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191Y1 -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191Y1
KR810001191Y1 KR2019800001433U KR800001433U KR810001191Y1 KR 810001191 Y1 KR810001191 Y1 KR 810001191Y1 KR 2019800001433 U KR2019800001433 U KR 2019800001433U KR 800001433 U KR800001433 U KR 800001433U KR 810001191 Y1 KR810001191 Y1 KR 810001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device
adhesive
cutting
carbon materia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1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만수
Original Assignee
장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만수 filed Critical 장만수
Priority to KR2019800001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2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for breaking co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a,b,c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반 단면도.
본 고안은 구멍탄 아궁이나 난로 또는 보일러 등 각종 구멍탄 연소기구에서 연소된 탄재가 상충의 점화탄에 그대로 접착되었을 때 이를 꺼내어 손쉽게 절단 분리하기 위한 탄재 절단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하 구멍탄이 접착되었을 경우 이를 꺼내어 식칼이나 탄집게 등으로 접착부위를 격타해서 절단하여 왔던 바 접착부위가 파괴되면서 많은 탄재덩어리가 주변에 흐터지게 되고 재가루가 날리는 등 비위생적이고 구멍탄의 교체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던 관계로 이를 손쉽게 절단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탄재절단장치들이 안출되었던 것인 바 구멍탄보일러나 난로 등 연소기의 제작과정에서 연소통이 위치하는 하단부에다 절단장치를 고착시켰던 것이므로 절단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교체 수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 연소기 자체의 탄재절단 기능이 마비되어 버리므로 접착된 탄재를 꺼내어 전술한 바와 같이 식칼이나 탄집게로 접착부위를 격타하는 비위생적이고 위혐성이 있는 방법으로 절단분리시켜야 했던 것이며, 구멍탄 아궁이의 경우에는 절단장치를 고착설치할 수가 없으므로 들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는 절단장치가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 고로 기존의 연탄운반통을 이용하여 여기에 절단칼을 부설하여 된 것이 안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절단칼을 작동시켜 주기 위한 많은 부품들로 복잡하게 구성되어서 정확한 작동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장발생율도 높았던 것이다. 따라서 좀 더 간단한 구성으로 고장의 염려도 전혀 없고 정확한 절단작동을 기대할 수 있는 이동식 절단장치의 출현이 요구되어 왔던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접착탄재를 꺼내어 별도의 절단장치내에 수납하여 접착부위를 절단 분리하여 주는 절단장치에 있어 이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고장의 염려가 전혀 없으면서도 정확한 절단작동을 할 수 있게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하여 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진퇴조작레버(3)와 절단칼날(6) 상호간을 연결로드(7)로 연결하여서 되는 접착탄재 절단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레버(3)의 유착돌기(1a) 및 걸림돌기(1b)가 고착된 상측통체(1)를 괘착돌기(2a)를 가진 하측통체(2)의 상단일측에다 칼날 진퇴용 공간부(4)가 형성되도록 경첩(5)에 의해 축설시켜서 상측통체(1)가 일측으로 절첩되도록 한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이다.
첨부도면 중 미설명부호 8은 칼날받침대, 9는 가압발판, 10은 와샤, 11은 너트를 각각 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조작레버(3)의 끝단을 괘착고리(3b)로 하여 하측통체(2)의 괘착돌기(2a)에 삽탈토록 한 것은 본 절단장치를 다른 장소로 운반코져 할 때 조작레버(3)의 괘착고리(3b)를 괘착돌기(2a)에 삽입시킨 뒤 이를 들어올리면 고리(3b)가 돌기(3a)에 괘착되면서 하측통체(2)가 같이 들어올려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첨부도면 제2a,b,c도에 의해 단계적으로 구분 설명하면, 먼저 (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3)가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절단칼날(6)이 통체 외부로 인출되어 있던 상태에서 통체 내부에다 접합된 탄재를 수장하면 접합탄재의 접합부위가 상, 하 통체(1)(2)사이의 공간부(4)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후 (b)도에서와 같이 가압발판(9)을 밟고 레버(3)를 일측으로 젖혀서 유착돌기(1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동 레버(3)에다 연결로드(7)에 의해 연결시킨 절단칼날(6)이 공간부(4)를 통해 통체내부로 진입되면서 접합된 탄재의 접합부의 일부를 절단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1단계로 상하탄재의 접합부의 일부를 절단시켜준 뒤에 조작레버(3)를 계속 잡아 당기면 (c)도에서와 같이 레버(3)가 상측통체(1)에 돌설된 걸림돌기(1b)에 걸리게되어 상측통체(1)는 경첩(5)을 기점으로 그 일측이 들어올려지면서 절곡케 되어 접합부의 일부만이 절단된 탄재의 절단되지 않았던 나머지 접합부분도 완전 절단되어 상, 하 탄재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 하 통체는 그 내주면에 걸쳐 상, 하탄재의 외주면을 협지 보호한 상태로 상측탄재를 절곡시키므로서 상, 하 탄재가 깨질 염려없이 접합부위만 간탄히 분리 절단케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그 작동이 정확하여 절단작업시 상측의 점화탄이나 하측의 탄재가 깨질 염려가 없고 기계적 작동으로 간편히 절단되는 것이므로 화상을 입거나 화재가 발생될 위험요소가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그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도 전혀 없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Claims (1)

  1. 진퇴조작레버(3)와 절단칼날(6) 상호간을 연결로드(7)로 연결하여서 되는 탄재절단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레버(3)의 유착돌기(1a) 및 걸림돌기(1b)가 고착된 상측통체(1)를 괘착돌기(2a)를 가진 하측통체(2)의 상단 일측에다 칼날 진퇴용 공간부(4)가 형성되도록 경첩(5)에 의해 축설시켜서 상측통체(1)가 절첩되도록 한 용융접착탄재의 절단장치.
KR2019800001433U 1980-03-08 1980-03-08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KR810001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433U KR810001191Y1 (ko) 1980-03-08 1980-03-08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1433U KR810001191Y1 (ko) 1980-03-08 1980-03-08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191Y1 true KR810001191Y1 (ko) 1981-09-19

Family

ID=1921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1433U KR810001191Y1 (ko) 1980-03-08 1980-03-08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1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914A (en) Candlewick
FR2663730B1 (fr) Element de douille a tube combustible, munition a douille semi-combustible incorporant cet element et procede de chargement de cette munition.
CA1154630A (en) Binary electroexplosive device
WO1988001714A1 (en) A device for extinguishing the flame of a candle
KR810001191Y1 (ko)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US2735285A (en) Ferleger
CA2183271A1 (en) Candle comprising a form piece and a shield element
US3121408A (en) Collapsible burner
US5766275A (en) Fireplace log ignition source and artificial fireplace log
KR810000513Y1 (ko)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NO148604B (no) Brannbestandig lett skillevegg for rom i bygninger
KR810000512Y1 (ko) 용융 접착탄재의 절단장치
JPH037737Y2 (ko)
US1693818A (en) Detonating firework
US612293A (en) Carl heinrich wolf
US4681036A (en) Delay starters
KR810001729Y1 (ko) 용융접착 탄재의 절단장치
US2763209A (en) Messenger pouch destroyer
US1469442A (en) Carbon cartridge adapted to be used as initial igniter
US1069530A (en) Lighter.
CA1257138A (en) Delay starters
JPH0647004Y2 (ja) 連続着火キャンドル構造
US945075A (en) Fuse-lighter.
US681788A (en) Device for lighting fires in fire-engines.
US1651479A (en) Blasting fuse sp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