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904Y1 - 장난감 전자 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 Google Patents

장난감 전자 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904Y1
KR810000904Y1 KR2019800002519U KR800002519U KR810000904Y1 KR 810000904 Y1 KR810000904 Y1 KR 810000904Y1 KR 2019800002519 U KR2019800002519 U KR 2019800002519U KR 800002519 U KR800002519 U KR 800002519U KR 810000904 Y1 KR810000904 Y1 KR 810000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organ
record
switch
to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2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19800002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BORGANS, HARMONIUMS OR SIMILAR WIND MUSICAL INSTRUMENTS WITH ASSOCIATED BLOWING APPARATUS
    • G10B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B3/22Details of electric action systems for organs, e.g. conta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난감 전자 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자오르간 스위치부 회로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 구성의 일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자오르간의 자동발성을 위한 음반의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음반을 절착한 상태의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정면도.
본 고안은 장난감 오르간에 있어서, 회전하는 음반의 작동돌기가 자동으로 키를 눌러 주므로서 일정한 곡이 발성되어 곡이 재생되어 나오도록 한 장난감 전자오르간의 자동발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난감 전자오르간은 키가 형성되어 있어서 어린이들이 곡에 맞는 음정의 키를 박자에 맞게 눌러야 하므로 불편한 점이 많았으며, 음정이 맞지 않을때에는 오히려 어린이들의 정서에 악 영향을 미치는 음이 흘러나오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난감 전자오르간의 키에 병렬로 스위치부를 형성하여 모우터에 의해 회동되는 음반이 자동으로 스위치를 점멸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구조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자오르간의 회로장치(1)에서 스위치(SW1)(SW2)……를 인출하여 각각 제3도와 같은 스위치 (SW)를 형성하는데 스위치(SW)는 케이스(2)에 작동봉(3)이 삽착되도록 삽착공(2´)을 형성하고 탄성을 가진 접점편(4)(4´)을 작동봉(3)의 하부에 병설하며 이 스위치(SW)의 구성은 음반(5)에 형성된 작동 돌기(6)의 압압작용에 의하여 접점이 점멸되도록 한다.
음반(5)은 작동돌기(6)와 주연에 기어(5´)를 형성하고 모우터(7)의 회전속도를 감속기어군(8)에서 감속된 일정한 회전수에 맞도록 회전이 정해지며 이에 맞추어 특정곡의 음정에 맞도록 제4도와 같이 음반(5)의 중심에 동심원을 이루는 괘적(C)(D)(E)(F)(G)(A)(B)(C´)을 설정하고 이와 대응되게 각각의 스위치(SW)를 배열하며 각(α)이 정해지면 음반(5)의 회전에서 한박자에 해당되는 가상선(9) 위에 특정곡의 음정에 맞고 순서에 맞도록 작동돌기(6)를 길고 짧게 형성시켜서 된 구조로서, 미설명부호 10은 스피이커(11)가 내장된 전자 오르간의 회로 내장실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통상의 전자오르간의 키에 병렬로 스위치(SW1)(SW2)……를 인출한 것인데 스위치(SW)의 점면을 자동화 시킨 것이며, 이외 작동은 일정곡에 맞도록 형성시킨 음반(5)상의 작동돌기(6)가 모우터(7)와 맞물리어 회전하는 감속기어군(8)에 맞물리어 회전하는 음반(5)의 회전속도에 따라 음정에 맞는 차례대로 스위치(SW)의 작동봉(3)을 밀어 주므로서 전자오르간의 회로장치(1)에서 스위치(SW)가 밀린 것에 해당되는 음정이 발진되어 순차적으로 스피이커(11)를 통해 흘러나오게 작동하는 것이다.
음반(5)의 구성은 음반(5)이 회전하는 속도가 모우터(7)의 회전속도를 감속기어군(8)으로 감속시켜주므로 정해지고, 이 음반(5)의 회전속도에 따라 1박자씩 나누어진 가상선(6)을 정하고 이 가상선은 음의 높고 낮음을 나타내는 동심 원상의 궤적과 교차점이 정해지면 이 교차점에다가 특정곡에 맞는 작동돌기(5)를 음의 장단에 맞춰 길고 짧게 형성시키면 되는 것이며 음반(5)이 감속기어군(8)과 맞물리어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작동봉(3)을 밀어 주므로서 전자오르간의 회로장치(1)에서 특정곡이 재생되는 것인데, 음반(5)에는 각면마다 한곡씩 수록되며, 각각의 다른 음반(5)에 각기 다른곡을 형성시키면 어린이들은 음반(5)을 갈아 끼우면서 재생되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곡의 선택이 다양하여 어린이들이 실증을 느끼지 않으며 본 장치로 음악을 들을 수도 있으므로 어린이들의 정서에 매우 유익하며, 지금까지의 장난감에서는 한 두 곡만이 수록되어 있는 오르골 같은 것밖에 없으므로 여러곡을 듣고 싶을때에는 각각을 전부 구입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것이 였으나.
본원 고안은 음반만 구입하여 갈아끼우면 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통상의 전자오르간의 회로장치(1)에 있어서, 스위치(SW1)(SW2)(SW3)……를 한 옥타브 또는 2이상 인출하여 작동돌기(6)가 형성된 음반(5)이 모우터(7)와 감속기어군(8)에 의해 감속회전하면서 스위치(SW)를 점멸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장난감 전자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KR2019800002519U 1980-04-18 1980-04-18 장난감 전자 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KR810000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519U KR810000904Y1 (ko) 1980-04-18 1980-04-18 장난감 전자 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2519U KR810000904Y1 (ko) 1980-04-18 1980-04-18 장난감 전자 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904Y1 true KR810000904Y1 (ko) 1981-08-18

Family

ID=1921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2519U KR810000904Y1 (ko) 1980-04-18 1980-04-18 장난감 전자 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9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2188A (en) Audio playback device
US5285437A (en) Audio device having control function with use of card
KR810000904Y1 (ko) 장난감 전자 오르간의 자동 발성장치
US3808733A (en) Toy wind instrument having simulated valve controls forming switch buttons
JPS58196656A (ja) レコ−ドプレ−ヤ
US3733741A (en) Child's musical toy
US5696332A (en) Music box mechanism
JPS5240120A (en) Automatic rhythm player
KR0111829Y1 (ko) 자동편곡 기능과 음이온 발생기가 부착된 가요반주기
US4616549A (en) Music playing device
JPS6398593U (ko)
JPH0314717Y2 (ko)
JPS6442028A (en) Composite disk
JPS5611651A (en) Automatic selection and playing unit of record disc
JP2524255Y2 (ja) オ−トチエンジヤ機構付き音響機器
US1731103A (en) Musical instrument
JPS61114498U (ko)
JPS6350715Y2 (ko)
KR900015138A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자동재생방법
Gagne From session to CD: recent influences on Irish traditional dance music in America
KR200165648Y1 (ko) 뮤직 박스 시계
JPH0389466U (ko)
KR900005884Y1 (ko) 멜로디 제어 발생장치
JPS6321040Y2 (ko)
KR810001363B1 (ko) 피아노 교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