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363Y1 - 삽입형(Bayonet)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삽입형(Bayonet)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363Y1
KR810001363Y1 KR2019810004502U KR810004502U KR810001363Y1 KR 810001363 Y1 KR810001363 Y1 KR 810001363Y1 KR 2019810004502 U KR2019810004502 U KR 2019810004502U KR 810004502 U KR810004502 U KR 810004502U KR 810001363 Y1 KR810001363 Y1 KR 810001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tactor
contact
accommoda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4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시 마사루 다까
교시 사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진도 사다가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진도 사다가쓰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10004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13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bayonet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삽입형(Bayonet)접속장치
제1도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한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
제2도는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정면도 이도.
본 고안은 콘트롤센터의 제어유니트등에 사용되는 삽입형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삽입형장치는 통전용량(通電容量)을 크게하기 위해 또는 단락전류의 통과에 의해 발생되는 플레이트(plate)와의 용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자와 플레이트가 양호하게 접촉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정측 단자대에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제어유니트의 관계위치는 제작상의 오차로 인하여 자주 변동듸므로 종래의 삽입형 접촉장치에 있어서는 양호한 접촉상태를 얻기가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그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서 (1)은 접촉자를 3세트(set) 수납할 절연 케이스이며, (2)는 탄성을 가진 한쌍의 접촉자이고, (3)은 선단에 환상 압착단자(4)를 감착한 도선(Lead wire)이다. (5)는 너트부재(6)와 함께 한쌍의 접촉자(2)등과 환상압착단자(4)를 체착한 나사로 구성된 접속부재이다. (7)은 환상압착단자(4)의 체착면상부에 배설된 압압금구이다.
한쌍의 접촉자(2)는 U자형 접촉부(20)를 형성하는 접촉각부)接觸脚部)와(2A)후 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탄각부(平坦脚部)(2C)및 이들각부(2A)(2C)를 접속하는 단부(2B)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케이스(1)에는 접촉각부(2A)를 수납하는 요부(凹部)(1A), 요부(1C)와 더불어 평탄각부(2C)를 수납하는 좁은 각공(角孔)(1B),(1C), 각공(1C)의 상부에 연설된 도선수납공(1D)등으로 구성된 제1관통공이 천설되어 있다. (1D)는 위의 제1관통공에 직각으로 천공된 제1관통공이다.
관통공(1D)은 평탄각부(2C)의 중앙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관통공(1D)내에는 접촉부재(5), 너트부재(6)으로된 도선(3)의 접합부재를 수납시킨다.
본 고안의 삽입형 접속장치를 조립할때는 먼저 환상압착단자(4)를 감착시킨 도선(3)을 절연케이스의 제1관통공(1C),(1E)를 통하여 제2관통공(1D)까지 삽입한다. 그다음에 한쌍의 접촉자(2)를 제1관통공의 반대측(1A),(1B)에서 환상압착단자(4)하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압압금구(7)를 고정하는 접속부재(5)와 너트부재(6)을 제2관통공(1D)의 상하에서 체결하면 평탄각부(2C)상호간과 환상압착단자(4)는 고정된다. 압압금구(7)의 양측절곡각(折曲脚)(7B)는 조임작업을 할때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측절곡각(7A)는 환상 압착단자(4)의 선단과 함께 접촉자(2)가 절연 케이스(1)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접촉자(2)의 단부(2B)가 요부(凹部)(1A)의 후방내벽에 접근함으로써 각공(1C)쪽으로 접촉자(2)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절연케이스(1)내에 수납된 접촉자(2)의 전체의 주연과 관통공 내벽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접촉자(2)는 절연케이스내(1)에 플로우팅(Floating)상태(즉 요동 및 회동자재한 상태)로 계지되어 있게된다. 그리고, 접촉자(2)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접촉자(2)의 폭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자재하며, 또 한쌍의 접촉자(2)(2) 측면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경사될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도선(3)의 심선(心線)은 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촉자(2)의이동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플레이트(8)와는 관계위치가 어느 방향으로 변동되어도 접촉부의 폭전체에 걸쳐 양호한 접촉상태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접촉자와 플레이트등이 외부접촉자와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기계적인 융통성이 생기며, 특히 절연케이스내에서 접촉자를 플로우팅상태로 계지하면 이에 따르는 융통성이 현저하게 되어 플레이트와 양호한 접촉상태가 얻어지고, 통전용량이 커지며 내용착성도 크며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환상압착단자를 감착한 도선을 사용하고 있으나 소울더레스(Solderless)단자를 사용할수도 있고 또 가요연선을 사용할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압압금구(7)가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1)

  1. 선단에 L자형 접촉각부(2A)를 형성하고 후단에는 도선(3)이 접속된 평탄각부(2C)를 가진 한쌍의 접촉자(2)와 이들 한쌍의 접촉자(2)를 접합시켜 접촉각부(2A)에 의해 U자형 접촉부를 형성하는 접촉부재(5)와, 두접촉자(2)와 도선(3)을 수납하는 제1관통공 (1A)-(1E) 및 도선(3)의 접속부재(5)를 수납하는 제1관통공과 직각을 이룸과 동시에 접속부재(5)를 수납하는 제2관통공(1D)을 천설한 절연케이스(1)를 설치하고, 절연케이스(1)의 제1 및 제2관통공 내벽면과 접촉자(2) 및 도선(3)간의 간극을 접촉자(2) 및 도선(3)의 측부주위에 설치하여 접촉자(2)가 플로우팅상태로 되도록 절여케이스내에 계지시켜서 된 삽입형 접촉장치.
KR2019810004502U 1977-12-03 1981-06-23 삽입형(Bayonet)접속장치 KR810001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4502U KR810001363Y1 (ko) 1977-12-03 1981-06-23 삽입형(Bayonet)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2811 1977-12-03
KR2019810004502U KR810001363Y1 (ko) 1977-12-03 1981-06-23 삽입형(Bayonet)접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2811 Division 1977-12-03 1977-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363Y1 true KR810001363Y1 (ko) 1981-09-30

Family

ID=2662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4502U KR810001363Y1 (ko) 1977-12-03 1981-06-23 삽입형(Bayonet)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3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3126A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having conductor-retention means
US6837741B2 (en) Connector and cable positioning member of connector
JP2002203645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MY110957A (en) Electric connector termin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636382B2 (ja) 電気コネクター
EP0765004B1 (en) Electrical installation bus connector
GB1012747A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715315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anar contact engaging surface
US647858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terminals that are provided with a dielectric coating
US4417776A (en) Connectio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al implements
KR810001363Y1 (ko) 삽입형(Bayonet)접속장치
US4310210A (en) Plug-in type connector
JPH0235423B2 (ko)
JPS6332224B2 (ko)
GB2155251A (en)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ors
EP0358404A2 (en) Connector
CA2089461C (en) Circuit board connector
JP3295584B2 (ja) 同軸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S61269876A (ja) グランド端子をもつ多極コネクタへのテ−プ電線接続方法
JP2923468B2 (ja) カードリレー用コネクター
JPH02865Y2 (ko)
JP2863766B2 (ja) コネクタ
JPS6035979Y2 (ja) フラットケ−ブルに接続されるコネクタ
US6382984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for solderlessly electrically connect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0118721Y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