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095B1 -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stitch)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stitch)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095B1
KR810001095B1 KR7602802A KR760002802A KR810001095B1 KR 810001095 B1 KR810001095 B1 KR 810001095B1 KR 7602802 A KR7602802 A KR 7602802A KR 760002802 A KR760002802 A KR 760002802A KR 810001095 B1 KR810001095 B1 KR 81000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thread
fabric
sew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콘티 로베르토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콤프레트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콤프레트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riority to KR760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095B1/ko
Priority to KR1019800002545A priority patent/KR810001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2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single-thread seams
    • D05B1/04Running-stitch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stitch)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되는 특수바늘을 장치한 재봉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를 좌측에서 본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의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C-C선의 상세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D-D선의 상세 평면도.
제7도 및 8도는 각각 재봉바늘끝의 확대정면도 및 측면도.
제9도는 봉합안부의 봉합눈을 장단으로 형성한 표시도.
제10도부터 제14도까지는 본 발명의 실시에서 각각 다른 싸이클에 위치한 때의 재봉기 구성부분들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여기에서 "싸이클"이라 함은 바늘의 완전한 상하 왕복운동과 천의 전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도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와 제10a도는 최초 싸이클에 있어서 바늘의 하향(下向)운동과 봉합작업의 시작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11-11a도는 최초 싸이클에 있어서 바늘의 상향(上向)운동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12-12a도는 제2싸이클에 있어서 바늘의 하향운동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13-13a도는 제2싸이클에 있어서 바늘의 상향운동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14-14a도는 제3싸이클에 있어서 바늘의 하향운동을 보여주는 설명도.
본 발명은 봉합안부(縫合鞍部)의 장단(長短) 봉합눈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 잘 알려진 것과 같이 봉합안부는 하나의 봉합실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길이의 한바늘 뜸실이 한뜸새를 남기는 식으로 봉합되는 바, 이와 같은 봉합은 보통 직물의 가장자리를 장식적으로는 꿰매는 것인데, 이때 봉합된 한바늘 뜸실과 뜸새는 천의 겉면과 반대면에 번갈아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봉합눈의 모양은 종래에는 오직 손으로만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접은 옷깃, 호주머니 또한 바지, 핸드백, 장갑 및 이와 유사한 상품을 봉합할 때 통상 장식적인 목적으로 꿰매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손으로 꿰매는 작업은 오늘날의 제조기술에 의한 기성복의 대량생산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기성복의 대량생산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장식모양을 갖는 그와 같은 특수 봉합눈의 기계적 작업을 가능케하는 것이다. 