 추착되어 있다. 수동레버(12a) 및 (12c)의 하단부에는 각각 핀(13a) 및 (13d)에 의하여 캠로울러(14a) 및 (14d)가 추착되어 있다. 수동레버(12b)의 하단부에는 핀(13b),(13c)에 의하여 2개의 캠 로울러(14b),(14c)가 추착되어 있다. 각 수동레버(12a),(12b),(12c)는 거기에 설치된 핀(15a),(15),(15c)과 프레임(1a),(1b)사이에 고착시켜서 설치된 괘지봉(掛止捧)(16)과의 사이에 선치된 인장스프링(17a),(17b),(17c)에 의하여 제6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고, 각 캠로울러(14a)∼(14d)를 상기한 각 캠(5a)∼(5d)에 서로 대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1a),(1b)에 고착시켜 고정축(30)을 설치하고 거기에 계지레버(31)의 일단부가 회전자재하게 추착되어 있다. 계지레버(31)의 타단부 양쪽에는 아암(32a),(32b)을 돌출시키고, 이 아암(32a),(32b)에 각각 핀(33a),(33b)에 의하여 캠로울러(34a),(34b)가 추착되어 있다. 그리고 계지레버(31)는 거기에 설치된 핀(35)과 프레임(1a),(1b)사이에 고착시켜 설치한 패지봉(46)과의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36)에 의하여 제6도에서 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각 캠로울러(34a),(34b)를 각각 상기한 캠(5b),(5c)에 대향시키고 있다. 상기한 수동레버(12b)는 캠로울러 (14b),(14c)의 장치부 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두부(頭部)(37)를 가지고, 거기에는 선단을 계지레버(31)의 돌출부(40)쪽으로 돌출시켜서 볼트(38)를 나합(螺合)시키고 록너트(39)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전동축(7)의 프레임(1a),(1b)의 외부에 돌출된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레버(8a),(8b)(제2도)가 동일 위상으로 고착되어 있다. 레버(8a),(8b)의 하단부에는 핀(25a),(25b)에 의하여 캠로울러(26a),(26b)가 추착되어 있다. 레버(8a),(8b)는 한쪽 레버(8a)에 설치된 핀(27)과 프레임(1a)에 돌설된 핀(28)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29)에 의하여 제2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이들캠로울러(26a),(26b)를 각각 상기한 캠(6a),(6b)에 대향 시키고 있다.
상기한 스프로킷(4a)에는 패지봉(46)(제1도)에 인장스프링(45a),(45b)를 사이에 두고 일단을 괘지시킨 체인(41a),(41b)을 각각 아래쪽의 대략 반주에 걸쳐 놓았다. 체인(41a),(41b)의 타단은 각각 로우프(44a), (44b)를 사이에 두고 도비(dobby)(42)의 개구레버(43a),(43b)에 괘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비는 다수매의 종광(綜洸)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직물 조직의 관계상 수매의 종광분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사용하지 않는 종광에 사용하는 개구레버를 사용한다. 도비(42)에는 위입하는 위사의 종류 및 위입의 순서를 프로그램 제어하기 위하여 체인 등에 페그(Peg)를 식립시킨 기억장치가 세트되며, 페그에 의하여 개구레버(43a)(43b)가 제2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수동 레버(12a),(12b),(12c)의 중간부에는 핀(18a),(18b),(18c)에 의하여 연결간(19a),(19b),(19c)의 일단부가 각각 추착되어 있다. 연결간(19a),(19b),(19c)의 타단부는 핀 (22a),(22b),(22c)에 의하여 각 측장 장치에 있어서 고정축(20)에 중간부를 회전 자재하게 축지되고 또한 인장스프링(23a),(23b),(23c)에 의하여 제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부세된 L자형의 이동레버(21a),(21b),(21c)의 일단부에 각각 추착되어 있다.
측장장치의 구성은 전부 동일하기 때문에, 위사 a의 측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레버(21a)의 타단부에는 다른 L자형의 지지레버(80a)의 일단부가 핀(81a)으로 요동 자재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레버(21a)와 지지레버(80a)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82a)에 의하여 양 레버(21a),(80a)의 단면 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부세되어 있다. 지지레버(80a)의 굴곡부에는 압압로울러(83a)를 회전자재하게 추착시키고, 이 압압 로울러(83a)를 직기에 연동시켜서 회전되는 회전축(84)에 고착된 측장드럼(85a)의 외주면에 대치(對峙)시키고 있다. 압압 로울러(83a) 측부에는 그것보다 대경의 치차(8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레버(80a)의 타단부에는, 피동 로울러(87a)가 회전자재하게 추착되어 있으며, 이 피동 로울러(87a)가 측장드럼(85a)의 내주면에 대치되어 있다. 피동 로울러(87a)의 측부에는 그것보다 대경의 치차(88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치차(88a)를 상기한 치차(86a)와 교합시키고 있다. 압압 로울러(83a)가 측장드럼(87a)의 외주에 접촉되지 않을때(위사 a가 측장되어 있지 않을때)는 피동 로울러(87a)가 측장 드럼(85a)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회전하고, 이 회전이 치차(88a), 치차(86a)를 통하여 압압 로울러(83a)에 전동되며, 이것을 측장드럼(85a)의 외주속도와 동일한 주속도로 회전시킨다.
