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764Y1 - 침구기(鍼灸器)의 보온장치 - Google Patents

침구기(鍼灸器)의 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764Y1
KR810000764Y1 KR2019800000295U KR800000295U KR810000764Y1 KR 810000764 Y1 KR810000764 Y1 KR 810000764Y1 KR 2019800000295 U KR2019800000295 U KR 2019800000295U KR 800000295 U KR800000295 U KR 800000295U KR 810000764 Y1 KR810000764 Y1 KR 810000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input terminal
resistor
temperatur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김중률
Original Assignee
김성수
김중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김중률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2019800000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764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침구기(鍼灸器)의 보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도.
제2도는 전기적 결선도.
본 고안은 침구기의 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십이경락(十二經絡)과 팔맥(八)에 침을 놓은 뒤 침(鍼)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침에 열을 가하여 뜸질하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침상부에 쑥을 얹어 태우므로서 침을 따뜻하게 하였으나 침 자체가 너무나 가는 것이어서 온도보존에 미약했으며, 따라서 침의 온도가 인체내의 체온에 미치지 못함으로서 침구의 효험을 기대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고, 또 상기와 같은 온도 보존은 가장 중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즉 공지의 전기적 발열체를 사용하는 경우 감전의 우려가 있고 또 전자보온 회로가 있으나 온도보정이 불가능하여 침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들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완전 제거한 것으로 전자적으로 발열되는 발열체를 십이경략과 팔맥등에 침을 꽂은뒤 침의 몸체에 발열체를 감싸게 하여 발열체에 전기를 도통시켜서 일정한 온도의 열이 발열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므로 도면에서 1은 본 고안의 모체(1)로 정면에는 전류계(2)와 가변저항기의 노브(3) 및 표시등(4)과 다수의 콘넥타(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콘넥타(14)에는 표시등(LP1, LP2)이 병설되어 있다. 또 상기한 콘넥타(14)에 도선(6)으로 연결되는 힌지(7)에는 침(13)을 협지하는 협지판(8)(11)이 있어서 그 사이에 발열체(9)(10)가 부착되어 있고 또 협지판(11)에는 온도감지기(12)가 병설되어 발열기소자()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발열기소자()에는 제2도의 회로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기적 결선에 의해 발열시키고 또 온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직류 전원 입력단(B)과 접지사이에는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ZD)가 연결되어 정전압을 각 회로에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저항(R2)을 통해 가변저항(VR2)과 가변저항(VR1)을 병열 연결하여 일단은 가변저항(VR2)과 저항(R3)이 연결되고, 가변저항(VR1)의 가동자는 저항(R4)을 통해 집적회로(IC1) 의 정상(正相) 입력단에 인가되고, 이와 같은 정상 입력단에는 저항(R5)과 콘덴서(C1)를 직열 연결하여 접지됨과 동시 역상(逆相) 입력단과 정상 입력단 사이에 콘덴서(C2)가 연결되어 있다.
또 역상 입력단에는 저항(R6)과 제1도의 온도감지기(12)를 통해 접지되어 있다. 한편 집적회로(IC1)의 출력단은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연결하여 저항(R8) 으로 접지되고, 콜렉터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릴레이(Ry)를 통해 전원(B+)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 접점(ry1)의 가동단자는 저항(R9)을 통해 전원(B+)에 그리고 고정 접점은 각기 표시램프(LP1) 및 (LP2)를 통해 접지되고 릴레이 고정접점(ry2)은 발열기소자()의 아노드에 연결되고 가동접점은 역시 전원(B+)에 연결되여 온도 제어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가변저항(VR1)과 연동되는 가변저항(VR4)의 가동자는 저항(R10, R11)을 통해 집적회로(IC2)의 정상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역상 입력단자는 저항(R12)을 통해 전원부(B+)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저항(R13)과 다이오드(D1) 및 저항(R14)이 직렬 연결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되었으며,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발열기소자()의 게이트를 트리거 하도록 콜렉터는 전원부에 연결되었으며, 발열기소자()의 캐소드는 접지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VR5는 가변저항, R15…R25는 저항, C0-C15는 콘덴서, D2, D3는 다이오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가변저항(VR2, VR5)를 조정하여 0점 조정을 한 뒤 정상 입력단자에 요구되는 임의 온도로 연동되는 가변저항(VR1, VR4)으로 요구되는 온도를 맞추어 놓으면 집적회로(IC1)의 정상 입력단과 집적회로(IC2)의 정상 입력단에는 각기 정전압된 전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집적회로(IC1)의 역상 입력단에는 저항(R6)(R17)을 통해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며, 또한 집적회로(IC2)의 역상 입력단에도 저항(R12)을 통해 일정한 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집적회로(IC1)(IC2)는 도통되어 출력단에는 트리거펄스가 발생되어 트랜지스터(Q1, Q2)를 도통시켜 릴레이(Ry)를 려자하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가동접점에 의해 표시등(LP1)이 점등되고 발열기소자()에 전류가 흐르도록 된다.
그러나 집적회로(IC1)의 역상 입력단에는 온도 감지기(12)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집적회로(IC2)와는 달리 온도감지기(12)의 변화하는 저항값에 의해 민감하게 바이어스됨으로서 정상 입력단과의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집적회로(IC1)는 온도감지기(12)의 변화에 따라 ON, OFF되는 것이며, 반대로 집적회로(IC2)는 정상입력단에 입력전압이 걸리면서 그대로 저항(R12)을 통해 전류가 흐르므로 집적회로(IC2)는 도통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를 트리거하게 된다.
따라서 발열기소자()의 게이트를 트리거하여 턴온 함으로서 발열이 시작된다. 즉 규정된 온도 이상으로 발열이 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같이 발열기소자()와 함께 일체로 되어 있는 온도감지기(12)의 변화에 따라 집적회로(IC1)로 턴 오프 또는 턴온 시킴으로서 릴레이(Ry)의 접촉단자(ry2)를 통해 발열기소자()의 아노드에 전류를 ON, OFF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 집적회로(IC1)가 턴 오프 되는 경우에는 릴레이 접점(ry1)에 연결된 표시램프(LP2)가 점등되고 턴온되는 경우는 표시램프(LP1)가 점등되어 열감지 상태와 발열기소자()의 가동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발열기소자()의 아노드에 전류가 통전되더라도 가변저항(VR4)에 의해 임의 온도 이상이나 이하인 경우 집적회로(IC2)의 역상입력단과 정상입력단이 반대가 되어 집적회로(IC2)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3)를 포화시키지 못함으로서 발열기소자()의 게이트를 트리거 하지 못하므로 발열기소자()는 발열을 제어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집적회로(IC2)를 집적회로(IC1)와 병렬 사용함으로서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은 본원 고안은 침구를 해야하는 수량에 따라서 집적회로(IC1)(IC2)의 부분의 회로를 증설할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증설은 임의로 선정이 가능하며, 회로가 간단하여 이를 회로기판에 구성하는 경우 본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가 있으며, 가볍게 제작할 수 있어서 휴대하기 편리하게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집적회로(IC2)는 항상 가변저항(VR4)의 지시에 의해 발열기소자()의 게이트를 트리거 시켜주도록 하여 발열기소자()를 가열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술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기소자()와 일체로 구성된 온도감지기(12)의 변화하는 인피던스에 의해 집적회로(IC1)의 역상입력단을 제어하도록 하여 발열기소자()의 아노드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에 있어서, 가변저항(VR1)과 연동되는 가변저항(VR4)으로 조정되는 온도에 따라서 집적회로(IC2)에 의해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켜서 발열기소자()의 게이트를 트리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기의 보온장치.
KR2019800000295U 1980-01-18 1980-01-18 침구기(鍼灸器)의 보온장치 KR810000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295U KR810000764Y1 (ko) 1980-01-18 1980-01-18 침구기(鍼灸器)의 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295U KR810000764Y1 (ko) 1980-01-18 1980-01-18 침구기(鍼灸器)의 보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764Y1 true KR810000764Y1 (ko) 1981-06-29