봉합안부의 장단봉합눈을 기계적으로 작업하는 방법의 근본적 특징은 바늘의 최초 상하 왕복운동 싸이클에 있어서 재봉실이 바늘에 의하여 천 밑으로 옮겨져 미리 일정한 길이(한바늘 뜸새)로 봉합될 한쪽끝이 천이 전진하는 동안 하부의 봉합눈을 형성하기 위하여 천 아래에 위치하여 있게 되고, 한편 제2싸이클에서 상기 봉합실이 다시 바늘에 걸려서 천 위로 올라오면 천이 전진하는 동안 상부의 봉합눈을 형성하기 위하여 천 위에서 머물도록 되어 있는 기계적인 봉합 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은 봉합안부의 장단봉합눈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에 실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장치가 이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재봉기에다 봉합실을 동일한 바늘로 부터 풀어주고 다시 걸어 주도록 하기 위한 개방된 구멍을 갖는 바늘이 장치되어 있으며, 재봉실 걸개장치가 천밑에 장치되어 재봉실을 바늘로 부터 풀어서 한바늘 길이 만큼 실을 천밑으로 잡아 당겨 주며 천이 전진하는 동안 실을 잡아주도록 되어 있고 또한 재봉실을 천밑에서 바늘에 다시 걸어주는 재봉실 집게가 장치되어 있어야 할 뿐만아니라, 천위에서 재봉실을 인도(引導)하여 주는 동시에 천이 전진하는 동안 개방된 바늘귀에 걸어주는 스윙후크가 장치되어 있으며, 이 모든 장치들은 재봉기의 주구동축(主驅動軸)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cam)에 의하여 적절하게 작동 제어되며, 이때 필요한 순서에 따라 그리고 재봉기의 운전 싸이클과 동시적으로 상기 장치들의 작동상태로 부터 정지상태로 그리고 반대로 정지상태로 되고 그리고 반대로 정지상태로 부터 작동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바늘의 상하 왕복운동시 재봉실을 잡아 걸어서 운반할수 있도록 만들어진 개방된 바늘귀는 이중후크 모양을 하고 있으며, 또한 바늘 끝은 비대칭형(非對稱形)을 이루어짐으로서 바늘이 천을 통과하여 왕복운동을 할 때 천이 개방된 바늘귀 속으로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천 밑에 위치하여 재봉실을 걸어 당기는 장치는 근본적으로 수평축을 회전하는 한개의 디스크(圓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디스크는 바늘의 왕복운동면으로부터 약간 뒤에 위치하여 바늘의 매왕복마다 360°회전한다. 상기 디스크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한개의 후크가 달려 있으며, 이 디스크 뒤에 바늘이 천밑으로 가지고온 재봉실의 올가미 한쪽끝이 두번째 회전시마다 걸리게 되며, 디스크의 회전과 함께 디스크 앞에서 바늘의 두 번째 싸이클마다 1회의 수평왕복운동을 하는 재봉실 후크와 재봉실 잡이가 재봉실 올가미의 다른 쪽 끝을 잡아줌과 동시에 처음의 올가미 끝이 다시 디스크로 부터 풀리게 되어 있다.
재봉실 잡이장치는 바늘이 두 번째 싸이클마다 수평왕복운동을 하며 한개의 후크모양의 장치와 연동되게 되어 있으며 이 후크장치는 좌우로 회전운동을 하면서 재봉실을 잡아서 그 실을 바늘이 위로 운동하는 동안 개방된 바늘귀에다 갖다 걸어준다.
바늘의 두 번째 싸이클마다 천 상부의 스윙후크가 1회 왕복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서는 장단의 봉합눈을 가진 봉합안부를 기계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특수바늘을 장치한 재봉기가 이용되는데 그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체적인 구성형태에 대한 설명과 본 발명의 특허청구를 고려할 때 명백하여지며, 본 발명의 설명과 도면을 한 실시예로서 그 내용에 있어서 제한을 받지 않는다.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되는 장치로서, 첨부도면에는 종래의 재봉기의 표준구성부품들은 도시에서 생략되었거나 또는 특별히 따로 도시하지 않고 있으며, 1은 천받침, 2는 재봉기, 3은 노루발, 4는 봉합될 천 또는 옷, 5는 특수바늘, 6은 스윙후크이다.
본 발명의 실시내용은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천 받침(1)의 아래쪽에는 장단의 봉합눈으로 되는 봉합안부의 기계적인 형성을 위하여 특수바늘(5)과 함께 연동하는 장치들이 구비되고 이들 장치는 메인 트란스밋숀(7)에 의하여 축(8)(9)(9')으로 구동된다. 축(8)에는 디스크(10)에 연결되어 있고 이 디스크(10)는 바늘(5)의 왕복운동면으로 부터 약간 뒤에 위치하고 있고, 한편 재봉실잡이(12) 및 재봉실 안내구(14)를 각각 작동시키는 캠(15),(17)은 각각 축(9),(9')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윙후크(6)는 바늘(5) 옆에서 뒷쪽에 위치하여 회전축(6')으로 고정되어서 재봉기(제3도 참조)의 전면에 있는 캠(11)에 의하여 앞뒤로 진퇴운동을 하며, 제3도에서 스윙후크(6)의 끝을 바늘(5)에 대하여 각각 실선(實線)과 점선(點線)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양끝은 실선과 점선 사이를 왕복한다.