상기한 레버(8b)의 중간부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 (48),(49)에 의하여 연결관(50),(51)의 각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간(50)의 타단부는 보조파지기(52)의 작동간(53)에 핀 (5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연결간(51)의 타단부는 위입 노즐의 물공급 절환장치의 접동변(68)의 봉변(棒辨)(69)에 핀(7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보조파지기(52)에는 위사 a,b,c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파지기(55a),(55b),(55c)가 있으며, 그들의 구성은 전부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위사 a의 파지기(55a)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본체(56)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공(56a)이 천설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의 대경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57a)에, 중앙에 접동공(58a)을 가진 하협지체(60a)의 원통형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59a)를 나합시켜서 고정시키고 있다. 그리고 관통공(56a) 및 접동공(58a)을 관통하여서 하단에 플랜지부(61a)를 가지는 왕복동간(62a)을 설치하고, 그 상단부에 상협지체(63a)를 록너트(64)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플랜지부(61a)와 접동공(58a)의 단부(段部)(65a)사이에는 압축스프링(66a)을 삽입하여서 왕복동간(62a)을 하방으로 부세하고 상협지체(63a)를 하협지체(60a)에 압접시키고 있다. 또 본체(56)에는 관통공(56a)∼(56c)과 교차되는 구동공(67)이 수평방향으로 천설되어 있으며, 각 왕복동간(62a)∼(62c)에는 구동공(67)에 삽입배치되는 작동간(53)이 유감(遊嵌)되는 구멍(78a)∼(78c)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간(53)에는 돌기(53a)∼(53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8b)에 의하여 정해지는 작동간(53)의 위치에 따라서 돌기(53a)∼(53c)의 1개가 거기에 대응하는 왕복동간(62a)∼(62c)의 1개에 계합되어서 이것을 상동 시키도록 되어 있다.
물 공급 절환 장치의 접동변(68)의 봉변(69)은 본체(71)에 접동자재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봉변(69)에는 3개의 환상 홈(69a)∼(69c)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서 압력수가 공급되는 본체(71)의 입수(入水)포오트(73)는 3개의 수로(水路)(73a)∼(73cC)로 분기되어서 각각 접동공(72)에 개구되고, 이들 개구부에 대향하여서 토출(吐出)포오트(74a)∼(74c)가 접동공(72)에 연통되어 있다. 입수 포오트(73)는 위입시기가 오면 물을 압송하는 도시하지 않은 플런져(plunger)펌프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게 하여서 상기한 레버(8b)에 의하여 결정되는 봉변(69)의 위치에 따라서 환상홈(69a)∼(69c)의 1개가 거기에 대응하는 수로(73a)∼(73c)와 토출 포오트(74a)∼(74c)의 1조를 연통시키도록 되어 있다. 토출 포오트(74a)∼(74c)는 각각 관(75a)∼(75c)을 통하여 위입 노즐(76a)∼(76c)(제1도)에 접속 되어 있다.
