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461B1 - 잉크 재충전용 만년필 - Google Patents

잉크 재충전용 만년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461B1
KR810001461B1 KR7803209A KR780003209A KR810001461B1 KR 810001461 B1 KR810001461 B1 KR 810001461B1 KR 7803209 A KR7803209 A KR 7803209A KR 780003209 A KR780003209 A KR 780003209A KR 810001461 B1 KR810001461 B1 KR 81000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ller
fountain pen
fuselage
cartridge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끄 로베트
Original Assignee
삐에르 보베
인터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삐에르 보베, 인터라이트 filed Critical 삐에르 보베
Priority to KR780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14Exchangeable ink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잉크 재충전용 만년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보충기가 삽입되는 충전클립(Clip)에 대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서 본 충전클립의 단면도.
제3도는 충전된 상태의 만년필을 편평면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4도는 똑같은 만년필을 제3도에 대해 수직각도에서 본 단면도.
본 발명은 잉크 보충기가 카트리지(cartridge)를 필요로 하는 형태의 만년필 및 그 만년필용 보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형태의 가트리지펜은 필기헤드(writing head)와 동체 및 카트리지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카트리지의 전단부는 잉크가 통하도록 필기헤드에 압착되어 적당한 장치에 의해 관통이 되어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카트리지펜들은 일반적으로 필기헤드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동체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가 카트리지를 충전시키기 위하여는 필기헤드를 동체로부터 분리해내고 카트리지를 필기헤드에 끼워넣고 난다음 일반적으로 나사로 틀어주므로서 그 조립체에 동체를 부착시켜야 하는 것이었다.
그러한 형태의 배열은 몇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자면, 동체 자체와 그와 인접한 필기헤드가 달린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러한 형태의 배열은 무엇보다도 그 만년필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자면, 타원형등의 단면을 가진경우에는 특히 비실용적인 것이다. 그러한 경우, 나사로 틀어주므로서 그 분리된 부분을 다시 결합한다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할 것이며, 다시 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본다해도 그러한 방법은 기계적으로 상당히 복잡한 구조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들을 제거하고, 동체의 단면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카트리지의 배열을 마련해 보자는 데 있다. 따라서 동체는 납작하거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등, 원형이 아닌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 보충기를 충전시키거나 빼낼 때 동체를 필기헤드로부터 분리시켜줄 필요가 없는 만년필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충전클럽이, 잉크 보충기의 밀폐된 전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의 구멍을 정해주는 기부와 각각 기부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보충기를 그 가운데 수용하여 보지시켜 주기 위하여 평행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스트립(strip:가늘고 긴 조각) 및 그 스트립들의 또 다른 한쪽 끝을 연결시켜주는 연결 요소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기를 필요로 하며 한쪽 끝에 필기헤드가 달려있고 또다른 한쪽 끝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 동체와, 잉크보충기를 수용하며 동체에 뚫려있는 구멍을 통하여 동체 안으로 도입 되도록 되어 있는 충전클립 및, 그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의 만년필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충전클립의 길이는 그 충전클립과 함께 사용할 잉크 보충기의 길이보다 더 길기 때문에 잉크 보충기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의 충전클립을 빼낼 때 그 충전클립은 보충기를 움직이지 않고 초기의 거리만큼 꺼내어지고 그러므로 동체에 뚫려있는 구멍을 통하여 단단히 쥐기에 충분할 만큼 빠져나오며 그런다음 그 충전클립을 계속해서 빼내면 보충기도 실려져 나오며 그리하여 보충기가 필기헤드에 끼워 넣어져 있는데 따른 저항을 극복하게 된다.