켐(11)은 메인트란스밋숀(7)(제1도 참조)에 연결된 축(11"')에 의하여 기어(11'),(11")로 구동된다.
천 받침(1) 아래쪽에 그리고 바늘(5)의 하향운동을 하는 근처에 한개의 재봉실잡이(12)와 한개의 후크(13) 및 한개의 재봉실 안내구(14)가 장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디스크(10)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다.
재봉실잡이(12)는 제6도에서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활동(滑動)하도록 장치된 롯드(rod)(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롯드(12')는 축(9)에 의하여 적절한 동력연결장치(베벨기어)로 회전되는 캠(15)에 의하여 왕복운동을 한다.
후크모양으로 된 스윙후크(16)는 회전축(16')으로 고정되어 있고 롯드(12')에 의하여 바늘(5)의 주위에서 스윙운동을 한다.
재봉실잡이(12)는 재봉실을 다시 바늘(5)에 걸어주기 위하여 작동단계 순서에 따라서 재봉실을 바늘(5) 부근에 가지고 가서 개방된 바늘귀(5')에 걸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후크(13)는 수평으로 활동왕복운동을 하며, 캠(17)에 의하여 역시 수평으로 활동 왕복운동을 하는 재봉실안내구(14)와 연동하여 운동하게 되어 있고 캠(17)은 축(9')에 의하여 적절한 동력연결장치 및 트랜스밋숀(제1도 및 제4도 참조)과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 후크(13)의 역활은 재봉실을 천밑에서 잡아주는 것이다. 이 후크(13)는 재봉실 안내구(14)와 동시에 작동하며, 이때 재봉실은 재봉실 안내판(14')에 의하여 고정판(14")에 압착되어 안내된다.
디스크(10)의 가장자리에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크후크(18)가 부착되어 있으며, 재봉실이 천아래쪽에서 이 디스크후크(18)에 걸리게되며, 이 디스크(1)의 회전에 의하여 다시 풀리게 된다.
디스크(10)의 동일한 측에는 정지디스크(19)가 장치되어 있으며, 이 정지디스크(19)는 원주둘레에 홈(20)이 만들어져 있고, 디스크(10)의 회전에 의하여 풀려진 재봉실이 정지디스크(19)의 원주홈(20)에 끼워진다.
21은 재봉을 하는 동안 천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천받침(1)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여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늘(5)은 비대칭형의 끝을 이루고 있고 이중 후크모양으로 바늘귀(5')는 열려저 있다. 트랜스밋숀 회전율은 재봉기구성부품들이 요망하는 순서로 작용하도록 만들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는 바늘(5)의 상하운동과 천의 전진을 1회의 싸이클이라고 할때 각 작동부는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한다.
·스윙후크(6)는 두번째 싸이클마다 스윙한다.
·재봉실잡이(12)는 두번째 싸이클마다 작동한다.
·후크(13)는 재봉실잡이(12)와 번갈아서 두번째 싸이클마다 스윙한다.
·재봉실안내구(14)는 두번째 싸이클마다 후크(13)와 동시에 작동하며, 후크(13)가 재봉실을 풀어주기 위하여 움직이는 동안 재봉실 안내구(14)는 정지하고 있다.
·디스크(10)는 매 싸이클마다 완전 회전(360°)하며, 한편 재봉실은 두번째 싸이클마다 디스크후크(18)에 걸리게 된다.
봉합안부의 장단봉합눈을 형성함에 있어서 재봉기계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표준형의 재봉실은 통상실패에 감겨져 있고, 실패꽂이로 부터 풀어서 장력(張力)디스크를 통과하여 그 유도기구에 끼운다. 이 유도기구는 그 자체가 재래식 형태이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 유도기구는 종래의 재봉기가 둘 또는 세바늘을 봉합할 길이를 한바늘 길이 만큼씩의 실의 뜸새로 봉합되도록 본 발명의 재봉기에서 작동된다. 따라서 재봉을 시작하기 위한 실의 길이를 풀어주고난 다음에 바늘(5)의 바늘귀(5')에 걸어준다.