위사 a∼c는 도시하지 않은 공급원에서 가이드(90a)∼(90c)(제2도)에 인도되며 각 가이드(90a)∼(90c)에서 각각 측장드럼(85a)∼(85c)과 압압 로울러(83a)∼(83c)사이를 통과하고 저류관(91a)∼(91c)내의 부압기류에 의하여 U자형으로 저류된다. 그리고 다시 저류관(91a)∼(91c)에서 인출된 후, 프레임(1a),(1b)에 고정시킨 브래킷(92)에 설치된 가이드(93a)∼(93c)에서 가이드(94a)∼(94c), 가이드(95a)∼(95c), 가이드(96a)∼(96c)의 순으로 안내되며, 가이드(94a)∼(94c)와 가이드(95a)∼(95c)사이에서 보조 파지기(55a)∼(55c)의 상합 협지체(63a)∼(63c), (60a)∼(60c)사이를 통과하고, 가이드(95a)∼(95c)와 가이드 (96a)∼(96c)사이에서 주파지기(97a)∼(97c)의 상하 협지체 사이를 통과하여서, 위입노즐(76a)∼(76c)로 인도된다. 여기에서 주파지기(97a)∼(97c)는 직기와 연동되어서 위입시기에 전부가 동시에 위사 a∼c를 해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지금 위사 c를 위입시키고 있는 것으로 하면, 도비(42)의 개구레버(43a)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위치에 있으나, 개구레버(43b)는 페그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레버(43a)에 의하여 로우프(44a)를 통하여 체인(41a)이 당겨져서 스프로킷(4a)은 제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캠(5a)의 고부(10b)가 수동레버(12a)의 캠 로울러(14a)와 접촉되며, 또 캠(5b)은 그 저부(10a)가 수동레버(12b)의 캠로울러(14a)와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레버(43b)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체인(41b)은 스프링(45b)에 의하여 당겨지고 있어서 스프로킷(4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캠(5c)의 고부(10b)가 수동레버(12b)의 캠로울러(14c)와 접촉되고, 캠(5d)의 저부(10a)가 수동레버(12c)의 캠로울러(14d)와 접촉(실제는 약간의 클리어런스가 있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동레버(12a)와 12b)는 제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있으나, 수동레버(12c)는 스프링(17c)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있다.
따라서, 수동레버(12a),(12b)에 의하여 핀(18a),(18b), 연결간(19a),(19b), 핀(22a),(22b)을 통하여 이동레버(21a),(21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이동레버(21a),(21b)의 회동에 따른 지지레버(80a),(80b)의 이동에 의하여, 압압로울러(83a),(83b)는 측장드럼(85a),(85b)에서 이탈되어서 위사 a,b를 해방시키고 있어서, 이사 a.,b 는 비측장상태에 있다. 여기에서 지지레버(80a),(80b)는 이동레버(21a),(21b)와 일체적으로 이동되나, 지지레버(80a),(80b)에 추착된 피동 로울러(87a),(87b)가 측장드럼(85a),(85b)의 내주면에 접촉된 후는, 지지레버(80a),(80b)는 스프링(82a),(82b)을 인장시키면서 핀(81a),(81b)을 지지점으로 하면서 이동레버(82a),(82b)에 대하여 굴곡하고, 스프링(87a),(87b)의 탄발력으로 피동로울러(83a),(83b)가 측장드럼(85a),(85b)의 내주면에 압압된다. 이렇게 하여서 피측장시에는, 압압로울러(83a),(83b)는 측장드럼(85a),(85b)에서 이탈되나, 그대신에 피동로울러(87a),(87b)가 측장드럼(88a),(88b)의 내주면과 압접되어서 회전구동 되므로, 피동 로울러(87a),(87b)에 의하여 치차(88a),(88b) 및 (86a),(86b)를 통하여 압압로울러(83a),(83b)가 측장시와 대략 동일한 주속도로 회전 구동되어서, 다음의 측장에 대비하고 있다.
한편 수동레버(12c)에 의하여 연결간(19c)을 통하고 또 스프링(23c)의 인장력에 의하여 이동레버(21c)가 제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지지레버(80c)는 그 단면을 이동레버(21c)의 단면에 압압접촉시킨채로 이동 레버(21c)와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지지레버(80c)에 추착된 압압로울러(83c)를 축장드럼(85c)의 외주면에 압압하여서, 압압로울러(83c)와 측장드럼(85c)사이에서 스프링(17c) 및 (23c)의 인장력에 의하여 위사 c를 탄성적으로 협지한다. 이렇게 하여서 회전측(84)에 의하여 연속 회전되는 측장드럼(85c)에 의하여 위사 c를 측장하면서 송출하고, 저류관(91c)내의 기류에 부상시켜서 저류하고 있다.
또 피동축(2a)에 의하여 캠(6a)의 고부(11b)가 레버(8a)의 캠로울러(26a)에 대향하고, 피동축(2b)에 의하여 캠(6b)의 고부(11c)가 레버(8b)의 캠로울러(26b)에 접촉되므로 전동축(7)에 일체적으로 고착된 레버(8a),(8b)는 제2도에서 가장 시계방향(제3도에서 가장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간(53)의 돌기(53c)가 왕복동간(62c)을 압상시켜서 상협지체(63c)를 하협지체(60c)에서 이탈시켜, 위사 c를 해방시키고 있다. 그리고 접동변(68)의 봉변(69)의 환상홈(69c)이 수로(73c)와 토출포오트(74c)를 연통시키고 있다.