만년필의 동체에 뚫려져 있는 구멍을 폐쇄하고 충전 클립을 제자리에 보지시켜 주는 장치는 어떤형태의 것이라도 좋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그 충전 클립의 연결요소가, 열려져서 올려져 있는 위치와 접어 젖혀져 있는 위치간을, 만년필에 뚫려있는 구멍을 폐쇄해 주면서 선회하는 선회플랩(pivoted flap)을 갖고 있는데 그 선회플랩은 그것의 올려져 있는 위치에서 보충기가 이동되지 않는 초기의 빼내는 작업동안 보충기를 빼내기 위한 손잡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플랩은 종래의 어떠한 방법으로든 접어 젖혀져 있는 위치에 보지될 것이다. 그러나, 플랩이 접어 젖혀져 있는 위치에 있을 때 플랩의 양쪽에 배치되는 두 개의 스프링 등과 같은 스프링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형태에서 플랩이 그 접어 젖혀진 폐쇄된 위치로 이동할 때 그것은 스프링의 가지(arms)가 분리되도록 해주어서 플랩을 제자리에 보지시켜 주기 위하여 마련된 이들 가지를 만년필 동체의 내면벽에 대하여 그 벽에 직접또는 그 벽에 형성되어 있는 쐬기홈에 밀착시켜주며 그리하여 보충기 유니트와 플랩이 동체내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또 다른 형태에서는 그 스프링 장치가 그 내면벽에 대하여 밀착되지 않고 다만 플랩을 접어 젖혀진 위치에 보지시켜 주기위한 작동만을 하며, 만년필 동체내에 충전클립을 고정시켜주는 것은 충전 클립의 스트립을 바깥쪽으로 충분히 변형시켜 주어서 그것이 만년필 동체의 내면벽에 대하여 밀착되도록 해주는 데 따른 단순한 마찰효과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의하면, 만년필용 잉크 보충기가 그 두 개의 마주보고 있는 세로벽에, 앞서 언급한 충전클립의 길게 평행으로 연장된 스트립에 있는 홈들과 상호작용하는 홈들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대한 기타 장점과 특징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도시한 도면들과 함께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만년필은 타원형의 납작한 단면, 즉 양쪽이 원의 아크(arc)로 연결된 두 개의 직선으로 형성된 단면을 가진 원통형 튜브의 형태로 된 동체(1)로 구성되어 있다. 펜촉이 달린 필기헤드(2)는 동체(1)의 한쪽 끝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필기헤드는 동체(1)에 쌓여져 있으며 잉크 보충기(4)의 전단부에 있는 밀폐면을 관통하게 되어 있는 꼭지(nipple)(3)을 갖고 있다.
보충기(4)는 만년필의 동체(1)보다는 그 용적이 작지만 동체와 같은 형태의 납작한 원통형이다. 다음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충전클립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의 양평면에는 넓고 바닥이 평평한 얕은 홈(5)이 있다.
보충기(4)의 전방부에는 보충기의 잉크가 펜촉으로 통하도록 하기위하여 밀폐부가 파괴될 수 있게 꼭지(3)에 끼워지도록 고안된 밀폐된 목 부위(6)가 있다.
잉크 보충기(4)를 수용하도록 충전클립(7)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클립은 원형 구멍(9)을 갖고 있는 잉크보충기(4)와 대략 같은 넓이를 갖고 있는 타원형의 기부(8)을 갖고 있으며 이 기부로부터 두 개의, 탄성충전클립 스트립(10)이 평행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스트립(10)의 다른쪽 끝은 구부러져서 갈고리(11)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이 갈고리는 역시 잉크 보충기(4)와 거의 같은 넓이를 갖고 있는 타원형의 케이스(12)의 형태로 되 있는 연결요소에 뚫려있는 구멍을 통하여 물러져 있다.
케이스(12)는 선회축(13)을 갖고 있는데 그 주위로 플랩(14)이 열려있는 위치(제1도)로부터 케이스(12)의 후면(15)과 일면이 되도록 밀폐된 위치(제3도)로 선회될 수 있다.
제3도 및 4도에서 볼 수 있듯이, 스트립(10)의 갈고리(11)는 U-자형 스프링 (16)을 보지하고 있는데 이 스프링의 두 개의 가지의 끝(17)은 적당하게 밖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이중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으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들은, 사용자가 플랩(14)을 열기 위하여는 얼마간의 힘을 극복해야 할 것이기 때문에 이 플랩이 잘못하여 열려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플랩(14)의 가장 안쪽의 부위와 맞물려져 있다
다른 한편으로 그 플랩(14)의 가장 안쪽의 부위가 스프링의 두 개의 가지 사이에 자리잡음에 있어, 그 끝(17)을 케이스의 구멍을 통하여 측면으로 밀어주어서 그 가지의 끝(17)이 그곳을 통과하여 동체(1)의 내면 벽에 대하여 맞물려지도록 위치시켜 주므로서 충전클립 조립체의 이탈을 막아주는 보지효과를 마련해 준다. 대안으로서 가지의 끝(17)이 그 내면벽에 형성되어 있는 쐐기홈(도시되지 않았음)에 물려질 수도 있다. 제1도에서 보듯이 사용되고난 보충기가 충전클립(7)으로부터 빼내어지면, 새로운 보충기(4)가, 그 목(6)을 기부(8)의 구멍(9)에 도입시키고 난 다음 그 보충기의 동체를, 스트립(10)이 그 각 얕은 홈(5)에 위치될때까지 밀어주므로서 교체된다.