재봉기를 작동하면 바늘(5)은 천(4)를 통과하여 재봉실을 하향운동이 완전히 끝날 때까지 아래로 운반한다. 바늘(5)의 상향운동이 시작되며 재봉실은 올가미를 형성하고 회전하는 디스크(10)의 디스크후크(18)에 걸리게 된다. 디스크(10)에 의해서 재봉실은 바늘(5)의 바늘귀(5')로 부터 이탈되고, 디스크(1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한바늘 길이만큼 실이 천(4)의 아래로 당겨진다.
바늘(5)는 재봉실이 없이 상향운동을 계속하여 천(4)으로 부터 빠져나오고, 그 다음 천(4)은 앞으로 전진하므로서 천의 아래면이 봉합눈 길이만큼 이동한다.
천(4)의 전진이 끝날때 바늘(5)은 실이 없이 다시 하향운동을 시작하여 천(4)을 통과하고, 다시 상향운동이 시작될 때 천(4) 아래에 머물러 있던 재봉실은 재봉실잡이(12)의 도움으로 바늘귀(5')에 걸리게 되고 천(4)을 통하여 위로 올라온다.
바늘의 상향운동이 끝날때 천(4)은 다시 전진하고 천(4) 위에서 봉합눈 길이만큼 이동한다.
바늘(5)의 다음번의 하향운동을 시작하고 실과 함께 천(4)을 통과하여 새로운 봉합싸이클이 시작된다.
형성된 봉합선(봉합안부눈)은 제9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중요한 봉합장치들의 작동단계별 순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봉합의 시작 : 재봉실은 바늘(5)의 바늘귀(5')에 끼우고, 천(4) 위로 들어 올린다. 이때 천(4) 아래에 모든 장치들은 정지상태에 있고 재봉실이 걸려 있지 않다(제1도 참조).
특히 디스크(10)의 디스크 후크(18)는 바늘(5)의 위치로 부터 디스크의 직경거리 상으로 거의 반대 위치에 있다(제3도 및 제4도 참조).
2. 제1싸이클 : 바늘(5)의 하향운동시 재봉실은 천(4)을 통과하게 된다. 디스크(10)는 180°회전시 디스크 후크(18)를 바늘(5)로 부터 2-3°만큼의 거리까지 접근시킨다.(제10-10a도 및 제11-11a도 참조).
후크(13)와 재봉실안내구(14)는 전진하여 높여져 있는 재봉실을 건다.
바늘(5)는 상향운동을 시작하고 이때 재봉실 올가미가 형성되고 바늘귀(5')에서 느슨해지며, 디스크(10)가 회전하여 디스크후크(18)를 바늘(5)의 중간선과 일치하게 접근시켜 재봉실의 올가미를 디스크후크(18)에 걸리게 한다.
바늘(5)는 재봉실이 없이 상향운동을 완료한다. 후크(13)와 재봉실 안내구(14)는 재봉실을 걸어서 뒤로 후퇴하는 한편 디스크(10)는 계속 180°를 회전하여 천(4) 아래로 한바늘 만큼의 길이 전체가 당겨진 재봉실이 풀려서 정지 디스크(19)의 홈(20)으로 끼워지게 된다(제4도 참조).
바늘(5)이 재봉실이 없이 상향운동을 한후 천(4)은 그 전진장치(21)에 의하여 전진하게 되고 천 전진장치(21)의 아래면에서 봉합는 길이만큼 이동한다.
3. 제2싸이클 : 천(4)이 전진된 후에 바늘(5)이 재봉실 없이 하향운동을 수행하는 한편 스윙후크(16)는 앞쪽으로 회전하고, 재봉실잡이(12)는 앞으로 전진하며, 이때 재봉실을 바늘귀(5')앞에 갖다놓는다. 디스크(10)는 180°회전하여 디스크후크(18)를 위쪽의 바늘(5) 옆에 가져온다(제12도-12a도 및 제13-13a도 참조).