Family

ID=1921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295U KR810000764Y1 (ko) 1980-01-18 1980-01-18 침구기(鍼灸器)의 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7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5672A (ko) 전기보온밥솥의 제어장치
US4092520A (en) Leakage current thermostat
KR830008655A (ko) 보 온 솥
US3896289A (en) Aquarium water heater
ATE330182T1 (de) Stabglühkerze
DE3771746D1 (de) Elektrische strahlungsheizgeraete.
JPS54112428A (en) Glow plug control
KR810000764Y1 (ko) 침구기(鍼灸器)의 보온장치
PT92491A (pt) Dispositivo de comando electronico da alimentacao de uma resistencia de aquecimento
DE58909575D1 (de) Strahlungs-Heizkörper
DE3676343D1 (de) Heizelement.
KR940004635Y1 (ko) 히터 온도조절회로
ES473678A1 (es) Perfeccionamientos en dispositivos de calentamiento en par- ticular para aparatos de coccion
KR0133654Y1 (ko) 가열장치
ES377685A1 (es) Circuito de control de calefaccion con una combinacion de transistor filiforme y scr.
JPS57136153A (en) Gas leakage warning device
JPS5652418A (en) Heater control circuit
JPS5566715A (en) Gas flow measuring device
FI884714A (fi) Elektrisk bastuugn.
SU6742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жигани люминесцентной лампы
ES2006754A6 (es) Circuito de proteccion de transistores en alimentadores de corriente constante
SU1721450A1 (ru) Электронный термометр
SU6209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мпературы
JPH0129460Y2 (ko)
JPS5827708Y2 (ja) 電熱装置