따라서 위입 시기가 오면, 플런져 펌프에서 물이 압송되어서 접동변(68)의 입수포오트(73)에 공급되고, 수로(73c), 환상홈(69c), 토출포오트(74c), 관(75c)의 순으로 통과하여 위입 노즐(76c)에서 분출된다. 이것보다 약간 늦게 주파지기(97a)∼(97c)가 열려서 위사 c가 위입된다. 위사 a, b는 보조파지기(55a),(55b)에 의하여 파지되고 있다. 위입이 끝나면 주파지기 (97a)∼(97b)가 닫히고 위사 c를 파지한다. 이사 c를 계속 위입 시킬때는 이 상태가 계속되고 다음의 위입 시기에 다시 주파지기(97c)가 열려서 위사 c가 위입된다.
다음 위입시에 위사 a를 위입시킬 때는, 주파지기(97a)∼(97c)가 페쇄되자마자, 개구레버(43a)가 제2도에서 반시계 방향, 개구레버(43b)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개구레버(43a)와 관련되는 체인(41a)은 스프링(45a)에 의하여 당겨져서 스프로킷(4a)을 통하여 피동축(2a)은 제2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제10도), 캠(5a)의 저부(10a)가 수동레버(12a)의 캠 로울러(14a)에 접촉되고, 캠(5b)의 고부(10b)가 수동레버(12b)의 캠로울러(14b)에 접촉된다. 그리고 개구레버(43b)에 의하여 로우프(44b)를 통하여 체인(41b)이 당겨져서 스프로킷(4b)을 사이에 두고 피동축(2b)은 제2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캠(5d)의 고부(10b)가 수동레버(12c)의 캠 로울러(14d)에 접촉되고, 또 캠(5c)은 그 저부(10a)가 수동레버(12b)의 캠로울러(14c)에 대향한다. 이 때문에 수동레버(12b)는 상기한 상태를 유지하고, 수동레버(12c)는 제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 되지만, 수동레버(12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된다.
이렇게 하여서 수동레버(12a)에 의하여 이동레버(21a)를 제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압압로울러(83a)를 측장드럼(85a)에 압접하여, 위사 a의 측장을 개시한다. 동시에, 수동레버(12c)에 의하여 이동레버(21c)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압압로울러(83c)는 측장드럼(85c)에서 이탈되어, 위사 c의 측장을 정지시킨다. 물론 위사 b는 비측장상태 그대로이다.
또 피동축(2a)에 의하여 캠(6a)의 저부(11a)가 레버(8a)의 캠로울러(26a)에 접촉되고, 피동축(2b)의 의하여 캠(6b)의 저부(11a)가 레버(8b)의 캠로울러(26b)에 접촉되므로, 레버(8a),(8b),는 제2도에서 가장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3도에 도시하는 것과같이, 작동간(53)의 돌기(53a)가 왕복동간(62a)을 압상시켜서 상협지체(63a)를 하협지체(60a)에서 격리시켜, 위사 a를 해방시킴과 동시에, 돌기(53c)가 왕복동간(62c)에서 벗겨져서, 왕복동간(62c)은 스프링(66c)에 의하여 인하되고 상하협지체(63c),(60c)사이에 위사 c를 파지한다. 이와 동시에, 봉변(69)이 제4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환상홈(69a)이수로(73a)와 토출포오트(74a)를 연통시켜, 위입노즐(76a)에의 압력수의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위입시기가 오면 위사 a가 위사 c의 경우와 같이 위입된다.