바늘(5)의 상향운동이 시작될 때, 재봉실은 바늘귀(5')에 걸려서 천(4)의 위로 올려진다. 바늘(5)이 상향운동을 하는 동안 재봉실잡이(12)는 다시 원위치로 후퇴하고 디스크(10)는 계속 180°회전한다.
바늘(5)이 약간 끌리게 끌어올린 재봉실을 느슨하게 느쳐 주므로서 올가미를 형성하게하면 스윙후크(6)가 재봉실 올가미를 걸어서 뒤로 제치면서 원 위치로 되돌아간다.
천(4)는 천 전진장치(21)에 의하여 전진하여 천(4) 윗면에서 봉합눈 길이 만큼 이동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늘(5)의 운동 싸이클들은 똑같은 순서로 진행되며, 다만 최초 싸이클과 다음 싸이클들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천(4) 밑에 위치하고 있는 재봉실을 끌어 올리는 일은 스윙후크(6)의 도움으로 디스크(10)의 디스크후크(18)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봉합안부의 장단봉합눈을 기계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바늘의 상하운동 싸이클에서 재봉실이 천 아래로 옮겨진 다음 미리 정해진 길이로 봉합된 재봉실 전체가 당겨져 밑에 머물려 있게 되고, 한편 천은 전진하여 하부봉합눈 길이 만큼 이동하며, 그 다음 제2싸이클에서 재봉실이 바늘에 다시 걸려서 천위로 끌어 올려져 위에서 머무는 동안 천이 전진하여 윗면의 봉합눈 형성을 위한 길이 만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안부의 장단봉합눈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KR7602802A 1976-11-10 1976-11-10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stitch)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KR81000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802A KR810001095B1 (ko) 1976-11-10 1976-11-10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stitch)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KR1019800002545A KR810001094B1 (ko) 1976-11-10 1980-06-28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재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2802A KR810001095B1 (ko) 1976-11-10 1976-11-10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stitch)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545A Division KR810001094B1 (ko) 1976-11-10 1980-06-28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재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095B1 true KR810001095B1 (ko) 1981-09-16

Family

ID=1920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2802A KR810001095B1 (ko) 1976-11-10 1976-11-10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stitch)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09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85637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краев вязаного трубчатого издел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TWI749282B (zh) 縫合管狀針織物開口端之縫紉機及其編織方法
CN107700080A (zh) 一种3d缝纫链式线迹脱线控制机构及方法
CA2439206A1 (en) Device for picking up a tubular knitted article from a knitting machine and for sewing the toe
US4122787A (en) Sewing method and machine
CN108442050A (zh) 缝纫机的面料握持装置
KR810001095B1 (ko)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stitch)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US3207107A (en) Sewing system for producing alternate stitches on both sides of a material
KR810001094B1 (ko) 봉합안부(Sadle)의 장단봉합눈을 기계적으로 형성하는 재봉기
JP2005500088A (ja) 管状編物を製造する、特につま先を閉じる方法及び装置
US3119360A (en) Machine for joining knitted fabrics
CN207391704U (zh) 一种3d缝纫链式线迹脱线控制机构
USRE21016E (en) Button sewing machine
JP2687950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方法及びそのミシン
US2495069A (en) Article attaching machine
US2075213A (en) Article covering machine
MXPA02002843A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formar un nudo ligado de una costura de punto de conducta de un hilo.
JP3962317B2 (ja) 飾りしつけ縫い方法及びミシン
US2390126A (en) Sewing machine
SU317293A1 (ru) Петлител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тайного двухниточного цепного стежка
JPH043234B2 (ko)
USRE21645E (en)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JPS58357B2 (ja) ミシン縫い方法およびミシン
US3476064A (en) Hosiery linking machine
US2231566A (en) Sewing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