충전된 클립은 그다음, 그것을 동체의 후미에 뚫려진 구멍을 통하여 활주시키므로서, 만년필의 동체(1)에 도입된다.
이리하여, 목의 끝(6)은 필기헤드(2)의 꼭지(3)과 맞물려지고 계속해서 활주시키면 처음에는 그 보충기가 그 보충기의 후단부가 스트립(10)의 갈고리(11)와 계합될때까지 충전클립에 상대적으로 활주되고 그 다음에는 그 목(6)이 꼭지(3)안으로 끼워진다. 몸체(1)는 그런다음 뚜껑(14)을 접어 젖히므로서 폐쇄되고 그것은 충전된 클립이 동체내에 확실히 자리잡도록 스프링(16)의 끝(17)을 분리시켜 준다
사용하고난 보충기(4)를 빼내기 위하여는 첫째로 플랩(14)을 그 열려진 위치로 선회시켜주는 것이 필요하고, 그것을 스프링(16)의 가지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축상의 활주 동작에 의하여 충전된 클립을 끌어내기 위한 견인이 플립에 행하여 질수 있다.
이러한 활주 이동중 꼭지(3)에 끼워져 있는 보충기는 처음에는 기부(8)이 목(6)과 보충기 동체 사이의 변환 위치와 계합될때까지 정지한채로 유지되다가 그 다음에 계속하여 견인하면 보충기가 충전클립(7)에 실려져서 꼭지(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동통로의 초기부분을 적당한 거리만큼 배열하므로 인해서 동체(1)로부터 케이스 (12)를 단단히 쥐기에 충분할 만큼 빼내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목(6)을 꼭지(3)로부터 이탈시키는데 필요한 더 강한 견인력을 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충전된 클립이 동체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면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충기를 빼내어서 새것으로 갈아 끼울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충전클립이 잉크 보충기의 밀폐된 전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의 구멍을 정해주는 기부와, 각각 기부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있으며 보충기를 그 가운데 수용하여 보지시켜 주기위하여 평행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스트립 및, 그 스트립들의 또 다른 한쪽끝을 연결시켜 주는 연결요소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보충기를 필요로 하며, 한쪽 끝에 필기 헤드가 달려 있고 또 다른 한쪽끝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 동체와, 잉크 보충기를 수용하며 동체에 뚫려 있는 구멍을 통하여 동체안으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는 충전클립, 및 그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의 만년필.
KR7803209A 1978-10-25 1978-10-25 잉크 재충전용 만년필 KR810001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09A KR810001461B1 (ko) 1978-10-25 1978-10-25 잉크 재충전용 만년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09A KR810001461B1 (ko) 1978-10-25 1978-10-25 잉크 재충전용 만년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461B1 true KR810001461B1 (ko) 1981-10-23

Family

ID=1920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209A KR810001461B1 (ko) 1978-10-25 1978-10-25 잉크 재충전용 만년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4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966B1 (ko) 후퇴 가능한 도포기를 포함하는, 액체, 고체, 페이스트 또는 분말 화장품을 위한 용기
US2902041A (en) Cosmetic make-up kit
US2552714A (en) Container for combination of lipstick and brush
KR101380882B1 (ko) 문구
KR810001461B1 (ko) 잉크 재충전용 만년필
US1716617A (en) Toothbrush and dentifrice holder
US4243337A (en) Fountain pen with ink refill carrier
US1282511A (en) Attachment for reservoir-pens.
US4583874A (en) Knock-type propelling pencil with storage cartridge
US20090245920A1 (en) Capless Retractable Marking Pen
US3167057A (en) Containers for fluids with reserve space
US1062274A (en) Pencil.
JP4553309B2 (ja) 筆記具
CN214567746U (zh) 一种多功能烟盒
KR20190027432A (ko) 필기구
US2472678A (en) Cartridge clip
US1392089A (en) Fountain-pen
CN217598201U (zh) 一种按压式墨囊钢笔
US7758270B2 (en) Ink refill tool for a writing instrument
US2901101A (en) Cosmetic container
US2517445A (en) Pocket receptacle for dispensing ticker tape
CN210407504U (zh) 一种液体眼线笔
JP4514377B2 (ja) 棒状部材の収納ケース
US1849997A (en) Self-feed-magazine-pencil
JP6202909B2 (ja) 筆記具用中芯収納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