여기에서 위사 c에서 a(혹은 위사 a에서 c)로 변경될때는, 수동레버(12b)의 캠로울러(14b),(14c)가 일시적으로 캠(5b),(5c)의 각 저부(10a)에 대항하지만, 그 바로전에 계지레버(31)의 캠로울러(34a),(34b)가 캠(5b),(5c)의 각 저부(50a)와 접촉하여서 돌출부(40)가 수동레버(12b)의 볼트(38)와 접촉되어, 수동레버(12b)의 제6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캠로울러(14b)가 캠(5b)의 고부와 접촉하여서 제6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후, 캠(5c)의 고부에서 계지레버(31)가 압하되어, 돌출부(40)가 볼트(38)와의 대향이 풀어진다. 이와같이 한 것에 의하여, 위사 a와 c의 절환시에 위사 b가 측장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에 위사 b를 위입할 경우에는, 개구레버(43b)는 제2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 채로 이지만, 개구레버(43a)도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체인(41a)에 의하여 스프로킷(4a)을 통하여 피동축(2a)도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수동레버(12c)는 상기한 상태를 유지하고, 수동레버(12a)는 캠로울러(14a)에 접촉되는 캠(5a)의 고부(10b)에 의하여 제2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만, 수동레버(12b)는 그 캠로울러(14b),(14c)에 각각 캠(5b),(5c)의 각 저부(10a)가 접촉되기 때문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수동레버(12a)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이동레버(21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압압로울러(83a)가 측장드럼(85a)에서 이탈되어서 위사 a의 측장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동시에, 수동레버(12b)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하여 이동레버(21b)가 시계방향으로 회동 되어, 압압로울러(83b)가 측장드럼(85b)에 압접되어서 위사 b의 측장을 시작한다. 이때 계지레버(31)는 그 캠로울러(34b)가 캠(5c)의 고부(10b)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돌출부(40)가 볼트(38)에서 벗겨져 있어서 수동레버(12b)의 회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또 피동축(2a)에 의하여 캠(6a)의 고부(11b)가 레버(8a)의 캠로울러(26a)에 접촉되지만, 레버(8b)의 캠로울러에 (26b)는 그대로 캠(6b)의 저부(11a)가 대향되기 때문에, 레버(8a),(8b)는 제5도에 도시된 중간위치에 이동된다. 이 때문에, 작동간(53)의 돌기(53b)가 왕복동간(62b)을 압상시켜서 상협지체(63b)를 하협지체(60b)에서 에탈시키고 위사 b만을 해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봉변(69)에 의하여 그 환상 홈(69c)이 수로(73b)와 토출포오트(74b)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위입시기가 오면 위사 b는 위사 c,a의 경우와 같이 위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타이밍 조정이나 점검정비등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위사가 변경될 때만 그것과 관련되는 캠등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에 대하여서도 향상된다.
Claims (1)
- 선택지령에 의거하여서 복수의 위사에서 임의의 위사를 선택하여 위입되도록 무저직기에 있어서, 동일축상에 배치되고 제직패턴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왕복회동하는 피동축의 각각에 캠을 배치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피동축에 병설된 전동축에 복수의 레버를 고정시켜서 각 레버를 1내지 복수의 상기한 캠에 대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들 레버를 선택적으로 요동시키고 이 요동을 위입 수단에 전동시켜서 그 위입 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선택 위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626A KR810001530B1 (ko) | 1978-08-30 | 1978-08-30 |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선택위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802626A KR810001530B1 (ko) | 1978-08-30 | 1978-08-30 |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선택위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10001530B1 true KR810001530B1 (ko) | 1981-10-26 |
Family
ID=1920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802626A KR810001530B1 (ko) | 1978-08-30 | 1978-08-30 |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선택위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10001530B1 (ko) |
-
1978
- 1978-08-30 KR KR7802626A patent/KR810001530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263392B1 (en) | Tetraaxial woven fabrics and tetraaxial weaving machine thereof | |
US4047271A (en) | Method for space dyeing yarn | |
Gandhi | The fundamentals of weaving technology | |
CN101324031B (zh) | 缎彩牛仔面料的生产方法 | |
KR810001530B1 (ko) | 무저직기에 있어서의 선택위입 장치 | |
US3889719A (en) | Weaving machine for producing terry cloth | |
EP0626476B1 (en) | Improved control system for tuck-in selvedge forming devices in a loom, in particular in a loom for terry cloth, formed by varying the reed beat-up position | |
US3548886A (en) | Device for selecting and presenting in any order different weftthreads in continuous feed looms | |
US4448220A (en) | Method for operating a two-phase gripper loom and two-phase gripper loom for performance of the method | |
US5099891A (en) | Shed-forming mechanism for a circular loom | |
CS200498B2 (cs) | Zařízení na tvoření prostupu na kruhovém tkacim stroji | |
US4241766A (en) | Selective weft inserting apparatus in shuttleless weaving loom | |
EP0525490B1 (en) | Conjugate cam shedding machine for looms | |
JPH0154454B2 (ko) | ||
KR100852606B1 (ko) | 천연 감염색 천의 제조방법 | |
SU1071230A3 (ru) | Механизм образовани рисунка по утку на бес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 |
US3972355A (en) | Weft inserting driving means for a shuttleless loom | |
US626149A (en) | L desmarais | |
US3946767A (en) | Shuttleless web weaving machine | |
SU1344829A1 (ru) |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 |
CN2036960U (zh) | 剑杆织布机的凸轮式八色选纬装置 | |
CN1600914A (zh) | 星点纱线及其生产方法 | |
US58589A (en) | Improvement in power-looms for weaving concave and convex surfaces | |
US2722950A (en) | Looms | |
JPH0373661B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